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통한 바이오생태계 활성화의 장- 미래창조과학부,「2016 바이오 미래포럼」개최

하이거 2016. 11. 7. 19:11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통한 바이오생태계 활성화의 장- 미래창조과학부,2016 바이오 미래포럼개최

 

작성일 : 2016. 11. 7. 생명기술과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통한 바이오생태계 활성화의 장
- 미래창조과학부,「2016 바이오 미래포럼」개최 -


◇ 국내외 바이오정책 동향 및 바이오생태계 활성화 방안 논의
◇ 연구개발(R&D) 연계성과 창출을 위한 연구자・투자자・기업 간 교류의 장 마련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11월 7일(월) ~ 8일(화) 2일간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바이오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고, 바이오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2016 바이오 미래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포럼은 ‘Bio, Lab to Market’을 주제로 미국국립보건원(NIH), 중국과학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내외 정책담당자 및 국내외 바이오분야 산·학·연·병원 전문가 500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며,
 ○ 이와 함께 미래부 연구개발(R&D)사업 지원분야의 연구동향 교류 및 기획방향 설명을 위한 ‘연구동향 Brief’, 연구개발(R&D) 연계성과 창출을 위한 협력의 장인 ‘바이오 Market’ 등의 행사가 개최되어 풍성한 투자 상담 및 교류의 기회를 제공한다.
□ 미래부는 이번 포럼에서 국내외 바이오정책 동향 및 바이오생태계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연구개발(R&D) 성과가 시장으로 이어지는 ‘랩투마켓(Lab to Market)’을 통해 바이오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는 미래부가 지난 5월 발표한「바이오 창조경제 10대 활성화 프로젝트」* 의 내실있는 추진을 위한 의견수렴 과정이며,
    * ‘기술의 Lab to Market 가속화’ 및 ‘자금과 인력의 선순환’이 가능한 바이오 창조경제 구축을 목표로, 창업유도 R&D, 가치성장 R&D, R&D 연계 오픈이노베이션 등 3개 분야의 10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붙임 참조)
 ○ 이와 더불어 특별 세션을 통해 현재 수립 중인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소개하고, 향후 10년간 국가 생명공학 발전을 선도할 내실 있는 계획 마련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
    * 「생명공학육성법」에 따라 수립되는 생명공학 육성을 위한 10년간의 장기적 종합전략으로, 현재 제2차 기본계획(’07~’16)에 이은 제3차 기본계획 수립 중(붙임 참조)

□ 구체적으로, 포럼 1일차에는 한국, 미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국 등 국내외 전문가들의 국가별 정책동향 및 바이오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며,
 ○ 포럼 2일차에는 국내 연구자·기업의 ‘Lab to Market’ 성공사례와, 특허창출·투자유치 등 ‘Lab to Market’의 구체적 실천방안 소개를 통해 연구개발(R&D) 성과의 시장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한다.

□ 한편, 포럼 개회식에서는 바이오 연구·산업·정책분야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6명에 대하여 미래부 최양희 장관이 직접 표창장을 수여하며,
 ○ 표창자는 한국과학기술원 강창원 교수, 고려대학교 이경미 교수, 충남대학교 허광래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황교선 박사(이하 연구분야), SK케미칼(주) 전광현 전무(산업분야), 한양대학교 이영식 교수(정책분야) 로 선정되었다.
□ ‘연구동향 Brief’ 행사에서는 바이오분야 연구자 간 교류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과정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해 주요 분야별 연구동향 및 기획방향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며,
 ○ 특히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분야 연구개발사업 기획을 담당하는 보건산업진흥원과 산업기술평가원 단장이 ‘R&D 기획의 부처간 상생과 협력 방안’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여 부처간 협업을 촉진한다.

□ ‘바이오 Market’에서는 미래부 지원 연구개발사업의 대표적 성과 45개가 첨단바이오의약품, 차세대의료기기, 모바일헬스케어, 생애 단계별 건강문제 해결형 등의 세부분야별로 전시·발표되며,
 ○ 이러한 성과에 관심이 있는 기업·투자자가 연구자와 투자유치·기술이전 등을 위한 협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행사장 내 ‘네트워킹 라운지’를 운영한다.

□ 미래부 최양희 장관은 “바이오분야가 향후 미래성장동력으로 자리 잡아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성과물이 시장으로 나아가 수익을 창출하고 다시 재투자되는 선순환적 바이오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 “이번 포럼은 바이오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성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의 장이 될 것이며, 포럼에서 논의된 의견들은 향후 관련 정책 및 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2016 바이오 미래포럼」개최 계획(안) 바이오분야 미래부 장관 표창 수상자
     「바이오 창조경제 10대 활성화 프로젝트」개요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수립 개요



붙임1

 2016 바이오미래포럼 개최 계획(안)

□ 추진 배경
 ○ 바이오분야 정책아젠다 및 2017년도 주요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미국, OECD, EU 등 국내외 정책동향 교류
    * 국내외 바이오정책 및 바이오생태계 동향 중심으로 포럼 세션 구성
 ○ 기술의 Lab to Market을 촉진하고, 바이오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R&D 중심의 바이오생태계 구성원(산·학·연·병 등) 간 협력의 장 마련
□ 추진 개요(안)
 ○ (일시/장소) ’16.11.7.(월) ~ ’16.11.8.(화) /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
 ○ (주최) 미래창조과학부
  ※ (주관) 한국연구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주제) ‘Bio, Lab to Market’
 ○ (참석자) 국내외 정책담당자 및 산․학․연 전문가 등 총 500여명
  ※ (주요 VIP) 미래부 최양희 장관, 이명철 과학기술한림원장, 김동연 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 해외연사(미국, 중국, OECD) 6명 등 10여명
□ 주요 프로그램
 ○ (포럼) 국내외 바이오정책 동향 및 바이오생태계 활성화 방안 논의
   ※ 바이오분야 발전 유공자 장관 표창 진행(1일차 오전)
 ○ (연구동향 Brief) 미래부 R&D 지원분야 연구동향 교류 및 기획방향 설명
   ※ 한국연구재단 PM, RP 중심으로 분야별 우수성과 발표 및 연구동향 설명
 ○ (바이오 Market) 연구자와 투자자·기업 간 기술이전·공동연구 등의 R&D 연계성과 창출을 위한 협력의 장 마련
   ※ 주요 사업별 연구성과(45개)를 전시하고 ‘네트워킹 라운지’(22개 기술 소개)를 운영


참고1

 프로그램(안)

□ 포럼 1일차(동시통역 진행)

시간
내용
비고
09:30~10:30(60‘)
1일차 등록

10:30~11:00(30‘)
  <개회식>
 인사말 및 내빈 소개
 ① 환영사(5‘)
 ② 축사1(5‘)
 ③ 축사2(5‘)
① 최양희 장관(미래부)
② 이명철 원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③ 김동연 이사장 (신약개발연구조합)
11:00~11:20(20‘)
 <특별행사 : 바이오분야 발전 유공자 미래부 장관 표창식>
수여자 : 최양희 장관
진행 : 이상지 아나운서
11:20~11:50(30‘)
 <특별세션 : Bioeconomy, the Challenge of the Century for Policy Maker>
① James Philp(OECD)
12:00~13:30(90‘)
점심식사

13:20~15:00(100‘)
<Lab to Market 정책1  : 국가별 정책동향>
 ① (Korea) Biotechnology Policies and Challenges of Korea(25‘)
 ② (US) Technology Transfer Policy(25‘)
 ③ (OECD) Open and Responsible Health Innovation(25‘)
 ④ (China) China's policy on stem cell research and application(25‘)

① 장규태 원장(KRIBB)
② Steven M. Ferguson(NIH)
③ Hermann Garden(OECD)
④ Prof. Qi Zhou(周琪) (중국과학원)

15:00~15:20(20‘)
Break Time

15:20~16:50(90‘)
 <Lab to Market 정책2 : 바이오 산업생태계>
 ① Lab goes to Market (30‘)
 ② Biotechnology Industry(30‘)
 ③ Global Innovation Network and Asian Catch-up Models in Bio-Health Industry(30’)
① Prof. Omid Farokhzad(Harvard Univ.)
② Prof. Abraham J. Shragge(UCSD(KAIST))
③ 김석관 본부장(STEPI)

 ○ 부대행사

행사
시간
내용
비고
연구동향
Brief
14:00~17:00
바이오 세부분야(신약·차세대바이오) 연구자 간 동향교류
한국연구재단
바이오
Market
10:00~17:00
연구자와 투자자간의 만남
- 전시부스, 네트워킹 라운지 운영
한국연구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포럼 2일차

시간
내용
비고
09:00~10:00(60‘)
2일차 등록

10:00~12:00(120’)
 <특별세션 :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①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총괄 소개(10’)
 ② 생명공학 분과(10’)
 ③ RED 분과(10’)
 ④ WHITE 분과(10’)
 ⑤ GREEN 분과(10’)
 ⑥ 산업화(융합신산업)분과(10’)
 ⑦ 규제/인문 분과(10’)
 ⑧ 의견수렴(패널토론)(50’)
① 이영식(총괄위원장)
② 허광래(분과위원장)
③ 정성철(분과위원장)
④ 서정아(분과위원장)
⑤ 박경문(분과위원장)
⑥ 이정일(분과위원장)
⑦ 이봉용(분과위원장)
12:00~13:30(90‘)
점심식사

13:30~14:50(80‘)
 <Lab to Market 전략 1 : 성공사례>
 ① 지속성장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한 생태계 진단(20’)
 ② Biocon: The Target Factory to Link Academic Discovery to Biotech(20’)
 ③ 바이오클러스터 성장 전략과 신생태계 조성(20’)
 ④ 마크로젠의 해외 시장 진출 사례 및 전략(20’)
① 유승준 센터장(바이오협회)
② 김성훈 교수(서울대학교)
③ 임재승 전무(차바이오텍)
④ 전현용 대표이사(마크로젠)
14:50~15:10(20‘)
Break Time

15:10~16:30(80‘)
 <Lab to Market 전략 2 : 실천방안>
 ① 바이오 창조경제를 위한 생태계 활성화 방안(20’)
 ② 바이오 생태계에서 벤처캐피탈의 역할(20’)
 ③ 글로벌 제약, 바이오 동향 및 우리기업들의 전략(20’)
 ④ 바이오 특허 창출(20’)
① 조낙현 과장(미래부)
② 신정섭 본부장 (KB인베스트먼트)
③ 조영국 대표(Global Venture Network)
④ 이재영 본부장(특허법인 정안)

 ○ 부대행사

행사
시간
내용
비고
연구동향
Brief
14:00~17:00
바이오 세부분야(뇌·첨단의공학) 연구자 간 동향교류
한국연구재단
바이오
Market
10:00~17:00
연구자와 투자자간의 만남
- 전시부스, 네트워킹 라운지 운영
한국연구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참고2

 연구동향 Brief 계획(안)

□ 연구동향 Brief 1일차(신약차세대바이오 분야)

시간
내용
비고
13:30~14:00(30‘)
1일차 등록

14:00~14:10(10‘)
<2017년 신약바이오분야 기획방향>
신약차세대바이오 PM
(김재상 단장)
14:10~14:40(30‘)
<특별세션 : 신약차세대바이오분야 국가 R&D과제의 지식재산권, 특허권 귀속과 활용>
- 우수 성과를 중심으로 기술연계 사례 컨설팅
이희숙 변리사(시원국제특허법률사무소)
14:40~15:00(20‘)
<특별세션 : 신약차세대바이오분야 R&D 기획의 부처간 상생과 협력 방안>
보건산업진흥원 윤경식 단장
15:00~15:20(20‘)
Break Time

15:20~16:20(60‘)
<신약바이오분야 R&D 기획의 Reengineering>
 ① 신약바이오 기획방향 Part 1(15‘)
 ② 신약바이오 기획방향 Part 2(15‘)
 ③ 신약바이오 기획방향 Part 3(15‘)
 ④ 신약바이오 우수연구성과 기술소개(15‘)
① 이종서 RP(R&D Planner)
② 박장환 RP(R&D Planner)
③ 유지환 RP(R&D Planner)
④ 권기선 책임연구원 (KRIBB)
16:20~16:40(20‘)
<신약바이오 기획 고도화를 위한 Homecoming Day>
- 前 PM 초청 / BIO분야 기획동향의 과거, 현재, 미래
허광래 교수(충남대)
16:40~17:00(20‘)
 Q/A


□ 연구동향 Brief 2일차(뇌첨단의공학 분야)

시간
내용
비고
13:30~14:00(30‘)
1일차 등록

14:00~14:10(10‘)
<2017년 뇌첨단의공학분야 기획방향>
뇌첨단의공학분야 PM
(허성오 단장)
14:10~14:40(30‘)
<특별세션 : 뇌첨단의공학분야 국가 R&D과제의 지식재산권, 특허권 귀속과 활용>
- 우수 성과를 중심으로 기술연계 사례 컨설팅
고승진 변리사(다나특허법인)
14:40~15:00(20‘)
<특별세션 : 뇌첨단의공학분야 R&D 기획의 부처간 상생과 협력 방안>
산업기술평가원 허영 PD
15:00~15:20(20‘)
Break Time

15:20~16:20(60‘)
<뇌첨단의공학분야 R&D 기획의 Reengineering>
 ① 뇌첨단의공학 기획방향 Part 1(15‘)
 ② 뇌첨단의공학 기획방향 Part 2(15‘)
 ③ 뇌첨단의공학 기획방향 Part 3(15‘)
 ④ 뇌첨단의공학 우수연구성과 기술소개(15‘)
① 손정우 RP(R&D Planner)
② 박두상 RP(R&D Planner)
③ 남기창 RP(R&D Planner)
④ 박윤정 교수(서울대)
16:20~16:40(20‘)
<뇌첨단의공학 기획 고도화를 위한 Homecoming Day>
- 前 PM 초청 / BIO분야 기획동향의 과거, 현재, 미래
임혜원 책임연구원(KIST)
16:40~17:00(20‘)
 Q/A


붙임2

 2016 바이오분야 발전 유공자 표창 수상자


사 진
소 속
성 명
(생년)
공 적 개 요
공적분야

한국과학기술원
강창원
(1951)
① 한국인에게 자주 발병되는 질병 관련 유전자와 그 변이들을 발굴하여 생물학적 기능을 다각도로 규명하는 연구 방법을 개척하는데 기여
② 유전자의 전사(Transcript) 과정을 조절하는 새로운 원리를 발견하여 관련 연구에 기여
바이오연구

SK케미칼(주)
전광현
(1964)
① 한국 최초로 미국FDA에서 승인 받은 유전자재조합 Factor-8 (혈우병치료제) 개발관리에 기여,
② 세포배양 독감백신(3가·4가)을 국내 최초로 시장에 진출시키는데 성공
③ 제약협회 백신 위원회 위원으로서 적극적이고 주도적 제안활동 수행
바이오산업

한양대학교
이영식
(1953)
① KISTEP 생명보건전문위원, 차세대성장동력,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생명공학관련 정책입안에 기여
바이오정책

고려대학교
이경미
(1965)
① 세계 최초로 나노바이오공학기술과 세포치료기술을 접목
② 기존 치료제들 보다 가격이 절감되고 효과는 극대화된 맞춤형 항암면역세포치료제를 자체 개발
바이오연구

충남대학교
허광래
(1963)
① 바이오 관련 학회에서 14년 봉사
② 우수논문 발표 (Nature Biotech 등) 및 기술이전 성과 다수 달성
③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대상 수상 및 한국연구재단 신약/차세대바이오 단장 역임
바이오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황교선
(1980)
①  혈액 이용 치매 조기 진단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국내 기업에 기술이전(기술료 3300억원 규모)하는 등 바이오 분야의 새로운 시장 창출 및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바이오연구


붙임3

 「바이오 창조경제 10대 활성화 프로젝트」개요

□ 추진배경
 ○ 최근 우리나라는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충하여, 글로벌 경쟁이 가능한 국내 바이오 최상위 기업군* 등장
    * 한미약품의 7.5조원 기술수출계약 성사(’15년),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미국 출시 승인(’16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대규모 시설투자(’15년) 등
 ○ 국내 바이오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활력을 불어넣을 씨앗으로서 참신한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벤처는 감소추세
   ※ 바이오벤처 창업 : ’00년 224개 →’05년 78개 →’10년 53개 →’13년 2개
 ○ 정부의 정책효과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바이오 선도기업군 외에도 스타트업․벤처기업 등 생태계 전방위로 파급시킬 필요
□ 국내외 바이오 생태계 진단




▲기술확보에서 창업 → 성장 → 투자회수를 거쳐 재투자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역동적인 선순환 고리가 형성





▲선진국과 달리, “창업 → 성장 → 투자회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순환고리의 공백이 존재


□ 10대 활성화 프로젝트 발굴 및 선정
 ○ 기업인, 의사, 연구자 등 35,000여명 대상 수요조사 및 바이오 기술사업화 전문가 중심 자문위에서 25개 후보사업군 1차 도출
 ○ 생태계 네트워크 촉진, 국내 환경 정합성, 실현가능성 등 종합 고려하여 바이오창조경제 활성화 10대 프로젝트 선정

 ▶ 바이오 특성*을 반영한 바이오 특화 프로그램 추진
    * R&D주기가 길고, 성공적 제품 출시까지 지속적 R&D 필요
 ▶ 사업화와 R&D를 분리하지 않고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지원
 ▶ 생태계 구성원 간 자발적 협업관계를 유도하는 네트워킹 촉진

□ 10대 활성화 프로젝트 추진 방안
 ○ “기술의 Lab to Market 가속화” 및 “자금과 인력의 선순환”이 가능한 바이오 창조경제 구축
 ○ ① 창업유도 R&D, ② 가치성장 R&D, ③ R&D연계 오픈이노베이션 창출 등을 통해 창업부터 투자회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공백분야를 연결하고, 민간 스스로 자생적인 바이오 생태계를 조성
 ○ (창업유도 R&D) R&D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 개발, MD의 아이디어를 발굴․개발, 창업 보육 프로그램 등 병행지원하여 창업유도
    ※ (창업유도) ① 바이오 글로벌창업 연계사업, ② MD아이디어-PhD기술 매칭사업, ③ 바이오 기업인 창업유도사업
 ○ (가치성장 R&D) R&D와 더불어 시설․장비 및 테스트베드 제공, IT플랫폼 연계 등 패키지 지원하여 기업․제품의 가치 상승 지원
    ※ (가치성장) ① Core Facility 구축, ② 의료기관 내 벤처기업 입주사업, ③IT플랫폼기업-벤처기업 협력사업
 ㅇ (R&D연계 오픈이노베이션 창출) 기업 수요를 기반으로 매칭형 R&D 프로그램, M&A를 목적으로 한 특수목적법인 설립지원, 바이오특화 금융전문인력양성 등 학․연-기업 간 오픈이노베이션 창출 등
    ※ (오픈이노베이션) ① 바이오 파트너링 후속지원, ② 바이오 특수목적법인 설립지원, ③ 국가신약파이프라인 민관협업사업, ④바이오특화 금융 전문인력양성

붙임4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수립 개요

□ 배경 및 필요성

 ㅇ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 종료에 따라 생명공학육성법에 근거*하여 차기 기본계획 수립 추진

    * 생명공학육성법 제4조2항 미래부 장관은 관계부처의 생명공학육성계획을 종합하여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

 ㅇ 생명공학산업이 향후 국가 핵심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이를 지원하는 장기적 종합전략 마련 필요

    * (1차) 연구기반 조성(’94~’06) → (2차) 원천기술 확보/산업인프라 구축(’07~’16) → (3차 기본계획) 핵심 분야 산업화 달성 및 경쟁력 강화(’17~’26)

□ 추진 방향

 ㅇ 부처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10년 후 바이오 미래상을 제시하고 원천기술 경쟁력 확보 및 바이오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 (내용) ① 글로벌 R&D 선도 ② 주력산업화 ③ 규제 혁신 ④ 인프라 선진화 등 4대 전략 추진을 통한 바이오 강국 실현

  - (추진체계) 부처별 추천 전문가로 구성된 총괄위원회(수립 총괄) 및 6개 분과위원회(분야별 세부계획 작성) 운영

    * 분과 : 생명과학/RED/GREEN/WHITE/산업화(융합신산업)/규제‧인문 등 6개

□ 계획 수립 일정 : 초안 ’16년 12월 ⇨ 최종안 상정 ’17년 3월

    * 위원회 구성 등 착수(8월) → 기본계획 초안 마련(~12월) → 부처 협의 및 현장 의견 수렴(~’17.2월) → 최종안 상정 및 발표(~’17.3월, 바이오특위‧생명공학정책심의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