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기초지원(연), 11월 7일(월) ‘국산연구장비 활용랩’ 개소식 개최국산연구장비-국산 질량분석기, 전자현미경 등 국산연구장비 상시체험 가능해져

하이거 2016. 11. 15. 15:27

기초지원(), 117() ‘국산연구장비 활용랩개소식 개최국산연구장비-국산 질량분석기, 전자현미경 등 국산연구장비 상시체험 가능해져

이름 : 관리자 | 작성일 : 2016.11.07 15:07

 

 

 







국산연구장비, 직접 사용하고 품질 확인한다
- 국산 질량분석기, 전자현미경 등 국산연구장비 상시체험 가능해져 -
기초지원(연), 11월 7일(월) ‘국산연구장비 활용랩’ 개소식 개최


□ 연구자들에게 국산연구장비의 우수성을 알리고 품질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우수 국산연구장비 공동활용 집적시설이 문을 연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원장 이광식, 이하 기초지원연)은 11월 7일(월) 오후 4시 30분 전주센터에서 ‘국산장비활용랩’개소식을 개최하고, 연구자들이 국산연구장비를 쉽게 접하고 그 성능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국산연구장비 집적시설의 구축 및 공동활용 기반마련에 나선다.
□ 전주에서 개소하는 국산장비활용랩은 우수한 성능의 국산연구장비를 갖추고 국산장비의 상설체험과 장비관련 교육을 지원하는 국산장비 공동활용시설로,
 - 국산 주사전자현미경(SEM)을 비롯한 3종의 국산장비가 설치되어, 대덕본원 국산장비신뢰성평가센터에 설치 돼 운영 중인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질량분석기(MALDI-TOF MS) 등 5종의 국산연구장비와 함께 국산연구장비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체험의 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국산연구장비 체험은 간단한 예약(전주:chemipia@kbis.re.kr/대덕:kminsun @kbsi.re.kr)을 통해 가능하고, 필요하면 관련 교육 지원도 받을 수 있어 이용자들은 국산연구장비의 우수성과 품질을 꼼꼼히 확인해 볼 수 있게 된다.
□ 국내장비기업들은 80%이상이 1990년대 이후 설립되어 역사가 짧고, 74%가 소기업에 해당할 정도로 규모가 작아 원천기술 축적이 어렵고 마케팅에도 한계가 있어, 국내 연구자들로부터 충분한 신뢰를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 기초지원(연)은 연구장비중심기관이자 국가연구시설장비 총괄관리 기관으로서, 이번 랩 설치 외에도 연구장비 공동개발, 장비성능개선, 성능평가 및 해외진출 지원, 첨단연구장비 및 분석기술 개발 등 관련 지원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 국산장비활용랩 개소식에는 기초지원(연) 이광식 원장을 비롯, (주)코셈 이준희 대표, (주)아스타 김양선 CTO, (주)나노스코프시스템즈 전병선 대표 등국산연구장비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국산장비활용랩의 출범을 축하한다.
□ 기초지원(연) 이광식 원장은 “연구현장에서 이미 검증된 외국장비를 선호하다 보니 국산 연구장비의 시장진입이 힘든 것으로 안다”며, “연구장비 대표기관인 기초지원(연)이 국산연구장비의 우수성을 알리는 국산연구장비 활용 허브의 역할을 다해 국산연구장비 산업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자료 1 – 용어 설명


1.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질량분석기(MALDI-TOF MS: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LDI) mass spectrometer(MS))
   레이저로 물질을 이온화하여 물질의 분자량을 측정하는 장치

2. 주사전자현미경(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조사할 때 발생하는 이차전자, 특성 X-선을 검출하여 시표 표면의 미세구조, 형상 및 성분을 분석하는 장비로 30kV의 소형 SEM



붙임자료 2 – 관련 이미지


     [그림 1] 기초지원(연) 대덕본원에서 운영 중인 첨단 국산 국산연구장비들


                      [그림 2] 국산연구장비활용랩 전주센터



붙임자료 3 – 개막식 사진



<(맨 앞줄 좌측에서 여섯 번째부터) 기초지원(연) 조영훈 연구장비개발사업단장, 기초지원(연) 이광식 원장, (주)코셈 이준희 대표, (주)아스타 김양선 CTO, (주)나노스코프시스템즈  전병선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