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KOTRA 심층보고서]
총서번호 : GMR 16-052발간일 : 2016-11-02
관련지역 : 아시아/오세아니아
http://news.kotra.or.kr/user/reports/kotranews/20/usrReportsList.do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Global.. Market.. Report.. 16-052
- 1 -
Ⅰ. 동남아 정부조달 시장 개요 3
1. 공공조달 시장 규모
2. 시장 동향 및 최근 조달 경항
3. 주요 조달기관 및 품목
Ⅱ. 동남아 조달 제도 및 절차 15
1. 관련 법령 및 정책
2. 벤더등록 조건 절차
Ⅲ. 한국기업 및 외국기업 성공사례 28
1. 한국기업 성공사례
2. 외국기업 성공사례
Ⅳ. 진출확대방안 32
1. 진출시 애로사항
2. 진출확대를 위한 조언
3. 진출유망품목
Ⅴ. 주요 조달벤더 및 전시회 42
C O N T E N T S
목 차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3 -
I 동남아 정부조달 시장 개요
1 베트남
가. 시장 규모
.베트남 2015년 조달 시장은 약 204억 달러(낙찰 금액기준) 규모 시장으로 입찰 건수는
약 15만4천 건 기록. 최근 5년 간 조달 시장 추이를 보면 2013년에서 2015년까지 입찰
건수는 꾸준히 증가한 반면, 입찰 및 낙찰 금액은 소폭 하락함.
<베트남 조달시장 규모 2011~2015>
(단위 : 백만US$, 건)
구분 2011 증감률 2012 증감률 2013 증감률 2014 증감률 2015 증감률
건수 95,499 0.45% 116,587 22.08% 130,539 11.96% 133,906 2.57% 153,955 14.97
입찰금액 38,424 142.0% 21,207 ▲44.8% 21,986 3.66% 23,859 8.51% 22,205 ▲6.93
낙찰금액 36,797 147.8% 20,210 ▲45.0% 20,401 0.94 22,178 8.71% 20,459 ▲7.75
* 자료원 : 베트남 공공조달국
.개도국의 경제 사회발전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적개발원조(ODA)와 정부개발투자
기금 프로젝트가 전체의 약 84%를 차지하고 있어 베트남 조달시장은 국제 원조 및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자금원별 조달규모 2014~2015>
(단위 : 백만US$)
자금원
2014년 2015년
입찰건수 입찰금액 낙찰금액 입찰건수 입찰금액 낙찰금액
ODA 및 정부개발 투자 자금 112,260 18,572 17,205 128,694 19,174 17,713
민간투자자금 1,869 1,004 992 21 8 7
정부 구매 19,777 4,284 3,981 25,240 3,023 2,739
합계 133,906 23,860 22,178 153,955 22,205 20,459
* 자료원 : 베트남 공공조달국
Global Market Report 16-052
- 4 -
.또한 입찰 건수에서는 컨설팅 프로젝트가 전체 프로젝트의 약 50%를 차지했으며 입찰
금액 측면에서는 건설 프로젝트가 절반이 넘는 약 52%를 차지함.
<2015 베트남 ODA 및 정부개발투자 분야별 조달규모>
(단위 : 백만US$)
구분 입찰건수 입찰금액 낙찰금액 낙찰비중
컨설팅 64,959 1,420 1,231 86.69%
건설 36,690 10,017 9,216 92.00%
물품구매 16,766 3,708 3,340 90.07%
Non-consulting 9,438 188 169 89.89%
EPC 841 3,841 3,675 95.67%
합계 128,694 19,174 17,632 91.95%
* 연속구매 및 합작투자 미포함
* 자료원 : 베트남 공공조달국
.입찰 방식으로는 수의계약(68.5%) 비중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공개입찰(14.1%), 경쟁
구매(9.4%)순임.
<베트남 ODA, 정부개발투자, 연속구매, 합작투자 입찰방식별 조달규모 2015>
(단위 : 백만US$, %)
구분 입찰건수 % 입찰금액 % 낙찰금액 % 낙찰비중
공개입찰
국내 21,262 97.8 11,623 82.7 10,763 84.8 92.6%
국제 472 2.2 2,430 17.3 1,935 15.2 79.6%
소계 21,734 14.1 14,053 63.3 12,698 62.1 90.4%
제한입찰
국내 1,880 88.1 1,018 79.3 1,007 81.9 98.9%
국제 254 11.9 266 20.7 222 18.1 83.5%
소계 2,134 1.4 1,284 5.8 1,229 6 95.7%
수의계약
국내 103,892 98.5 4,487 95.9 4,312 95.9 96.1%
국제 1,580 1.5 193 4.1 186 4.1 96.4%
소계 105,472 68.5 4,680 21.1 4,498 22 96.1%
경쟁구매
국내 13,084 90.7 1,366 95 1,246 94.8 91.2%
국제 1,344 9.3 72 5 68 5.2 94.4%
소계 14,428 9.4 1,438 6.5 1,314 6.4 91.4%
기타
(미분류)
국내 10,033 98.5 687 91.6 662 91.9 96.4%
국제 154 1.5 63 8.4 58 8.1 92.1%
소계 10,187 6.6 750 3.4 720 3.5 96.0%
합계 153,995 100 22,205 100 20,459 100 92.1%
* 자료원 : 베트남 공공조달국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5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입찰금액 22,563 23,698 24,834 25,970 27,105 28,241 29,377 30,512
전자 조달 비율 27 41 50 60 70 80 85 90
전자조달
입찰금액
5,785 9,228 11,849 14,900 18,179 21,684 24,005 26,439
.또한 베트남은 KOICA의 무상원조를 통해 2009년부터 전자조달 시스템을 구축하여
2010년 3월부터는 입찰 공고 서비스, 2010년 7월부터는 전자 투찰 및 개찰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음.
- 전자조달 시스템 구축일부터 2016년 9월까지 진행된 전자입찰 건은 총 3,915건으로
그 중 상품 구매입찰이 전체의 약 81%를 차지
- 해당 사이트에서는 각종 입찰공고(상품, 공사, 컨설팅, EPC, Non-Consulting),
법령정보, 조달 관련 통계 자료 확인 가능(http://muasamcong.mpi.gov.vn/)
<베트남 전자입찰 건수 2009년 9월 ~ 2016년 9월>
(단위 : 건)
구분 상품 공사 컨설팅 Non-Consulting EPC 합계
전자입찰 건수 3,161 585 21 148 0 3,915
* 자료원 : 베트남 전자조달 사이트 : http://muasamcong.mpi.gov.vn/
.베트남 조달시장 규모는 2016년을 기점으로 2023년까지 약 305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여 그 중 전자조달의 비율은 9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향후 조달시장 규모 및 전자조달 비율 전망>
(단위 : 백만US$, %)
나. 주요 조달 기관
.베트남에는 기획투자부가 공공조달 정책을 총괄하고 있고 조달 업무 실무는 산하기관인
공공조달국(PPA-Public Procurement Agency)에서 수행하고 있음.
- PPA는 현재 총 7개의 부와 1개 센터로 운영되고 있으며 조달법령, 제·개정, 조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조달감사, 전자조달시스템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Global Market Report 16-052
- 6 -
부서명 부서별 기능
조달정책부
- 전자조달 포함한 조달 관련 법률과 제도 연구 및 제정, 개정
- 조달 및 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해외 조달사례 연구
조달지원 센터
- 조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내외 유관기관 협력
- 조달교육과정 개설 및 교육
- 조달관련 면허 발급 및 민원 접수, 해결
조달감사부
- 공공조달 관련 감사업무
- 부당행위 기소, 부정당업자 제재 및 관리
- 조달관련 법·규정 교육
전자조달 시스템 관리부
- 전자조달 시스템 구축·운영 및 유지보수
- 전자조달 관련 교육 및 부정당업자 정보관리
- PPA의 IT 인프라 관리
조달국 본부
- 업무계획 및 성과 관리·감독
- 인사관리
- 연간 예산수립 및 총무행정(재정, 자산, 건물 관리)
조달신문 편집부
- 입찰정보 신문 발행
- 입찰공고 사이트에 입찰공고 정보 등록
국제협력부
- 입찰관련 국제협력 기획투자부 지원
- PPA의 대외업무 수행
민간협력사업부
- PPP사업 평가 및 감사
- PPP사업 자본사용, 유치효과, 진행상황 관련 정기보고서 작성
<PPA 부서별 주요 기능>
.베트남 정부 조달은 중앙 조달이 아닌 각 부처 및 지방정부가 개별적으로 조달하는
분산조달 형태로 이뤄지고 있어 관련 유관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입찰공고가 가능함.
<주요 산업별 입찰 공고 발표 기관>
분야 공공기관 사이트
전기전자
베트남 전력공사 http://www.evn.com.v
페트로 베트남 전력공사 http://www.pv-power.vn
정유/석유
국립 석유가스 그룹 (PVN) http://www.pvn.vm
페트로 베트남 석유탐사 법인 http://pvep.com.v
화학 베트남 국영 화학그룹 (VINACHEM) http://vinachem.com.vn
기계제조 산업무역부 http://www.moit.gov.vn
건설 환경
건설부 http://moc.gov.vn
페트로 베트남 건설 합자회사 (PVC) http://www.pvc.vn
베트남 수질환경투자공사 http://viwaseen.com.vn
재정부 http://www.mof.gov.vn
교통부 (정보지) http://giaothongvantai.com.vn
베트남 건설 수출입합자회사 (VINACONEX) http://www.vinaconex.com.vn
ODA MPI산하 대외경제국 http://oda.mpi.gov.vn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7 -
2 태 국
가. 시장규모
□ 정부 조달시장 규모
.태국은 한국의 조달청과 같은 중앙 집중구매 조달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각 부처 및
기관별로 자체적으로 발주·조달하고 있어 정확한 조달 시장 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움.
.최근 태국 정부는 전자조달 시스템을 통한 조달을 늘리고자 노력 중이며, 2014년 기준으로
총 169건, 7,942억 바트(US$ 229억 달러) 규모가 전자조달 시스템을 통해 진행됨.
<2012년~2014년 전자조달 시스템을 통한 태국 정부조달 시장 규모>
(단위 : 건, 백만 바트, %)
년도 건수 금액 GDP 대비 비중
2012 175,956 511,632 4.5
2013 1,842,743 1,020,475 8.6
2014 1,691,607 794,154 6.0
3년 평균 1,236,769 775,420 6.4
* 자료원 : 태국정부조달시스템 (www.gprocurement.go.th)
* 태국 전체 GDP(십억 밧): 11,375(’12) → 11,899(’13) → 13,132(’14)
나. 시장동향 및 최근 조달 경향
□ 태국 정부는 공공조달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위해 온라인 조달 방식 확대 중임.
.2010년부터 태국의 모든 정부부처, 공기업, 공공조직은 가격 조사, 공개입찰 등 조달
정보를 자체 홈페이지 및 태국 정부 조달포털 사이트에 공개해야 함.
(www.gprocurement.co.th)
.또한 태국 정부는 11월에 전자조달정보센터(EPIC)를 구축한 이후, 입찰 금액에 따라
상이한 입찰 방식(견적요구, 공개입찰 또는 전자경매)을 도입하고 조달 품목에 따라
플랫폼을 분류하는 등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을 위해 2015년까지 온라인 조달 추진
정책(e-GP)를 추진한 바 있음.
.e-GP 정책이 완료된 2016년 현재는 전자입찰(e-bidding), 이마켓(e-Market) 방식이
보편적이나 2단계에 있는 견적요구, 공개입찰, 전자경매 방식도 병행 실시 중임.
Global Market Report 16-052
- 8 -
<온라인 조달방식(e-GP) 개관>
단계 주요내용
1단계
(2010년)
.전자 조달정보센터(EPIC)구축
- 등록관리시스템, 운영시스템, 정보공개센터(IDC), 정보관리시스템(MIS), 헬프데스크 설립
2단계
(2013년)
.EPIC 역량확대 .조달 규모에 따라 상이한 입찰방식 적용
- 견적요구(ROQ) : 십만 바트 이하
- 공개입찰(Open Tendering) : 십만 바트 ∼ 이백만 바트
- 전자경매(e-Auction)* : 이백만 바트 이상 .특징
- 정부의 응찰업체 자격 심사
- 정부부처 관계자들이 입찰대상자 선정에 관여
3단계
(2015년)
.조달품목에 따라 상이한 플랫폼 적용
- 전자입찰(e-Bidding) : 건설공사 관련 입찰, 의약품 및 의료기기, IT관련 용품 등 보다
복잡성이 요구되는 품목
- 이마켓(e-Market) : 사무용품 등과 같은 단순 품목 조달시 사용 .특징
- 낙찰자 선정 이후 정부부처 관계자들의 대상업체 자격심사 수행
- 부처 관계자가 아닌 시스템에 의한 낙찰자 선정
- 모든 조달품목에 상품코드번호*를 표시해야함
* 상품코드는 유엔 표준상품 및 서비스코드(UNSPSC) 8자리로 이루어짐
* 자료원 : 감사원 산하 정부조달관리국(Office of Public Procurement Management, The Comptroller General’s Department)
다. 주요 조달기관
□ 200여개 정부 기관이 각각 조달 업무 수행
.각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은 각자 자체적으로 구매 결정을 내리지만, 총리실의 내각
규정, 예산청의 정부 조달 표준 등 중앙정부의 조달 정책은 준수해야 함.
<태국 공공조달 정책 관리 및 감독기구>
. 총리실 : 조달절차 및 계약표준에 대한 규정을 제시
. 예산청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에 관한 정부조달 표준을 명시(특수품목은 각각의 조달기구에서
자체적인 기준 결정)
. 감사원 : 각 정부기관의 조달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감사 및 평가권 보유
- 감사원 산하 정부조달관리국(Office of Public Procurement Management)에서 각 조달기구의
조달 정보를 취합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자 조달 시스템 발달 및 공정 경쟁
원칙에 입각한 조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제·관리
. 검찰 : 표준화된 양식을 준수하지 않은 입찰 및 계약 서류 조사 등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9 -
.조달 발주 주요 정부 부처는 상무부, 재무부, 국방부, 과학기술부, 교통부, 에너지부 및 방콕
시청 등이며 자체 예산 및 내각 심의를 거쳐 주요 프로젝트 및 물자에 대한 조달 수행 중임.
<대형 프로젝트 조달 관련 공기업 및 기회요인>
. 교통 분야
· 전철 및 철도 관련 : 태국 철도청(State Railway of Thailand), 태국 지하철공사(Mass Rapid
Transit Authority of Thailand), 방콕대중교통공사 (Bangkok Mass Transit, Authority)
· 도로 관련 : 태국 도로공사(Expressway Authority of Thailand)
· 항만 관련 : 태국 항만공사(Port Authority of Thailand)
· 공항 관련 : 태국 공항공사(Airport Authority of Thailand)
→ 태국은 교통 및 물류 인프라 확충을 위한 ‘태국 인프라개발계획(Thailand Infrastructure Plan
2015~2022)’ 추진 관련 전철, 철도, 도로, 항만 및 물류, 공항의 5대 인프라 부문에 2조 4천억
밧(약 US$ 700억 달러) 투자 예정
. 통신 및 IT : ToT(태국국영통신사), CAT Telecom(태국국영통신사)
→ 태국정부의 ‘디지털 이코노미’ 정책에 따라 ICT부문의 조달도 확대될 예정이며 ‘국가 브로드밴드
인프라’ 추진 자금으로 200억 밧(약 US$ 5억7천만 달러)이 예산 편성되어있음.
.전력 및 에너지 관련
· 태국전력청(Electricity Generating Authority of Thailand), 대도시전력청(Metropolitan Electricity
Authority), 지방전력청(Provincial Electricity Authority)
→ 태국 정부는 ‘중장기 전력발전계획(PDP 2015)’에 따라 2036년까지 57,459MW 규모의 발전
설비용량을 신규로 건설 예정임.
3 싱가포르
가. 시장규모
.싱가포르 정부 조달은 정부기관이 개별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정부 조달 시장 규모에
대한 공식 통계 자료는 없음. 단 2016/2017년 정부 예산(안)을 보면 싱가포르 조달 시장
규모는 약 S$125~140억(US$90억~100억 달러)달러로 추정됨.
<2016/17년 싱가포르 정부 조달시장 예상 규모>
구분 금액(S$)
상품 및 서비스 (Goods & Services) 40~45억
건축 및 건설 (Building & Construction) 60~65억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25~30억
합계 125~140억
* 자료원 : 싱가포르 재무부(MOF) 자료 기반 싱가포르 무역관 추정치
Global Market Report 16-052
- 10 -
.싱가포르 정부조달은 크게 ‘상품 및 서비스(Goods & Services)’, ‘건축 및 건설(Building
& Construction)’,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Technology)’으로 구분됨.
.최근 정부 주도 건설 프로젝트가 늘어나면서 건설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 마스터플랜을 추진하면서 IT 부문에서도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음.
<싱가포르 스마트네이션(Smart Nation) 마스터플랜 개요>
. 싱가포르는 ‘iN2015(Intelligent Nation 2015) 마스터 플랜 성과를 바탕으로 스마트네이션
마스터플랜을 추진하여 추가적으로 하드·소프트 인프라 구축 예정임.
. 싱가포르는 스마트네이션을 통해 주요 지역에 센서 등을 설치하여 공기 및 수질, 교통 및 공공
안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입하는 것이 목적임.
나. 시장동향 및 최근 조달 경향
□ 정부 관련기업에 수주가 편중된 현상
.싱가포르 정부조달 시장은 투명하고 명료한 절차를 통해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 받고 있으나, 정부 관련 기업(Government Linked Company, GLC)들이 대부분의
대규모 정부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어 특혜를 받는 것이 아닌가 의문이 제기되는
경우가 있음.
□ 싱가포르 정부는 중소기업 조달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임.
.2016년 4월 싱가포르 국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다르면 지난 3년간 정부 조달 프로젝트
전체 건수 중 85%, 금액 기준으로는 60%가 중소기업이 수주함.
.싱가포르는 조달 참여 경험이 적은 중소기업도 조달 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사업 및 재무 현황, 제품 등을 평가하여 정부 인증을 발행하는 프로그램
(Accreditation@IDA)을 운영하고 있음.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11 -
다. 주요 조달 기관 및 품목
□ 조달 기관
.싱가포르 정부조달 프로젝트는 각 정부기관이 개별적으로 진행하지만 정부 조달 규범은
싱가포르 재무부(MOF)에서 관리 감독하고 있음.
<싱가포르 주요 조달 기관>
기관명 정보통신개발청(Infocomm Development Authority)
웹사이트 www.ida.gov.sg
기관개요
.정보통신부(Ministry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산하 정부 기관으로
싱가포르 정보통신 산업 육성, 싱가포르 정부의 정보통신 시스템 구축 및
역량개발을 위한 전략 수립, 프로젝트 관리 및 개발 등의 역할 수행 .정부 주도의 공공부문 정보통신 기술 도입 프로젝트는 IDA에서 수행함
기관명 육상교통청(Land Transport Authority)
웹사이트 www.ida.gov.sg
기관개요
.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산하 정부 기관으로 싱가포르 육상 교통 시스템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며 효율적인 육상 교통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함 .고속도로, 지하철, 버스노선 등 모든 육상 교통 관련 인프라 개발 및 개선 사업을
수행함
□ 주요 조달 품목
.광케이블, 물탱드 등 각 정부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뿐 아니라 사업 타당성 조사,
컨설팅, 법률자문 등의 서비스 수요도 늘어나고 있음.
<조달 유망 분야>
. (건축 및 건설) 지하철, 고속도록, 정부아파트, 물 재생시설 등 정부 주도 건설 프로젝트
. (정보통신기술) 스마트네이션 마스터플랜에 따라 사회 전 분야에 정보통신 기술 도입 프로젝트 진행.
이에 따라 네트인프라 구축과 같은 하드웨어적 수요뿐만 아니라, 데이터 분석 시스템, 전자 서류
제출 시스템, 시설 관리용 모바일 앱, 사이버 보안 시스템 개발 등 소프트웨어 수요도 증가 추세임.
. (정부 공동 통합수요 품목) 일반적인 정부조달은 각 정부기관에서 각각 수행하나 공통으로
수요가 있는 품목에 대해서는 싱가포르 재무부가 계약자 풀을 선정하여 각 구매기관이 해당
풀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관련 품목 : 사무가구, 사무집기, 사무용품, 종이, 인쇄서비스, 복사기, 차량유지서비스,
배달서비스, 회사 항공권 및 여행서비스 등
Global Market Report 16-052
- 12 -
4 필리핀
가. 시장 규모
.필리핀 조달위원회에 따르면 필리핀은 정부 조달을 통해 연평균 1,210억 페소(US$
27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설비, 프로젝트 발주 및 원료, 소모품 등을 구입하고 있음.
- 이는 필리핀 정부 예산의 10~15% 달하는 규모로 필리핀 조달 시장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은 편임.
.다만 아직까지는 인프라 구축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대부분이며 물품구입은 자국 기업
우선 정책 등의 정책으로 외국기업의 참여 기회는 다소 제한적임.
나. 시장동향 및 최근 조달 경향
□ 시장 동향
.필리핀은 정부는 모든 정부 부처 및 기관이 입찰을 통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할 것을
의무화하는 등 공공조달 정책을 최우선에 두고 있으나, 재원 부족으로 자체 예산으로
추진되는 경우보다는 외국으로부터 무상으로 재화 및 서비스를 공급 받거나 저가
의약품을 구매하는 정도의 수준임.
* 입찰을 통한 재화 구매 대상 정부 기관 : National government agencies, Governmentowned
and controlled corporations, Government financial institutions, State universities
and colleges, Local government units
.무상으로 지원된 대표적인 사례로는 공공병원 의약품 구매, 공립학교 건축, 의자 및
책상 구매 등이 있으며 2016년에는 경기도가 필리핀에 불용소방차를 무상으로 지원한
사례가 있음.
□ 온라인 정부조달시스템을 통해 조달 창구 일원화
.필리핀 정부는 온라인 정부조달 시스템((Philippine Government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PhilGEPS)을 구축하여 모든 입찰 정보를 해당 사이트 통해 제공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음. (근무일 기준 7일간 사이트에 게재, 일간지 1회 공고)
- 이전에는 200만(약 US$4만 달러) 페소 이상의 재화 및 컨설팅 서비스와 500만 페소(약
US$10만 달러)이상의 공공사업은 2회 이상 2개 이상의 일간신문 공고를 통해 공지됐음.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13 -
.공급업체, 제조업체, 계약자, 컨설턴트들은 온라인 정부조달시스템에 사전 등록해야
하며 등록된 기업만 시스템에 접근하고 정부 입찰에 참여할 기회가 있음.
.2014년 12월말 기준 온라인 정부조달 시스템에 23,668개 입찰 공고가 게재되었고
등록된 상품·서비스 제공기업은 65,544개사임.
다. 주요 조달 기관 및 품목
□ 필리핀 정부조달위원회(Government Procurement Policy Board, GPPB)
.필리핀의 예산관리부와 경제개발부 산하 기관인 정부조달위원회(GPPB)가 조달업무 총괄
정부부처로 재무부, 국방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 정부부처와 민간 분야의 대표들로 구성됨.
□ 정부조달시스템(PhilGEPS) 기준으로 파악된 주요 조달품목은 다음과 같음.
.건설프로젝트, 원자재 및 소모품
.사무실용품, 소모품 및 사무실 기기
.의약품 / 의료용 소모품 및 실험실 도구
.자동차 부품 및 액세서리
.IT 관련 부품, 액세서리, 부분품
Global Market Report 16-052
- 14 -
5 인도네시아
가. 시장 규모
.인도네시아 공공조달 시장규모는 2011년 US$ 506억 달러에서 2014년에는 US$ 846억
달러로 늘어나면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인도네시아 정부는 조달 규모 또는 국내ㆍ해외 기업별 발주규모 등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있으나 이를 집계해서 공표하지 않음.
<연도별 인도네시아 정부예산과 조달 규모>
(단위 : %, US$ 10억 달러)
2011 2012 2013 2014
GDP 성장률 6.5 6.2 5.78 5.7
국가예산 130.8 150.9 145.6 175.4
국가 조달시장 (재화, 서비스) 50.6 58,3 81.6 84.6
* 자료원 : 인도네시아 국립공공조달청
나. 주요 조달 기관 및 품목
.인도네시아는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이 각자 개별 조달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요
조달 분야는 보건, 교육, 문화, 농업, 교통, 산업, 환경 분야 등임.
- 인도네시아는 사법기구와 의회를 갖는 34개 지방 자치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주는
410개의 구, 98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와 시에서 독립적으로 공공조달 시행 중임.
- 지방 자치단체 이외에도 34곳의 중앙부처 및 산하기관, 기타 공공기관들도 자체적으로
공공조달을 실시
.인도네시아 국립공공조달청(LKPP)는 공공조달 관련 제반 정책, 정책 시행 및 관리
감독 등 실제 조달을 시행하기 보다는 관리 감독 성격이 강한 조달 기구임.
- 설립 : 2007.12
- 소속 : 대통령 직속조직(경제조정부(Bappenas)의 지도를 받음)
- 주요기능
.공공조달 관련 제반 정책, 규정, 지침, 표준, 매뉴얼 제정·작성
.국가 차원의 공공조달 전략수립
.국가 공공조달 상 가이드, 조언, 전문가 의견 등 제공
.각종 공공조달 정책·규정 시행 상의 관리·감독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15 -
II 조달 제도 및 절차
1 베트남
가. 관련 법령 및 정책
.베트남의 입찰법의 기본법은 2013년에 개정된 입찰법 제43/2103/QH13이며, 2016년
9월 기준으로 시행효력을 가진 하위법령으로는 7개의 시행령, 19개의 시행 규칙이 있음.
.베트남 입찰법은 공공조달 입찰을 아래와 같이 7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구분 주요내용
공개입찰
- 입찰자 수에 제한이 없음
- 발주기관은 참가조건, 시한 등 입찰참여에 필요한 정보를 입찰서류 발행 10일
전까지 공지함
- 일반공개입찰 원칙(예외사항 제외)
제한입찰
- 발주기관이 응찰자를 제한(통상적으로 5개 이내)하여 공급능력이 있는 입찰자를
참여시키기 위한 방식임
- 입찰자 리스트는 책임 있는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함
지명입찰
- 발주기관이 입찰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업체를 선정하여
수의계약 하는 형태임
- 자연재해, 전쟁과 같은 불가항력 상황에서 시공업체를 신속히 지정해야 하는 경우
경쟁오퍼
- 베트남 동화 20억 동 이하 재화구매의 경우
- 각 입찰은 3개 이상의 오퍼를 제출받아 가장 낮은 가격을 선택함
직접구매
- 이미 완료된 계약 (1년 이내)의 추가구매가 필요하거나
- 현재 수행되고 있는 계약에서 계약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매수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단독구매 - 발주기관이 단독으로 재화를 구매하는 것으로 지정입찰의 요건을 충족해야함
특별구매
- 특수한 요구사항 등으로 입찰이 불가능한 일부분야에서 이루어지는 구매형태로
해당 MPI와 협의를 거쳐야함
* 베트남 입찰법 관련 조항 : 43/2013/QH13, 20조에서 26조
Global Market Report 16-052
- 16 -
구분 주요내용
내수 지출
비용이 많은
기업 우대
- 정책운영기관 : 입찰관리기관, 기획투자부
- 적용분야 : 컨설팅, 건설, EPC, 구매
- 적용기준 : 입찰서류, 제출서류 순위 동등 시 적용
- 적용조건 : 보다 많은 내수 지출 비용 또는 보다 많은 지역인력 고용(임금가치 계산)
국내산
우대정책
- 정책운영기관 : 입찰관리기관, 기획투자부
- 적용분야 : 컨설팅, 건설, EPC, 구매
- 적용조건 : 제품가치의 25%이상 국내비용으로 제안할 경우 우대
여성 노동자
채용 우대정책
- 정책운영기관 : 입찰관리기관, 기획투자부
- 적용분야 : 컨설팅, 건설, EPC, 구매
- 적용조건 : 전체 노동자 중, 여성 노동자 비율이 25%인 소기업에 대하여 입찰 선정 심사 우대
소규모 및
초소규모 기업
우대정책
- 정책운영기관 : 입찰관리기관, 기획투자부
- 적용분야 : 컨설팅, 건설, EPC, 구매
- 적용기준 : 자본금 200억 VND 이하 및 고용인력 최소 10명~200명
- 적용조건 : 건설입찰 규모 5억 VND 이하일 경우 오직 소, 초소기업만 계약자 선정
.베트남 입찰법은 국내산 우대 정책, 소규모 기업 우대 정책, 여성 노동자 채용 우대정책
내수 지출 비용이 많은 기업을 우대하는 정책을 포함하고 있음.
나. 벤더 등록 절차
.계약자 선정 과정은 입찰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음.
형태 절 차
공개입찰
제한입찰
직접구매
입찰자 선정 준비 → 입찰자 선정 시행 → 입찰서류 평가 및 계약 합의 → 심사,
제출, 승인 및 낙찰자 결과 공개 → 계약 체결
지명입찰
(일반) 입찰자 선정 준비 → 입찰자 선정 시행 → 입찰서류 평가 및 계약 합의
→ 심사, 제출, 승인 및 낙찰자 결과 공개 → 계약 체결
(단순) 계약서 초안 입찰자 송부 → 협상 및 계약서 완료 → 심사, 제출, 승인 및
낙찰자 결과 공개 → 계약 체결
경쟁오퍼
(일반) 입찰자 선정 준비 → 입찰자 선정 시행 → 입찰서류 평가 및 계약 협상
→ 심사, 제출, 승인 및 낙찰자 결과 공개 → 계약 체결
(단순) 희망 견적 입찰자 송부 → 입찰자 견적서 제출 → 견적서 평가 및 계약
협상 → 심사, 제출, 승인 및 낙찰자 결과 공개 → 계약 체결
개인 컨설팅 선정
위임 사항, 권한 준비 및 입찰자 송부 → 입찰자 이력서 송부 → 이력 평가 →
계약 협상 → 제출, 심사, 승인 및 낙찰자 결과 공개 → 계약 체결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17 -
2 태 국
가. 관련 법령 및 정책
□ 중앙 정부의 조달계약에 관한 기본 법규는 ‘조달에 관한 총리실 규정‘ 임.
* The Regulation of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on Procurement B.E. 2535 : 1992
. 해당 법규는 총 165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달 방식, 조달절차, 위원회 구성방법,
재고관리 및 대손상각, 처벌 방법 등을 규정하고 있음.
<조달에 대한 총리실 규정 주요 내용>
. 모든 잠재적 입찰참여자들에 대하여 비차별 대우 및 공개경쟁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
. (국산제품 우선 구매 원칙) 동 규정의 16조에서는 ‘태국산 제품 및 태국인 사업 육성 진흥’에
관한 내용을 명문화(국산제품 우선 구매 원칙, 일명 ‘Buy Thai 정책’에 해당)
- 태국산제품의 입찰참가배제 금지규정을 두고 있으며, 태국산 제품의 응찰가격이 다소 높다
하더라도 우대조항을 두어 가능한 정부기관에서 태국산 제품을 구매토록 유도
. (입찰 방식) 가격협상, 가격조사, 공개입찰, 특별방식(제한입찰), 특별사안 방식, 총 5가지 입찰
방식이 명시됨.
. (사전 자격심사) 제 30조 ~ 제 33조에서는 구매 및 계약 조달 시 사전 자격심사에 대해 규정
- 사전 자격심사는 필요시 제한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서를 조달위원회에 제출
. (의약품 및 의료기기 구매) 제 61조에 따라 국방부를 제외한 정부기관에서 의약품 및 의료기기
구매 시 정부의약품기구(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로부터의 구매가 원칙
□ 지방정부는 내무부가 정한 ‘지방행정조직의 조달규정’을 따르고 있음.
.태국의 지방정부는 도정부(Province), 시정부(Municipality), 군정부(Tambon)로 구분되어
도 및 시 단위의 행정조직은 내무부 규정을 따라함.
.방콕시와 파타야시는 특별지방자치단체로 구분되며 자체 조달 규정 보유하고 있으며
군 단위 행정조직 조달은 별도 규정인 ‘군 행정조직 조달 규정’을 따르고 있음.
Global Market Report 16-052
- 18 -
□ 태국 정부는 태국산 제품, 친환경 제품 및 태국산업표준원 인증 제품 조달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음.
.제33조 : 태국에서 제조 된 그린라벨(Thai Green Label) 또는 그린카트(Green Cart)
제품, 태국회사 제품, 태국산업표준원(TISI)의 인증획득 제품, 우수제조시설 인증을
득한 회사에서 제조한 제품 등에 대해 가산점 부여
1) 친환경 제품 사용 진흥 정책
.2008년부터 시작된 ‘친환경 공공조달계획’의 적용범위는 중앙·지방 정부, 공기업
및 대학교 등으로 민간 부문의 친환경 제품 생산 확대를 유도하고 지속 가능한
소비를 수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공공부문조달에서는 ‘그린카트’ 제도를 사용하며, 19가지 품목 및 5가지 서비스에
사용됨.
<그린카트(Green Cart)해당제품 목록>
사무용품 내구재 서비스
1 프린트 용지 형광등 복사기 임대
2 화장지 배터리 건물청소
3 봉투 건물 도색용 페인트 숙박
4 화이트보드 마커 철근 자동차 수리
5 복사기 쿨링 소재 주유
6 서류함 승용차
7 프린트 토너 가솔린
8 수정액 윤활유
9 프린터 승합차
10 서류철
* 자료원 : 환경오염통제국(Pollution Control Department)
2) 태국산업표준원 인증(TISI Standards)
.태국에서 유통되는 공산품 인증은 태국 상무부 산하 ‘태국 산업표준원(Thailand
Industrial Standard Institute, TISI)’에서 담당하고 있음.
.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 화학, 건축, 전기용품, 플라스틱 등 10개 카테고리
106개 품목에 대해서는 태국 산업표준원(Thailand Industrial Standard Institute,
TISI)의 표준공업기준을 득하였다는 표시인 ‘필수인증’을 득할 필요
.필수 인증 이외의 품목은 업체가 희망할 경우 임의로 인증획득 절차 진행이 가능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19 -
나. 벤더 등록 절차
□ 전자정부조달사이트(e-GP)상 벤더 등록
.벤더 자격요건
- 태국산업개발국에 등록된 법인(납세번호 등록 필수)
- 외국인이 아닐 것
- 파트너 또는 이사회 내 태국인 비중이 2/3이상일 것(유한회사일 경우, 태국인 비중이
3/5이상일 것)
- 운전자금(Working Capital)이 500만 밧 초과일 것
.벤더 등록 절차
- 홈페이지 접속 후, 온라인상 전자 등록 서류작성 → 정보 인증 → 출력 후 보관 →
등록 완료
* 외국인은 등록이 불가하며, 홈페이지 또한 태국어로만 운영되고 있음에 유의
<e-GP 시스템 상 벤더 등록 예시>
* 자료원 : 태국 정부조달시스템 홈페이지
Global Market Report 16-052
- 20 -
.벤더 등록이후 : 온라인 벤더 등록 완료시, 제품의 상세 정보를 이카탈로그(e-Catalogue)에
게시할 수 있고 이마켓 (e-Market), 전자입찰 (e-Bidding) 참여 자격 획득
.이마켓(e-Market)을 통한 조달 절차 : 조달기관에서 조달희망 품목 및 수량, 공급자의
자격요건 등에 관한 정보를 이마켓 시스템에 공고 → 공급자는 시스템을 통한 견적서 제출 또는
경매방식으로 참여 → 최저가격 제시자 낙찰
<이마켓(e-Market)을 통한 조달 절차 도식도>
* 자료원 : 태국 정부조달시스템 홈페이지
.전자입찰(e-Bidding)을 통한 조달 절차 : 조달기관의 과업요구서(TOR) 또는 입찰 공고서류
일반에 공고 후 피드백 수렴 → 입찰 서류 온라인 공급자에게 통지 → 견적서 또는 응찰서
제출 → 평가 → 수주계약 체결
<전자입찰(e-Bidding)을 통한 조달 절차 도식도>
* 자료원 : 태국 정부조달시스템 홈페이지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21 -
3 싱가포르
가. 관련 법령 및 정책
□ 정부조달법 (Government Procurement Act)
.싱가포르 정부조달법은 1994년 WTO 정부조달 협정 가입과 함께 개정된 법령으로
정부조달 절차, 세부요건, 선정관련 준수사항 등 정부조달 관련 기본사항이 명시되어 있음.
□ 재무부 정부조달 가이드라인 (Central Procurement Guideline) 준수 필요
.싱가포르의 정부조달은 각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 등이 개별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재무부(MOF)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하며 정부조달 포털사이트(www.gebiz.gov.sg)를
통해 절차가 진행되어야 함
.재무부는 정부조달시장 3대 기본 원칙을 아래와 같이 규정
투명성
(transparency)
요구조건, 절차, 평가항목, 입찰 등 모든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
모든 정보는 정부조달 온라인 포털(GeBiz)에 공개돼있어 쉽게 열람 가능
개방적이고 공정한 경쟁
(open and fair competition)
공정한 경쟁 환경은 모든 입찰 참여자들이 최고의 제안서(Best Offers)를
제출할 수 있게 하며 모든 참여자들에게는 동등한 기회가 주어져 모두가
같은 조건에서 공정한 경쟁을 하게 됨.
가격 대비 가치
(value for money)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그로 인한 이득을 고려한 최적의 균형(optimal
balance) 추구. 입찰 참여자들은 무조건 최저 가격으로 입찰에 참여하는
것보다 주어진 조건에서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
.또한 조달 프로젝트 금액에 따라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로 분류하여 진행함.
규모(S$) 조달방법 내용
~3,000
소규모 구매
(Small Value Purchases, SVP)
.가격이 시장가 수준을 공정하게 반영하고 있을 경우, 적정
업체로부터 직접구매
3,000~
70,000
견적구매
(Invitation to Quote, ITQ)
.공개견적 : GeBiz에 공고 게시
.선택견적 : 몇몇 업체 선정하여 견적 요청
70,000~
입찰
(Invitation to Tender, ITT)
.공개입찰(open) : GeBiz에 게시된 공고 통해 관심 있는
업체 입찰 참여
.선택입찰(selective) :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인 업체들을
자격요건을 검토하여 1차적으로 먼저 거른 후,
쇼트리스트에 포함된 업체들에게만 입찰 참여 기회 부여
.제한입찰(limited): 몇몇 선정된 업체들만 입찰 참여 가능
* 자료원 : 싱가포르 재무부(MOF)
Global Market Report 16-052
- 22 -
.싱가포르는 정부조달 품목에 대해 필수 인증을 요구하는 등의 정책은 없으나, 싱가포르는
기본적으로 국제표준에 맞는 상품을 중요시하고 있어 ASTM(미국재료시험협회 인증),
EN(유럽연합규격), ISO(국제표준인증) 등의 국제인증 획득이 필수임.
나. 벤더 등록 절차
.모든 입찰 정보는 정부 조달 포털 사이트인 GeBIZ에 공고되고 모든 절차가 동 홈페이지
통해 이뤄지므로 싱가포르 정부 조달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사이트 가입 필요
.상품 및 서비스 입찰에 참가할 경우는 재무부 지출구매정책단(Expenditure and Procurement
Policies Unit, EPPU), 건설부문 입찰 참가 시에는 건설청(Building and Construction
Authority, BCA) 사전등록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음.
1) GeBIZ 등록 절차
- GeBIZ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정보가 요구됨.
.기업정보 : 기업 등록번호, 주소 등
.대표자(Authorized Representative) 정보
.싱가포르 기업청(ACRA)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개인 신청자인 경우, 법인 설립
인가증(Certificate of Incorporation) 또는 싱가포르 주민등록증(NRIC)이나 여권
- 기업이 싱가포르 기업청(ACRA)에 등록되어 있고 대표자가 SingPass를 소유하고
있으면 온라인상으로 바로 승인되며, 기업이 싱가포르 기업청(ACRA)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개인으로 신청하는 경우 3~5일 정도 소요됨
- 등록비용은 첫 번째 계정인 경우 무료이며 그 외 계정은 종류에 따라 연간 S$70~
280의 비용이 발생함
첫 번째 계정
(First account)
추가 계정
(Second and
subsequent account)
입찰불참 계정
(Non-bidding account)
새 공고 안내 알림 ○ ○ ○
입찰/견적 관련 서류
다운로드
○ ○ ○
입찰 참여 ○ ○ X
입찰 참여 요청, 주의사항,
제출된 입찰안 열람
○ ○ X
발주완료 내용, 승인서 또는
계약서 접근
○ ○ ○
등록비용 무료 S$280/연간 S$70/연간
* 자료원 : GeBIZ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23 -
2) 재무부 지출구매정책단(EPPU) 공급자 등록 절차
- EPPU 등록은 필수사항은 아니나 EPPU 등록 시, 해당 기업이 정부계약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재정적 능력이 있는지 여부가 이미 판단되어 있어 경우에
따라 EPPU 등록을 요구하는 사업도 있음
3) 건설청 계약자 등록 시스템 (Contractors Registration System)
- 건설 관련 정부사업에 참가하고자 하는 기업은 건설청(BCA)에 등록해야 하며 BCA는
정해진 기준에 따라 사업실적(track record), 재정능력 등을 평가하여 등급을 매기며
최종 승인까지 약 2주 소요됨
4 필리핀
가. 관련 법령
.필리핀의 정부조달(public procurement)은 2003년 제정된 Republic Act (RA) 9184
법을 기초로 하고 있음.
- 동 법은 정부조달 절차에 대한 제반 규정을 담고 있으며 조달업무의 투명성과
효율성 확보를 위해 전자조달시스템(electronic procurement system)을 최대한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나. 벤더 등록 절차
① 입찰 준비
.경쟁입찰의 경우 통상 전국적인 배급망을 가진 주요 일간지에 2주간의 기간 내에 3회
이상 공고토록 하고 있으며 해당관서의 공공게시판에도 해당 내용을 게재해야 함.
.통상 공공사업 도로부와 교통통신부, 농업부 등 주요발주기관은 차관사업의 경우
입찰공고 전에 주요국 대사관에 입찰초청서한을 발송하며, 주필리핀 한국대사관은 경우
부처별 연간주요 입찰계획과 입찰공고 및 입찰초청서한을 외교 통상부 입찰정보란에
공지하고 있음
Global Market Report 16-052
- 24 -
② 입찰참가자격
.100% 필리핀 정부자금에 의한 조달일 경우
- 순수 필리핀 기업은 모두 참가 가능하며, 필리핀기업과 외국기업과의 합작일 경우는
물품공급이나 용역 계약은 외국인투자비율이 40%미만인 기업, 공사계약은 외국인투자
비율이 25%미만인 합작기업에 한함.
.아시아개발은행(DB),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일본국제협력은행 (JBIC) 등 차관자금에
의한 조달일 경우
- 차관 공여비율에 관계없이 관련 국제금융기관의 회원국이거나, 차관 제공국에서 제한을
두지 않은 경우(Tied-Loan이 아닌 경우) 외국기업이 본사명의로 제한 없이 참여할 수
있으나, 건설공사의 경우는 지사를 설치하고 현지에서 해당 프로젝트별로 건설업특별
면허(Special License)를 받아야 함.
.BOT(Built-Own-Operate-Transfer)사업일 경우
- 도로, 철도, 발전소, 체육시설 등 인프라를 건조한 시공사가 일정 기간 이를 운영해
투자비를 회수한 후 발주처에 넘겨주는 수주 방식인 BOT사업의 경우에는 외국인에
대한 출자제한 없이 100% 외국인 출자기업도 참여가 가능
- 필리핀은 외자유치를 통한 SOC 사업 방식으로 BOT 방식을 많이 채택
③ 입찰 요령
.입찰서류 구입
- 최초 입찰 공고일 1주일 후, 3주간 입찰 참가자격 사전심사(PQ)서류 또는 입찰서류를
판매함. 입찰서류 구입 시 해당기업대표가 서명한 입찰참가의향서한을 제시해야 함.
.입찰서류 준비
- 입찰서류를 판매한 날로부터 프로젝트의 규모에 따라 입찰서류 준비기간을 주고, PQ
서류 또는 Two-Envelope 등 입찰관련서류의 제출시한을 정하여 공고함.
.입찰서류 제출
- 입찰서류는 제시된 시한 내에 제출하여야 하며 제출기한에서 단 1분을 초과하여도
접수가 되지 않음으로 주의 필요함.
.입찰 참가자 사전모임 또는 현장설명
- 물품구매나 용역입찰은 입찰서류 제출이전에 사전모임을 개최하며 공사입찰은 입찰
참가자격사전심사 통과기업 대상으로만 현장 설명을 함.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25 -
.관련서류심사
- 입찰자격 사전심사가 필요한 프로젝트의 경우 PQ서류를 제출토록 하여 이를 통과한
기업에 한해 가격입찰에 응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외의 경우는 통상 기술과
가격제안을 동시에 제출토록 하고 기술제안을 통과한 기업에 한해 가격제안서를 개봉함.
④ 입찰서 평가기준 및 평가절차
.일반적인 평가기준은 관련 법령에서 개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으나 프로젝트별로
구체적인 심사 기준은 다름.
.입찰심의위원회 개최
- 각 기관에서 설치한 입찰심의위원회(Prequalification, Bids and Awards Committee;
PBAC)에서 입찰 참가 자격심사, 입찰절차, 낙찰자선정 등의 사항을 심의·의결하여 결정
.낙찰통보, 계약
- 낙찰자로 선정된 응찰자에 대하여는 전술한 기한 내에 낙찰통보를 하여야 하며, 통상
낙찰통보를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체결 승인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착수지시서를 발급하며 차관사업의 경우 차관제공기관과의 협의 등으로
2배 정도의 기간이 소요됨.
5 인도네시아
가. 관련 법령 및 정책
.인도네시아 공공조달은 2010년 대통령령 54호 “정부 용역 및 물품 조달에 관한 법률을
기초에 두고 있음.
- PERATURAN PRESIDEN REPUBLIK INDONESIA NOMOR 54 TAHUN 2010
TENTANG PENGADAAN BARANG/JASA PEMERINTAH
.2015년에는 상기 법률을 개정하여 모든 정부 조달은 전자조달(e-Procurement)로
실시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음.
- PERATURAN PRESIDEN REPUBLIK INDONESIA NOMOR 4 TAHUN 2015 TENTANG
PERUBAHAN KEEMPAT ATAS PERATURAN PRESIDEN NOMOR 54 TAHUN 2010
TENTANG PENGADAAN BARANG/JASA PEMERINTAH
Global Market Report 16-052
- 26 -
나. 공공조달 관련 규정 및 절차
.인도네시아 조달 체계 분산조달 방식이며, 아래 세 가지 방식으로 조달 시행됨.
1) 공공입찰 (Public Tender) : 외국인 포함 모든 이에게 개방
- 모든 공공입찰은 시행조직의 웹사이트, 공식게시판과 전자조달서비스(Electronic
Procurement Service, LPSE) 포털에 게재되어야 함.
2) 직접지정 (Direct Appointment) : 국가적 긴급 상황, 국방제품 조달 시
3) 직접조달 (Direct Procurement) : 1억 루피아(US$ 1만 달러) 이하 조달 시
.공공입찰 절차
1) 사전 입찰 참가 가능 조건 발표
2) RFP 발표 (최소 마감 7일 이전)
3) 입찰 설명회
4) 입찰 참가
5) 입찰 기술평가
6) 입찰 재정능력 평가
7) 결과발표
8) 이의신청 접수
9) 최종 선정업체 및 평가과정 발표
.2015년부터 모든 공공입찰은 전자조달을 통해 실시해야 하며, 모든 공공조달 계획은
온라인에 등록되고 있음.
<인도네시아 공공조달계획 정보 시스템(SiRUP) 화면>
* 홈페이지(인도네시아어) 주소 : https://sirup.lkpp.go.id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27 -
- 하지만 아직까지는 정보 인프라 부족 등의 이유로 전자조달 서비스의 이용도는 낮은
상황으로 2013년 기준으로 전체 공공조달 금액 대비 23%에 불과함.
<인도네시아 전자조달 서비스 이용현황>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3월)
서비스 이용단체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137 315 543 602 606
입찰 수행 건수 6,370 24,076 88,308 122,061 1,645
입찰 금액총합
(백만 루피아)
11,585,138 33,688,791 128,966,245 190,711,299 4,099,416
국가 공공조달 액수
(백만 루피아)
411,000,000 467,965,000 524,555,000 832,320,000 888,391,000
* 자료원 : 인도네시아 국립공공조달청
.인도네시아 중앙·지방 정부가 아닌 공기업의 경우에는 별도의 조달 방식을 실시하므로,
각 기업에서 제시하는 정보와 가이드라인을 참고해야 함.
-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LN)의 예를 보면, ‘공공 경쟁 입찰(Open Competitive Bidding)’,
‘프레임워크 계약(Framework Contracts)’, ‘오픈북 시스템을 통한 직접지정(Direct
Appointment through Open Book System)’의 세 가지 방식으로 조달 실시함.
다. 벤더 등록 절차
.(벤더 등록) 공공조달을 위해서는 조달청(https://lpse.lkpp.go.id) 웹사이트를 통하여
벤더 등록을 해야 함. 필요 서류는 신청서류(웹사이트 다운로드), 법률 관련서류(TDP:
기업등록증, SIUP: 거래허가서, NPWP: 납세자번호), 기업 이사회의 ID카드가 필요함.
즉, 인도네시아 법인만이 벤더로 등록 가능함.
.(문서 검증) 공공조달을 희망하는 기업은 관련 문서 원본을 LPSE측에 제출해야 함.
LPSE 사무소는 중앙. 지방정부 사무소에 위치함. 문서를 제출할 시에 LPSE 측에 납품
하고자 하는 제품의 상세정보(규격, 품질, 가격, Supply Chain)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해야 하며 통과하면 사이트에 로그인 할 수 있는 계정을 받게 됨.
.(e-Catalog 등록) 공공조달 사이트 계정을 취득한 경우, e-Catalog에 자사의 제품을
등록할 수 있음. 등록 정보는 제품 설명, 규격, 가격, 이미지 등임. 등록된 제품은
검증 과정을 거치며 필요에 따라서 물품을 확인하거나 최종 가격을 협의하기 위하여
미팅을 진행할 수 있음. LPSE의 최종 승인 이후에 제품이 e-Catalog에 등록됨.
Global Market Report 16-052
- 28 -
III 성공사례
1 베트남
□ 한국기업 성공사례
기업명 B사 진출년도 N/A
품목(산업) LED 실외 조명 금액 N/A
성공요인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베트남 LED시장 진출
. (성공개요)
- 베트남 LED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진출한 B사는 중국산 저가 제품과 품질 경쟁이 가능한
실외조명에 집중하여 베트남 화력·수력 발전소의 조명 교체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
- 수주 경험을 바탕으로 베트남 시내 가로등, 고속도로 가로등 교체 사업과 도시 조명 교체
프로젝트도 추진 중임.
. (성공요인) B사는 베트남 정부의 공공조명 교체 정책을 시의 적절하게 포착하여 프로젝트 초기에
진입함으로써, 도시·도로·공항· 항만 등 추가 프로젝트 수주 발판을 마련하였음.
2 태 국
□ 외국기업 성공사례
기업명 G.H.International Company Limited 진출년도 2016년
품목(산업)
권총 및 액세서리
(조달체결 기관 : 국립공원,
야생동물 및 식물 보존부,
조달방식 : 전자 입찰(e-Bidding))
금액 4,536만 밧 (US$131만 달러)
성공요인 태국 공공기관과의 오랜 접촉, 조달정보 예의주시, 가격경쟁력 확보
.(성공개요)
- 태국인이 지분의 50.5%, 인도인이 지분의 49.5%를 구성하고 있는 G.H.International社는 1974년에
설립된 무기 및 총기류 전문 수입 업체로 40년 이상 공공부문에 무기 및 총기류 공급 중인 기업임.
- 해당 기업은 2016년 9월 권총 및 3,385개의 피스톨 조달에 관한 전자 입찰에 참여하여 정부당국의
준거가격인 1억 3,540만 밧(US$ 391만 달러) 대비 1/3 수준인 4,536만 밧 (US$131만 달러)에
응찰하여 낙찰에 성공
.(성공요인)
- 해당기업의 성공요인은 태국 공공기관과의 오랜 접촉, 낮은 응찰가격 제시 등으로 꼽을 수 있음.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29 -
기업명 Frutarom(UK) Ltd. 진출년도 2016년
품목(산업)
Gum Stytax 1,200kg (담배원료)
(조달체결 기관 : 태국담배공사,
조달방식 : 전가격요구(Request
for Quotation))
금액 82만 밧(US$ 2만 3,800달러)
성공요인 낮은 가격 제시
.(성공개요)
- 1933년에 영국에서 설립된 Frutarom社는 태국의 독점 담배제조기관인 태국담배공사 입찰에 2016년
8월 가격조사방식에서 낙찰업체로 선정됨. 태국담배공사의 준거가격인 92만 밧(US$ 2만 6,600달러)
대비 89%수준인 82만 밧(US$ 2만 3,800달러)을 제시하여 조달에 성공
.(성공요인)
- 전자조달(e-GP)방식의 경우 태국법인만 응찰할 수 있으나, 동 계약건은 가격조사방식으로 진행되는
점을 파악하고 태국에 법인이 없어도 참여가 가능하다는 부분을 활용함.
3 싱가포르
□ 한국기업 성공사례
기업명 A건설사 진출년도 N/A
품목(산업) 건설업 금액 N/A
성공요인 과거 수주실적(Track Record) 및 고품질 전략
.(성공개요)
- 가격 경쟁력을 갖춘 중국 기업들의 싱가포르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우리기업들의 수주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임.
- 하지만 국내 A건설사는 중국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최저가 전략을 선택하지 않고 프로젝트 진행
일정을 준수하고 높은 품질 수준을 유지하는 등 꾸준히 실적(Track Record)을 쌓아왔음.
- 이러한 과거 수주 실적으로 지하철 공사 입찰에 최저가를 제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주에 성공
.(성공요인)
- 싱가포르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실적 및 신기술 도입 등으로 중국기업과의 차별화 전략
Global Market Report 16-052
- 30 -
□ 외국기업 성공사례
기업명 TAG Developments 진출년도 N/A
품목(산업) IT(교육분야 컨텐츠 개발) 금액 N/A
성공요인 현지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시장 진출
.(성공개요 및 요인)
- TAG Development사는 싱가포르 정부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싱가포르 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iGINE과 제휴를 맺음.
- 현지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에 맞는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었고 싱가포르교육부,
정보통신개발청 등의 프로젝트를 수주하는데 성공함.
4 필리핀
□ 한국기업 성공사례
기업명 KR EMS 진출년도 2015년
품목(산업) 전기제품 금액 US$ 2백만
성공요인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사업 수행
.(성공개요)
- KR EMS는 친환경 전기제품 제조 전문기업으로 동사는 필리핀 메트로마닐라개발청(MMDA)에서
공공조달로 발주한 NATIONAL ROAD LIGHTING PROGRAM(NRLP) Suppiy and Installation of
Luminaires(Package -8)에 현지기업과 합작으로 입찰을 하였으며 최종 낙찰됨.
- 낙찰 금액은 9,070만 페소로 미화 2백만 달러 규모이지만 동일한 입찰이 여러 차례 더 이뤄질
것으로 보아 추가 수주에 따라 낙찰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
.(성공요인)
- 필리핀 현지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에 성공했으며 KR EMS는 LED 전조등을 납품하고
현지 기업은 시공을 담당함.
- KR EMS는 사전 현지 조사를 철저히 하고 협력업체와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 수주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으며 향후 동종 제품 혹은 유사 제품의 추가 수주를 기대할 수 있어
성공적인 우리기업의 공공조달 수주사례로 꼽히고 있음.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31 -
□ 외국기업 성공사례
기업명
Garden Reach Shipbuilders
& Engineers Ltd
진출년도 2016년
품목(산업) 방산 금액 US$ 3.2억
성공요인 가격경쟁의 승리
.(성공개요 및 요인)
- 인도의 국영 방산 기업인 Garden Reach Shipbuilders & Engineers Ltd는 2016년 필리핀 국방부의
가장 큰 프로젝트인 군현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발주한 군함(Frigate) 공급 사업에 낙찰되어 최종
승인만 남겨 둔 상황임.
- 필리핀 정부는 총 3.4억 달러의 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4개의 최종 입찰 기업을 선정하였고
가장 낮은 가격인 3.2억 달러를 제시한 동 기업이 한국의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그리고 스페인
기업을 제치고 수주를 하게 됨.
Global Market Report 16-052
- 32 -
IV 진출 확대 방안
1 베트남
가. 진출시 애로사항
.공적개발지원(ODA), 정부예산, 민간예산 등 재원 출처와 상관없이 프로젝트 기획부터
완공까지의 소요기간을 예측하기 어려워 사업 추진에 어려움 빈번하게 발생
- 특히 ODA 프로젝트 중 베트남 정부가 일정 예산을 지원해야 하는 매칭펀드 프로젝트의
경우 베트남 정부의 자금 부족으로 추진 지연되는 경우가 많음.
.국가 예산 부족으로 대부분의 국영기업은 공공투자 형태로 프로젝트를 발주하지만 정부의
지급 보증 사례는 거의 없고 투자자금 보호를 위한 베트남 정부의 제도는 미흡한 편임.
나. 진출 확대를 위한 조언
□ 베트남 공공조달 시장의 80% 이상은 ODA 프로젝트이지만 최근 늘어나고 있는
민관협력사업(PPP) 방식 프로젝트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필요
.베트남 정부는 인프라 개발에 필요한 국가 예산 부족, 경제 성장에 따라 어려워진 ODA
수원 여건, 세계 채권시장 침체 및 베트남 국내 채권 시장의 발달 미비 등의 이유로
PPP 방식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베트남 도로 및 교량 건설을 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US$ 500억 달러 규모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정부 예산 부족으로 전체 예산의 40~50%는 PPP
방식으로 확보할 예정이라고 밝힘.
□ 현지 유력 기업과의 협력이 수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임.
.베트남의 조달 시장의 경우 특히 IT 분야 프로젝트(전자정부, 지능형 교통시스템
(ITS))에서 국내 입찰 및 수의계약 비중이 높은 편으로 특히 전자정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주요 발주처 또는 유력 에이전트와의 협력이 주 성공 요인 중 하나임.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33 -
□ 정부기관 및 성정부와 우호적인 네트워크 구축 및 안전한 접근방식 필요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 인허가 절차가 복잡하고 소요시간이 대부분 길어 원활한 업무추진을
위해 관계 구축 필요
.프로젝트 사업 수립 단계에서부터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우선적으로
해외 원조 등을 통한 단순 도급 공사나 차관 사업 위주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안전함.
다. 진출 유망품목
품목 선 정 사 유
의료장비
.베트남 의료장비 90%가 수입, 일본, 독일, 미국, 중국,
싱가포르 등이 베트남의 주요 수입국으로 의료장비 전체
수입금액의 55%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한국 의료장비(X선 기기, 환자감시장치,
자기공명영상진단기)에 대한 베트남의 관심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추세, 일본제품과 비교시 우수한 품질 및
보다 저렴한 가격이 가장 큰 장점 .베트남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7년 베트남 의료장비 시장
매출은 14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수처리
관련 설비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베트남의 수처리 설비들은 많이
낙후된 상황, 또한 베트남 산업발전으로 인한 수자원 오염도
심각하나 하수도 처리능력은 여전히 부족
산업용
보일러
.베트남은 석탄보일러, 기름보일러, 전기보일러 등 3가지를
주요 이용하고 있으나, 타국가 대비 저렴한 베트남 석탄
가격으로 대부분의 발주처는 석탄보일러 이용 .저렴한 가격으로 중국 제품이 많이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베트남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추세로
품질이 우수한 한국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음.
변압기
.베트남 전력산업 마스터플랜은 2025년까지 전력 생산량은
695-834 TWh을 목표, 필요자본은 약 US$ 799억
달러(전기생산 US$ 520억 달러)로 향후 변압기 등 각종
전력생산설비 수요가 늘어 날것으로 전망
CCTV
.베트남 ITS발전계획에 따라 CCTV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산업단지 및 건물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 발생 .한국제품은 대만, 중국 제품과 비교시 가격 경쟁력 부족,
이에 따라 보다 경쟁력 있는 품질과 A/S 서비스로 시장 접근
필요
Global Market Report 16-052
- 34 -
2 태 국
가. 진출시 애로사항
□ 제도적·절차적·언어적 장벽 존재
.태국은 WTO 정부조달협정의 서명국이 아닌 옵서버(Observer)로 공공조달 시장의 대외
개방성이 낮은 편이며, 태국산 제품 및 태국인 사업 육성 진흥 지침에 따라 자국산
우선 구입을 원칙으로 외국기업의 실제적인 낙찰 기회는 제한되어있음.
.또한 태국 정부조달 사이트가 태국어로만 운영되어 입찰 공고 확인 및 서류 작성이
외국기업에게는 어렵고, 조달 사이트 벤더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태국세금등록번호(Tax
ID)를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태국에 법인을 두지 않은 외국 기업은 벤더 등록 자체가
불가능함.
나. 진출확대를 위한 조언
□ 우수한 현지 파트너 발굴 및 협업을 통해 시장 진출
.공공조달 경험이 풍부하고 능력이 검증된 에이전트나 발주처의 실질적 의사 결정권에
접근할 수 있는 에이전트 발굴이 태국 공공조달 수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요소임.
-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 또는 방산물자 등 대규모 수주 프로젝트에 우리기업이 태국
기업과 합작(Joint Venture) 또는 하도급 업자(Sub Supplier)로 참가 가능
.한편 최근에 구축된 이마켓(e-market)에는 등록된 벤더수가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벤더로 활발히 활동하는 업체를 접촉하여 공략 가능
- 이마켓은 사무용품과 같은 단순품목 조달에 사용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구축 시기인
2015년 3월부터 1년간 바인더, 종이, 토너, 의약품 등 4개 품목에 대한 조달이
이뤄졌으며, 태국 정부조달관리국은 조달 품목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힘.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35 -
□ 현지 발주처 관계자를 한국으로 초청하는 등 네트워킹 강화
.태국 발주처 관계자들은 외국기업 초청 하에 해당 국가를 방문하여 발주희망품목과
유사한 제품을 사전에 살펴본 후 입찰을 공고하는 경우가 다수임.
- 태국정부는 일본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낮추고 한국의 투자유치를 확대하고 한국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 하려는 움직임이 우리기업에게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최근 태국 정부 인사들의 한국 방문이 늘어나고 있어 생산 시설 방문 등 한국 기업
및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 마련해야 함.
다. 진출 유망 품목
품목 선 정 사 유
LED 조명
.태국정부는 에너지효율화 계획(2015~2036)에 따라 소형형광전구 대비 1.5~2.5배
고가이나 사용연수가 5년 이상 많으며 전기료는 60% 수준인 LED조명으로 교체 할 것을
권장하고 있음. 따라서 LED조명에 대한 공공기관의 수요는 확대일로에 있음. .지방전력청(PEA)에서는 US$ 380만 달러를 투자하여 약 20만 개의 가로등을 LED전구로
교체했으며 추가로 약 80만 개 가로등도 교체할 예정임. .LED 조명 조달항목은 가로등, 실내조명, 야간 공사현장 조명, 무대 조명, 터널 조명,
경기장 조명 등이며 주로 정부기관, 학교, 병원, 문화예술 체육관 등에서 조달 .단, LED 조명은 태국산업표준원(TISI)의 인증(TIS 1955-2551(2008))을 반드시 획득 필요
L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제품 수요는 주로 LED 모니터, TV와 LED 전광판으로 구분됨. LED
모니터는 컴퓨터 일부분으로 본체와 함께 조달되며, LED TV는 공공기관, 병원 등에서
LED전광판은 정부, 공기업, 학교, 체육관 등에서의 수요가 높음.
정보통신
관련 자재
.태국정부의 ‘디지털 이코노미’ 정책 추진의 일환으로 ‘국가 브로드밴드 인프라 확충
계획’을 실시중임. 이와 관련, 도서지역에 위치한 3만 9,000개 마을에 200억 밧(US$5억
7,600억 달러)을 투자하여 브로드밴드 설치를 진행할 예정 .이에 따라 광섬유 등의 조달 수요가 증대될 예정이며, 정부주도의 브로드밴드 확장
프로젝트는 태국 국영통신기업인 TOT와 CAT 주도에 따라 진행될 예정임.
전기분야
물품 조달
.대도시전력청(MEA)는 2016년 6월 ToT, 국가방송통신위원회(NBTC), 방콕수도권
행정청(BMA), 태국경찰청과의 MOU를 체결하고, 2020년까지 487억 밧(14억 달러)을
투자해 전선의 지중화(地中化) 작업을 진행 결정 .지중화 작업에 사용될 조달품목은 케이블 빛 케이블 관련 부품, 절환장치, 유닛 변전소,
부하개폐기, RMU 외장장치 측정기, 변압기, LV 큐비클 69kV 수직기둥 등 .대도시전력청은 지하시스템 설계개발에서부터 시공 및 관리까지 전체 업무수행이
가능한 우수업체를 선정하고자 하므로 전선, 건설 장비 등의 일부 부품 조달로 접근하기
보다는 태국기업과 함께 전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
Global Market Report 16-052
- 36 -
3 싱가포르
가. 진출 시 애로사항
□ 프로젝트 담당자와의 긴밀한 협력 필요
.싱가포르 정부조달계획은 사전에 공지되며 공정하고 투명한 제도 하에서 실행되고 절차
또한 간소하여 외국 기업도 제한 없이 참여할 수 있음.
- 유럽상공회의소에서 싱가포르 조달사업 참여 경험이 있는 기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특별한 애로사항은 없는 것으로 드러남.
.그러나 정부 관련 기업 및 현지기업에 대한 특혜의혹이 종종 제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프로젝트 담당자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입찰요건 및 심사기준 등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요구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음.
나. 진출 확대를 위한 조언
□ GeBIZ를 통한 정보 확인 및 철저한 사전준비 필요
.모든 정부조달 사업 정보는 GeBIZ 웹사이트를 통해 미리 확인 가능하므로 관심 분야의
입찰계획과 심사요건을 파악하여 사전준비를 철저히 해야 함. 필요시 프로젝트 담당자와
직접 프로젝트 세부 내용 확인 필요
□ 최저가 전략보다는 고품질 및 신뢰를 주는 전략 선택
.싱가포르 조달 낙찰 기준은 가격보다는 품질, 성과, 신뢰성 등이 평가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실제로 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건물 디자인의 독창성, 기존 건설방식
대비 생산성(productivity) 향상 여부 등이 최종 수주 기업 선정에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파악됨.
□ 정부 관련 기업(Government Linked Company, GLC)과 연계한 진출 전략
.싱가포르 정부조달 사업 중 대규모 프로젝트는 대부분 정부 관련 기업이 낙찰에
성공하고 있어 정부 관련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시장 진출 노하우를 파악할 수 있음.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37 -
□ 현지기업과의 합작을 통한 상호 보완 필요
.싱가포르는 기업의 이력(track record)을 해당 기업을 신뢰하는 척도로 평가하고 있어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없는 초기 진출 기업의 경우 경험이 있는 현지기업과 합작을
통해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임.
다. 진출유망품목
□ 정보통신(ICT) 부문
.싱가포르는 Smart Nation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정보통신 산업 개발 및 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오고 있음. 정보통신분야는 싱가포르 정부의 투자금액이 매년 가장
많이 증가하는 부문이며 2016~2017년도에는 특히 인프라 개발 및 업그레이드에 집중
투자할 것으로 보임.
.주요 정부기관에서 추진 예정인 정보통신기술 활용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음.
정보통신개발청
(IDA)
.싱가포르 내 학교에 와이파이(wifi) 시스템 전면 도입을 통해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스마트네이션 비전에 따라 센서 네크워크 구축이 확대되면서 센서를 통해 구축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교통, 헬스케어, 금융 부분에서 사이버 보안 시스템 개선
건강복지부
(MOH)
.통합 질병 관리 시스템 개발 계획
.향후 센서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전염병 감염자 및 접촉자 추적 시스템,
격리 시스템 및 의약용품 관리 시스템 개발 계획 예정임.
환경청
(NEA)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비전 달성을 위해 쓰레기 수거, 처리, 재활용 등을
통합 관리하는 ‘Waste Eco System’ 개발 계획 예정임.
Global Market Report 16-052
- 38 -
4 필리핀
가. 진출 시 애로사항
.필리핀 공공조달 프로젝트 수주에 있어 우리기업의 가장 큰 관문은 과거 유사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없다는 것임.
- 필리핀 발주처 관계자들은 현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해본 경험이 있거나 유사
프로젝트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기업을 가장 선호함.
- 과거 실적을 중요시 하는 이유는 사업 추진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서임.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경험이 없는 기업들은 경험이 풍부한 서구 및
일본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어 자사 직원을 해당기업에 파견·연수를 받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음.
- 동 전략은 과거 일본기업들이 사용한 방식이며 최근 국내기업도 유사한 전략으로
수주에 성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 일본기업들은 시공에 비해 컨설팅 분야는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고
컨설팅에 강한 기업과 제휴 또는 컨소시엄 멤버로 참여하는 전략 등을 추진하여
현재는 필리핀 주요 수주국 중 하나임.
나. 진출 확대를 위한 조언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컨설턴트, 이행기관과 프로젝트 수립 단계부터 접촉을
하여 정보를 조기에 입수하고 이후 프로젝트 이행까지 동향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입찰을 준비해야 함.
.수주기업 선정에 있어 가장 중시되는 판단 기준은 후보 기업이 해당 지역에서 또는
해당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얼마나 풍부한가임으로 해외기업과의
JV 또는 경험이 있는 인재를 영입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
.필리핀에서 비즈니스 시 영어 구사는 필수임. 임원진은 연관성이 다소 낮으나 실무
엔지니어들의 자유로운 영어 구사능력이 중요하며, 필리핀 PM과 면담을 할 때 통역을
대동하는 것은 감점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큼.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39 -
품목 선 정 사 유
신재생에너지
. ADB의 Energy Efficiency Initiative 등 필리핀 정부 및 관련 기관의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공공, 민간 프로젝트 대상)에 대한 지원 승인 규모(지원 건수 및 금액)가
증가하는 추세임.
LED 가로등,
광고판 등
. 전력부족 및 거리조명이 부족해서 야간 운전이 어려울 정도로 가로등이 부족
. 필리핀 도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LED 가로등 입찰을 각 지자체가 여러
차례에 걸쳐 개별적으로 진행
발전소 부품 및
기계
. 만성적인 전력부족으로 신규 발전소 건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관련 제품에
대한 정부 및 민간 수요 증가할 것으로 전망
다. 진출유망품목
.필리핀의 만성 전력부족으로 전력산업 프로젝트가 조달시장 비중을 압도적으로 차지
.최근에는 환경 문제 및 전력부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프로젝트가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 기관의 지원이 눈에 띄게
많이 늘어나는 추세임.
- ADB에서 2008년 초 발표한 에너지효율화계획(Energy Efficiency Initiative)을 보면
일반재원(Ordinary capital resource, OCR) 및 특별펀드(Climate Change Fund)에서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Clean Energy 분야에 매년 10억불 규모의 투자 계획이 포함
되었음.(2013년부터 Clean Energy 분야 투자규모 매년 20억불로 확대 예정)
* Clean Energy 분야는 재생에너지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 원격지 전력공급 확대, 자동차 등 운송수단
매연 감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
Global Market Report 16-052
- 40 -
5 인도네시아
가. 진출 시 애로사항
.제도적 장벽
- 외국기업은 인도네시아 기업과의 파트너쉽, 하청 등을 통해서만 공공입찰 참가가능
* 인도네시아 기업이 해당 품목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경우는 예외
- 외국기업 공공입찰 참가가능 분야
.천억 Rp. (US$ 천만 달러) 이상 건설 서비스
.2백억 Rp. (US$ 2백만 달러) 이상 기타 물품이나 서비스(건설, 컨설팅 제외)
.백억 Rp. (US$백만 달러) 이상 컨설팅 서비스
- 인도네시아 국내기업이 해당 물품이나 서비스 제공 능력이 없을 경우 입찰은 ICB
(International Competitive Bidding)에 따라서 웹사이트 등에 게재됨.
.비 제도적 (현실적) 장벽
- 인도네시아는 2015년 조사된 부패인식지수에서 167개국 중 88위를 기록할 만큼
부정부패가 문제 되고 있음(한국: 37위)
나. 진출 확대를 위한 조언
.외국기업은 공공조달 참여에 대한 제한규정으로 대규모 사업에 참여가 가능하나,
이것도 현지기업과의 파트너싑, 하청 등의 관계를 맺어야 함.
.또한 지방 정부가 수행하는 공공조달의 경우에는 재정상태가 열악한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저가 납품에 특화된 현지기업들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현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수단으로서 관련 전시회 참가를 검토해 볼 수
있으나, 현재 운영되는 관련 전시회들은 인도네시아 국내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고 전자조달
방식을 안내하기 위한 성격을 갖으며, 언어 등의 문제로 외국기업의 참여는 어려움
.현지 공공조달 납품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들은 사업 규모를 떠나서 우선 현지의 공공조달
능력을 갖춘 파트너 사를 선정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특정 공기업으로의
납품의 경우에는 해당기업에 직접적인 문의와 접촉을 통하여 해당 기업에 특화된 관련
정보를 수집해야함.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41 -
다. 진출유망품목
.최근 급속히 추진되고 있는 국가적 인프라 개발사업에 필요한 조달품목을 유망 품목으로
꼽을 수 있음. 예를 들어 건설업에 소요되는 각종 기기, 자재류,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관련 IT자재류 등이 유망함.
.또한, 최근 인도네시아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민건강보험이 추진되면서 이와 관련된
각종 의료기기·소모품·부자재 등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단, 광범위한 프로젝트
진행에 반해 매우 한정적인 인도네시아 정부의 재원을 고려할 때 중. 저가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Global Market Report 16-052
- 42 -
V 주요 조달벤더 및 전시회 리스트
1 베트남
가.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International Exhibition on Electric & Automation Vietnam 2017
기 간 2017.08.16~2017.08.18
장 소
SECC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799 Nguyen Van Linh Dist.7, Hochiminh City Vietnam
전시분야 전력설비 및 자동화 설비
홈페이지 www.electricvietnam.com
SECUTECH VIETNAM 2017
기 간 2017.08.16~2017.08.18
장 소
SECC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799 Nguyen Van Linh Dist.7, Hochiminh City Vietnam
전시분야 보안, 안전설비, 자동화, 로봇
홈페이지 www.secutechvietnam.com
Vietnam International Metal &Metallurgy 2016 - VIMM
기 간 2016.12.07~2016.12.10
장 소
SECC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799 Nguyen Van Linh Dist.7, Hochiminh City Vietnam
전시분야 금속, 철강, 운송 및 건설 장비, 용접 및 절단 장비
홈페이지 www.isme.vietfair.vn
Vietnam Medi-Pharm 2017
기 간 2017.05.10~2017.05.13
장 소
I.C.E Hanoi . Hanoi Internatioanl Center for Exhibition
91 Tran Hung Dao St., Hanoi, Vietnam
전시분야 의료, 제약가공설비
홈페이지 www.vietnammedipharm.vn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43 -
Oil & Gas Vietnam . OGAV 2016
기 간 2016.10.18-2016.10.20
장 소
PULLMAN (International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15 Thi Sach, Thang Tam, Vung Tau, Vi.t Nam
전시분야 해양플랜트 관련 설비
홈페이지 www.vietnam.oilgasvietnam.com
Vietnam International Trade Fair . Vietnam Expo 2016
기 간 연례행사 (2017년 개최일 미확정)
장 소
I.C.E Hanoi . Hanoi Internatioanl Center for Exhibition
91 Tran Hung Dao St., Hanoi, Vietnam
전시분야 가정용품, 기계류, 문구, 사무기기, 식품, 음료, 화장품, 미용용품, 기타
홈페이지 www.vietnamexpo.com.vn
Vietnam Technology and Electrical Equipment . Vietnam ETE
기 간 2016.07.20-2016.07-23
장 소
SECC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799 Nguyen Van Linh Dist.7, Hochiminh City Vietnam
전시분야 전력설비 및 기술
홈페이지 www.vietnam-ete.com
Viet Water 2016
기 간 2016.11.09-2016-11.11
장 소
SECC (Saigo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799 Nguyen Van Linh Dist.7, Hochiminh City Vietnam
전시분야 환경, 생태, 기타
홈페이지 www.vietwater.com
Vietnam Manufaturing Expo 2016
기 간 연례행사 (2017년 개최일 미확정)
장 소
I.C.E Hanoi . Hanoi Internatioanl Center for Exhibition
91 Tran Hung Dao St., Hanoi, Vietnam
전시분야 금속산업, 기계류, 운송, 물류, 전기, 전자 기타
홈페이지 www.vietnamemanufacturingexpo.com
Global Market Report 16-052
- 44 -
나. 주요 발주처 및 컨설팅사
연번 분야 기관명 홈페이지
1
전력
에너지
Electricity of Vietnam (EVN) www.evn.com.vn
2 Petrovietnam (PVN) www.pvn.com.vn
3 Petro Vietnam Corporation (PV POWER) www.pv-power.vn
7 The Vietnam National Coal Mineral Industries Group www.vinacomin.vn
8 환경 Urban Environment Co., Ltd - Urenco www.urenco.com.vn
4
교통
인프라
Vietnam Expressway Corporation (VEC) www.expressway.com.vn
5 Vietnam Railways (VNR) www.vr.com.vn
6 Airports Corporation of Vietnam (ACV)) www.sac.vn
9 Project Management Unit No.1 (Ministry of Transport) N/A
10 Project Management Unit No.2 (Ministry of Transport) www.pmu2.com.vn
11 Railway Project Management Unit www.mrb.gov.vn/
12 보건 Central Health Project Management Unit - CHPMU www.chpmu.gov.vn
13
컨설팅
Vietnam Investment Consulting & Construction
Designing JSC
www.cdcjsc.vn
14
Consultant & Inspection JSC of Construction
Technology & Equipment (CONINCO)
www.coninco.com.vn
15 Viet Technology Investment Consulting JSC www.viettek.com.vn
16 E&R Engineering Consultants JSC www.enr.com.vn
17 Power Engineerign Consulting 1 JSC www.pecc1.com.vn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45 -
2 태 국
□ 주요 조달 벤더
.AMR Asia Co., Ltd
업체정보 상세
회사명 (영문) AMR Asia Co., Ltd
취급품목 통신, IT, 대중교통, 전력공급 및 설치, 클라우드 컴퓨팅 등
설립년도 1999년 직원 수 약 400명
대표자 Mr. Marut Siriko
매출액
(2015)
4억 3,650만 밧
(1,260만 달러)
주소
469 Soi Prawit lae Phuaen, Prachachuen Rd., Lad Yao, Chatuchak, Bangkok,
Bangkok 10900 Thailand
담당자명 Brent Godfrey 전화
(66-2) 589-9955 ext. 233
(66-2) 591-7022
이메일 brent@amrasia.com
홈페이지 http://www.cagchina.com/
주요 납품처 BMA, SRT, MEA, BTS, AOT 등 다수
. Broadcast Depot(Thailand)Co., Ltd
업체정보 상세
회사명 (영문) Broadcast Depot(Thailand)Co., Ltd
취급품목 통신, 철도 및 도로교통 관련 공급
설립년도 2007년 직원 수 약 50명
대표자 Mr. Sanya Buasuwan
매출액
(2015)
5,700만 밧
(164만 달러)
주소
1/176 Moo1 Soi.Chaengwattana14, Chaengwattana Road, Toongsonghong, Laksi,
Bangkok 10210
담당자명 Mr. Sanya Buasuwan 전화 (66-2) 982-4460-2
이메일 simon_bua@yahoo.com
홈페이지 www.bdthailand.co.th
주요 납품처 DTAC, AIS, True, SRT 등
Global Market Report 16-052
- 46 -
.A.S. ASSOCIATED ENGINEERING (1964) CO., LTD.
업체정보 상세
회사명 (영문) A.S. ASSOCIATED ENGINEERING (1964) CO., LTD.
취급품목 빌딩건설자재, 철도 및 고속도로 건설자재, 수관사업 시스템, 통신, 항구 관련 물품
설립년도 1964년 직원 수 -
대표자 Mr. Aungsuras Areekul
매출액
(2014)
7억 3,970만 밧
(2,133만 달러)
주소
230 Soi Yasoob 1 Vibhavadi Rangsit Rd. Chom Pon, Chatuchak, Bangkok 10900
Thailand
담당자명
Mr. Pongsak Suttiboorn
(철도 프로젝트 담당)
전화 (66-2) 272-0030
이메일 pongsak@asae1964.com
홈페이지 www.bdthailand.co.th
주요 납품처 BMTS(Silom Line확장), 고속도로국
.The 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 (GPO)
업체정보 상세
회사명 (영문) The 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 (GPO)
취급품목 의약품, 의료기기등
설립년도 1998년 직원 수 50여 명
대표자 Dr. Nopporn Cheanklin, M.D.
매출액
(2015)
3억 4,850만 밧
(1천만 달러)
주소 Rama VI Road Bangkok, Bangkok 10400 Thailand
담당자명
Ms. Patcharee Wattanasiritanawong
(International Marketing Manager)
전화 (66-2) 272-0030
이메일 intgpo@intergpomed.com , interbus@intergpomed.com
홈페이지 www.intergpomed.com
. NAWARAT PATANAKARN PUBLIC COMPANY LIMITED
업체정보 상세
회사명 (영문) A.S. ASSOCIATED ENGINEERING (1964) CO., LTD.
취급품목 건물, 산업 인프라, 해양관련
설립년도 1976년 직원 수 100여 명
대표자 Mr. Polpat Karnasuta
매출액
(2015)
76억 9,660만 밧
(2억 1,197만 달러)
주소
18th .19th Floor, Bangna Tower A , 2/3 Moo 14 , Bangna-Trad Road , Km. 6.5
Bangkaew, Bangplee, Samutprakarn 10540, Thailand,
담당자명 Ms. Pinnapa Torat 전화 (66-2) 730-2100 ext. 2138
이메일 t_pinnapa@nawarat.co.th
홈페이지 www.nawarat.co.th
주요 납품처 대교건설, 고속도로 건설, 댐, 항구, 개수사업, 전력 산업 관련 물품 조달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 47 -
3 싱가포르
가. 주요 조달 벤더
기업명 ST Engineering
취급품목 항공우주, 전자, 육상시스템, 해운 분야 내 혁신 솔루션 및 서비스 제공
설립연도 1997년
웹사이트 www.stengg.com
주요 납품처
Public Unilities Board Singapore Armed Forces, Land Trnasport Authority,
National Environment Agency, Energy Market Authority, 등
기업명 Keppel Integrated Engineering
취급품목 제조산업 분야 수처리, 열처리 기술
설립연도 1997년
웹사이트 www.kie.com.sg
주요 납품처 Public Unilities Board, National Environment Agency, 등
나. 주요 정부조달 관련 전시회
.싱가포르 정부기관들은 입찰 분야 관련 전시회에 참가하여 산업 트렌드 파악, 정부 조달
사업 참여 유망 업체를 발굴하기도 하며 박람회에 참가하여 프로젝트 브리핑도 실시함.
항공·우주,
방위산업
.박람회명 : 싱가포르 에어쇼 (Singapore AirShow) .개최(예정)일 : 2018년 2월 6~11일 (격년) .웹사이트 : http://www.singaporeairshow.com/
정보통신산업
.박람회명 : 정보통신박람회 (Communic Asia) .개최(예정)일 : 2017년 5월 23~25일 (매년) .웹사이트 : http://www.communicasia.com/
수처리,
환경산업
.박람회명 : 싱가포르 국제 워터 위크 (SIWW) .개최(예정)일 : 2018년 7월 8~12일 (격년) .웹사이트 : http://www.siww.com.sg/
건축·건설 산업
.박람회명 : 건축박람회 (BuildTech Asia) .개최(예정)일 : 2016년 18~20일 (매년) .웹사이트 : http://www.buildtechasia.com/
Global Market Report 16-052
- 48 -
4 인도네시아
□ 주요 조달벤더
.각종 인프라 개발을 담당하는 주무 부처인 인도네시아 공공사업부, 전력 인프라 사업을
총괄하는 인도네시아 전력공사 및 주요 건설 공기업 등을 유력 조달벤더로 파악 가능함.
. PT. Wijaya Karya
- 동 사는 1972년에 설립된 인도네시아의 건설 공기업으로 매출규모는 연간 약 7억
달러이며 종업원은 약 2,000명임
- 인도네시아 대형 프로젝트의 특성 상, 인도네시아의 대형 건설공기업을 주 사업자로
선정하고 외국기업의 컨소시엄이 이와 함께 하는 형태를 갖는 점에서 우리기업과의
협조 가능성이 높음.
. 인도네시아 전력공사 (PT. PLN)
- 동 사는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전력 공기업이며 각종 발전소. 송/배전소 등 전력과
관련된 설비 전반의 관리·운영을 독점함.
- 인도네시아 정부는 현 대통령인 조코 위도도(Joko Widodo)의 임기가 끝나는 2019년
까지 35,000MW 전력용량을 추가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발전소. 송/배전
시설 등에 우리기업 참가 가능함.
. 인도네시아 공공주택사업부 (Ministry of Public Works and Housing)
- 인도네시아의 각종 인프라 및 주택건설을 담당하는 정부 중앙 부처임.
수처리/폐수처리 시설, 교량건설 등 인도네시아 인프라 개발의 가장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인프라 프로젝트의 핵심이 되는 중앙 부처이며, 직접 프로젝트 발주에
관여함.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RA, 경제사절단 참가기업 릴레이 간담회 개최 (0) | 2016.11.03 |
---|---|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및 진출 방안[KOTRA 심층보고서] (0) | 2016.11.03 |
인도·서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KOTRA 심층보고서] (0) | 2016.11.03 |
한류 식품, 일본 식탁을 사로잡다- KOTRA, 日 후쿠오카서 ‘2016 한류식품 수출상담회’ 개최 (0) | 2016.11.03 |
KOTRA, 튀니지 에너지광물부장관 초청 韓 기업인 간담회 개최 (0) | 2016.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