하이거

판교핫뉴스1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표준분야 연구반에 9명 의장단 진출- 세계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ICT 유망 산업에 대한 표준 전략 논의 주도

하이거 2016. 11. 7. 19:18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표준분야 연구반에 9명 의장단 진출- 세계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ICT 유망 산업에 대한 표준 전략 논의 주도

 

작성일 : 2016. 11. 7.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표준분야 연구반에 9명 의장단 진출
- 세계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ICT 유망 산업에 대한 표준 전략 논의 주도-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ITU* 전기통신표준화총회(WTSA**, 튀니지,10.24.~11.3.)에서 순천향대학교 염흥열 교수가 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의장에 진출하는 등 총 9명의 우리나라 표준 전문가들이 ITU 표준분야 연구반 의장단으로 선임되었다고 밝혔다.

 ㅇ 이에 따라, 향후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목소리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국제전기통신연합)
   **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y: 4년 주기로 개최되는 ITU-T 총회로 연구반 구조조정, 의장단 임명, 표준화 절차 제․개정, 권고안 및 연구과제 등을 승인

□  SG17은 사이버 보안, 스팸 대응, 응용서비스 보안, 텔레바이오인식 기술 등 정보보호 기술‧서비스의 국제표준화를 담당하는 연구반으로서 ITU내에서도 중요한 연구반으로 인식되고 있다.

 ㅇ 그간 우리나라는 빅데이터, 핀테크 등 미래 ICT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을 추진해왔으며, 이번 ITU-T 연구반 의장 진출에 성공함으로써 향후 국제표준화 논의를 주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사물인터넷, 5G 미래네트워크 등 ICT 핵심 분야의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연구반에 총 8명의 전문가가 부의장으로 진출하는 등 ICT 분야 표준화 리더쉽 확보에 성공하였다.

《 ITU 전기통신표준화(ITU-T) 부문 의장단 진출현황 》


의석구분
ITU-T 연구반
소 속
성 명
1
의장(1석)
SG17(정보보호)
순천향대학교
염흥열
2
부의장(8석)
SG3(과금 및 회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병남
3
SG5(환경과 기후변화)
국립전파연구원
정삼영
4
SG9(광대역 케이블 TV)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태균
5
SG11(신호방식, 시험명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신각
6
SG12(서비스, 체감 품질)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성호
7
SG13(미래네트워크)
KT
김형수
8
SG15(광전송)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류정동
9
SG20(IoT 및 스마트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형준


□ 의장단 진출과 더불어 우리나라는 사물인터넷(IoT) 및 5G(IMT-2020)기술 관련, 국제표준화를 촉진하기 위한 ITU-T 신규 결의 제정을 주도하는 등 핵심 기술의 선제적 표준화 논의를 이끌었다.

 ㅇ 사물인터넷(IoT)은 2014년 부산 전권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본격적인 논의가 개시된 이래, 2015년에는 ITU내 IoT 연구반(SG 20)을 신설하고 이번 총회에서 표준화 촉진을 위한 신규결의를 의결하는 등 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리더쉽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ㅇ 또한 ‘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 시범사업을 계획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5G 이동통신 기술 선점 및 표준화 논의가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ITU의 적극적인 표준화 활동을 촉구하였다. 

□ 한국대표단 수석대표인 유대선 국립전파연구원장은“이번 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의장단 진출에 성공함으로써 국제표준화 무대에서 주도권을 확보하였다.”라고 하면서

 ㅇ “정보보호, IoT 등 주요 ICT 기술 표준화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한층 강화하고 국제표준화를 주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붙임1

 WTSA-16 개요 및 회의 구성


□ 회의명 : 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WTSA,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y)-16

《 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 개요 》

◊ ITU-T* 부문의 총회로 4년마다 개최
  * Telecommunication(전기통신)
◊ ITU-T 연구반 구조조정, 의장단 임명, 표준화 절차 제․개정, 권고안 및 연구과제 등을 승인


□ 기  간 : 2016. 10. 24.(월) ~ 11. 3(목) (11일간)

□ 장  소 : 튀니지 함마메트

□ 참가자 : 100여 개국 및 섹터 멤버, 국제기구 등 1,000여명 참가

□ 회의 구조

 ㅇ 총회(Plenary)와 5개 위원회(COM, Committee)로 구성


붙임2

 우리나라 출신 연구반 의장 및 부의장 약력


성 명 (소속)
ITU-T 의장단
주요활동

염흥열
(순천향대)
SG17(정보보안)
의장
o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사
o ITU-T SG 17 (정보보호) 부의장(‘09~현재)
o 한중일 IT 표준회의, 정보보호작업반, 의장/부의장(‘12~현재)
o ITU-T SG 17 WP 2(응용보안) 의장(‘09~현재)

이병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G3(과금 및 회계)
부의장
o KAIST 산업공학과 박사(1994)
o ITU-T TAS Group 부의장(‘04~08)
o ITU-T SG3 RG-AO 의장(‘08~현재)
o ASTAP PRS(정책규제전략) 워킹그룹 의장(‘05.11~현재)
o Asian Instotute of Technology 방문교수(‘95~97)
o ITU-T SG3 부의장 (‘12~현재)

정삼영
(국립전파연구원)
SG5(기후변화)
부의장
o 한양대 전자통신전파공학과 박사
o ASTAP ICT & 기후변화 의장(‘09~현재)
o APT ASTAP 운영위원회 자문위원 (‘12~현재)
o 국제전파과학연합 전자파 인체안전 분과위원회 부의장 (‘15~현재)
o 전자파 인체보호위원회 표준화 분과위원회 의장 (‘15~현재)
o ITU-T SG5 부의장 (‘12~현재)

김태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G9(광대역 케이블TV) 부의장
o 충남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사
o ITU-T SG9 Q.7 라포쳐(‘09~현재)
o ITU-T SG9 Q.13 부라포쳐(‘10~현재)
o ITU-T SG9 WP2 부의장(‘14~현재)
o 한국ITU연구위원회 SG9 연구반 의장(~현재)
o ITU-T SG9 표준 에디터 활동 다수

강신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G11(신호방식 및 시험명세)
부의장
o 충남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사
 o ITU-T SG7, SG17 라포처 (‘97~’08)
 o ITU-T SG11 Q.15 (멀티캐스트) 라포처 (‘09~현재)
 o ITU-T SG13 Q.19 부라포처 (‘09~현재)
 o ITU-T SG11 부의장(‘12~현재)

정성호
(한국외대)
SG12(성능,품질) 부의장
o 미국 조지아공대 전기및컴퓨터공학과 박사
o ITU-T SG16 부의장(‘08~’16)
o ITU-T WP2/16 의장(‘08~현재)
o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객원교수(‘07~’08)

김형수
(K T)
SG13(미래네트워크)
부의장
o 건국대학교 전자공학과 박사
 o ITU-T SG13 Q.4 (서비스 품질) Associate Rapporteur (현)
o ITU-T SG12 Q.17 (IP 성능) Associate Rapporteur (현)
o ITU-T JRG on NGN DG 3(NGN 성능/품질) 리더
o ITU-T SG12 부의장(현)

류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G15(광통신 등)
부의장
o 미국 뉴욕 Polytechnic Institute of NYU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
o 미국 뉴저지 Bell-Labs, Lucent Technologies (‘99-’04)
o ETRI (‘04-현재)
o ITU-T SG15 Q9 에디터 (G.8131, G.8132)
o ITU-T SG15 부의장(‘12~현재)

김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G20(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
부의장
o 충남대학교 컴퓨터과학과 박사
o ITU-T JCA-IoT 의장 (‘08~현재)
o ASTAP 부의장 (‘15~현재)
o ITU-T SG13 부의장 및 WP3(미래네트워크) 의장(‘15~’16)
o ITU-T SG20 부의장 및 WP1(사물인터넷) 의장(‘15~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