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나노융합2020사업,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나노융합2020사업 「최종 성과보고회」 공동으로 개최

하이거 2021. 6. 8. 16:33

나노융합2020사업,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나노융합2020사업 최종 성과보고회 공동으로 개최

작성일 2021-06-08 부서 융합기술과

「나노융합2020사업,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소부장 관련 사업화매출액 약 7,000억원, 투자 대비 490% 성과 -

과기정통부․산업부 차관, 나노기술사업화를 위한‘함께달리기’지속하기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은 2012년부터 9년 간 협업해온 ‘나노융합2020사업(단장 박종구)’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 「최종 성과보고회」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 나노융합2020사업 최종 성과보고회 개요 】

 

▪ 일시·장소: 6.8(화), 15:00∼16:05 / 밀레니엄힐튼호텔(서울역근처)

 

▪ 참석자: 과기정통부․산업부 차관, 나노분야 산학연 관계자 70여명

 

□ ‘나노융합2020사업’은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단일사업단을 구축, 공공부문이 보유한 나노기술의 성과를 산업계의 신제품 아이디어와 연결하여 조기 사업화를 지원해온 사업이다.

 

ㅇ (경제․과학적 성과) 지난 ‘12년부터 ’20년까지 1,437억원이 투자되었으며, 정부 투자액 대비 490%인 사업화 매출액 7,050억원(사업기여율 반영 금액, ‘21.3월기준), 사업화 성공기업 51개, 사업화 제품 85건, 특허 출원 426건‧등록 191건, 고용창출 740명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 또한 전산업에 생산유발액 1조 5백억원(타산업 생산유발액 3천500억원 포함)과 부가가치유발액 4천억원, 취업자수 2,750명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되었다. 

 

* 나노융합2020사업 성과분석보고서(경상국립대, ‘21.4.30)

< 사업화 매출달성 대표 성과 >

대면적(폭 1,000 ㎜) 투명전극 프린팅/코팅 장비 다기능 공기질 개선장치

전자파 차폐 흡음 소재

 

 

 

 

고굴절 프리즘 코팅액

(㈜익성) (엔젯㈜) (㈜)SMS) (㈜엔아이티코리아)

매출 370억원 매출 155억원 매출 328억원 매출 119억원

 

ㅇ (정책적 성과) 나노기술(NT)은 범용 기반기술로서, 다양한 기술․제품과의 융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동 사업은 이러한 장점을 극대화하여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바가 컸다.

 

* 지원과제(93개)의 95%가 소부장 관련(소재 70%, 부품 5%, 장비 20%) 

 

- 뿐만 아니라 NT-IT, NT-BT, NT-ET 등 기술간 융합으로 빅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 한국형 뉴딜, 탄소중립 등 정부정책과 연계된 성과 창출에도 이바지하였다.

< 소부장, 빅3, 탄소중립 등 정책연계 대표 성과 >

사업화명 성과 의미 및 내용 사진

(기업)

나노융합 현미경 시스템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인천대가 보유한 광간섭(백색광 영역, WLI)에 의한 단차분석기술(특허)을 이전받아 나노광학 모듈(WLI)을 활용해 반도체 공정용 인라인 자동화 탐침현미경(AFM)을 보완함으로써 대면적 고속 고분해능 비파괴 측정 가능

(㈜파크 시스템스)

-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 공급 및 제작 중(주문 대기) 

* 매출 2.4억원, 공동평가프로젝트(20억계약), 출원특허 4건, 등록특허 2건, 고용창출 27명

 

○ (정책적 성과) 반도체 검사장비로 빅3(반도체), 소부장(장비) 연계

고성능 고온 초전도 선재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자속고정점 기술(특허)을 이전받아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도체 내에 나노입자를 분산하여 초전도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

(㈜서남)

- 초전도 송전 케이블 적용 (세계 최고 성능 및 생산속도/최저 원가)

* 매출 148억원, 출원특허 3건, 등록특허 2건, 고용창출 7명

 

○ (정책적 성과) 초전도 송전 케이블 적용, 탄소중립(송전)과 연계

탄소나노튜브 기반 디지털 엑스선 소스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탄소나노튜브(CNT)의 전계방출 특성을 이용해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특허를 이전받아 완벽한 디지털 구동이 가능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세계 최초로 사업화 (엑스선 장치의 완전 디지털화)

(㈜브이에스아이)

- 최근 CE 인증을 받음으로써 유럽 지역 진출이 가능해짐

* 매출 8.3억원, 출원특허 15건, 등록특허 1건, 고용창출 10명

 

○ (정책적 성과) 디지털엑스선 소스는 정전기 발생을 줄여 산업현장에서의 화재 위험이 감소해 한국형 뉴딜(안전망 강화) 연계

ㅇ (사업화플랫폼 성과) 동 사업은 실질적인 기술사업화 성과달성뿐만 아니라 기술사업화를 효율적으로 견인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였다. 나노융합2020사업 지원기업 대상 조사결과*, 사업화 기간을 30개월 이상 단축(56개월 → 26개월)하는 획기적 결과를 보여줬다.

 

* 나노융합2020사업 성과분석보고서(경상국립대, ‘21.4.30)

 

- 특히 동 사업의 기업지원플랫폼인 나노융합2020사업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20.12)에서 첨단소재 분야의 혁신협력플랫폼, 그 중 지식재산권 중개(IP leveraging) 부분의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평가되었다.

 

행사 결과

 

□ 나노융합2020사업을 최종 마무리하는 이번 행사는 후속사업인 (가칭)나노융합2030사업 기획 착수회의를 사전행사로 진행하였다. 

 

ㅇ (기획 착수회의) 공동기획위원장을 맡은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유지범 회장,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홍순국 이사장, 양 부처 담당관 등 산학연 관계자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선행사업을 발전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후속사업 기획 방향을 논의하였다.

 

ㅇ (성과보고회) 과기정통부 용홍택 차관, 산업부 박진규 차관, 나노분야 산학연 관계자 70여명이 참석한 성과보고회에서는 나노융합2020사업 9년간의 성과와 대표적인 사업화 성공사례를 발표*하였고, 사업화 우수제품 10건이 전시되었다.

 

* ① (BIG3 연계) 나노융합 현미경 시스템((주)파크시스템스), 

② (한국형뉴딜 연계) 탄소나노튜브 기반 디지털 엑스선 소스((주)브이에스아이)

 

□ 나노융합2020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온 양 부처는 그동안의 사업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나노분야 원천기술의 완성도 제고와 병행하여, 우수한 나노원천기술의 사업화 강화를 위해 한목소리를 내었다.

 

ㅇ 과기정통부 용홍택 차관은 “최근의 기술과 산업은 융합을 통해 이전까지는 상상하지 못한 새로운 차원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범용 특성을 가지고 있는 나노기술은 이러한 융합시대에 걸맞는 대표기술”이라고 하며, 

 

- “지난 10년동안 나노융합기술 사업화지원 플랫폼으로 큰 역할을 했던 나노융합2020사업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후속사업을 마련하여, 융합과 협력을 통한 연구개발(R&D) 기술사업화가 만개할 수 있도록 양 부처가 다시 한번 손 맞잡고 함께달리기를 바란다”고 하혔다.

 

ㅇ 산업통상자원부 박진규 차관은 “소재․부품․장비 관련 사업화매출액 7,000억원을 달성하고 이 중에는 탄소중립, 빅3, 한국형뉴딜과 관련된 성과도 많이 있다”며 

 

- “이렇게 소부장, 빅3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는 나노융합산업 생태계의 조성과 촉진을 위해서 나노기업의 대학․연구소와의 연대와 협력, 수요산업과의 연대와 협력을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향후 계획

 

□ 한편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나노융합2020사업’을 통해 구축한 부처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그간 축적된 사업성과와 성공사례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탄소중립․빅3, 한국형 뉴딜 등 정부정책과의 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칭)나노융합2030사업’을 공동으로 기획하고 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붙 임】1. 행사개요

2. 나노융합2020사업 주요성과

3. 성과보고회 전시 성과물 요약

4. 기술사업화 우수사례 발표 요약

 

붙임1 행사개요

 

□ 개 요

 

ㅇ (배경) 나노융합2020사업(‘12.9~’21.2)* 종료 계기 최종 성과보고 및 후속사업을 기획 행사 추진

* (사업개요) 나노융합기술 상용화 사업화연계기술개발(R&BD) 사업(과기정통부·산업부 협업)

 

ㅇ (목적) 나노융합2020사업의 성과*, 성공사례를 산학연 관계자들과 공유 및 향후 후속사업** 방향에 대한 논의

 

* 정부투자 1,437억원, 누적매출 7,050억원 달성, 투입 대비 490% 이상 효과

** 나노융합2030(‘23~’30) 예타 기획 중

 

ㅇ (일시) 2021년 6월 8일(화) 15:00 ~ 16:05 

※ 사전행사(후속사업 기획 착수회) : 14:00~14:45

ㅇ (장소) 밀레니엄 힐튼호텔 (서울역 부근) 

ㅇ (참석) 양 부처 차관, 나노분야 산학연 관계자 70여명

ㅇ (내용) (사전행사) 후속사업(나노융합2030) 기획 착수회

(본행사) 나노융합2020사업 성과 전시* 및 성과보고 등

※ 소부장, 빅3, 탄소중립, 한국형뉴딜 관련 성과(제품) 10개 내외 전시

□ 세부 추진일정 

시 간 내 용 비 고

사전행사 14:00∼14:45 나노융합2030사업 기획 착수회 기획위원장

(나노조합 이사장, 기술협의회 회장,

양부처 담당관)

14:50∼15:00 Break Time -

15:00∼15:15 사업화 성과물 관람 (10개 품목) 성과보고회장

행사 15:15~15:25  축 사 양 부처 차관

15:25~15:45  경과 및 성과/ 성과분석결과 보고 사업단장/경상국립대

15:45~16:00  우수 사업화 성과 발표 (2개) 과제책임자

(기업대표)

16:00~16:05 기념촬영 주요참석자

16:05 마무리

붙임2 나노융합2020사업 주요성과

□ 사업 개요

ㅇ (목표) 나노분야의 정부연구개발성과를 바탕*으로 신산업·신시장 조기 창출을 위한 전주기적 나노융합기술 상용화 사업화연계기술개발(R&BD) 지원(과기정통부·산업부 협업)

* 기술보유자(대학ㆍ출연연)-기술수요자(기업) 간 기술(IP)의 유상이전 필수

ㅇ (대상분야) 나노소자/나노유연소자/고효율 에너지변환/고성능 물 환경·자원 처리/나노바이오 융합/공통기반기술 등

ㅇ (사업규모) 2012~2020년(9년) /정부투자 1,437억원

 

□ 주요성과 

ㅇ (사업화 매출액) 투입예산(1,437억원) 대비 사업화 매출 490% 달성

- 목표 대비 실적은 124.8%(목표 5,649억원, 실적 7,050억원*)로서 초과 달성

* 사업 기여율을 반영한 수치이며 실제 총 매출은 1조 2,182억원

ㅇ (사업화 소요기간 단축 효과) 평균 30개월 단축 (56개월 → 26개월)

ㅇ (기술적·사회적 성과) 특허 출원 426건‧등록 191건, 고용창출 740명

연도 사업화 특허출원(건) 특허등록(건) 고용창출 기술이전**

사업화 사업화 성공기업 매출액 국내 국외 국내 국외 (명) 건수 기술료

건수 (억원) (억원)

2012 - - - - - - - - - - - -

2013 3 2 15 44 12 56 - - - 76 22 17.15

2014 10 3 280 49 1 50 18 - 18 95 10 9.64

2015 14 6 822 57 6 63 30 - 30 69 16 14.1

2016 11 6 1,624 47 15 62 22 3 25 106 15 16.22

2017 16 7 1,077 49 16 65 36 2 38 123 5 1.37

2018 7 5 885 47 15 62 26 4 30 145 11 12.55

2019 13 5 1,253 36 8 44 27 1 28 92 7 4.2

2020 8 17 897 19 4 23 17 4 21 34 - -

2021.3 - - 197 - 1 1 1 - 1 - - -

82 51 7,050 348 78 426 177 14 191 740 86 75.23

 

대면적(폭 1,000 ㎜) 투명전극 프린팅/코팅 장비 다기능 공기질 개선장치

전자파 차폐 흡음 소재

 

 

 

 

고굴절 프리즘 코팅액

(㈜익성) (엔젯㈜) (㈜)SMS) (㈜엔아이티코리아)

매출 370억원 매출 155억원 매출 328억원 매출 119억원

사업화명 성과 의미 및 내용 사진

(기업)

나노융합 현미경 시스템

(㈜파크 시스템스)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인천대가 보유한 광간섭(백색광 영역, WLI)에 의한 단차분석기술(특허)을 이전받아 나노광학 모듈(WLI)을 활용해 반도체 공정용 인라인 자동화 탐침현미경(AFM)을 보완함으로써 대면적 고속 고분해능 비파괴 측정 가능

 

-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 공급 및 제작 중(주문 대기) 

* 매출 2.4억원, 공동시험성능평가(20억계약), 출원특허 4건, 등록특허 2건, 고용창출 27명

 

○ (정책적 성과) 반도체 검사장비로 빅3(반도체), 소부장(장비) 연계

 

고성능 고온 초전도 선재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자속고정점 기술(특허)을 이전받아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도체 내에 나노입자를 분산하여 초전도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

(㈜서남)

- 초전도 송전 케이블 적용 (세계 최고 성능 및 생산속도/최저 원가)

* 매출 148억원, 출원특허 3건, 등록특허 2건, 고용창출 7명

 

○ (정책적 성과) 초전도 송전 케이블 적용, 탄소중립(송전)과 연계

 

탄소나노튜브 기반 디지털 엑스선 소스

(㈜브이에스아이)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탄소나노튜브(CNT)의 전계방출 특성을 이용해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특허를 이전받아 완벽한 디지털 구동이 가능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세계 최초로 사업화 (엑스선 장치의 완전 디지털화)

 

- 최근 CE 인증을 받음으로써 유럽 지역 진출이 가능해짐

* 매출 8.3억원, 출원특허 15건, 등록특허 1건, 고용창출 10명

 

○ (정책적 성과) 디지털엑스선 소스는 정전기 발생을 줄여 산업현장에서의 화재 위험이 감소해 한국형 뉴딜(안전망 강화) 연계

 

전계 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

(㈜새론 테크놀로지)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KIST 기술지원을 받아 시료의 표면을 나노크기 해상도로 관찰하는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 (FE-SEM)을 세계 5번째로 개발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FE-SEM을 대체

* 매출 10억원, 출원특허 4건, 등록특허 3건, 고용창출 8명

 

○ (정책적 성과) 선진기업 독점 첨단분석장비를 국산화해 소부장(장비) 연계

 

고화질 TV용 고휘도 복합필름

(에스엠에스㈜/ (주)글로텍)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한국세라믹기술원이 보유하고 있는 무기물 나노입자 분산기술(특허) 이전해 높은 굴절율(1.65, 세계최고 수준)을 가진 나노소재를 프리즘 필름 코팅에 적용하여 초고화질 8K 텔레비전의 화질을 개선

* 매출 323억원, 출원특허 5건, 등록특허 2건, 고용창출 3명

 

○ (정책적 성과) 글로벌 최고기업 제품 대비 동등 이상의 고굴절 코팅소재 사업화로 소부장(소재ㆍ부품) 연계

 

2차전지 분리막용 알루미나 나노분말

(㈜씨아이에스)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KIST가 보유한 고순도 알루미나 나노분말 제조기술(특허 및 노하우) 적용해 알루미나 결정입자를 제어할 수 있는 열처리 공정기술 개발을 통한 배터리 분리막용 500 ㎚급 고순도 알루미나 원료 제품화

* 매출 13억원, 고용창출 6명

 

○ (정책적 성과) 탄소중립(이차전지) 및 첨단소재 종주국인 일본에 수출하는 등 소부장(소재) 연계

 

저온 솔더 페이스트

(㈜경동엠텍)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서울시립대가 보유하고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솔더 기술(특허)을 이전 받아 자동차 전장품 및 플랙서블/웨어러블 전자부품에 적용가능한 저온접합소재 사업화

* 매출 14억원, 등록특허 1건, 고용창출 4명

 

○ (정책적 성과) 반도체 패키징 혹은 유연전자 산업용 저온 솔더 소재 사업화로 빅3(반도체), 소부장(소재) 연계 

 

일관제철소 열연공정용 와이퍼 블레이드

(㈜유원)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CNT 표면개질 및 분산기술을 제철소 열연공정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적용해 내구수명을 향상(기존 7일 → 개선 14일)시킨 고내열 압연 Roll Wiper Blade 사업화

* 매출 10억원, 출원특허 2건, 고용창출 4명

○ (정책적 성과) 일본 주도 와이퍼 블레이드 시장을 대체(포스코 및 현대제철 사용)해 소부장(소재ㆍ부품) 연계

 

3D 프린터 및 3D 프린팅 소재

(㈜캐리마)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한국세라믹기술원이 보유하고 있는 무기물 나노입자 표면개질 및 분산기술(소재기술)과 한국산업기술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광학기술(장비기술)을 이전해 국내 최초로 고점도 세라믹 특수 소재에 최적화된 데스크탑형 및 산업용 초대형 광중합 3D 프린터 개발로 미국, 독일 등에 200만불 납품 계약

* 매출 9.3억원, 출원특허 4건, 고용창출 18명

 

○ (정책적 성과) 외산점유율 높은 장비를 수출해 소부장(장비) 연계

고효율 수소 발생 전극 및 장치

(㈜엘켐텍) ○ (경제 ㆍ 과학적 성과) 부산대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나노표면 구조 형성 기술을 적용하여 수소발생 효율이 높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수전해 전극(DSA(dimensionally sable anode))과 이를 탑재한 수소발생 장치를 사업화

* 매출 70억원, 출원특허 9, 등록특허 5건, 고용창출 20명

 

○ (정책적 성과) 탄소중립(수소생산) 및 수소 생산에 필요한 핵심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장비 국산화로 소부장(부품ㆍ장비) 연계

 

붙임3 성과보고회 전시 성과물 요약 (10건)

※ 소부장, Big3, 탄소중립, 한국형뉴딜 관련 성과 중심 전시

 

붙임4 기술사업화 우수사례 발표 요약

 

발표명 나노융합 현미경 시스템

- 원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결합한 반도체공정용 검사장비 사업화 

주요 ㅇ 주관기관/공동연구기관: ㈜파크시스템스/인천대, ㈜나노베이스

내용

ㅇ 정부지원금 : 17억원

 

ㅇ 개발 제품(기술)의 특징

 

- 세계에서 아직까지 성공하지 못했던 원자현미경 기술과 광학현미경 기술의 융합에 성공하여 반도체 생산 인라인 환경에서 고속 측정이 가능한 세계 최초의 제품

- 2021년 세계 유수의 반도체 업체와의 JEP(공동평가프로젝트, 20억원) 평가를 거쳐 세계 반도체 생산 인라인 공정의 솔루션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며, 경쟁제품이 없는 블루오션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발표명 탄소나노튜브 기반 디지털 엑스선 소스

- 대표적인 나노소재인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신개념 부품 사업화

주요 ㅇ 주관기관/공동연구기관 : ㈜브이에스아이/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내용

ㅇ 정부지원금 : 22.7억원

 

ㅇ 개발 제품(기술)의 특징

- 열전자 기반 아날로그형 엑스선 소스의 한계를 극복하여 완벽한 디지털 구동이 가능한 CNT 기반의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기술의 상용화로 8.3억원의 매출이 발생하였으며 최근 CE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해외 시장 진출이 본격화될 전망

 

- 기존의 아날로그형 열전자 엑스선 튜브(일본 T사(社)) 대비 크기는 약 50%, 무게는 60% 감소 및 저(低)피폭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