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및 진출 방안[KOTRA 심층보고서]
총서번호 : KOCHI자료 16-011발간일 : 2016-11-02게재일 : 2016-11-02
관련지역 : 중국
http://news.kotra.or.kr/user/reports/kotranews/20/usrReportsList.do
Summary
요 약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및 특징
■ (현황) 중국 상무부 등록 총 프랜차이즈 기업 수 : ’16년 9.30일 기준 3,162개사
- 베이징 707개사, 상하이 382개사로 두 도시가 전체의 1/3 차지
- 업종은 소매업과 외식업이 각각 30% 이상 비중 차지
■ (특징) 10개 이상의 가맹점 소유 프랜차이즈 기업 비중이 55%로 규모가 작은편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현황
■ (현황) 중국 프랜차이즈경영협회 매출액 기준 ’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선정
■ (지역) 전체 76%가 중국 화베이, 화둥에 진출
■ (업종) 100대 기업에는 외식업, 소매업, 교육서비스 순으로 진입
■ (기업형태) 민영기업, 외국인독자기업, 국유기업, 중외합자기업 순 점유
■ (가맹점) 화둥, 중난, 화베이 순으로 분포
■ (마케팅툴) 인터넷 활용 브랜드 마케팅이 50% 차지
■ (경영성과) 2013~2015년간 매출액, 가맹점수, 순이윤율 매년 증가 추세
■ (경영변화) O2O 마켓팅 방식 활용, 금융재무 프랜차이즈, 시장 맞춤 가맹모델 선택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의 유망 프랜차이즈
업종 현황
■ (중국 프랜차이즈 투자경기 조사 결과) 커피·음료·디저트, 중식 패스트푸드, 아동
조기교육, 편의점, 자동차 수리서비스, 미용 등 유망
-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나, 민생과 관련있는 고정수요는 불황을 타지 않는
것을 시사
- 2016년 중국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에 외식업, 교육서비스 프랜차이즈 사업자
참가가 많은 것도 이런 추세를 반영함
■ (세부 업종) 외식업, 조기 교육시장, 아동 사진촬영, 세탁전문점, 반려동물용품 등
- (외식업)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외식업 시장규모 전년 대비
11% 증가한 3조 2천억 위안 달함
·패스트푸드산업: ’14년 기업 점포수, 자리수, 영업면적 전년대비 각각 7.15, 10%, 7.5% 증가
·커피 전문점 : 전 세계 커피 증가율 2%, 중국의 연 증가율 15~20% 감안 시 성장 잠재력 다대
- (조기교육시장)’16년 1월 1일부터 두 자녀 정책 전면 실시로 조기 교육시장 확대 예상
·중국 도시 가정 교육비가 가정 소비의 65.5% 차지, 56%의 가장은 자녀에 대한 투자 우선시
- (아동사진 촬영) 아동 사진 촬영 산업의 최근 5년 간 연평균 성장률 15%, ’20년 아동
사진촬영 시장 2배 규모 성장
- (미용서비스) 프랜차이즈업의 최근 떠오르는 창업방식 / 2014년 미용산업 총생산액
8,5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
- (세탁전문점) 중국 상무부의 ’12.5 계획기간 동안 진일보한 세탁업에 대한 지도의견’
발표로 세탁업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 중
- (반려동물) ’14년 중국 반려동물 산업 소비규모는 719억 위안에 달함. 반려동물의
주인은 월 평균 100~500위안 지출
Summary
요 약
한국의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 현황 및 사례
■ (현황)’14년 기준 우리 기업의 해외 프랜차이즈 진출국 중 중국이 75.4%로 최대
- 도시별로 상하이 55.0%, 베이징 40.0%, 칭다오 37.5% 순
- 외식업 분야 진출 활발(’15년 10월 말 기준 중국 내 외식업 매장수 총 1,814개)
·전년 대비 20.5% 증가
·한류 및 방한 중국인 증가에 따른 한국 음식의 이해도 증가, 오랜 준비기간 및 실패 사례 등
외식기업의 중국 진출 노하우 축적을 바탕으로 한 전략적 변화
- 국내 유수 교육기관들 중국 교육시장 겨냥 진출 준비 활발
■ (진출기업 주요 성공 포인트)
- (만커피) 주로 부동산업자를 사업 파트너로 선택, 파트너 건물에 매장 입주 등 임대료
최소화, 커피 외에도 쥬스, 탄산음료, 와플 등 다양한 디저트 메뉴 개발
- (미스터 피자) 자사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철저한 상권 분석 등 치밀한 시장환경 조사
- (뚜레쥬르) 표준화된 제품, 관리, 서비스 운영 매뉴얼화로 매장 운영 및 관리
- (파리바게뜨) 철저한 인력관리, 초기 진출시 직영점 우선 출점 후 가맹점 모집
- (W Coffee) 철저한 시장 조사 및 현지법 준수
- (서래갈매기) 가맹점 오픈후에도 한국에서 정기적으로 교육팀 파견, 초기 안정적
운영 지원
- (다롄 오라클 의료미용기업) 의약품, 의료기기, IT 솔루션 등 병원 관련 다양한
사업경험과 노하우, 전산에 기반을 둔 조직적인 시스템으로 업무의 효율화 도모
- (베이징 중한 미건기기) 온열치료기기의 ‘선체험, 후구매’ 마케팅 전략 활용, 소비자의
입소문 마케팅 전략이 주효/ 중국 법규 준수와 현지화 전략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진출 방안
■ 외식업, 교육서비스 등 우리의 주력 프랜차이즈 분야는 강점을 살리고 동시에 업종
다변화 필요
■ 투자방식 결정과 합자 파트너 선정에 신중해야
■ 현지 기호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제품 개발
■ 직원 교육 시스템 구비
■ 다양한 마케팅 방식 적극 활용
■ 중국의 소비자 및 전문기관들이 평가하는 프랜차이즈 업종 및 가맹점 현황을 파악하여
중국 진출 계획 수립시 반영 필요
■ 중국 문화와 기호 파악에 노력 필요
■ 진출에 앞서 상표 선등록 필수
012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01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및 특징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정의) 프랜차이즈는 미국 프랜차이즈협회(International Franchise Association)에
따르면 가맹본사와 가맹사업자 간 이루어지는 상업적 계약을 말함
■ 가맹본사는 가맹사업자에게 일정한 기간동안 상업적, 지적 재산권을 사용할 권리를
주고 그 대가로 수수료와 로열티를 받는 것을 말하며,
■ 가맹점은 가맹본사가 정한 방식으로 영업을 해야 하며, 가맹본사는 가맹점에 대해
지속적인 지원 서비스를 제공함
(현황) 중국 상무부에 등록된 프랜차이즈 기업수는 2016년 9월 30일 기준
총 3,162개사에 달함
■ 이 중 중국 전역을 대상으로 경영활동을 하는 프랜차이즈 기업수는 2 ,331개사로 전체의
73.7%, 성급 사업자수는 831개사로 26.3%를 차지
■ 지역별로 보면 베이징 707개 사, 상하이 382개 사로 각각 22.4%, 12.1%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 두 개 도시가 전체의 1/3을 차지하고 있음
- 그 뒤를 이어 광둥성(278개사), 충칭시(233개사), 저장성(185개사)순으로 진출해 있음
·중국 경제발전 지역과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이 프랜차이즈 산업의 주목을 받고 있음을
시사함
지역별 프랜차이즈 기업
현황
[단위: 기업수]
장쑤성(江.)
110
기타
745
베이징시(北京)
707
산둥성(山.)
111
상하이시(上海)
382
광둥성(..)
296
푸젠성(福建)
140
후난성(湖南)
116
저장성(浙江)
193
쓰촨성(四川)
129
충칭시(重慶)
235
자료원: 중국프랜차이즈경영망(中.商.特....)
* 주: ’16. 9. 30일 기준
013
■ 업종으로는 소매업과 외식업이 각각 30% 이상의 비중으로 중국 프랜차이즈 산업의
주축을 이루고 있음
- 이 외에 세탁소, 생활서비스 업체가 많은 편이며, 중개 서비스나 숙박업은2 %의
비중에 그침
[단위: 기업수, 비중]
업종별 프랜차이즈 기업
현황
숙박업
70 . 2%
중계 서비스
71 . 2%
교육 서비스
145 . 5%
생활 서비스
314 . 10%
소매업
1,149 . 37%
기타 서비스업
418 . 13%
외식업
991 . 31%
자료원: 중국프랜차이즈경영망(中.商.特....)
* 주: ’16. 9. 30일 기준
(보유자원) 중국의 프랜차이즈 사업자는 주로 등록된 상표 및 경영자원을 보유
■ 그 중 상표 출현은 했지만 아직 등록하지 못했거나 상표출원마저 없는 업체가 900개
이상
- 특허출원 또는 전문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50개 미만
3,000
2,000
1,000
0
상표 등록
상표 출원,
미등록
상표 미출원
특허 보유
기타경영자원
보유
특허 출원
전문기술 보유
보유 자원 현황
2,706
561
207
122
398
29
14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특징) 소규모 프랜차이즈가 대다수
■ 가맹점 소유 상황을 살펴보면, 10개 이하의 가맹점을 소유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비중이 절반인 55%를 넘어섰음
■ 500개 이상의 가맹점을 소유하고 있는 업체는 91개, 약 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
가맹점 소유 현황 현황
[단위: 기업수]
301~500개
60 . 2%
201~300개
69 . 2%
101개~200
143 . 4%
500개 이상
91 . 3%
51~100개
248 . 8%
31~50개
246 . 8%
10개 이하
1,728 . 55%
11~30개
577 . 18%
자료원: 중국프랜차이즈경영망(中.商.特....)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현황
(현황) 중국 프랜차이즈 경영협회(CCFA) 협회는 매년 프랜차이즈 분야 100대 기업을
선정 발표하고 있음
■ 당해 연도 매출액 기준으로 프랜차이즈 120대(2013년), 100대(2014년, 2015년)
기업을 선정
* CCFA는 프랜차이즈 순위를 2013년까지는 120대, 2014년부터 100대 기업 발표
(지역) 2014년 기준01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은 권역별로 보면 전체의 76%가
화베이(.北), 화동(..)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
■ 성시별로 보면 100대 프랜차이즈 사업자는 18개 성시(省·市에) 고루 분포
-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본사 소재지는 베이징, 상하이, 광둥 순으로 위치해 있으며,
각각 34%, 21%, 11%를 차지함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역 분포는 기본적으로 ’13년과 일치됨
01
'16년 9.30일 현재 중국 프랜차이즈경
영협회가 발표한 최신자료는 2014년
중국 프랜차이즈 100대 기업 현황을
분석한 '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 경영
연감(2015中.....年.)‘임.
35
30
25
20
15
10
5
0
랴오닝
(..)
지린
(吉林)
베이징
(北京)
허베이
(河北)
산시
(山西)
내멍구
(.蒙古)
상하이
(上海)
장쑤
(江.)
산동
(山.)
저장
(浙江)
안후이
(安徽)
푸젠
(福建)
광동
(..)
후베이
(湖北)
후난
(湖南)
산시
(山西)
충칭
(重.)
쓰촨
(四川)
20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지역별 현황
[단위: 분포율 (%)]
34
21
11
5
4
4
3
3
2
2
2
2
2
1
1
1
1
1
자료원 : 20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20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권역별 분포 현황
45
40
35
30
25
20
15
10
5
0
둥베이 (.北)
화베이 (.北)
화둥 (..)
중난 (中南)
시베이 (西北)
시난 (西南)
2014년 (%)
2013년 (%)
39
38
38
33
14
13
7
5
5
3
3
2
자료원 : 20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업종) 외식업, 소매업, 교육서비스 순으로 점유율이 높음
■ 업종별로 보면 20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중 외식업 비중이 전년대비 5%p 높은
29%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식품소매업의 비중이 높음
- 2013년과 비교시 업종의 점유비중에는 거의 차이가 없음
2013~2014년
프랜차이즈 업종별 현황
35
30
25
20
15
10
5
0
비식품 소매
식품 소매
종합 소매
외식업
이코노미
호텔
교육서비스
세탁업
부동산중개
인테리어
자동차 수리
서비스
미용
건강서비스
기타 서비스
2014년 (%)
2013년 (%)
자료원 : 20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소매업 부문에서는 중국의 대형마트인 렌화슈퍼마켓(..超市) 점포수가 4,325개,
매출액이 617억 51백만 위안으로 1위를 차지
- 편의점 프랜차이즈로는 메이이쟈(美宜佳)가 점포수 6,390개, 매출액 76억 84백만
위안으로 업계 1위를 차지
- 외식업 중찬부문에서는 취안쥐더(全聚德)가 점포수 104개, 매출액 32억 76백만위안
으로 1위를 기록함
업종
기업명
가맹점수
매출액
비고
13년
14년
13년
14년
소매업
롄화마트
(..超市)
2,804
2,673
688.18억 위안
617.51억 위안
슈퍼마켓 1위
소매업
메이이쟈
(美宜佳)
5,587
6,388
64억 25백만 위안
76억 84백만 위안
편의점 1위
중식 정찬
취안쥐더
(全聚德)
72
76
32억 93백만 위안
32억 76백만 위안
중식 정찬 1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주요 업종별 순위
자료원 : 20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기업형태) 민영기업의 약진, 홍콩·마카오·대만기업 부진
■ 20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중 민영기업의 비중이 51% 차지
- 민영기업 다음으로 외국인투자 독자기업, 국유기업, 중외합자기업 순으로 각각 13%,
12%, 11% 차지
·홍콩, 마카오, 대만 기업은 5%에 그침
- 2013년과 비교할 때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민영기업 비중은 다소 감소했으나,
홍콩, 마카오, 대만기업, 중외합자, 외국인 투자 독자기업 등 비중은 전년대비4% p 상승함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연도별 기업 유형
2014
2013
[단위: 분포율 (%)]
기타
8%
기타
8%
홍콩/마카오/대만
5%
홍콩/마카오/대만
1%
중외합자
8%
중외합자
11%
외상독자
11%
민영기업
51%
민영기업
62%
외상독자
13%
국유기업
12%
국유기업
12%
자료원 : 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경영연감
(가맹점) 권역별로 화둥(..), 중난(中南), 화베이(.北) 순으로 분포
■ 20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가맹점을 권역별 순으로 보면 화둥, 중난, 화베이
순으로 각각 43%, 24%, 19%를 차지하고 있음
- 성시(省市)별로는 산둥(山.), 장쑤(江.), 저장(浙江)순으로 가맹점이 많음
2014년 권역별 가맹점
분포율
[단위: 분포율 (%)]
시베이 (西北)
7%
동베이 (.北)
4%
시난 (西南)
3%
화둥 (..)
43%
화베이 (.北)
19%
중난 (中南)
24%
자료원 : 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경영연감
2014년 가맹점 분포 순
40
35
30
25
20
15
10
5
0
산둥
(山.)
장쑤
(江.)
저장
(浙江)
허베이
(河北)
허난
(河南)
베이징
(北京)
산시
(山西)
쓰촨
(四川)
후베이
(湖北)
상하이
(上海)
후난
(湖南)
안후이
(安徽)
랴오닝
(..)
푸젠
(福建)
[100대 기업수]
36
27
24
23
20
14
12
11
11
10
10
8
7
6
자료원 : 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경영연감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마케팅 툴) 20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주로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 전략을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음
■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인터넷을 활용한 브랜드 마케팅이
50%를 차지. 반면 신문매체, TV 이용은 전년 대비 각각 10%p, 2%p 감소
- 최근에는 중국 프랜차이즈 전시회(特.加盟展)을 이용해 가맹점 모집에 나서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는데 2014년에는 2013년 대비 13%p 증가
- 프랜차이즈 전시회가 100대 기업의 브랜드 홍보 및 가맹점 모집의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
가맹점 모집 방식
2013년 (%)
2014년 (%)
인터넷
전시회
신문매체
0
10
20
30
40
50
60
TV
자료원 : 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경영연감
혁신사항
개최일자
장소
비고
청두 프랜차이즈 전시회
(中.特.加盟展/成都)
’16.3.11~13
成都世.城新
...展中心
- 2016년 최초 개최
- 서부지역의 프랜차이즈
전시회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
(中.特.加盟展/北京展)
’16.7.9~11
北京.家
..中心
- 인터넷 활용한 신개념
브랜드 기업 참가
- 가상현실(VR)게임
- 3D 활용 게임 자동차
프랜차이즈 사업자 참가
상하이 프랜차이즈 전시회
(中.特.加盟展/上海展)
’16.9.1~3
上海新.
.博.中心
- 300여개 브랜드 참가
- 상하이(上海), 저장(浙江),
안후이(安徽), 장시(江西) 등
지역 타켓 전시회
광저우 프랜차이즈 전시회
(中.特.加盟展/.州展)
’16.9.23~25
.州
.交.展.
- 32회째 개최
- 중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프랜차이즈 전시회
2016년 중국 프랜차이즈
전시회 일정
자료원 : 중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CCFA)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경영성과 현황
(매출액) 최근 3년 간 매출액 매년 증가
■ ’13년~’15년 3년간 중국 프랜차이즈 100대 기업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13년 120대 프랜차이즈 기업 매출액 : 4,367억 위안(전년동기 대비 40.4% 증가)
- ’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매출액 : 4,280억 위안
- ’15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매출액 : 4,345억 위안(전년동기 대비 1.52% 증가)
* ’12~’13년 2년 간 중국은 120대 프랜차이즈 기업, ’14년 이후로는 100대 기업을 선정,
발표하고 있어 2013년 대비 2014년 증감율 산출 불가
- ’13~’15년도 매출액 증가율이 높은 업종은 이코노미 호텔, 자동차 수리서비스,
기타 서비스02, 교육서비스, 식품소매 등임
02
기타서비스에는 사진관, 가정용서비스,
광고, 애완동물 관련 체인점이 포함됨
순위
연도
2013년
2014년
2015년
1
이코노미 호텔
자동차 수리 서비스
식품 소매
2
자동차 수리 서비스
교육 서비스
이코노미 호텔
3
기타 서비스
이코노미 호텔
자동차 수리 서비스
업종별 매출액 증가율
랭킹 3위
- 한편, 2015년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미용/레저/헬스서비스, 외식업, 종합 소매업, 기타서비스임
’13~’15년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매출액
증감율
2013년 (%)
2014년 (%)
2015년 (%)
60
40
20
0
0
종합 소매
식품 소매
비식품 소매
요식/음료
이코노미
호텔
교육 서비스
세탁업
부동산
자동차
수리서비스
미용/레저/
헬스 서비스
기타 서비스
-20
-40
-60
자료원 : 중국 프랜차이즈 연감(2013~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점포수) 가맹점수 매년 증가 추세
■ ’13~’15년 간 프랜차이즈 가맹점수도 지속 증가
- ’13년 120대 프랜차이즈 기업은 총 139,701개의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중 신설 체인점으로는 총 9,322개로 전년대비 7.2% 증가함
·가맹점은 115,380개, 이 중 신규 가맹점은 5,300개로 전년동기 4.9% 증가
- ’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은 124,000개의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가맹점은
97,100개로 프랜차이즈 기업 1개 사 당 1,240개의 직영 및 가맹점을 가지고 있음
- ’15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체인점은 총 128,000개로 전년대비 3.2% 증가함
·이 중 가맹점은 106,000개, 매 기업 평균 1,280개의 직영 및 가맹점을 가지고 있음
·’14년 전년동기 대비 체인점은 3.2%, 가맹점은 9.2% 증가함
■ 업종별 점포수 증가율은 상이함
- ’13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중 점포수 증가율이 높은 업종은 부동산 중개서비스/
인테리어, 자동차 수리서비스, 이코노미호텔 순임
- ’14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중 점포수 증가율이 높은 업종은 이코노미 호텔,
교육서비스, 식품소매 순임
- ’15년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점포수 증가율이 높은 업종은 이코노미 호텔,
식품소매, 자동차 수리서비스 순임
·중국 소비자의 소득수준 증가에 따른 여행 및 레저수요 증가로 이코노미 호텔,
자동차수리서비스 등에 대한 프랜차이즈 점포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반면, 미용, 건강서비스, 외식업 점포수는 전년대비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임
순위
연도
2013년
2014년
2015년
1
부동산 중개서비스
이코노미 호텔
식품소매
2
자동차 수리서비스
식품소매
이코노미 호텔
3
이코노미 호텔
자동차 수리서비스
자동차 수리서비스
업종별 점포수 증가율
랭킹 3위
자료원 : 중국 프랜차이즈 연감(2013~2015년)
60
40
20
0
0
종합 소매
식품 소매
비식품 소매
요식/음료
이코노미
호텔
교육 서비스
세탁업
부동산
자동차
수리서비스
미용/레저/
헬스 서비스
기타 서비스
-20
-40
-60
’13~’15년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점포수 증감율
2015년 (%)
2013년 (%)
2014년 (%)
자료원 : 중국 프랜차이즈 연감(2013~2015년)
(순이윤율) 2014년 기준 100대 프랜차이즈의 순이익율이 전년보다 증가한 기업이
전체의 40%에 달함
■ 100대 기업의 약 28%가 2013년과 비슷한 수준이나 이윤율이 감소한 기업도 32% 차지함
- 100대 기업 중 10% 이상의 기업 순이윤율이 10% 이상 증가
- 100대 기업 중 24% 기업의 순이윤율이 5% 이내 증가
- 100대 기업 중 9% 기업의 순이윤율이 5%~10% 감소
- 100대 기업 중 2%의 순이윤율이 10% 이상 감소함
중국 2014년 100대 프랜
차이즈 순이윤율 점유 현황
30
25
20
15
10
5
0
10%
이상 증가
5~10%
이상 증가
0~5%
증가
기본 유지
0~5%
감소
5~10%
이상 감소
10%
이상 감소
기업 비중
28
24
21
38
9
6
2
자료원 : ’13, ’14, ’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 업종별 매출 증가율과 순이윤율 증가율 변화 양상을 보면, 양자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
- 외식업 매출액의 ’14년 증가 속도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반면, 순이윤율은
다른 업종보다 낙관적임
·그 중 후어궈어(중국식 샤브샤브), 양식 패스트푸드의 순이윤율이 눈에 띰
·반면, 식품소매, 음료(쥬스, 커피, 디저트 카페 등) 등 업태의 매출액 증가율 속도는 빠르나,
순이윤율은 상대적으로 둔화세를 보임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 변화
현황
O2O 마켓팅 방식 전 업종으로 확산, 온-오프라인 융합 가속화
■ 프랜차이즈 각 업종에서 ‘인터넷플러스’활용 영역 및 영향력 급속 확산
- CCFA 조사결과에 따르면, 현재 대부분의 전통업계에서 O2O 방식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97%가 O2O의 마케팅 방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60%의 기업은 자체 구축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마케팅 활용
·25%의 기업은 자체 구축한 온라인 플랫폼과 제3자 플랫폼 입주 방식이 상호 결합된 방식을
선택하여 마케팅 활용
·40%의 기업은 즈푸바오(支付.) 또는 웨이신(微信) 등 모바일 결제방식 시스템을 활용
■ 특히, 2014년은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O2O 마케팅 방식이 활발하게 진행됨
- 온라인에서 홍보와 오프라인에서 체험을 위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
고객니즈 파악에 적극 대응하는 등 시의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전개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O2O 활용 현황
모바일 결재 활용
40%
자체 + 플랫폼 이용
25%
O2O 활용
97%
제3자 플랫폼 이용
15%
자체 플랫폼 구축
60%
O2O 미활용
3%
자료원 : ’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서비스업 프랜차이즈 발전 가속화, 금융투자 잠재력 뛰어나
■ 소비 업그레이드, ‘인터넷플러스’의 영향 속에 소매업종의 가맹 속도는 점차 둔화되고
있으나, 자동차 수리 서비스, 교육훈련 서비스, 대중 외식업, 레저 음료, 가정 서비스 등
업종 발전 가속화
■ 특히 금융투자 영역은 2014년 프랜차이즈 모델의 다크호스로 떠올라, 재무 및 융자
업무에 종사하는 가맹 기업이 많이 나타남
- 특히 중국 소비구조가 실물 소비형에서 서비스 소비형으로 바뀜에 따라
금융재무 방면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투자유형이 되고 있음
시장 맞춤 융통성 있는 가맹 모델 선택
■ 전 업종에서의 가맹 방식이 안정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특히 치열한 시장 경쟁환경에
놓여 있는 업종의 가맹 모델 선택은 비교적 큰 성공을 거두고 있음
- 그 간 직영 경영방식만을 고수 해 온 일부 기업들도 가맹 모델을 채택하고 있음
■ 예를 들면, 바이성(百.)그룹은 2014년부터 피자헛의 중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업무를
실시하기로 결정
- 양적 아닌 질적인 경영관리 이념 지도하에, 피자헛은 융통성있는 가맹모델을 채택하여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변화 추세에 대응
- 피자헛이 종전 직영방식을 고수하다가 가맹방식으로 전환한 이유는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발전이 점차 체계화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프랜차이즈업에 종사하는 중국의
전문 인력이 갈수록 성숙하다는 것을 반영함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03
2013년 12월 중국은 GDP 규모, 1인당
소득수준, 100대 중점대학, 세계 500
대 기업 진출 수 등 10개 항목에 각 순
위를 매겨 종합적으로 비즈니스 경쟁도
시를 1선~5선도시로 분류. 이 분류에
따라 1선도시 : 베이징, 상하이,광저우,
선전, 2선도시 : 닝보, 쿤밍, 정저우, 장
춘, 3선도시 : 바오딩, 단동, 샤오싱, 4
선 : 쟝자커우 더저우, 무단쟝, 5선 도
시: 번시, 카이펑 청더 등으로 구분하
고 있음
2~3선 도시로의 경영범위 확대
■ 2014년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은 1선 도시03보다 2~3선 도시에서의 가맹점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2,3선 도시의 상업발전 관련 정책 촉진,
인프라 및 관련 시설 완비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프랜차이즈 사업에 관심을 갖고 있음
- 반면, 1선 도시는 프랜차이즈 부문이 포화상태에 있고, 4선 도시는 기본 인프라 및
서비스 체계 미비, 소비시장 육성 등 아직 프랜차이즈 활성화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2015년에도 이와 같은 추세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014~2015
중국 프랜차이즈 100대
기업 가맹점 확대 현황
2014년 (%)
2015년 (%)
1선도시
0
4선도시
2선도시
10
20
30
40
3선도시
자료원 : ’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대분류
소분류
기업수
2014년
2015년
종합 소매
슈퍼마켓, 편의점
13
13
전문 소매
(식품 전매)
식품, 술, 차, 전통식품, 건강식품, 약국
13
11
전문 소매
(비식품 전매)
장식 공예품, 휴대폰 전매점, 보석상, 의류복장,
가정 생활용품, 화장품, 문구용품, 안경,
화장품, 장식품
12
12
외식업
중식, 중식 패스트푸드, 샤브샤브, 양식 패스트푸드,
커피, 쥬스/찻집
29
30
이코노미 호텔
이코노미 호텔
5
6
교육서비스
IT교육, 영어교육, 영유아교육
5
4
세탁업
옷 세탁, 가죽 세탁
5
5
가정인테리어
가정 인테리어
3
-
자동차 관련
타이어 판매, 중고차 매장, 세차 등
5
5
미용 건강 서비스
미용, 건강서비스, 발안마
5
5
기타
부동산중개, 웨딩촬영, 여행업, 금융중개,
가정서비스, 광고, 광고기자재
6
5
2014~2015년
중국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현황
* 주 : 2014년, 2015년 중국프랜차이즈경영연감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02
중국의 유망 프랜차이즈 업종 현황
현황
커피 및 음료, 중식 패스트푸드, 아동 조기교육 순 유망
■ 중국 프랜차이즈 경영협회가 발표한 2014년 중국 프랜차이즈 투자경기조사 결과04에
따르면, 향후 유망 프랜차이즈 업종으로는, 커피 및 음료 디저트, 중식 패스트 푸드, 아동
조기교육 순으로 조사됨
- 이 중 프랜차이즈 사업가가 뽑은 향후 유망 프랜차이즈 5대 업종은 커피 및
음료·디저트, 아동조기교육, 이코노미호텔, 식품전매, 직업기능훈련 임
- 투자가가 뽑은 5대 유망 업종은 커피 및 음료·디저트, 중식 패스트푸드, 아동
조기교육, 편의점, 자동차 수리 서비스 임
- 프랜차이즈 사업자, 투자자가 뽑은 5대 유망 업종에서 커피 및 음료·디저트,
아동조기교육이 중복됨
- 이는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나 민생과 관련있는 고정수요는 불황을 타지
않는 것으로 보임
04
2014년도 외식업체, 슈퍼마켓, 편의점,
이코노미호텔, 세탁업 등 10 여개 업종
관련 프랜차이즈 기업 CEO(52.7%), 가
맹점(5.5%), 투자가(41.8%) 대상 설문
조사 결과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和.品
中式快餐
.童旱.
便利店
..型.店
食品..
汽修..
..技能培.
西式快餐
中式正餐
단위 (%)
2014년
유망업종 및 업종 투표율
자료원 : 2015년 중국 프랜차이즈 경영연감
- 실제, 상기 투표조사 결과를 증명하듯이, 2014년, 2015년, 2016년 3개년도 중국
프랜차이즈 전시회에서도 커피 및 아동교육 프랜차이즈 사업자의 참가가 많았음
중국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
현장에서 본
주요 유망 업종
개요
■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크고 규모가 큰 프랜차이즈 전시회
- 중국 프랜차이즈 전시회는 해마다 상하이, 베이징, 청두, 광저우에서 개최되는데 그 중
규모가 가장 큰 것은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임
- 2016년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 면적은 4만 5,000㎡, 70여 개 업종의 500개
브랜드가 참가
명 칭
제18회 중국 프랜차이즈 전시회(中.特.展)(北京)
개최일시
2016년 7월 9일 ~ 7월 11일
장소
베이징 중국 국가회의 중심 (China National Center)
전시품목
외식, 교육, 서비스, 부동산 등 업종
중국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 개요
■ 2016년 전시회는 IT 업체들의 참여로 현장에서 VR, 3D 프린터, 스마트 카페 등
생활에 녹아든 IT 기술이 관객의 이목을 끌었음
- 한국 프랜차이즈 업체는 주로 외식업, 카페, 화장품 등 프랜차이즈 업체들로 구성
주요 업종
■ 주요 외식업과, 교육서비스 프랜차이즈 사업자의 전시가 주를 이룸
- 특히 시진핑 정부의 강도 높은 부패 척결로 인해 최근 중국 내 요식업계는 고가의
식당보다 ‘대중화’가 추세
- 이러한 추세로 인해 전시회의 참가자들도 수백만 위안의 가맹비가 요구되는
유명 프랜차이즈 브랜드보다 소자본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음
- 전시회 참가자들은 맹목적으로 ‘외국음식’임을 강조하기 보다 도시 특징에 알맞은,
소비자들이 가격부담 없이 즐길수 있는 사업이 대세라고 언급
중국 2016년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 광경
자료원 : KOTRA 베이징무역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2016년 1월 1일 부 실시되고 있는 ‘전면 두 자녀의 정책’은 기저귀, 분유 등의
시장뿐만 아니라 교육서비스 시장 활황으로도 이어지고 있음
- 학교 성적 제고를 지향하는 교육이 아닌, 영유아의 지적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서비스에 대한 중국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금번 전시회에는 37개 교육서비스 프랜차이즈 사업자가 참가하여 커피,
디저트 카페 업종에 이어 높은 관심을 보여줬음
- 전시회 참가자는 베이징, 상하이와 같은 1,2선 도시 뿐만 아니라 3,4선 도시로의
진출도 적극 검토하고 있음
교육서비스 부스 현황
자료원 : KOTRA 베이징무역관
■ 중국시장에서 급증하는 카페사업은 특색을 내세우고 2, 3선 도시로의 진출 등을
고려해야 성공할 가능성이 큼
- 카페는 베이징, 상하이 등 1선 도시에서 골목마다 포진되어, 이제는 차별화된
인테리어로 분위기를 조성해야만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고 사업자는 전함
- 또 중국 1선 도시의 소비자들은 스타벅스 등 중국 진출 역사가 오래된 카페에 익숙해져
있어 커피뿐만 아니라 아이스크림, 와플 등 다양한 상품구성, 특히 ‘프리미엄’ 등
특징을 내세워야 한다고 조언함
- 최근 베이징에서 일부 카페의 가맹점 주인이 야반도주하는 사건도 있어 가맹비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등도 중요한 고려요소임
- 이번 베이징 전시회에서 커피 및 디저트 카페 프랜차이즈 기업이 총 42개 사가
참석하여 이 분야의 사업에 대한 관심도를 알 수 있었음
자료원 : KOTRA 베이징무역관
업태
업종
참가기업
참가기업수
<중국관>
소매업
술
.享.酒
1
차
.裕太、 芬吉茶. 등
4
화장품
新.福, .洛蒙 등
2
편의점
SPAR.冠便利, 港佳好.居 등
2
가정용품
特百惠, ..., 整理生活, 智.. 등
4
선물, 장식품
.西德勒, 老.匠., ... 등
7
식품, 건강식품
.伊., 先衣氏, 泊之利. 등
9
의료서비스
壹佰壹拾壹..
1
기타 소매업
.友, .城品, 大秦, am:10, EYES, 桔色, .秦新. 등
7
외식업
중식정찬
全聚德, .上阿上, 便宜坊, 永和大王, ..煌 등
32
훠궈(샤브샤브)
小肥羊, 小天., ..., 香草香草, 小尾羊 등
13
양식패스트푸드
肯德基, 必.客, 德克士, 好.歌, 巴.拉 등
19
커피전문점
太平洋.., 迪., SPR.., 高.雅.., 英..光, 易思.斯,
..之翼 등
15
쥬스바, 디저트 카페
快..., ..凉, 帝娜.拉, .留山, 台九.., Bunny Drop 등
27
토속간식
太.系, ...生煎, 福辣辣, 小米, 正新, 超..., .狂炸. 등
32
서비스업
교육서비스
....子., 芝麻街英., .., 智慧., SPACEKIDS, 摩.. 등
38
아동용게임
悠游堂, 奇..
2
세탁, 염색업
象王, .昌, 尤., 福奈特, 衣.. 등
7
호텔 체인업
天.., .江之星
2
가정인테리어
元洲.., .之峰, .品宅配, 益.Hipaint 등
5
자동차수리유지
.航.之道, 小拇指, 快先生 등
3
미용
.美度, 植秀堂, 京都薇薇, .玉珊秀身堂
9
의료보건
安和骨, .迪格, 康童堂, 百年.生 등
12
사진, 촬영
身.其境, O.ME智能3打印, .., 金印特.
4
금융투자
金大喜
1
가정서비스
美.世家, 升泰
2
기타 서비스
翰皇, ..健康, ..房, 康杰士, 曼桓 등
13
서비스상
悠絡客, 合益包., 千喜.客, .橙 등
22
외국관
한국관
외식업, 스킨케어
Aza Aza!, 喜.稀肉, 本粥.拌.Cafe, 索芙特..淇淋, 小公洞嫩豆腐
店, 多.多.米堡, ..派., ...倍, .. 保利多, 比..如, 雪雷
尼珂, ..喜, 好味. 등
11
대만관
외식업 위주
.火..旺, 彩虹雪, 森邦, .之花, ACFPT (대만 프랜차이즈 협회)
5
말레이시아관
胸杰特, Coffeeland, Craft Internationals, Daily Fresh Nyonya
Suan, Meiko, The Tarik Place, Marrybrown
7
합 계
318
중국 2016년 베이징
프랜차이즈 전시회
참가기업 현황
자료원 :중국프랜차이즈전시회(베이징) 가이드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세부 업종
외식업05
■ (시장규모)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외식업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3조 2천억 위안에 달함
- 2010년부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온 외식업계는 2013년까지 성장 둔화 양상을
보였으나, 2014년부터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음
- 은행카드 수수료 인하, 영업세의 증치세로의 통합(.改增), 랑정허이(..合一)06 등
일련의 중국 정부의 정책은 외식업 발전 촉진제 역할을 함
- 중국의 도시화 및 3,4선 도시에서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온라인 외식업은
향후 빠른 성장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
05
중국 국가통계국에는 외식업을 ‘餐.’
으로 표기하고 요식, 식음료업을 포함
하고 있음
06
랑정허이(..合一)는 종전의 엄격한
외식업 허가절차의 간소화를 의미, 종
래 외식서비스업(음식점, 찻집, 주점, 커
피점 등), 식품 판매류(마트, 매장, 담배
등) 업소들은 식품 유통허가증과 식당
서비스 허가증을 개별적으로 신청해 허
가증을 받았으나, 두 개의 증서가 ‘식품
경영허가증’ 하나로 통합됨. 랑정허이
제도 이후 신청 구비서류도 줄었으며,
신청절차도 간소화됨.
최근 5년 간 외식업
시장규모 증가 추이
규모
증가율
35000
20
18
16
14
12
10
8
6
4
2
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규모
(억 위안)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증가율
(%)
자료원 : 중국 국가통계국
■ (기업수) 2014년 기준 중국 외식업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465개임
- 총 점포수는 22,494개사(전년 대비 8% 증가)
·이 중 직영점 17,824개(전년대비 8% 증가), 가맹점이 4,670개(전년대비 7% 증가)
- 외식업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중 중국 로컬기업이 전체의 65.8%인 306개, 홍콩,
마카오, 대만기업의 비중이 전체의 13.1%인 61개 기업, 외국인 투자기업이 전체의
21%인 98개를 차지함
·업종별로 보면 중식정찬 기업이 전체의 57.4%인 267개사, 패스트푸드업이 61.4%인 162개사,
식음료부문이 4.1%인 19개사, 기타 외식업이 3.7%인 17개사 임07
- 100대 프랜차이즈 기업 중 2015년 기준 외식업은 30개사로 2014년 29개사와
비교시 별 큰 차이가 없음
07
2015中.零.和餐...企...
年.(中...出版社)
부문
기업수
2015년
2014년
중식 정찬
6개
4개
중식 패스트푸드
6개
5개
훠궈(중국식 샤브샤브)
7개
6개
양식 패스트푸드
5개
8개
식음료
6개
6개
총계
30개
29개
2014년~2015년 중국
외식업체 현황
자료원 : 중국 국가통계국
- 100대 프랜차이즈 외식업 부문에는 중국의 취안쥐덕(全聚德,중식 정찬), 용허다왕
(永和大王, 중식 패스트푸드),네이멍구샤오웨이양(.蒙古小尾羊, 중국식 샤브샤브),
피자헛(百.,양식 패스트푸드),디어우(迪.餐., 식음료) 등이 랭크돼 있음
순위
브랜드명
내용
로고
1
全聚德
- 1864년 창립, 중국 전통브랜드(中. 老字.)
- 오리고기 등, 400여 종의 특색있는 메뉴 구비
- 1991년 1월 중국 국가공상총국 저명상표로 인정
2
杏花.
- 1851년 창립, 중국 전통브랜드
- 원래 정찬으로 출발, 현재는 월병으로 유명
3
.州酒家
- 1935년 창립, 중국 전통브랜드
- 광둥요리 전문, '광저우 제 1의 음식점
(食在.州第 一家)'이라는 평가 받고 있음
4
.江南
- 2000년 창립
- 중국 전통 사천요리를 현대적 감각에 맞춰 재탄생
- 베이징, 선전, 타이베이 등지에 60 여개 분점 개설
5
上海小南.
- 1987년 창립/상하이 저명 브랜드
- 慧公.(프리미엄식당), 南小.(딤섬) 브랜드도 운영
6
便宜坊
- 1416년 창립, 600년 역사를 가지고 있는 중국 전통
카오야(오리고기)10대 브랜드
- 2001년 ISO 국제품질시스템인증 통과
7
眉州.坡
- 1996년 창립 / 베이징 저명 브랜드로 등록
- 쓰촨음식 특화 / 중국의 대형 프랜차이즈 기업
8
毛家.店
- 마오쩌둥을 만난적이 있는 탕루이렌(.瑞仁)여사가
1987년 창립
- 후난성 토속 풍미를 갖춘 음식점
- 마오저뚱 시대 문화 분위기를 풍기는 인테리어 조성
9
望湘.
- 2002년 창립, 후난음식의 저명 브랜드
- 베이징, 상하이, 난징, 수저우, 허페이 등 5개 분점
- 상하이 최대 규모의 후난요리의 프랜차이즈로 평가
10
外婆家
- 1998년 창립된 저장성 유명 브랜드
- 중국 전역에 80여 개 가맹점
- 가성비 높은 질 좋은 음식과 서비스로 일반 소비자로부터
호평을 받고 잇음
중국 정찬 10대 브랜드
자료원 : 中.十大品牌.(www.china-10.com) / ’16. 10. 4일 기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패스트푸드 산업
■ (개요) KFC와 맥도날드가 각각 1987년과 1990년에 중국에 진입하면서 중국에
패스트 푸드 외식산업 분야가 생겨남
- 현재 중국의 영향력 있는 중식 패스트푸드 외식 브랜드는 대부분 1990년대에 탄생
- KFC, 맥도날드 등 서양 패스트푸드 브랜드의 경영방식을 모방 또는 참고하여 중식
패스트 푸드라는 새로운 산업 분야를 개발, 빠른 속도로 성장
■ (시장규모) 중국 외식업이 2010년 1조 7,648억 위안에서 2015년에는 3조 2천 억 위안
으로 연 평균 13% 성장
- 이 중 패스트푸드점은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소비계층을 만족시킬 수 있는 맛을
강점으로 내세우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2008년부터 2014년 간 연 평균 17.5% 증가
- 중국 호텔 협회가 발표한 ‘2015년 중국 외식업 연도보고’에 의하면 2014년 패스트푸드
기업의 점포수, 자리수, 영업면적이 전년대비 각각 7.1%, 10%, 7.5% 증가, 영업액
평균 증가율은 11%에 달하고, 이윤율은 평균 2% 증가함
- 최근 외식업의 마케팅 플랫폼인 O2O 활용으로 중국 외식업의 배달시장에 큰 변화가
나타남
·아이루이 컨설팅(艾瑞咨.)사에 따르면, 2014년 중국 외식업 O2O 배달 시장 규모가
1,600억 위안을 초과, 전체 외식 소비액의 5.8%를 차지, 2017년에는 이 비율이
9% 증가하여 배달시장 규모가 총 3,000억 위안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 최근 스마트폰의 음식 주문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데, 중식 패스트 푸드 부분이
단연 으뜸임
· ‘텅신(藤旬)과학기술’이 1,226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중식 패스트푸드는 스마트폰 주문이
가장 많은 부문으로 총 63.4%에 달하고 있음
- (주요 브랜드) 중국 ‘10대 브랜드망(十大品牌.)’이 선정한 10대 패스트 푸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다음과 같음
순위
브랜드명
내용
로고
1
.功夫
- 1990년 창립, 중국의 직영점수 및 규모 1위
-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전역 30여 개 도시에 진출
- '06년 HACCP 식품안전관리체계 및 '08년 ISO 22000
표준 인증 획득
2
永和大王
- 대만계 패스트푸드점, 1995년 상하이에 오픈
- 중국 전역에 300여 개 가맹점 보유
- 5년 연속 'C-BPI 중국 중식 패스트푸드업 1위
'중국식품건강7성상' 획득
3
味千拉面
- 1967년 일본에서 창립, 가성비 높은 라면으로 일본
큐슈지방에서 큰 인기를 얻음
- 1996년 중국 진출, 2007년 '味千中.‘홍콩거래소 상장
- 2014년 기준, 홍콩, 상하이, 베이징, 선전 등 669개 분점
- 중국 품질관리국로부터 다수의 QS(Quality Safety)
인증 획득
4
..快餐
- 1993년 장쑤성 창저우에서 창립 / 중외합자기업
- 중식 최대 규모의 패스트푸드 배달 전문기업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10 여개 대도시 가맹점 보유
5
.方.白
- KFC 자매 브랜드
- 2005년 상하이 진출, 중국인 입맛에 맞는 메뉴 지속
개발
- 베이징, 광저우, 항저우 등 20 여개 프랜차이즈 운영
6
..包子
- 1948년 창립, 베이징 최대 규모의 만두 프랜차이즈점
- 2015년 6월 현재 10여 개 성에 330개 프랜차이즈운영
- 이 중 베이징시에는 260개 프랜차이즈, 5,000개
일자리창출
7
.村基
- 1996년 충칭시에서 창립, 중국 시난지역 시장점유율이
높음
- 2015년 충칭, 쓰촨, 구이저우, 시안 등 400개
프랜차이즈 운영
- 2009년 충칭시 상무부로부터 '.光早餐'로 인정
8
大娘水.
- 1996년 장쑤성 창저우에서 창립 /장쑤성 저명 브랜드
- 물만두 전문 패스트푸드점
- 난징, 상하이, 베이징 100개 도시에 300여개
프랜차이즈 운영
9
面点王
- 1996년 선전에서 창립/면류 전문 브랜드/광둥성
저명 브랜드
- 선전, 광저우 및 주장삼각주 2개 지역에 현대화된
배송센터 구비
- 선전 전통브랜드, 선전시 저명브랜드 칭호 획득
10
吉野家
(Yoshinoya)
- 1899년 일본에서 창립된 소고기덮밥 전문점
- 1992년 베이징 진출, 2013년 말 기준 베이징, 텐진,
허베이, 지린 등 304개 프랜차이즈 운영
- 중국 패스트 프랜차이즈 중 소비자가 뽑은 제 1브랜드
중식 패스트푸드
10대 브랜드
자료원 : 中.十大品牌.(www.china-10.com) / ’16. 10. 4일 기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순위
브랜드명
내용
로고
1
KFC
肯德基
- 1987년 베이징에 제1호점 오픈
- 중국 티벳지역 외에 950개 도시 및 농촌지역에
4,600 여개 가맹점 운영
- 중국 내 최대 규모 양식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2
...
- 1990년 광둥성 선전에 제1호점 오픈
- 중국내 2,200개 가맹점, 100,000명 인력 보유
- 중국은 맥도날드의 제3의 시장
3
必.客
- 1990년 베이징에 제1호점 오픈
- 중국 200여 개 도시에 800개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4
DICO`S
德克社
- 1994년 중국 쓰촨성 청두에 오픈/ 치킨 전문점
- 1996년 중국 딩신그룹이 Dicos' 德克社 인수
- 2001년 중국 체인점 분야 제59위에 선정
5
.堡王
- 2005년 중국 상하이에 제1호점 오픈
- 중국 소비자 입맛에 맞는 햄버거 개발
- 2014년 말 현재 중국 60여 도시, 300개 가맹점 보유
6
SUBWAY
.百味
- 2008년 중국 상하이에 제1호점 오픈
- 중국 전역에 138 여개 가맹점 보유
7
PapaJohns
棒.翰
- 2003년 중국 진출
- 중국 전역에 30 개 도시에 170여개 가맹점 보유
- 중국은 파파존스의 가장 중요한 해외시장 중 하나
8
Domino's
.美.
- 2008년 상하이에 첫 매장 오픈
- 2015년 말 현재 베이징, 상하이에 79개 매장 개설
- 전세계 특허를 받은 보온가방을 이용 피자 배달
9
BBQ
比比客
- 2003년 중국 진출
- 2005년 상하이BBQ 유한공사 설립, 상하이에서 외자
기업 최초로 '상업특허경영(프랜차이즈)자격 취득
- 산둥성 칭다오시에 분공사, 식품가공공장 설립
10
..士
- 2001년 중국 푸젠성 푸저우시에 설립, 중국 브랜드
- 2012년 푸저우시 유명 브랜드로 선정
양식 패스트푸드
10대 브랜드
자료원 : 中.十大品牌.(www.china-10.com) / ’16. 10. 4일 기준
커피전문점
■ (시장규모) 중국의 2014년 커피 소비량은 약 600억~800억 위안, 2020년의 커피
소비량은 10배 이상 증가 예상
- 현재 중국인은 매년 평균 5잔의 커피를 마시며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대도시의
매년 평균 소비량은 20잔임
·국제 커피기구(......, ICO)의 관련 조사에 따르면 일본, 한국의 개인 연평균 소비량은
300잔, 세계 평균은 240잔으로 나타남
- 하지만 전 세계의 커피 소비 증가율이 2%, 중국의 연 증가율이 15~20%임을 감안해
보면 중국 커피시장의 발전 잠재력은 밝다고 할 수 있음
■ (소비행태) 원두커피 소비 증가, 브랜드 인지도로 커피 전문점 선택 추세
- 중국 중상정보망(中商情..)에 따르면 커피 음용(.用)방식에 있어서 현재
중국에서는 인스턴트커피(速溶)가 시장점유율 8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원두커피(.磨..)는 약 16%임
·하지만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습관 변화에 따라 커피콩 소비와 카페방문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인스턴트 커피보다는 원두커피 시장규모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중국의 커피 업종
시장 규모와 증가속도
증가속도 (%)
인스턴트 커피
원두커피
시장규모 (백만달러)
원두커피
인스턴트 커피
2000
30
25
20
15
10
5
0
1800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규모
(억 위안)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E)
2015년(E)
2016년(E)
2017년(E)
증가율
(%)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중국 라이쟈멍(.家盟)이 중국 소비자 대상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의
커피 전문점 선택시 브랜드 인지도(65.1%)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보고망(中..告.)에 따르면 커피전문점을 방문한 고객들 중 20~40대 급여가
4000위안 이하의 직장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80
70
60
50
40
30
20
10
0
(%)
브랜드
인지도
지리적
편리함
서비스
태도
커피숍
인테리어
커피의 맛
커피숍
분위기
커피전문점 선택 기준
65.1
54.5
47.4
48.3
42.5
35.9
자료원: .加盟 (www.liajiameng.com)
■ (커피시장 확대 배경) 중국 소득수준 제고 및 소비시장 확대, 도시화, 커피 및 음료 맛의
서양화 등 여러 요인들이 중국 커피시장 발달을 촉진하고 있음
- 중국 도시인구의 커피 소비비율은 농촌인구보다 높으며 2007년 이후 1선 도시 뿐만
아니라 2,3선 도시에서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업센터 및 쇼핑몰에 입점하는
커피전문점이 늘어나고 있음
- 커피 잠재 소비군의 확대는 소득수준 향상으로 커피 소비군이 청장년층으로 늘어난데
기인함
·커피를 좋아하는 소비군 중 40~50세가 24%, 20~30세가 18%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
- 반면, ’07~’12년 중국의 찻집(茶.)은 4만 8,842개에서 4% 증가한 5만 984개에
그쳤으나, 커피전문점은 1만 5,898개에서 3만 1,783개로 5년 사이에 2배 가량 증가함
■ (커피 전문점 진출 현황) 현재 중국에는 스타벅스, 코스타 등 미국, 영국 프랜차이즈
뿐만 아니라, 홍콩의 태평양 커피 등 다양한 국적의 커피전문점 프랜차이즈가 진출해
있음
순위
브랜드명
내용
로고
1
Starbucks
星巴克
- 1999년 1월 베이징 중국국제무역센터 내 1호점 오픈
- 중국 90개 도시 약 1,600개 가맹점 운영/2019년까지 1,800개
점포 추가 개설 계획
- 미국계 커피숍의 전문성 및 신속성 강조, 제2의 사무실 컨셉에
맞는 카페 공간 조성
2
Costa
.世家
- 2006년 상하이 난징루에 1호점 오픈
- 코스타 본류는 이태리로 유럽의 귀족적 분위기로 중국 공략
- 2014년 현재 중국 점포수 약 344개
- 2018년까지 2,500개 점포수 목표
커피 전문점 10대 브랜드
3
太平洋..
- 1992년 홍콩에서 창립, 홍콩, 마카오지역의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
- 2010년 화룬그룹이 지분 80% 인수, 커피 프랜차이즈 업무개시
- 커피와 라떼 등 일반 음료 뿐만 아니라 중국 고급술인 바이주
(白酒)를 첨가한 궈주커피(.酒), 윈난(云南), 찻입과 우유로
만든 우롱차라떼(..茶拿跌)등 중국인에게 익숙한 맛으로
음료 개발해 스타벅스와 차별화 시도
- 현재 중국에 약 260개 가맹점 운영
4
上...
- 1968년 대만에서 창립/1997년 하이난성에 제 1호점 개설
- 현재 1,300여 개 가맹점 운영
- 커피 문화와 중국 특유의 휴식 문화가 결합된 형태로 커피를
마시며 마작이나 포커 등의 놀이 문화를 즐김
5
迪...
- 중국 장쑤성 저명 브랜드/2002년 상하이에 제1호점 오픈
- 중국 20여 개 성에 800여 가맹점 운영
- 중국, 서양 문화가 융합된 휴식 카페 서비스 제공
- BBC, CCTV, 대만동선(.森)TV 등이 중국 본토 우수커피
전문점으로 방송
6
.岸..
- 2003년 중국 항저우에서 창립/중외합자 프랜차이즈 기업
- 2008년 '골드만삭스'와 '.生投.'로 2억 위안의 투자를 받음
- 향후 5년 내 중국 내 5000여 개 가맹점 개설 목표
7
名典..
- 1984년 대만에서 창립/1995년 중국 광둥성 동관에 1호점 오픈
- 휴식과 커피와 중국 차가 결합된 새로운 커피 문화 라이프를
모토로 삼음
- 2013년 3월 기준, 중국 32개 성 800개 가맹점 운영, 중국내
매출규모 최대
8
猫屎..
- 1896년에 인도네시아에서 창립/2010년 중국 진출
- 현재 베이징, 상하이, 광둥 안후이 등지에 100여개 가맹점운영
- 매월 3~5개 가맹점 가입
9
.索米.
..
- 2002년 중국 광둥성 동관시에 창립
- 동사는 어우디(.迪)외식업 그룹 산하의 유명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 하나
- 2002년 중국 커피시장에 정식 진출
- 중국 20여 개 성에 300 여개 가맹점 운영
- 2000년 국제인증, 2003~2013년 연속 '중국수출입상품교역회
(中..出口商品交易.) 공급상으로 지정
10
漫..
- 2012년 중국 베이징에 1호점 개설
- 독특한 매장 분위기(친자연, 클래식, 낭만)가 중국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타서 인기를 끌고 있음
- 함께 모여 한담을 나누는 친구, 가족 타킷 설정
- 차나 커피 등의 음료와 디저트 위주로 제공 판매.
중국 1,2,3선 등 30여개 도시에 130여개 가맹점 운영
자료원 : 中.十大品牌. (www.china-10.com) / ’16. 10. 4일 기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경영방식) RET 중국상업부동산연구센터에 따르면 미국, 유럽, 한국계 커피전문점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경영 및 확장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임
- (유럽 및 미국계) 커피전문점 설립시 여러 개의 재단이 공동으로 출자하는 방식으로
막대한 자금 흐름이 형성돼 빠른 속도로 확장이 가능
·유럽, 미국계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직영 비중은 92%에 달함
- (대만계) 몇 개 큰 구역의 대리권 분할 후 수 십개의 대리상이 계속해서 산하 분할
구역을 설치하며 가맹 유치를 하는 방식으로 확장해 나감
·이러한 방식은 관리문제, 대리권 분쟁, 식품기준 불일치 등의 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음
·대만계 커피전문점은 직영은 8%에 불과, 가맹은 87%임
- (한국계) 한국계 커피전문점은 위의 두 부류의 커피전문점 확장 방식과는 달리 확장
과정에서 각기 다른 경영방식을 잘 따져보며 선택함
·직영과 가맹의 비중은 각각 19%와 60%이며, 나머지 21%는 공동 경영, 즉 관리측과 가맹점
이 공동으로 경영하며 양측이 주주권을 나눠갖는 방식임
12개 커피전문점
프랜차이즈 브랜드별
경영방식
직영
가맹
공동경영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
上...
猫屎..
太平洋
..
.世家
星巴克
...
豪.斯
..
MANGO
SIX
.物.
..
漫..
..陪.
100
100
100
10.6
63
85
67
83
44
96
85
34
89
66
46
37
33
17
15
15
10
0.4
4
자료원 : RET 중국상업부동산연구센터(睿意德中.商.地..究中心)
조기 교육시장
■ (시장환경) 전 세계적으로 유아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중국 정부와 가정에서도
조기교육에 투자와 관심을 갖게 됨
- 특히 2016년 1월 1일부터 전면적으로 두 자녀 정책을 실시함에 따라 향후 중국에서
교육서비스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임
- 중터우구원(中投..)은 ‘2016~2020년 중국 유아교육시장 투자분석 및 전망 예측
보고’에서 현재 교육산업은 시장이 크며 발전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언급
·중국의 0~6세 유아 수는 현재 1억 800008명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0~3세는 7000만명,
매년 신생아는 2000만명, 이 중 도시인구는 600만 명 이상임
·방대한 기초교육, 안정적인 성장 및 혁신은 유아교육이 견실하게 뿌리내리는데 기초가 됨
·특히 중국의 ‘望子成.’09 전통적 관념은 유아교육시장 발전의 강력한 원동력이 되고 있음
- 신랑(新浪) 포털사이트 조사에 따르면, 교육비용 연간 지출액 1만 위안 이상이
21.6%, 0~6세 영아 교육비가 가정수입의 30% 이상을 차지
·특히 디지털 전자기기의 사용 비율이 증가했는데 영아 조기교육시장만으로도 최소한
2014년 1만 위안, 2015년에는 약 2만 위안 규모임
- 현재 조기교육은 중국 1~2선 도시에서 상당히 보편화
·1선 도시의 경우, 도시당 평균 50여 곳의 조기교육센터 설립, 베이징, 상하이 등은 이미
100곳을 넘어 이미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한 조기 교육 서비스 체계가 구축된 사태임
·하지만, 조기교육기관은 소프트 및 하드웨어 시스템, 강사진, 교재에 이르기까지 아직 제대로
정해진 기준이 없고 기관마다 수업료와 강의수준이 천차만별임
■ (전망) 조기교육은 발전 가능성이 큰 고 수익률 산업임
- 현재 중국 조기교육산업에 대한 투자는 적기로 판단. 과거 10 여년 동안
조기교육산업은 매우 안정적인 추세로 발전
·두 자녀 정책 실시와 부모들의 조기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 등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
잡지 못할 정도 비약적인 발전을 보임
·중국 프랜차이즈 경영협회에서 발간한 ‘2012년 프랜차이즈 산업 투자환경 조사보고’에
따르면 아동 조기교육서비스는 3년 연속 발전 가능성이 가장 큰 고수익률 산업으로 평가됨
·현재 중국 조기교육시장은 아직 20% 정도 개척된 상태이며, 향후 10년 중국 3선 도시와
현급 도시까지 영역 확대 전망
- 실제 2016년 7월 9일~11일까지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 프랜차이즈 전시회에서
교육관련 프랜차이즈 부스가 서비스부문의 36.2%를 차지, 조기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08
재5차 인구조사 결과
09
자녀들이 훌륭한 인물이 되기를 바라는
의미를 지닌 중국의 사자성어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순위
브랜드명
내용
로고
1
大..
- 2001년 설립 / 중국 본토 유아교육 프랜차이즈
- 유아교육 프랜차이즈, 교육자문, 강사교육, 교육자재 개발
- NAEYC 전미유아교육협회, 싱가포르 국립유아 교육협회,
대만 유치원교육협회 등과 협력
- 2012년 중국 120대 프랜차이즈 영유아 교육부문에서
1위로 선정
2
...
- 1998년 설립 / 중국 본토 아동교육 저명 브랜드
- 중국 최대 규모의 0~6세 전문 종합적인 교육기관
- 아동 재능개발, 소형 아동오락서비스, 심리자문, 문구용품,
공예 및 미술품, 판매 등
3
.方..
- 1998년 설립 / 0~36개월 영아 교육 전문 기관
- 매주 13만 가정에서 동팡아이잉의 영유아 조기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음
- 세계위생기구, 미국PA중심, LAMAZE국제조직, Musikgart
en 등 세계 유수기관과 협력으로 교육프로그램 개발
4
GYMBOREE
金..
- 1976년 설립(미국) / 2003년 중국 진출
- 미국 아동발달 전문가의 이름을 딴 브랜드로 전 세계
가정에 사랑과 관심을 전달을 모토로 조기교육, 가정교육,
아동복 및 액세사리, 놀이 프로그램 분야에 집중하고 있음
- 현재 중국 내 1,300여개 도시에 조기 교육센터 200 여 곳,
아동복점 200 여 곳을 운영 중
5
MyGym
美吉姆
-1983년 미국에서 설립 / 2009년 중국 진출
- 0~6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 및 정서, 체력발달 향상집
중. 현재 전 세계 31개 국가에서 3,000개의 교육센터 운영
- 중국 내 161개 교육센터 운영
6
COMBABY
新..
-중국 몬테소리 조기교육의 대표 브랜드
- 1907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설립
- 아이들이 괴로운 전통교육에서 탈피,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에서의 학습으로 성공적인 인생 영위 목표
- 2003년 중국 진출, 300개 교육센타 운영
7
VINCI
..袋鼠
- 1982년 미국에서 설립 / 미국 VINCI 교육 산하의 중국
최초 뇌과학 기초 계몽교육 브랜드
- 0~8세 아동의 심신, 지능 발달 교육시스템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다롄 등 1~2선 도시에 약 70여개
교육센타 운영 중
8
小太.
- 1989년 설립 / 중국 본토 브랜드
- 유아교육, 경영관리, 교사육성 등 일체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하는 유아교육 프랜차이즈
9
MTSR
- 2008년 중국 상하이에 설립
- 중국내 몬테소리 교육 연구, 확산 및 몬테소리 교육영역을
포괄
- 2019년 상하이 엑스포에 전시관 설치
- 2015년 상하이 증시 상장
10
.在起点
-2001년 Elite Baby 능력조기 연구원 설립
- 능력조기교육 커리큘럼과 14CE 교육 시스템 개발로
0~6세 아동에게 연령별 원스톱 조기교육 실시
- 2008년 미국 교육계의 거두인 McGraw-Hill의 전략적
협력 파트로서 전세계와 동시에 영어교육 시스템 구축
조기교육 10대 브랜드
자료원 : 中.十大品牌.(www.china-10.com) / ’16.10.4일 기준
아동 사진촬영
■ (시장현황 및 특징) 2020년까지 아동 사진촬영 시장 두배로 커질 듯
* 중국인상섭영학회(中國人像攝影學會) 발표 자료
- ’15년 기준, 중국 아동 사진촬영 산업 규모는 569억 위안으로 추정
- 아동 사진촬영 산업의 최근 5년 연평균 성장률은 15%이며, 2020년 아동 사진촬영
시장은 현재 대비 2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아동 사진촬영 대상은 일반적으로 영유아에서부터 10대의 어린이이며, 유아 및
미취학 아동의 촬영비중이 가장 높음
■ 다른 사진촬영 분야보다 마진률이 높으며, ‘중복 소비’가 특징
- 아동촬영은 웨딩촬영이나 예술촬영에 비해 이윤율이 높으며 중국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경우에 따라 최대 50%까지의 마진도 가능
- 중국 아동 사진촬영 마진률이 높은 까닭은, 아동촬영은 기타 사진촬영에 비해 의류,
화장품, 액세서리 등에 대한 지출이 적고 웨딩 및 예술 촬영에 비해 아이의 기념촬영에
돈을 아끼지 않으려는 심리가 있기 때문임
- 높은 마진률 외에 아동 사진촬영은 자녀의 출생 혹은 임신부터(요즘은 임신기부터
기념사진을 남기는 경우도 많음)성장 시기별 촬영을 진행하는 ‘중복 소비’의 특성도 지님
- 즉, 웨딩촬영처럼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경우 아이의 성장에 따라 성장 단계별 촬영이 지속됨을 의미
■지역별로는 중국 화둥지역이 23.7%로 아동촬영 산업이 가장 발달
- 화둥지역은 중국에서 경제가 가장 발달한 지역으로, 소득 수준이 높으며
해외 트렌드에 가장 민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중국 지역별
아동 사진촬영 발달 현황
[단위: 분포율 (%)]
기타지역
13.34%
둥난지역
8.02%
화베이지역
15.64%
화난지역
15.53%
시베이지역
4.88%
시난지역
18.94%
화난지역
23.65%
자료원: 시엔뤼에컨설팅(先略咨詢)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해외 및 중국기업 경쟁동향) 중국 아동 사진촬영의 시장잠재력을 타겟팅한 해외기업
및 로컬기업들의 중국시장 진출 활발
- 독일의 100년 브랜드 FACE MEMO는 고급 아동 사진촬영의 대표기업 즈마카이먼
(芝麻開門)과 협력, 2012년 6월 중국 시장 진출
- 홍콩의 유명 아동 사진촬영 브랜드인 미로이(milloy, 米洛伊)는 2014년 8월 정식으로
중국 시장 진출
- 이외 중국의 관련기업들이 해외 브랜드와 손잡고 국내 시장공략을 확대하거나,
단독으로 시장 개척을 진행하여 관련 기업 경쟁도 치열한 상황
- 중국 상무부 통계에 의하면 2014년 기준 중국은 아동 사진촬영 기업이 약 1만 1,900개에
달함
- 통상 아동 사진촬영은 1, 2선 도시에서 일정한 시장을 확보한 이후 3, 4선 도시에
체인점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추세
브랜드명/본사
특징
국가
金色童年
/지난(濟南)
현재 785여 개의 체인점 운영 중, 중국에 약 1000만 명의
회원고객 확보
중국
愛.美
/베이징
현재 600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매년 약 100만 건에 달하는
아동 사진촬영 서비스제공
중국
漂亮.貝
/뤄양(洛.)
현재 521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야외와 실내촬영 등 다양한
컨셉의 서비스 제공
중국
大..
/우한
현재 363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컨셉이
특징
중국
小鬼.佳
/베이징
현재 237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디즈니와 합작해 다양한 컨셉
연구 개발
중국
芝麻開門
/상하이
현재 219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중국, 대만, 유럽시장 위주로
진출
대만
皇家.貝
/베이징
현재 198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고급스러움과 황실 이미지
추가 등 다양한 컨셉의 사진 제공
홍콩
貴族天使
/선전
현재 184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중국, 유럽, 한국, 일본 등
여러 나라 스타일로 촬영
중국
格林童趣
/베이징
현재 152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총경리 위잔궈(于占國)는
아동촬영위원회의 부비서장
중국
芭迪
/베이징
현재 128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 중, 연예인 자녀들을 위한 서비스
특화
중국
중국 아동촬영 사진관
현황
자료원: 신화망(新華.), KOTRA 항저우 무역관
■ 한국식 컨셉 인기
- 중국 내 한국식 컨셉 촬영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음
- 중국 각종 포털사이트 및 사진관련 사이트에서 ‘한국식 아동 촬영(韓式兒童攝影)’
관련 내용 및 서비스 홍보를 어렵지 않게 찾을수 있음
-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구미식, 북유럽식, 한국식 중 최근 아동 사진 촬영 트렌드는
한국식 사진 촬영으로 많은 부모들이 한국식을 선택
한국식 아동촬영 관련
바이두 검색결과
자료원: KOTRA 베이징무역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미용서비스
■ (시장현황) 2014년 미용산업의 총 생산액은 8,5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함
- 현재 중국의 미용산업은 주로 성형 다이어트, 네일아트, 헤어, 화장품 등의
세부 시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최근 몇 년간 세부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그 중 성형위주의 의료 미용산업과 화장품 산업의 성장이 특히 두드러지는 가운데 중국
마스크팩의 판매량 규모는 2014년 기준 250억 위안에 달해 전년대비 25% 성장하며
미용산업에서 성장속도가 가장 빠른 상품으로 자리매김함
- 중국의 미용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오고 있으나 여전히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
· 마스카라 시장을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 연평균 마스카라 3자루의 마스카라를 소비하고,
브라질은 5자루를 소비하는데 비해 중국의 경우는 0.5자루에 불과함.
·중국 미용산업 조사 분석에 따르면 미용산업 소비자는 주로 젊은층과 중년층으로 특히
31~40세 연령층이 전체의 40%를 차지함
·현재 과학기술의 지속 발전 및 정밀 화공, 바이오 과학기술, 재료과학의 발전 및 세포과학 등
이 피부의학과 접목됨에 따라 미용산업도 점차 과학용 산업으로 발전되고 있음
- 지역별로 보면, 최근 중서부내륙의 소비가 향상됨에 따라 미용 전문 사업자들이
1선 도시에서 점차 2선으로 매장을 늘려나가고 있는 추세임
·향후 5년 간 관련 산업의 공급자와 유통업자, 매장 인수합병, 위탁관리 등의 통합이
산업확장의 중요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됨
■ (프랜차이즈 가맹사업) 미용산업 프랜차이즈업은 최근 떠오르는 창업방식임
- 미용산업의 가맹점 폭발적인 성장이 보여주듯이 향후 미용산업은 프랜차이즈 사업
방식이 유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프랜차이즈 가맹 시스템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창업방식으로 진입 장벽이 낮으며
일반적으로 80만~90만 위안으로 매장 설립이 가능함
- 또한 일정 지역내 집중적으로 지점을 내는 집중화 방식은 다수의 지점이 브랜드의
지지대 역할을 하며, 해당 지역 내에서 높은 인지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동시에 적은 마케팅 비용에 비교적 큰 홍보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는 곧 바로
경제적 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음
순위
브랜드명
내용
로고
1
自然美
- 1972년 대만에서 설립, 1994년 중국 진출
- 바이오 과학기술 천연피부 미용 브랜드
- 대만, 중국, 홍콩 등 ‘자연미 SPA’ 생활관 설립
- 2010년 '..健康; 에서 최고 헬스미용센타'로 선정
2
CHLITINA
克..娜
- 1989년 대만에서 설립, 1997년 중국 진출
- 중국내 최대 미용프랜차이즈 브랜드
- 29개 성, 시에 4,000여 개의 가맹점 운영
- 2013년 대만 증시 상장, 최초 대만 증시 상장한 중국
프랜차이즈 미용센타
- 2015년 국가공상총국으로부터 중국 저명 브랜드 인증서
획득
3
琪雅
- 1990년 설립/ 중국 본토 브랜드
- 중국 전역에 100여 개 분점, 5,000여개 가맹점 운영
- 최근에는 광둥성 저명브랜드, ‘중국신뢰 경영시범단위’ 평가
-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브랜드중 하나로 선정
4
SIYANLI
思..
- 1996년 베이징에 제 1호점 오픈
- 중국 48개 지역에 50여 개 매장 운영
- 프랑스의 고품질 피부 보호제품 사용
- 한국 기업과 합작으로 첨단 피부노화방지 기술연구에
투자. 닥터 바이오(Dr. Bio) 제품 생산 중
5
MBEAUTY
.好漂亮
- 1992년 홍콩 창립, 2006년 중국 진출
- SPA, 모발관리, 손톱관리, 이미지설계 등 일체 서비스제공
- 베이징, 선전, 상하이 등 5성급 호텔에 최초 미용원 개설
6
朝.美容
- 2003년 홍콩, 중국 난징에 동시 설립
- 미용, 두발 프랜차이즈 서비스, 화장품 생산 및 판매, 미용
기술 교육 서비스
- 장쑤성 난징 저명브랜드, ISO9001 국제 품질시스템인증
기업으로 선정
7
ISMILE
伊美娜
- 2001년 설립 / 중국 본토 브랜드
- 주로 프리미엄 미용분야 개척, 화장품 개발 및 생산 판매
- 다롄, 상하이, 베이징, 선양, 우루무치, 시닝, 칭다오,
하얼빈 등 30 여 곳에 가맹점 운영
8
BAONA
..
- 1991년 중국 진출
- 중국 화난지역의 가장 영향력 있는 미용 프랜차이즈
- 현재 1000 여개의 우수한 미용사 및 미용 고문을 두고
13만 여 회원 관리
- 매년 2000여명의 미용사를 육성, 해외 및 중국전역에 배치
- 미용계 황포 군인학교로 칭해지고 있음
9
SamunLisa
莎蔓莉莎
- 2004년 설립 후 1년 만에 100 여 가맹점 모집. 3년 후에
500개에 달함
- 현재 중국 88개 도시에 1000여 개 가맹점 보유
- 중국 우수 서비스 미용원으로 선정
10
芳子美容
- 1997년 중국 광둥성 선전에 오픈
- 산둥성 저명 브랜드로 등록
- 56개 직영, 프랜차이즈 미용센타 운영
미용업 10대 브랜드
자료원 : 中.十大品牌.(www.china-10.com) / ’16.10.4일 기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세탁전문점
■ (시장현황) 해외 브랜드, 중국 본토 브랜드를 막론하고 1990년 대 중반 후반부터
가맹점 형식으로 매년 약 1,000개의 매장이 신설되고 있음
- 중국 상무부가 "12.5계획기간 진일보한 세탁업에 관한 지도의견(管于十二无期..
一步.展洗染.的指.意.)"발표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오고 있음
-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2014년 말 누계 기준 중국의 세탁업체가 2013년 79,576개에서
2014년 85,488개로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이 중 규모이상 기업이 2013년 7,623개에서 2014년 11,361개로 49% 증가했고,
규모 이하 기업이 2013년 71,953개 기업에서 2014년 74,127개로 3% 증가함
- 세탁업 매출 구조를 보면 생활의류 세탁서비스가 중국 세탁업 매출액의 51%를 차지
·이중 생활의류 세탁업 체인점과 경영규모가 비교적 적은 독립점과 인터넷을 통한 세탁업
서비스업이 생활의류 세탁서비스 영업액의 39%와 16%를 각각 차지
- 발전 초기 퇴직자 창업이 세탁 가맹점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세탁 가맹점 창업이 늘고 있음
·FRONET(福奈特), WALTER(威特斯), GEP, COBBER(.柏) 등의 세탁 브랜드들은 전국에
천 여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젊은 창업자의 비율이 90% 이상임
- 현재 중국의 세탁 산업은 크게 3종류로 분류됨
·지역사회 일반 세탁 : 주민 거주지를 중심으로 분포, 세탁 전문점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일반 옷가지와 가정용품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함
·기능성 전문 세탁 : 호텔, 철도 병원, 항공, 군대 등 규모가 큰 기업의 세탁 업무를 담당
,
최근 서비스 기능이 강화되면서 시장 규모도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음
·기타 세탁산업의 파생 산업으로 방직품 및 의류의 부분염색, 탈색, 수선 등이 있음
순위
브랜드명
내용
로고
1
FORNET
福奈特
- 1997년 베이징에서 창립
- 중국 최초 프랜차이즈 운영 세탁 전문점
- 중국 상무부 제1 프랜차이즈 등록기업, 유럽 국제직물
보호위원회 회원
- 중국 31개성, 자치구 200 여개 성에 700여개 가맹점
운영
- 500 여개 가맹점 25%가 제2,3의 점포를 개설
2
象王
- 1979년 대만에서 창립
- 2005년 12월, 상하이 공상행정관리국으로부터
'상하이시 저명브랜드'로 인정
- 2010년 상하이 엑스포 후원 이후 수요급증에 대응
선진화된 세탁전문 공장 가동
- 베이징, 상하이, 텐진, 광둥, 푸젠 등 20여개 지역에
가맹점 운영
3
ilsa
伊..
- 이탈리아 브랜드로 1996년 중국 진출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후원 세탁 전문점
- 중국 전역에 10여개 직영점과 100여 개 성시에
500 여개 가맹점 운영
세탁전문점 10대 브랜드
4
Sunway
..
- 1994년 상하이에서 창립
- 드라이크리닝 선두 브랜드
- 2016년 현재 중국 전역에 12,000개 가맹점, 15개
분공사 보유, 시장점유율 중국 1위
5
DONNAYCH
布.奇
- 2011년 쓰촨성 청두에서 창립
- 중국 28개 성, 직할시에 가맹점 운영
- 중국 세탁전문프랜차이즈 3위 랭크
- 2012년 ISO9001품질인증 획득
6
cobber
.柏
- 1883년 독일에서 창립, 2002년 상하이 진출
- 상하이 세탁 전문 저명 브랜드
- 독일cobber 세탁국제그룹의 중국 내 유일 인가업체
- 2016년 현재 500 여개 가맹점, 직영점 운영
7
KANGGEL
康.
- 1989년 중국 허난성 정저우에서 창립
- 중국 1,200개 세탁 전문 가맹점 운영
- ISO9000 품질시스템인증서 최득 획득
8
正章干洗
- 1985년 선전에서 창립
- 선전중항부동산, 상하이 정장실업공사, 선전 상하이
호텔 3개사가 공동 출자로 설립
- 선전에만 200여 개의 가맹점 소재
9
GEP
基伊匹
- 2001년 상하이 설립
- 미국GEP의 중국내 유일 인가기관
- 중국 세탁업 프랜차이즈 중 최초 증시 상장
10
EBJ CLEANER
衣.店
- 세탁 중앙공장, 옷 수선전문점 비즈니스 모델로 채택,
잠재력 갖춘 세탁 프랜차이즈기업이라 할 수 있음
- 최근에는 세탁업 O2O선두주자인 ‘e袋洗’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체결, 신 마케팅 방식으로 고객 유치
자료원 : 中.十大品牌.(www.china-10.com) / ’16.10.4일 기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 반려동물 용품시장
■ (시장규모) 거우민왕(狗民.)의 통계에 따르면 2014년 중국 반려동물 산업의
소비규모는 719억 위안에 달했고, 2016년 최초로 1,000억 위안을 2020년에는
2000억 위안까지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중국은 방대한 인구로 인해 1인당 평균 반려동물 보유량의 성장 가능성도 큼
·현재 중국의 반려동물 중 개·고양이의 총 수량이 약 8,550만 마리로 세계 2위이나
1인 평균 개·고양이 보유수는 0.06마리 밖에 되지 않으며 이는 미국의 12.5%에 지나지 않음
·2014년까지 중국 일반 가정의 7%만이 반려견을 갖고 있었고, 2%가 반려묘를 갖고 있었음.
이에 반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미국은 36.5%의 가정집이 반려견을 30.4%가
반려묘를 소유하고 있음
- 90년대 생 세대(지우링허우)의 사회 진입 및 경제적 능력의 향상에 따라 향후 몇 년
내 중국 반려동물 보유 가정의 비중은 대폭 상승할 것임
’04~’14년
중국 반려동물산업
소비규모 및 증가속도
소비규모 (억 위안)
동기대비 성장(%)
800
70
60
50
40
30
20
10
0
600
400
200
0
규모
(억 위안)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성장율
(%)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망/ KOTRA 상하이무역관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0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2019(E)
2020(E)
연도별 반려동물
시장규모 예측치
1568.0
1306.7
1088.9
907.4
756.2
630.1
525.1
437.6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망/ KOTRA 상하이무역관
- 특히 경제 성장과 개방 속도가 빠른 대도시를 위주로 대중들의 인식 수준이 올라가면서
관련 소비 증가의 욕구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
·거우민왕(狗民.)이 발표한 '2015년 중국 반려동물 주인 소비행위 보고'에 따르면 현재
중국 내 99.8%의 반려동물 주인이 자신의 반려동물을 위해 비용을 지출하며, 대략 절반의
사람들이 월평균 100~500 위안 정도의 지출을 함
·중국인의 전국 평균 월소득은 대략 6,000위안으로 이는 매월 반려동물에게 소득의 10%
가까이 투자한다는 의미임
·중국 내 반려동물 소비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사육의 개념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주인의
94.6%가 전용식품을 구매하고 필수품 이외의 소비도 매년 증가하고 있음
·현재 반려동물 주인 중 5.1%가 자신의 반려동물을 위한 미용, 사진 촬영 등에 비용을
지출하고 있음
60
50
40
30
20
10
0
(%)
100 위안 이내
101~500 위안
501~1000 위안
1000 위안 이상
중국 반려동물 관련
소비액
49.50
25.00
16.40
8.90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망 / KOTRA 상하이무역관
■ (품목별 인기 반려동물용품 TOP 3) 시장규모, 소비력, 제품생산력, 품질력 등
다방면에서 빠른 성장을 보이는 중국 반려동물 시장에서 주요 품목군별 인기 제품은
다음과 같음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순위
브랜드명
개발국가
개발회사
특징
1
모모총우
(摸摸.物)
중국
모모총우
(摸摸.物)
반려동물의 성장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타인들과 교류할 수 있는
사진 기능 어플리케이션임.
2
리우리우
(..)
중국
리우요우 애완동물
정보과학기술유한공사
(.友.物信息科技有限公司)
반려동물의 사진뿐만 아니라 양육
노하우과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는
반려동물 커뮤니티애플리케이션임.
2013년 리우요우 애완동물정보
과학기술 유한공사에서 출시되었음.
3
보치총우
(波奇.物)
중국
보치왕
(波奇.)
애완용품전문매장(波奇商城)과
연동되어 상품 구매는 물론
애완동물의 전반적인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애완용품
온라인 쇼핑 어플리케이션임.
2014년 08월, 애완동물종합서비스
사이트 보치왕(波奇.)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정식 출품되었음.
4
총우지아
(.物家)
중국
베이징하오탕
365과학기술유한공사
(北京昊唐三六五科技有限公司)
미용, 수영, 스파, 목용 등 원하는
애완동물 서비스를 선택 및 이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 종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O2O)임.
5
샤오페이총우
(小佩.物)
중국
샤오페이인터넷
과학기술유한공사
(小佩..科技有限公司)
커뮤니티 기능과 함께 반려견의
일상생활부터 건강상태까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고,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했을 시 전문
의료진으로부터 조언과 해결방법을
얻을 수 있는 반려동물 종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임. 2013년에 설립된
스마트 애완용품 브랜드
샤오페이총우에서 출시되었음
반려동물
인기 애플리케이션
주 : 페이샹샤자이(각종 스프트웨어 다운로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반려동물 관련 앱
다운로드 수 기준
자료원 : 다운로드 건수 랭킹을 바탕으로 KOTRA 상하이 무역관 조사
순위
브랜드명
개발국가
개발회사
특징
1
웨이스유칼슘정제
(.仕乳.片)
중국
웨이스
(.仕 /Nourse)
천연 우유 단백질을 함유한 알약형
고칼슘 영양제
2
Innopet 애완동물양유분말
(.物羊.粉)
독일
InnoPet
탈지양유분, 단백질, 비타민, 칼슘 등
을 함유한 양유가루분말
인기 영양제품
3
메이쯔위엔유칼슘정제
(美滋元乳.片)
중국
메이쯔위엔
(美滋元)
칼슘, 우유단백질 카세인(CPP),
비타민D3 등이 함유된 알약형
영양 보충제
4
웨이스영양겔
(.仕..膏)
중국
웨이스
(.仕 /Nourse)
비타민D, 비타민E, 아연, 철분 등이
함유된 제형 종합 영양 보충제
5
웨이스종합미량영양소
(.仕.合微量元素片)
중국
웨이스
(.仕 /Nourse)
아연, 철 등 체내에 필요한
미량영양소를 함유한 알약형
종합 영양보충제
주 : Tmall 기중 2016년 8월 월 판매량 상위 5개 (6000건 이상)제품
자료원 : 판매량 기준 Tmall 랭킹을 바탕으로 KOTRA 상하이 무역관 조사
순위
브랜드명
개발국가
개발회사
특징
귀청결제
1
샤오총귀청결제
(小..耳舒)
중국
샤오총
(小.)
귀해충 및 진드기 제거, 귀염증
방지, 귀지 및 악취제거 기능을
갖춘 액체형 귀청결제
2
보보애완동물이어파우더
(波波.物拔毛粉)
중국
보보
(波波/BOBO)
귀털 제거 및 향균소염 기능,
귀내 건조방지 기능을 갖춘 가루형
귀청결제
구강 청결제
1
웨이총구취제거
구강향균스프레이
(..抑菌除臭口腔..)
중국
웨이총
(..)
세균 억제, 구취 제거, 치석 방지,
구강질환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진
스프레이 분사형 구강 청결제
2
애완동물구강청결제
(.物漱口水)
미국
AFP
(All for Paws)
플라크 및 치석 예방, 구강궤양
방지, 구취 제거 등의 기능을 가진
구강 청결제
3
바샤푸구강청결제
(巴沙夫漱口水)
중국
바샤푸
(巴沙夫/BASAFU)
세균 억제, 구취 제거, 치석 방지,
구강질환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진
스프레이 분사형 구강 청결제
애완동물 인기 청결제품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눈 청결제
1
셩루웨이
애완동물향균안약
(.物抗菌滴眼液)
영국
셩루웨이
(SALOGE/.路薇)
눈물 자국 제거, 각막염·결막염 등
염증 예방, 살균, 소염, 향균 등의
기능이 있는 액체형 안구 청결제
2
신총즈캉
애완동물안구세척액
(.物洗眼液)
중국
신총즈캉
(新.之康)
각막염·결막염 방지, 눈물자국
제거, 트라코마 예방, 눈곱 및
다래끼 제거 등의 기능이 있는
액체형 안구 청결제
주 : Tmall 기중 2016년 8월 월 판매량 상위 제품
자료원 : 판매량 기준 Tmall 랭킹을 바탕으로 KOTRA 상하이 무역관 조사
순위
매장이름
매장위치
영업시간
매장정보
1
.多.
(889..店)
上海市.安.万航
渡路889...889
商...B1.
10 : 00
-
22 : 00
1976년에 설립된 미국의
Petland 애완용품 판매 및
미용 전문 매장으로 2008년
상하이에 출시되었음.
(프랜차이즈)
2
派多格
上海市.浦.高.
路818.派多格.物
10 : 00
-
21 : 00
2006년에 설립된 애완용품 판매
및 미용 전문매장임.
(프랜차이즈)
3
傲雄...物
上海市徐....
院路14.一.
09 : 00
-
20 : 00
애완용품 판매 및 미용 전문점임.
(프랜차이즈)
반려용품 전문매장
자료원 : 판매량 기준 Tmall 랭킹을 바탕으로 KOTRA 상하이 무역관 조사
■ (박람회) 2016년 아시아 반려동물박람회가 상하이에서 개최됨
- 전시면적이 총 7만2000㎡의 규모로 전년도 규모인 5만 500㎡보다 Hall 한 구역의
규모가 증설될 만큼 참가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참가 기업 역시 전년대비 100여 개 기업이 증가했으며, 8월 21일 폐막집계 기준으로
약 40만 명의 참관객이 방문함
박람회명
제19회 아시아 반려동물 박람회 (PET FAIR ASIA 2016)
개최기간
2016년 8월 18~21일(4일간)
개최연혁
1997~2016년(19회)
개최장소
상하이 엑스포시장(上海世博展..) Hall 1,2,3,4
개최규모
800여 개 기업, 7만 100㎡ 면적
전시품목
반려동물용 장난감, 의류, 캐리어, 목줄, 가구, 식기류, 배변패드, 사료 및 간식,
영양제, 반려견LED밴드, 반려견GPS
홈페이지
전시회 개요
자료원 : 아시아 반려동물 박람회 홈페이지
한국관 Floor Plan 및
전경
자료원 : KOTRA 상하이무역관
업체명
소재지
주요 전시품목
볼레디
서울
반려동물용 장난감(볼슈팅)
케이왕
서울
강아지 의류, 가방 등
조앤강
성남
한방 간식 및 사료
에이티바이오
경기도 포천
반려동물용 간식 및 사료
쿠나이앤티
서울
반려동물용 샴푸
네오팝
인천
반려견 밴드 (LED 스크린 입력)
우리가제약
성남
반려동물용 영양제
하나산
경기도 파주
반려동물용 목재가구
스코캇
경기도 고양
반려동물용 목재가구
한국관 참가업체 현황
자료원 : KOTRA 상하이무역관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03
한국의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 현황
시장진출 현황 및 특징
현황 및 특징
■ 산업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프랜차이즈 브랜드 진출 중 중국이 75.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중국
필리핀
싱가포르
미국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캐나다
U
A
E
호주
몽골
캄보디아
사우디아라비아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
뉴질랜드
바레인
2014년 우리기업의
해외 진출 프랜차이즈 국가
현재 해외 진출 중인 브랜드가 있는 가맹본부(n=54) [단위 : % / 중복 %]
75.4
21.1
19.3
19.3
17.5
15.8
15.8
14
8.8
8.8
5.3
5.3
5.3
5.3
3.5
3.5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자료원 : 2015년 프랜차이즈 산업 실태조사(산업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 중국 진출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 도시별로 보면 상하이에 55.0%로 가장 많이 진출해
있으며, 그 다음이 베이징 40.0%, 칭다오 37.5%순으로 나타남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중국
필리핀
싱가포르
미국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캐나다
U
A
E
호주
몽골
캄보디아
사우디아라비아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
뉴질랜드
바레인
현재 해외 진출 중인 브랜드가 있는 가맹본부(n=40) [단위 : % / 중복 %]
프랜차이즈 중국 도시별
진출 현황
75.4
21.1
19.3
19.3
17.5
15.8
15.8
14
8.8
8.8
5.3
5.3
5.3
5.3
3.5
3.5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1.8
자료원 : 2015년 프랜차이즈 산업 실태조사(산업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주 : 2014년 기준
외식업 분야 진출 활발
■ 우리나라의 중국 진출 프랜차이즈 업종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외식업임
- 2015년 10월 말 기준 중국에서 오픈한 외식업의 매장수가 1,814개로 전년 대비
20.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국가
업종구분
대표 진출 브랜드
중국 (1,814개)
한식(육류구이)
신마포갈매기(2), 본가(16), 백정(11), 화통삼(12)
한식(찌개류)
놀부부대찌개&철판구이(17), 명동칼국수
샤브샤브(10), 참이맛감자탕(14)
한식(기타)
투다리(130), 본죽(12)
비한식(커피, 디저트)
카페베네(538), 만커피(80), 할리스커피(31),
핸드커피(21), 주커피(20), 휴롬주스카페(22)
비한식(패스트푸드)
미스터피자(100), 비비큐(54), 패리카나(14),
한스델리(16), 피자투어(70), 치르치르(20)
비한식(제고)
파리바게뜨(134), 뚜레쥬르(100)
중국 진출 외식업종 및
매장 현황
자료원: 농림축산식품부(’15년 외식기업 해외진출 조사결과 발표,’16.1.12)
- (업종별 진출현황)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진출이 이루어진 가운데, 매장수를 기준으
로 제과(뚜레쥬르 50↑, 파리바게뜨 14↑), 커피/디져트(카페베네 38↑, 휴롬 쥬스
카페 22↑, 만커피 22↑, 할리스커피 11↑), 패스트푸드(미스터피자 34↑, 한스델리
15↑), 한식(먹쉬돈나 22↑(분식), 서래갈매기 17↑, 놀부부대찌개 & 철판구이 12↑,
화통삼 11↑) 등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남
- (도시별 진출 현황) 상하이(48.4%), 베이징(43.5%). 칭다오(25.8%) 순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으나, ’14년 조사결과와 비교해 보면 베이징(52.8%→43.5%).
상하이(50%→48.4%)의 비율이 낮아진 반면, 광저우의 비중이 8.3%→17.7%로 크게
증가하였고, 2선 도시(다롄, 선양, 지린성 등)으로 진출(롯데리아, 파리바게뜨, 불고
기 브라더스)이 새롭게 나타남10
- (중국 진출 증가원인) 외식업의 중국 진출 원인으로는 ①한류 및 방한 중국인 증가에
따른 한국음식의 이해도 증가 ②오랜 준비기간 및 실패사례등 외식기업의 중국 진출
노하우 축적으로 바탕으로 한 전략적 변화
·파리바게뜨 : 진출 준비기간 6년
·롯데리아 : ’03년 전 점포 철수 후 ’08년 재진출 시 반응이 좋은 2선 도시 우선 진출
·불고기 브라더스 : 2선 도시 우선 진출 후 기반 확장
·먹쉬돈나 : 샵인샵(현지 백화점, 대형 쇼핑몰을 활용)전략 등
10
농림축산식품부(’15년 외식기업
해외진출 조사결과 발표.’16.1.12)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브랜드 (상호)
창업연도
진출연도 / 매장수
미스터피자 (MPK)
1990
’00 베이징 진출 / ’15 (100호점)
2015년 외식기업
중국 진출 사례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중국내 합자 법인 설립
- 지속적 설문 조사
- 유학생 활용 확대
- 중국법규 준수
- 메뉴 다양화
- 글로벌기업과 경쟁
- 신제품 출시 레시피 변경
- 유학생 활용 확대
- 한국적 서비스, 인테리어
파리바게뜨 (SPC)
1986
’04 상하이 진출 / ’15(134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장기간의 준비(6년)
- 현지인 채용
- 전략적 접근
- 고품질 원료 수급
- 취업비자, 교육
- 국산식재료의 운송비
- 지속적인 신상품 출시
- 현지 교육팀 양성
- IN-Shop 활용
꿀닭 (대대에프씨)
1986
’15(중국진출)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한국과 동일한 맛
- 한식메뉴 추가
- 현지 조달 식재료 품질
- 소규모 매장 허가
- 중국식 문화에 맞춘 메뉴
- 원팩소스 활용
- 입지활용, 도시락 판매
죽이야기 (대호가)
2003
’07(중국진출) / ’15(28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한국 관리자 상주
- 열정있는 현지 파트너
- 지역별 문화 차이에 따른
제품 수요 파악
- 식재료 차이에 따른 레시피
개발
- 중국 식재에 맞춘 레시피
- 매장 운영 가이드 라인
- 20~30대 여성 주타켓
- 현지 인테리어 활용
델리만쥬 (델리스)
1998
’99(중국진출) / ’15(50 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Test 매장 운영
- 현지파트너 권한 강화
- 계약서 관리/ 통제
- 현지 파트너의 역량
- 현지 파트너 권한 위임
- 제조 교육과 철저한 A/S
롯데리아 (롯데리아)
1979
’94(중국진출) ’08(현지법인) / ’15(16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소비자의 반응이 좋은 지역의
안정화 이후 지역 확대
- 현지 법인 활용
- 매장 간 거리가 멀어 물류비용
부담
- 글로벌 기업과 경쟁
- 현지 입맛 반영 신제품
- 본사 인력 파견
- 긍정적인 곳 우선 공략
먹쉬돈나 (빅바이트F&B)
1996
’12(중국진출) / ’15(30 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백화점내 입점
- 백화점 서비스 시스템 활용
- 한국과 동일한 조립법
- 카피 브랜드의 등장
- 경쟁업체 견재
- 세무조사
- 초기자금의 활용한계
- 한국과 동일한 퓨전 떡볶이
- 본사와 계량기구 통일
- 백화점 임대 적극 활용
서래갈매기 (서래스터)
2007
’13(중국 진출) / ’15(30 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고급화 전략으로 차별화
- 미스테리 쇼퍼 시행 관리
- 외국기업에 대한 차별
- 지역별 상이한 제도 문화
- 고급화, 현지 매니저
- 미스테리쇼퍼 활용
브랜드 (상호)
창업연도
진출연도 / 매장수
뽕뜨락피자
(웰빙을 만드는 사람들)
1992
’14(중국 진출) / ’15(3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고품질 식재료 조달
- 차별화된 본사 교육
- 현지 정보 부재
- 한국산 식재료 사용 한계
- 현지 조리법 개발
- 현장에서 반죽, 조리
- 매장별 맞춤 교육
- 한국적 인테리어
불고기 브라더스
(이티앤재우수)
2006
’13(중국 진출) / ’15(3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오픈전 한국에서 오너 및
매니저 교육실시
- 2선 지역 우선 진출
- 100여 가지 메뉴 준비
- 지역내 문화적 차이
- 통관 서류 절차
- 100여 개 메뉴중 오너가 직접
메뉴 선택
- 한국에서 교육 진행
- 한국적 분위기 강조
본스치킨 (정명라인)
1996
’09(중국 진출) / ’15(12개 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조각 단위 치킨 판매
- 지역 제한으로 관리 강화
- 현지 파트너의 권한 강화
- 본사 역량(시스템) 구축
- 현지시장 정보
- 조각 단위 치킨 판매
- 한국과 동일한 맛
- 퓨전화된 메뉴 개발
커피니 (커피니)
2009
’12(중국 진출) / ’15(4개)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현지인에 맞는 메뉴
- 중국 법인에서 교육
- 한국과 동시 성장 추구
- 구체적인 계약서 작성
- 불명확한 행정 처리
- 매장별 자율 메뉴 개발
- 현지 교육 강화
- 현지 인테리어 활용
안동찜닭 (코푸)
2006
’13(중국 진출) / ’15(8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좋은 입지 선택
- 한국과 동일한 맛
- 멘토 및 가이드 부재
- 중국 매장 관리
- 현지인과 동일한 레시피
- 자율적 본사 교육 지원
- 유동성 높은 상권 공략
- 현지 파트너의 인테리어
할리스커피
(할리스 F&C)
1998
’13(중국 진출) / ’15(31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중국내 자체 감사 육성
- 소비자 중심 현지 레시피
- 구두계약 경계
- 한국식재료 비용
- 현지 맞춤 레시피
- 현지 직원활용 관리
- 한국과 같은 인테리어
화로사랑 (화로사랑)
2002
’07(중국 진출) / ’15(4매장)
성공키워드
주의 / 애로사항
진출전략
- 조리과정 공개로 흥미 유발
- 한국적인 맛과 인테리어
- 주말 이벤트로 젊은층 공략
- 현지 직원의 낮은 생산성
- 구체적인 계약서 작성
- 한국과 동일한 레시피
- 현지직원 상세 교육
- 이벤트로 충성도 제고
자료원: 농림축산식품부(’15년 외식기업 해외진출 조사결과 발표,’16.1.12)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교육시장 겨냥 진출 준비 활발
■ 2015년 중국 미취학 아동 보급률, 즉 조기교육 실행 비중은 약 70%, 이는 다양한 교육
상품을 수용하고 진입할 수 있는 시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
- ’20년 미취약 아동 보급률은 84%에 이를 전망
■ 특히 최근 중국 가정의 인터넷 사용자 확대, 스마트폰, 태블릿PC 사용자 증가로 교육
애플리케이션 및 온라인 교육시장 빠르게 성장
- 아이리서치(iResearch)에 따르면 2015년 중국 e-러닝 시장규모는 1,192억 위안에 도달
- 특히,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阿里巴巴)와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淡馬錫控股公司) 등이 포함된 투자자그룹이 중국 인터넷 영어교육업체 튜터그룹에
총 6억2591만 위안(미화 약 1억 달러)을 투자
- `뿐만 아니라 알리바바(阿里巴巴) 그룹은 2013년 ‘타오바오통쉐(淘.同學)’라는
e-러닝 채널을 오픈했으며 상하이, 베이징, 선전, 광저우 등의 소비층을 대거 확보,
매출 약 10억 위안
■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도 2016년 1월 1일 부 두자녀 정책 전면 실시로 조기교육시장
확대 가능성과 최근의 e-러닝 확대 추세에 맞춰 중국 맞춤식의 교육시스템으로 중국
진출을 준비하고 있음
■ 중국내에서 아직 프랜차이즈 확장 단계까지는 아니나, 교육 콘텐츠, 과학적인 시스템
등 타 기업과의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지 기반을 구축할 경우, 점차 프랜차이즈
방식의 시장 진입도 가능할 것으로 보임
■ 특히 한국만큼 학구열이 높은 중국 부모 특성과 한류 열풍으로 한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이 높아져 있는 상황을 잘 활용하면 교육 프리미엄 시장까지 진출할 수 있을 것
으로 보임
연번
기업명
중국 진출계획
비고
1
씨엠에스에듀
중국 우한 도스애듀그룹과 합작법인 설립
MOU체결
- 유아 사고력 수학과 융합교육 콘텐츠 중국내
공급
도스에듀그룹, 중국내
400여개 학원 운영
2
비상교육
중국 유아 영어교육사업진출
- 스마트러닝 기반 유아 영어프로그램
(Wings)
중국 현지업체를 통해
기존 영어학원 유치원에 공급
3
대교
대교의 글로벌 브랜드인 ‘아이레벨’ 러닝센터
오픈
- 중국 교육시장 특성에 맞는 콘텐츠 제공
’16년 하반기에
프랜차이즈센터 오픈을 위한
설명회 개최 예정
4
청담러닝
중국 교육기업 온니에듀케이션과 스마트
러닝 솔루션 공급 계약 체결
중국 온니에듀케이션은
중국 전역에 2,000개 학원,
중국 교육업계 최초로
상하이증시에 성장
5
아트앤하트
중국 난징에 강녕금융교육원 1호점 오픈
- 심리 미술교육 콘텐츠개발, 원생중심의
맞춤형 교육
난징 2호점 계약 체결
6
서강SLP
베이징, 상하이에 영어유치부 과정 가맹점
확장
프랜차이즈 확장 계획
7
유엔젤
중국 중유 국제교육과 유아 멀티미디어 교육
관련 사업 MOU 체결
- 유엔젤의 누리과정 기반 유아용 에듀 테크
서비스를 중유국제교육산하 유치원에 도입
하이얼 스마트 TV를 통해
중국가정에 유아교육
콘텐츠 공급
8
정상
제이엘에스
중국 진띠그룹(金地集.)의 자회사인 그린그
로쓰(格林培.)와 합자법인 ‘미미JLS’ 설립
- 중국 어린이 대상 통합 교육 솔루션 제공
16년 8월 3일 중국 선전에
만2~12세 어린이 대상
‘미미 영어1호점’ 개원
9
소셜
네트워크
중국 내 1위 교육기업 ‘신동방교육그룹’,
중국 최대 규모 캐릭터사 알파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판 뽀로로패드 출시
- 스마트 디바이스기반 교육콘텐츠 사업확장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교육 콘텐츠 사업 확장
10
한컴그룹
중국 베이다팡정(北大方正)과 중국 내
디지털 출반 및 교육서비스 공동 추진
우리기업의 중국 교육시장
진출 계획
자료 :국내 신문 기사 발췌 정리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 진출 한국 기업
사례
<만카페>
기업개요
- 현지 기업명 : 만커피
- 모기업명: ㈜ 정성본
- 설립연도 : 2011년 1월
- 진출지역 : 베이징
- 업종 및 품목 : 음식료업, 프랜차이즈업 / 커피
- 중국내 가맹점 수 : 8개 직영점, 52개 매장은 지분 25~35% 보유하는 준직영 방식으로 운영 중
중국 시장 진출 동기
■ 한국에서도 정성본이라는 샤브샤브 프랜차이즈를 운영해 왔으나, 2000년대 초반
중국 시장의 기회를 보고 진출 결심
■ 만커피 CEO는 중국에서 애강산(.江山)이라는 고급 한식업체를 운영하면서
편안하게 앉아서 오래 대화를 나누거나 오랫동안 마음 놓고 업무를 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닫고 컨셉화
■ 인건비, 임대료, 재료비 등의 경제적 요건과 창업 환경이 한국보다 비교적 안정적임
프랜차이즈 파트너 물색 및 계약 방식
■ 만커피는 중국 전 지역 직영 체제로 운영
■ 지점 하나를 열 경우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00-700만 위안 소요
성공요인
■ 대화를 즐기는 중국인에게 집처럼 편안한 공간 만들어 준 것이 성공 요인
■ 학생에서 직장인까지 타켓 소비계층을 폭넓게 포지셔닝함.
■ 대학이 밀집한 베이징에서 학생들이 자유롭게 찾을 수 있는 공간 제공. 강의실 1층에
입점해 학생들의 전초기지와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음.
■ 늦게 퇴근하는 직장인에게도 새로운 소통과 모임의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영업시간
새벽2시까지 연장 영업
■ 주문과 동시에 오픈된 주방에서 음식을 만들어 고객이 있는 테이블까지 직접
가져다주며 종이로 된 대기표 대신 곰돌이 인형을 주는 고객을 위한 세심한 서비스 제공
■ 카페 내에 한국처럼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갖춤
■ 주로 부동산업자들을 사업 파트너로 선택하여 파트너 건물에 매장을 입주하는
방식으로 임대료를 최소화
■ 커피 외에도 쥬스·탄산음료·와플 등의 다양한 디저트 메뉴 개발 등으로 차별화
■ 베이징, 상하이 등 각 지역에 직원 교육 프로그램과 장소를 세웠으며 직원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어 단계별로 교육 진행
■ 카페는 최대한 공원에 인접한 지역에 오픈, 여가시간을 즐기려는 가족 및 친구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점이 주효
프랜차이즈 경영 애로사항
■ 중국 내에 ‘짝퉁’ 만커피가 생겨나고 있어 이러한 후발업체들이 따라오지 못하도록
더욱 남다른 차별책 구상 필요
■ 최근 몇 년간 커피 전문점 및 프랜차이즈 매장의 폭발적인 증가로 경쟁 심화 우려
향후 계획
■ 2017년까지 매장 200개 추가 오픈하여 프랜차이즈 체제로 전환하여 사업규모를
확장할 계획(현재 매장 150개 수준)
■ 커피감정사(큐그레이드) 심사관을 영입하여 유명 원산지의 원두를 직접 들여올 계획
■ 온라인 시장 판매와 함께 커피 공장,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갖춘 커피테마파크
건설
<미스터 피자>
기업개요
- 현지 기업명 : Mr.Pizza
- 모기업명 : MPK그룹
- 설립연도 : 2000년
- 진출지역 : 베이징
- 업종 및 품목 : 음식료, 프랜차이즈 / 피자
- 투자규모 : 1개 점포 오픈시 약 250~300만 위안 소요
- 운영방식 : 가맹 및 직영
·동사는 베이징 분공사, 상하이 분공사를 설립하여 베이징은 북방지역
점포개발을 맡고 있음. 북방지역의 80%11가 가맹형태이며, 상하이
분공사는 중국측 파트너 금응그룹과 공동으로 직영형태로 운영중임
- 중국내 점포 수 : 120여 개(2016년 9월 기준)
·베이징 분공사 점포 70여개, 상하이 분공사 점포 40여개
11
성급 플래그쉽 형태의 직영점을
개설하고 그 이후 가맹형태로 확대
중국 시장 동기
■ CEO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 의지가 작용
■ 중국내 소비력 확대에 따른 중국 시장 성장 가능성 중시
프랜차이즈 파트너 물색 및 계약 방식
■ 가맹점 물색 루트
- 복합적인 방식으로 진행 : 기존 방식인 프랜차이즈 전시회, 상담회, 지인 등 소개를
통해 다양하게 진행
- 매출이 많이 일어나는 매장 플래그십의 경우 고객이 매장이 장사가 잘 되는 것을 보고
직접 가맹문의를 하는 경우도 있음(가맹점마다 가맹모집 포스터에 가맹직통 전화 있음)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백화점측에서 가맹주를 아예 소개해서 진행하는 경우도 있음. 그러나 가맹점의
입지 조건, 가맹주의 수익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하여 가맹계약을 체결함. 가맹주가
수익을 내지 못할 경우, 아무렇게나 가맹계약을 맺게 될 경우, 장기적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가맹계약에 신중을 기하고 있음
■ 계약방식 및 조건
- 프랜차이즈 가맹방식으로 개별 가맹계약 진행
-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경영과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음
- 가맹비는 30만 위안(일괄)
- 보통 투자 의향금(15만 위안)을 선지급하고, 후에 계약 체결시 자동으로
물품보증금으로 전환함
성공요인
■ (오픈형 주방) 중국에서는 특히 식품 안전성이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에 유리로 오픈된
주방이 신뢰도와 소비자의 관심을 받음
■ (피자 도우 퍼포먼스) 한국의 스타킹 프로그램, 중국의 CCTV 등에도 소개된 적이
있는 피자 도우 퍼포먼스는 중국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음. 보통 점포 개장시 퍼포먼스
팀이 직접 진행함. 중국 소비자들의 “먹고, 보고 즐기는 것”을 동시에 만족 가능함
■ (가맹점 선정 및 계약) 가맹점 계약시 본사차원의 이익만 고려하는게 아니라 가맹점의
수익구조를 낼수 있는지 확인해서 가맹점주의 이익을 고려하는 책임의식을 갖고
진행함. 아무리 입지 조건이 좋더라도 임대료가 너무 높아 가맹주가 수익을 낼 수 없을
경우는 과감히 가맹점 계약을 포기하기도 함
■ (맛의 차별화) 고유의 제품 특징에 맞춰 수타, 수제, 석쇠구이 등으로 기름기 없고
담백한 피자 맛을 선보여 중국인들에게 인기 얻음
- 한국에서 개발한 레시피도 현지 식재료 수급상황과 중국인들의 입맛을 감안하여 개선.
고유의 맛을 지키면서 현지화된 메뉴 선사
■ (입지 선정) 자사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철저한 상권 분석과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시내 핵심지역에 입점
■ (철저한 시장환경 조사) 한국과 다른 중국 시장환경, 법규, 문화를 사전에 철저히
조사함으로써, 브랜드의 현지화와 투자 리스크 최소화를 이끌 수 있었음
■ (브랜드 이미지 기반 구축)‘선 직영 후 가맹’전략 활용, 이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직원
관리시스템, 상품의 맛, 서비스의 표준화를 이끌 수 있었음
■ (적합한 가맹주 선정) 가맹주 선정에 있어서 자질, 신용, 경험을 중시, 엄격한 교육
훈련을 진행하여 서비스 고급화와 영업 리스크 축소,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 구축
■ (CSR 노력) 단기적인 이윤창출이 아닌 장기적인 안목에서 법규 준수. 정부관계자,
소비자, 가맹점들과의 좋은 관계 유지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존경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
경영 애로사항 및 문제점
■ 점포 개발시 한국측 방식과 중국측 방식에 있어 사고의 차이가 있음. 이렇다보니
베이징분공사에서 가맹계약 체결시 한국측 임원진과 중국측 가맹주간의 협상을
중간에서 조율하는게 어려움
■ 계약서 작성시, 중국에서는 보충 조항을 삽입하여, 향후 협상하여 바꿀수 있는 여지가
있음. 따라서 계약 작성시 본계약서 외에도 보충 협의서 삽입 등의 내용에 대해 충분한
협의가 필요함
향후 계획
■ 동 사는 중서부 지역의 소비 확대에 따라 정저우, 우한, 우루무치 등으로 점포 확장
계획을 갖고 있음
■ 현재 청두, 시안에는 각각 1개의 점포만 있는 상황임
<뚜레쥬르>
기업개요
- 현지 기업명 : 씨제이베이징베이커리 (뚜레쥬르)
- 모기업명: CJ그룹
- 설립연도 : 2004년 12월
- 진출지역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텐진, 충칭
- 업종 및 품목 : 베이커리 제품, 외식 제품
- 투자규모 : 1개 점포 오픈시 약 100-120만 위안 소요
- 운영방식
·동사는 마스터 프랜차이즈 형태 가맹(도시별 기업 파트너 지정 및 운영),
베이징(텐진), 상하이, 광저우, 충칭 4개 지역은 그룹사 직영 운영
- 중국내 점포 수 : 120여개(2016년 9월 기준)
* 직영 점포 60여개, 마스터 프랜차이즈 60여개
* 쓰촨성(청두), 허난성(정저우)은 프랜차이즈 10개 매장 이상 운영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 시장 동기
■ K-푸드 확산에 따른 중국 내수시장 수요 증대
■ 국내 베이커리 시장의 포화상태로 인한 치열한 경쟁구도 및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위한
진출
프랜차이즈 파트너 물색 및 계약 방식
■ 4대 법인 운영 중인 플래그십 매장 방문 고객의 가맹문의 접수
■ 중국 전역의 CJ 계열사 소재 지역 내 유력기업의 요청 접수
■ 각 지역 정부 추천 유력기업의 요청 접수
■ 계약방식 및 조건
- 4대 지역 거점[베이징(텐징), 상하이, 광저우, 충칭] 중심으로 도시별(일부 성별)로
가맹계약 진행
- 마스터 프랜차이즈 가맹비는 지역별로 상이, 계약기간은 10년, 비용은 지역 가맹비,
점포 개설비, 로열티 등으로 구성
성공요인
■ 마스터프랜차이즈(MF)방식*으로 4대 거점[베이징(텐징), 상하이, 광저우, 충칭] 을
중심으로 (쓰촨, 허난, 산시, 푸젠 등) 중국 각지로 진출
* MF방식은 진출하고자 하는 해당국의 사업자에게 모든 프랜차이즈 사업권 제공, 그에 따른
수수료 및 로열티를 제공받는 방식. 리스크가 적고 성공확률이 높음. 현지기업과의
사업계약으로 세금혜택 및 정부규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장점
■ 표준화된 제품, 관리, 서비스 운영 매뉴얼화로 안정적인 매장운영, 품질관리,
직원관리에 성공하여 매장 확산에 기여
■ 한국과 동일한 맛 보장하며 현지 입맛을 고려한 ‘육송빵’ 개발. 중국 현지 베이커리와
차별성 둠
■ 프리미엄 베이커리로 포지셔닝, 한국의 신제품과 동시간 제품출시
■ CJ 그룹 내 다른 외식브랜드와 함께 진출하여 초기 뚜레쥬르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비비고, 투썸커피, 빕스 등 60여 개의 외식매장)
■ 한국과 동일한 제품의 질 보장하며, K-팝, K-푸드 등 우리나라 브랜드가 기반이
되어 한국 문화를 간접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 현지인 정서에 맞는 다양한 판촉 전략 추진, 중국어 특성에 맞는 네이밍 전략, 주요
행사의 스폰서 참가, 한류마케팅 등 중국인의 니즈에 맞는 제품 및 전략 개발
경영 애로사항 및 문제점
■ 중국 정부의 외국기업에 대한 배타적인 법률 및 업무 관행으로 시장 경쟁력 약화
■ 중국 지역별 문화적(식습관 등) 차이나 시장별 특성(1, 2, 3선 도시)이 다양하여 각
지역별 맞춤형 운영에 애로
■ 행정절차 또한 각 도시별 인허가 절차/방법과 투자유치 정책 상이하여 애로사항 발생
향후 계획
■ 글로벌 사업 확대를 경영 전략으로 삼고 중국 내 매장을 2020년까지 베이커리분야
TOP 3, 매장 1,000개 달성의 비전
■ CJ 그룹의 동종 브랜드 또한 2020년 목표는 비비고(매장 1,000개), 투썸플레이스
(매장 100개) 개설
■ 4대 거점을 중심으로 직영법인 생산 인프라와 물류센터 구축 예정이며,
이를 통해 MF를 확산하고, 한국문화 전파와 한식세계화에 기여 희망
<파리바게뜨>
기업개요
- 현지 기업명 : 다롄SPC푸드, 난징파리크로와상, 텐진SPC푸드, 상하이샤니푸드
- 모기업명 : SPC그룹
- 중국법인 설립연도: 2004년 9월
- 진출지역 : 상하이
- 업종 및 품목 : 외식, 음식료, 프랜차이즈 / 베이커리 제품
- 투자규모 : 약 17억 원
- 중국내 매장 수(2016. 9월 기준) : 총 171개(직영 119개, 가맹 52개)
- 중국 내 법인 수(2016. 9월 기준) : 총 9개
중국 시장 진출 동기
■ 각종 규제로 인해 국내시장 경영활동의 한계를 느끼고 해외진출 결심
■ 진출 당시 국내 1800개 점포 소유, 국내 시장에서의 충분한 직영, 가맹점 운영 경험 및
노하우 축적
■ 몇 년간에 이은 충분한 중국 시장 특성 사전연구 시기를 거쳐 시장 잠재력 확신
성공요인
■ (오랜 사전 준비 기간) 2004년 이전부터 오랜 기간 중국 시장 연구 및 분석. 시장에
대한 이해도 확보
■ (초기 진출지역 선정) 중국 경제와 소비중심지 상하이시에서도 외교관, 주재원 등
외국인 밀집 거주지역인 구베이 지역을 선택. 베이커리 문화에 비교적 익숙하며 일정
수준의 소비 능력을 갖춘 소비자군을 잠재 고객으로 선정
* 초기에 한국 유학생이나 교민이 많은 지역에 입점해 안정화를 노리기보다 시내 중심 상권 등
소득 수준이 높은 지역을 선정, 고급화 전략에 맞춰 선별 출점해 실패율 낮춤
■ (신중한 점포 확대) 1호점 오픈 이후 2, 3호점 오픈 간격을 비교적 길게 잡아 1호점
오픈에 따른 마케팅 효과, 고객 및 인지도 확보에 주력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초창기 안정적 토대 마련에 주력) 초창기 오픈한 점포 관리 시 한국 본사에서 제조팀장,
제빵기술자 일정 기간 파견, 현지 채용 제빵사 교육에 직접 참여. 현지 인력의
파리바게뜨에서 추구하는 제조 컨셉, 제빵 노하우 습득에 있어 시행착오 최소화
■ (철저한 인력 관리) 현지 점장은 모두 한국 본사직원을 파견하여 운영, 부지점장은
현지 채용 인력으로 구성. 일정 기간 이후 부지점장을 점장으로 승진시켜 회사 및
업무에 대한 충성도, 책임감 고취
■ (자격을 갖춘 인력 확보) 법인 운영/관리인력의 경우 반드시 대졸 공채 방식으로 채용,
팀장급만 한국 파견 주재원으로 구성.
- 특히 현지 직원은 모두 실제 점포의 점장을 1년 이상 거치게 하여 현장감을 키우도록
지원
- 제품 제조인력은 중간관리자급을 모두 현지화하여 지역장을 맡게 하였으며
현지 국가공인제빵기술학원과 MOU를 체결하여 안정적인 인력 공급원 확보
* 학원 내 파리바게뜨 취업준비반을 개설하여 졸업 후 실제 채용으로 연결
■ (가맹점 비중 최소화) 초기 진출시 직영점을 우선 출점하여 브랜드가치 상승에 초점을 둠
- 즉, 합작형태가 아닌 직접 형태로 전체 운영비용 및 책임을 본사가 부담. 충분한 시장
조사가 선행되지 않을 경우 추가비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 본사에서 직접 관리
,
가맹주가 점장을 두고 간접 관리하는 방식 지양. 고객과의 접점을 형성하고 적극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 유도
■ (신선빵 공급 이미지 구축) 빵을 만드는 ‘베이크오프’시스템을 각 매장에 구비,
신선한 빵을 매일 공급한다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건강과 식품 안전에 관심이 증가하는
중국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킴
■ (신제품 개발에 집중) 기존 중국 베이커리가 40-50종의 단조로운 판매 메뉴를
보유하고 있었다면, 파리바게트는 이에 4배가 넘는 200여 개의 다양한 제품을 구비
- 크리스마스, 발렌타인데이 등 각종 기념일 이벤트 실시 및 지속적인 신제품 개발 등
다양한 판매 전략을 구사하며 경쟁력 높임
* 신제품, 신메뉴 개발 시 실제 소비자 의견 수렴. 출시 전 소비자 만족도 조사 실시
■ (메뉴의 현지화) 한국에서 기 출시하여 히트한 스테디셀러 제품 외에도 점진적으로
메뉴얼에 변화를 주어 중국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는 제품군 추가 개발
* 메뉴의 20%는 중국 현지에 맞게 구성하여 한국에서는 볼 수 없었던 푸딩, 요구르트,
치즈케이크 등 중국인 입맛에 맞춘 메뉴 제공
·다양한 품목 구성을 통해 현지 고객에게 선택의 즐거움 선사, 고급 원재료를 사용한
제품으로 고객 충성도 쌓음
* 국내 본사에 원자재 공급 담당 기구(SPC 산하 식품안전센터)를 별도 설립하여 품질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임. 밀가루의 경우 중국산 중 高 퀄리티 제품을 선별하여 공급. 유지류,
유가공품(우유 등) 의 경우 한국, 호주, 뉴질랜드에서 수입
■ (매장 설계) 기존 중국의 빵집보다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카페형 매장 도입
- 중국 토종 업체인 하오리라이*보다 가격은 비싸지만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차별화함
* 중국 동북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로컬 베이커리 브랜드로 현재 인지도 점차 확산
■ (입지선정) 적절한 장소에 점포를 설립하는 상권분석 인원을 따로 충원, 중국 부동산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상권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등 가맹사업 확장 추진
- 진출 초기에는 구매력이 높은 상류층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프리미엄 브랜드로
차별화, 이후 고객 친화적인 이벤트와 체험 마케팅 활동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 구사
■ (가맹점주 선별에 엄격한 잣대 적용) 가맹점주 체용 시 매월 총 1회의 채용과정을
거침. 점주 선발 면접은 총 3차까지이며 최종 선발인원은 3~4명 정도로,
마지막 면접은 한국 CEO가 직접 방문하여 진행. 가맹점주는 반드시 중국인만 선발
- 초기 가맹점 개설시, 본사와 함께 희망 상권 및 점포 위치 선정 등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가맹 계약 체결, 이는 본사에 대한 신뢰도 구축으로 충성도를
높이고 수익창출로 이어질 수 있음
- 가맹점 개설 전 30일간의 교육을 통해 제품 정보에 대한 충분한 파악, 고객 분석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지원교육, 이는 베이커리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낮더라도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가맹주와 직원 역량 강화시켜 수익 증대로 연결
■ (지점 별 제품, 서비스관리 시스템 통일) 지점간의 제품 품질, 맛, 서비스 고객에게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제품관리시스템 표준화
- 또한 본사에서 자재 구입에 필요한 협력사 및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여 지점이
안정적으로 경영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이는 가맹주들에게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제공. 본사에게는 가맹점 이외의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초기
가맹비용을 낮추어 가맹주들의 초기비용 부담을 낮출 수 있었음
- 한국 매장 특성을 중국에 도입하여 운영에 필요한 인력 최소화, 수익 증대(남은 음식,
커피 직접 치우고 가는 한국 방식 도입)
- 매장 인테리어를 통일하되, 통일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하여,
초기자본 비용 최소화, 가맹주들의 부담 및 시간 최소화
경영 애로사항 및 문제점
■ 중국 시안지역에서 상표권 침해 예방을 막기 위해 비용 지출 (ex. 파리필링)
- 그러나 소송에서 승소하여 20만 위안의 보상금 받음. 이를 통해 중국 내 파리바게뜨
상표권 확고히 보호
■ 가맹사업 대행업체를 사칭한 업체들의 가맹사업 사례가 일부 발생
■ 중국 내 활성화되는 식파라치들의 움직임으로 위생, 광고 등 측면에서 과장된
적발사례 발생. 현재 당사 총무팀 및 식품안전센터 등이 협업하여 식파라치들의
과도한 행위에 공동대응하고 있음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경쟁력 있는 원재료 조달이 어려움. 즉 중국 내에서 파리바게뜨의 요구기준에
부합할만한 원재료(밀가루, 유지류 등) 공급업체 발굴이 쉽지 않은 상황.
한국, 뉴질랜드 등 제 3국에서 수입 불가피. 수입비용 지속 확대
향후 계획
■ 스타마케팅 방식을 종전의 한류스타 활용에서 중국스타 활용으로 점차 변경할 계획임.
현재까지 대표적인 한류스타 전지현을 모델로 쓰고 있으나 전지현과의 계약을
연장하는 이유도 ‘한류’를 표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지현이라는 배우가 갖고 있는
‘한국과 중국을 연결하는 매개체 이미지’ 때문이었음
■ 그러나 앞으로는 한국스타 활용에서 벗어나 중국인들에게 보다 친숙한 중국 스타를
활용하여 한국 스타만을 활용할 때의 맹점 등을 극복할 것임
■ 중국에서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Snacking culture가 점차 퍼지고 있음. 간단한 식사를
대용할 수 있는 메뉴를 선호하는 간편식사문화가 자리잡으면서 파리바게뜨의 신선하고
도 다양한 샌드위치 메뉴가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음.
따라서 중국인의 선호에 맞는 간편식사메뉴 개발에 집중할 계획임
■ 그 외에도 선물류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월병에만 국한되어있던 중국의 제빵제과
선물류 제품을 평상시에도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선물컨셉 제품으로 개발할
계획임
■ 70여년에 달하는 SPC그룹의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국에 이어 미국 가맹사업을
추진, 글로벌 사업 확장시켜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 파워를 갖추고자 함
■ 그 외에도 2020년까지 중국 내 매장(직영, 가맹)을 850개까지 확장할 계획임
<W coffee>
기업개요
- 현지법인명 : W coffee
- 설립연도 : 2010년
- 진출지역 : 광둥성
- 업종 및 품목 : 서비스/커피
- 투자규모 : 미공개
- 운영방식 : 가맹 및 직영
·중국내 가맹점수 : 15개, 가맹지역 : 광동성(14개),난징(1개)
중국 시장 진출 동기
■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시장은 1인당 국민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서비스업 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
- 각국의 시장변화 패턴은 매우 유사하며 중국시장 또한 예외가 될 수 없어, 이전 한국
의 서비스시장 성장추세를 참고하여 중국시장을 관찰한 결과
- 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시기에는 특히 커피프랜차이즈 시장이 유망
하며, 또한 가까운 미래에 커피시장이 급속도로 커질 것을 예상
■ 2010년부터 광둥성에서는 커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었던 반면, 외자브랜드의
진출이 저조한 편이었음
- 광둥성 시장 및 소비자 구매력에 비하여 한국 커피프랜차이즈기업들의 진출이
화베이, 화둥지역에 비해 현저히 적었음. 진출 적기라고 생각한 W coffee는
약 2013년 광둥성 천하구에 1호점을 개점함
가맹점 물색 및 계약 방식
■ 가맹점 물색 루트
- KOTRA 광저우무역관에서 주최한 광둥성 프랜차이즈 상담회를 통하여 광둥성 현지
파트너를 물색하였으며 현지 협회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신뢰성 있는 파트너를
만날 수 있었음
■ 계약방식 및 조건
- 현재 직영점 및 가맹점을 동시에 운영 중임. 가맹점의 경우 가맹자 소유이지만 매장
관리 및 운영은 현지 본사에서 직접 수행함. 가맹자들은 커피샵 운영 노하우가 다소
부족할 수 있어 수익을 내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성공요인
① 철저한 시장조사 및 현지법 준수
■ (현지법 준수) 시간 단축을 위하여 편법수단을 강구하지 않고 모든 법적절차를 정상적
으로 마치는 것이 중요함. 편법 진행 시 추후 더욱 큰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있음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상표등록의 적시성) 중국진출 시 사전 상표등록은 필수임. 상표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국과 한국에 동시에 상표 등록을 선행함. 중국진출하는 프랜차이즈 중 상표로
인한 피해사례가 많아 주의가 필요함
② (파트너와의 신뢰구축) 현지에서는 절대 외국인 혼자 사업을 진행할 수 없음
영향력 있는 현지 파트너와의 신뢰구축에 매우 중요함
③ 프랜차이즈 매장간의 동일한 서비스 및 위생상태 유지
■ (서비스 동일화 및 매장관리 시스템 체계화) 10호점 오픈이후 동일한 서비스 및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큰 이슈로 부각됨
④ (직원관리) 정밀한 직원관리 및 교육이 가장 중요하여 매장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많
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함
■ 중국직원은 중국매니저가 관리하도록 하여 점포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한국직원은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전략수립 및 기획을 담당함
■ 전문적인 매장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전문 CEO를 초청함
프랜차이즈 운영 애로 사항
■ 늘어나는 프랜차이즈 매장들의 관리 어려움
- 프랜차이즈 규모가 커지고 직원이 많아짐에 따라 통일된 서비스와 위생 유지가 어려워짐.
직원들의 교육에 많은 비용이 들어감
■ 대기업 프랜차이즈들과의 경쟁
- 점차 많은 경쟁사가 진입을 하여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국내 굴지 브랜드 진출이
최근 많아짐
향후 계획
■ 화둥, 화베이 지역으로 진출
- 현재는 광둥성에서 주요 커피브랜드로 거듭났으나 추후는 중국 화둥, 화베이 지역으
로 진출할 예정임. 난징에서 화둥 1호점을 오픈했고 점차 확대할 예정임.
- 중국에서는 1개의 성에서 브랜드를 확실하게 구축하고 타 지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 광둥성 2선도시 진출확대
- 광둥성 내 2선 도시 가맹점을 점차 확대할 예정임. 포산(佛山), 둥관(.莞)과 같은
광동성 2선 도시 소비자들의 구매력은 1선 도시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음.
또한 임대료가 1선도시보다 저렴하여 수익구조가 좋은 장점이 있음
■ 새로운 점포유형 공략
- 광둥성 고속도로에는 중국석유(SINOPEC)가 운영하는 1,400개 휴게소가 존재함.
중국인들의 자동차 보유가 많아짐에 따라 휴게소 시설에 문화적 요소를 결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최근 이어지고 있음. 최근에는 고속도로 휴게소 커피점 입점권 확보를
위해 노력 중
<서래갈매기>
기업개요
- 현지 기업명 : 서래갈매기
- 모기업명 : ㈜서래스터
- 설립연도 : 2013년 7월
- 진출지역 : 상하이
* 중국 13개 성/시(상하이, 베이징,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롱장성, 장쑤성, 저장성, 광둥성, 허난성,
후베이성, 간쑤성, 충칭시, 산시(섬서)성)
- 업종 및 품목 : 요식업, 프랜차이즈 / 고기
- 투자규모 : 5억 원
- 중국내 가맹점 수 :51개(직영, 가맹 포함)
* 상하이와 베이징은 직, 가맹점 운영. 나머지 지역은 MF(마스터프랜차이즈) 방식의 계약으로
파트너쉽 채결
중국 시장 진출 동기
■ 비슷한 식재료와 입맛으로 외식산업 시장경쟁력 우위 가능성 전망
■ 한류에 따른 한식 수요 가능성 확신
■ 한국은 좁은 시장과 요식업(고깃집)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브랜드 수명이 짧아 해외
시장을 진출 고려. 육식 섭취를 즐겨한다는 성향과 거리적 요건을 고려하여
중국(상하이)을 첫 번째 해외 진출국으로 선택
성공요인
■ 한국 유명 숯불구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기반으로 처음 상하이 진출
- 메인메뉴는 갈매기살로 기타 숯불구이와 차별화된 부위임. 매출의 7~80%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 인기 차지
- 중국인들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는 부위이나 식자재 95% 이상을 한국에서 조달하여
최대한 한국의 맛을 살림
- 고기는 중국산을 조달하여 신선도를 보장함
■ 드라마를 통한 돼지고기, 소고기 구이에 대한 중국인의 호기심 충족
- 주요고객이 2~30대 여성으로 가족단위로 올 경우에도 거의 여성의 주도하에 방문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한류(드라마, 영화 등 대중문화와 패션뷰티 등)에 익숙하고
한국의 맛을 경험하고자 하는 여성 고객이 많다는 점에 주목
- 중국 진출 시기가 마침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로 한식 열풍이 불기 시작한 때였으며
기업화 된 요식업 진출에 탄력을 받은 시기로 당 사 역시 이러한 타이밍에 잘 맞춤
■ 표준화 경영관리 및 각 지역별 운영 특성을 감안한 맞춤화 프랜차이즈 교육을
병행하였으며, 비용절감 및 리스크 최소화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 MF 계약을 맺은 베이징, 상하이 외의 지역에도 직영점과 같은 관리 효과를 내기
위하여 매장 오픈 전후로 두 달간 한국 본사에서 3인 1조의 교육팀을 직접 파견하여
초기 안정적 운영을 지원
- 특히 상하이 내 가맹점의 경우 모두 직영 개념으로 관리하고자 직영과 동일한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노력함
* 가맹점주 선정 시 다름과 같은 선정조건 고려 : ① 가맹점 직접 운영을 목적으로 해야 함(단
순투자개념일 경우 다른 조건이 맞아도 가맹권 불허), ② 점포위치 심사 엄격(상권분석, 유동
인구 분석 등이 되어있는지 확인), ③ 사업에 대한 열정
- 지역별 파트너사들 관리 시 현지 사정에 대한 이해와 기존의 풍부한 경험 등의 장점을
최대한 인정하고 공유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고자 함. 각 파트너사들이 지역마다 갖고
있는 가맹점 관리 역시 필요시 본사에서 오픈형 교육을 실시하여 본사-파트너사
간의 신뢰, 네트워크 강화
* 전국 매장을 대상으로 관리자 교육, 주방장 교육, 신메뉴 교육 등 꾸준히 실시
- 매장 점장은 취업비자를 정식으로 발급받은 한국인으로 선별하여 한국식 숯불구이
및 매장 운영 방식을 잘 이해하는 장점을 극대화
■ 고객 대상 매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부분 만족도 및 개선을 위한 의견 수렴,
새로운 아이디어 발굴 소스로 활용
* 상황에 따라 매월 질문항목을 다르게 구성하여 좀 더 다양한 고객의견 확보
* 중국 소비자 특징
① 주류 주문량 적어 테이블 회전율 높은 편, ② 한국 소비자에 비해 오랜 시간 대기해야 하는
상황 비교적 잘 감수, ③ 메뉴 선택폭 넒은 편으로 한번 방문 시 다른 종류의 여러 메뉴 시도
(객단가 높은 편), ④ 한국에 비해 계절성 영향이 적은 편
경영 애로사항 및 문제점
■ 주 원재료인 소고기, 돼지고기가 공급부족으로 가격등락폭이 크며, 짧은 주기에
맞추어 고품질의 고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거래처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음
■ 현재 중국 내에서 양질의 소고기 확보가 어려워 호주산과 캐나다산을 수입하고 있음
■ 중국 당국에서 요구하는 환경, 소방, 위생기준에 부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까다로우며, 식약청, 출입국검역소 등의 규정을 잘 이해하고 있지 않으면 적절한
대처가 어려움
■ 숯불구이에 적합한 조건을 갖춘 매장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려움. 로드삽도 그렇지만
대형 쇼핑몰 내 입점을 추진할 경우 에어컨 전기소모량, 배연시설, 도시가스 공급선 등의
중요한 여건에 부합한 매장을 찾기 위한 물색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함
■ 지역별, 계층별로 경제수준 차이가 있어 소비자 분포가 균등하지 못해 사업 확장에
대한 어려움이 있음
향후 계획
■ 현재 스타마케팅을 활용하지 않고 있으나 주요 상권에 위치한 당사 경우 한국, 중국
연예인들이 방문하는 사례들이 종종 있어, 향후 스타(특히 현지 유명 연예인)를 활용한
홍보마케팅을 검토할 계획임
■ 현재 서래갈매기만의 특제 소스를 현지 OEM을 통해 공급받고 있으나 프랜차이즈가
수요가 늘어날 경우 직접 제조 및 유통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있음
<다롄오라클 의료미용기업>
기업개요
- 현지 기업명 : 다롄오라클의료미용기업관리컨설팅유한공사
- 모기업명 : 오라클랜드(주)
- 설립연도 : 2004년
- 진출지역 : 다롄
- 업종 및 품목 : 의료서비스
- 중국내 가맹점 수 : 20여 개
중국 시장 진출동기
■ 중국의 미용의료 시장은 2007년 이후 엄청난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 최근 한국의 드라마와 각종 연예프로그램 등 매체를 통한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와
기술에 대한 신뢰감이 중국인들의 한국행 의료관광으로 이어지고 있음
■ 소득수준 향상과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로 피부 관리, 건강관리, 고급 치과, 성형 등
新 수요 창출 전망
성공 요인
■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한 노하우 공유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
■ 개원컨설팅부터 의약품, 의료기기, IT 솔루션 등 병원 관련 다양한 사업경험과
노하우, 전산에 기반을 둔 조직적인 시스템으로 업무의 효율화를 도모
■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한국의사들의 손기술, 한류 열풍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
경영 애로사항 및 문제점
■ 현재 중국에서는 외국계 의료기관과 외국기업이 중국 의료기관과의 합작으로 중국 내
의료기관을 설립할 수 있으나, 70%까지 지분 보유 규제 및 최소 투자금액 조항으로
인해 실제 투자는 미흡한 상황
향후 계획
■ 2016년 20개 지점을 개원할 예정이고, 장기적으로는 중국에 1,000개 정도의 지점을
오픈할 계획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베이징 중한 미건의료기기>
기업개요
- 현지 기업명 : 북경중한미건의료기기유한공사
- 모기업명 : 미건의료기
- 설립연도 : 1998년 2월
- 진출지역 : 베이징
- 업종 및 품목 : 제조업, 개인용 온열치료기기 / 개인용 의료기기
- 중국내 가맹점 수 : 480여 개, 체험장 : 1,460개
중국 시장 진출동기
■ 중국 전통의약과 서양의 대체의약을 접목한 원리로 만든 온열치료기기의 중국 내 시장
경쟁력 확보 가능 판단
■ 새로운 소비주도층(80後,90後)의 등장으로 소비수준 및 삶의 질 향상, 이에 개인용
의료기기산업 성장가능성 예상
■ 중국인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도 및 고령화, 개인용 의료기기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
성공요인
■ 5년간의 중국 현지시장 분석 및 네트워크 기반 구축을 통해 중국 현지 돌발 가능성
대응전략 수립. 이를 바탕으로 시장예측 및 장·단기 판매전략을 구축하여 다양한 시장
변수 예측가능할 수 있었음
■ 중국에는 Made in Korea 제품을 공급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음
- 중국산은 인도네시아, 러시아, 캐나다 등 제 3국으로 수출
■ 지속적인 R&D로 주요 상품의 제조공정 표준화 및 원가절감, 가격 경쟁력 증대
■ 본사 관리 하에 정기적으로 고객관리와 판매 역량관리를 위한 직원 교육 진행, 이러한
본사의 체계적인 지원 하에 직원들의 제품원리, 효능이해,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기를
수 있었고, 이미지 제고와 수익증대로 연결될 수 있었음
■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중국 현지 시장을 정확히 정량화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
으로 효율적인 포지셔닝 수립이 가능했음
■ 매장 내 제품 체험 공간을 마련하여 현장에서 소비자들이 직접 사용 후 구매할 수
있도록 ‘선 체험, 후 구매’ 마케팅 전략 활용. 개인용 의료기기와 같은 제품은 고관여
제품*으로 신뢰감있는 입소문 마케팅을 통해 성공한 사례
- 고관여 제품: 제품에 대한 중요도와 가격이 높아, 소비자가 구매의사를 결정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 제품을 지칭, 소비자의 정보탐색 욕구 충족해주는 전략이 필요
■ 3개월 정도 무료로 온열 치료기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
충성도 극대화
■ 중국 법규 준수와 철저한 현지화 전략 (부총경리를 제외한 350여 명의 직원을 현지인
으로 채용)
■ 각 매장의 인테리어 통일, 회사자료의 서식과 표기사항 일원화 등 전체적인 CI통합
작업을 진행하여 고객의 신뢰도 높임
■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람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사업자들과 고객들에게 기업의 정통성과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는 전략 추구
■ 프랜차이즈 가맹 및 투자 창업 프로젝트 박람회 참가 등 전시회 참여 및 신문, 잡지
매체를 통한 홍보활동
■ 수많은 특허와 기술력 보유, 경영핵심 전략도 획일적 판매증대가 아닌 보다 확고한
국민건강 수호에 초점을 두어 프랜차이즈 지점장들과 함께 이끌어 나간다는 ‘상생’
정신 형성
■ 가맹주를 본사로 초청하여 동사 이해도와 충성심 높이는 전략 활용
- 매년 중국 전역의 가맹주를 한국으로 초청 등 인센티브 제공
- 2017년 ‘미건가족 한중 건강문화 교류회’개최 예정
■ 온열치료기 체험자의 입소문으로 통한 마케팅 전략 주효
■ 쓰촨성 지진 발생시 200만 위안 기부, 고아원, 양로원 방문 등 CSR 실시
경영 애로사항 및 문제점
■ 중국 온열 치료기시장의 호황과 급성장에 따른 다수 기업들의 유사 제품 출시
- 2010년 중국기업의 짝통사건으로 인해 법원소송 제기, 승소
■ 후발업체의 저가 공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
■ 동양의학은 비과학적이라는 인식, 전문의 치료가 아닌 개인용 의료기기에 대한 낮은
신뢰도
향후 계획
■ 현재 북경 4대병원(북경의과대학, 북경화공직업병방치원, 북경동인병원, 중일우호병원)에
제품을 공급하며 환자 물리치료용으로 동사 제품 포지셔닝을 확대할 계획
■ 대체의학의 과학화를 위한 R&D 투자 비율 높일 예정
■ 오프라인 매장 뿐 아니라 유통망을 확대시켜 오픈마켓을 통해 수요 확대 창출 예정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04
중국 프랜차이즈 관련 규정
‘상업프랜차이즈
관리조례’
주요 포인트
■ 중국의 프랜차이즈 규정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됐으면서도 프랜차이즈 기업 조건 등을
세부적으로 명시한 대표적인 규정은 2007년 5월 1일부터 시행된 ‘상업프랜차이즈관리
조례(商.特...管理.例, 이하 관리조례)’임
- ‘관리조례’는 중국 프랜차이즈 경영범위, 정보노출, 법적 책임 등을 명시함
- 프랜차이즈 등록 관련, ‘관리조례’에 의거 제정된 ‘상업프랜차이즈등록관리방법(商.
特....案管理.法)’의 개정법을 2012년 2월 1일부터 시행 중임
- 프랜차이즈 사업자와 프랜차이즈 가맹자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관리조례’에 의거하여 ‘상업프랜차이즈사업정보공시관리방법(商.特...信息披
露管理.法)’ 개정법을 2012년 4월 1일부터 실시
■ 외국기업이 중국에서 프랜차이즈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에 독자 또는 합자
형태의 외국인투자기업을 설립하고 프랜차이즈 상표를 등록해야 함
- 규정에 따르면, 기업 설립 후 2개 이상의 직영점을 1년 이상 운영한 실적이 있어야만
가맹점 모집이 가능함
상업프랜차이즈
관리조례(商.特...
管理.例) 주요 규정
① 가맹점 모집 등 프랜차이즈 영업을 위해서는 중국 내 최소 두 개 이상의
직영점을 갖고 있고 중국 내 영업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함
② 가맹영업을 약정한 계약기간은 3년 이상이어야 함(가맹주의 동의가 있으면
예외 적용 가능)
③ 프랜차이즈 기업은 가맹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내 서면형식으로 가맹주에게
‘상업프랜차이즈관리조례’ 제22조가 규정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맹계약서
원본을 가맹주에게 제공해야 함
④ 프랜차이즈 기업이 가맹계약을 체결한 후 상무부에 이를 등록해야 함
⑤ 프랜차이즈 기업이 가맹계약을 처음으로 체결한 후 가맹계약 체결일로부터
15일 내 상무부 주관 부문에 이를 등록해야 함
- 성, 자치구, 직할시에서 프랜차이즈 영업을 위한 해당 지역의 상무주관
부문에 이를 등록함
- 소재지에 아닌 다른 성, 자치구, 직할시에서 프랜차이즈 영업을 할 경우
국무원 상무주관부문에 이를 등록해야 함
⑥ 프랜차이즈 기업이 '조례' 제 8조가 규정한 상무부에 대한 보고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상무주관부문이 보고지체의 책임을 물어 1만 위안 이상 5만위안 이하의
벌금을 부과함. 이후에도 보고하지 않을 경우 5만 위안 이상 10만위안 이하 벌금 부과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05
진출 방안
"외식업, 서비스업 등
기 진출 업종 강점
살리고, 업종 다변화
전략 필요"
■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추세를 파악하여 우리 기업들의 향후 프랜차이즈 진출 방안
수립 필요
- 중국의 소득증가 및 소비시장 활성화로 향후 외식업, 서비스업 등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보임
·우리 기업들이 그동안 주로 진출한 외식업은 중국 소비자들의 기호 및 취향, 문화를 파악하고
한국 기업 특유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분야 개발 필요
- 중국이 2016년 1월 1일 부 두 자녀 정책을 실시함에 따라 교육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중국 맞춤형 교육 콘텐츠와 선진화된 시스템으로 중국 시장기회 포착 필요
■ 외식업외에 자동차 수리서비스, 미용산업, 애완시장, 아동용 사진촬영 등
우리 기업들이 진입 가능한 프랜차이즈 분야에 대한 검토 필요
- 중국 프랜차이즈 100대 기업은 이코노미호텔, 자동차서비스, 식품분야 등에 매출액과
점포수를 늘리고 있으나
- 소규모 자본으로는 여전히 커피, 음료·디저트, 중식 패스트푸드, 아동 조기교육,
편의점, 자동차 수리 서비스와 미용 분야의 프랜차이즈 사업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투자방식 결정과
합자파트너 선정에
신중해야"
■ 중국에서는 외국기업이 단독으로 사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 이에, 중국 현지 유통망 구축 등 이유로 중국기업과 합자로 프랜차이즈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이 적지 않음
- 경영과정 중 발생하는 어려움은 극복해 나갈 수 있으나 합자·독자 등 기업성격을
결정짓는 내용은 한번 정해지면 상대측의 동의 없이는 바꾸기 어려움
- 합자파트너와 점포입지 선정, 점포수 확대, 영업방식, 중국직원 채용, 한국인 관리자
문제, 제품개발, 품질개선 등 면에서 사사건건 의견이 충돌할 경우 안정적인 경영을
기대하기 어려움
- 이 때문에 기업성격을 결정짓는 합자·독자 여부는 보다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음
■ 합자파트너 선정 시 가급적 동종업종, 유사품목을 취급한 경험이 있는 파트너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
- 기업의 규모나 재력, 정부 관계만을 고려해 진출할 경우 합자파트너를 통한
현지 유통망 구축과 경영안착이 어려울 수 있음
"현지 기호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제품 개발"
■ 중국 요리를 두고 남단(南淡), 북함(北喊), 동산(.酸), 서랄(西辣) 즉 남쪽은
담백하고 북쪽은 짜고 동쪽은 시큼하고 서쪽은 맵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국은
지역별로 요리가 다양하고 사람들의 입맛도 각기 다양함
- 중국 음식은 단맛이 많고 기름지며 중국인이 선호하는 매운 맛은 우리와는 다르게
향초를 넣어 맵고 얼얼한 느낌의 ‘마라(麻辣)’한 맛임
- 한국 음식에 대한 중국인의 선호도가 높으나 아직까지는 한국인이나 한국 문화를
자주 접한 사람들을 위주로 한국 음식이 전파되어 있음
- 중국인의 기호를 고려한 제품이나 맛을 개발하고 제품 구성을 달리해 시장점유율을
높힐 필요가 있음
■ 의류의 경우 한국과 중국의 선호도 및 구매 행태가 확연히 다름
- 한국은 위아래 세트로 된 제품 구성이 많으나 중국은 세트 의류에 대한 구매 비중이
높지 않음
- 중국 의류 디자인은 디테일이 강하고 대담하며 원색이 많고, 현대적인 옷이나 캐주얼
의류에도 중국적인 색배합이나 자수를 활용하는 등 ‘中.色’이 강하게 나타남
- 디자인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감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의류는 일반 소비자들의
실제 구매로 이어지기 어렵게 때문에 우리의 기준보다는 중국인의 감성에 부합하는
수준의 디자인 개발이 중요함
■ 중국인은 한국인에 비해 팔다리와 허리가 긴 특징을 보이는 등 체형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중국시장 진출 의류브랜드는 중국인 체형을 반드시 감안해야 하며
중국 여성들은 한국 여성에 비해 몸에 붙은 옷을 선호함
- 중국에 직수입된 한국 의류는 한국인 체형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특히
중국 북방지역의 골격이 큰 여성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면이 많으며,
남방지역 여성들에게 맞는 편임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직원교육 시스템
구비"
■ 가맹점의 서비스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직원교육 관리 시스템을 잘 갖춰두는
것이 중요함
- 고객응대, 위생, 생산관리 등 직무교육 체계와 프랜차이즈 브랜드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필요함
- 직원에게 회사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회사와 직원이 함께 성장해 나간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함
·대만계 요식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이차이쭤(一茶一座)'는 가맹점 직원 교육시 각자의 꿈을
이야기하고 꿈을 이루기 위한 세부 목표 설정, 직원간 단합 워크숍 등을 활발하게 추진함
·‘이차이쭤(一茶一座)'는 중국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직원 교육관리의 모범사례로 꼽히며
지속적인 직원사기 앙양 교육을 통해 적극적인 업무태도를 유도함으로써 회사 매출도
빠르게 신장되고 있음
"다양한 마케팅 방식
적극 활용"
■ 한국기업 상당수가 입소문으로 구고객을 통한 신고객 확보 방식에 의존하나 브랜드 및
기업인지도 제고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방법을 취할 필요가 있음
- 최근에는 중국 전통업계 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의 O2O 마케팅 전략을 펴는 중국
기업들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우리 기업들도 중국 시장 진출 O2O 플랫폼 구축
이 필요함
■ 중국은 지역별, 업종별 협회가 매우 많고 협회가 수여하는 품질, 고객평가 관련 수상
기회가 적지 않음
- 협회로부터 수상받은 실적은 고객신뢰도를 높이고 수상 소식 등이 전파돼 매체를 통
해 인지도를 제고하는데 매우 효과적임
■ 소비자의 날(3월 18일), 여성의 날(3월 8일), 청년의 날(5월 4일), 어린이날(6월 1일),
중양절(9월 9일)을 기념한 여성, 청년, 어린이, 노인을 타킷으로 한 판촉행사를 통해
인지도와 매출을 제고할 수 있음
■ 중국은 전시회 참가 효과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유력 전시회 참가를 통해 인지도를
제고하고 유력 가맹점을 모집할 수 있음
"중국 업종별
프랜차이즈 평가
내역 수시 확인
필요"
■ 중국 CNPP가 운영하는 ‘10대 브랜드 사이트(十大品牌.)’에서는 의약보건, 가전건자재,
식품, 미용원, 유아용품 등 16개 분야에 대해 실시간으로 ‘10대 브랜드’ 내역을
게재하고 있음
- 이는 기업 브랜드 신용지수 및 매출액, 순이윤, 소비자 인지도 등 10 여가지 항목을
반영, 선정하여 소비자들이 올바른 구매활동을 하도록 지원하고 있음
■ 또한 소비자들의 음식 메뉴 주문과 식사 후 여가 활동 내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다중텐핑(大.点.)은 중국인들의 선호 음식과 여가 성황을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중국 진출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진출에 앞서
상표 선등록 필수"
■ 중국 진출 관심기업의 경우 무엇보다도 상표와 실용신안 등을 서둘러 등록해 필요가
있음
- 중국에는 ‘상표전쟁’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상표등록이 범람하고 있으며, 한국 등
외국의 유명상표를 무단으로 선 등록해 분쟁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음
·상표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국과 한국에 동시에 상표 등록을 선행함. 중국진출하는
프랜차이즈 중 상표로 인한 피해사례가 많아 주의가 필요함
- 중국에는 이미 수 많은 상표가 등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급적 빨리 상표를 등록해야만
원하는 형태의 상표등록이 가능함
- 상표 등록시 서비스업 관련 분야로만 상표를 등록하기 보다는 상표 방어가 가능하도록
최대한 전 방위 업종으로 상표등록을 해두는 것이 좋음
■ 외국계 기업의 경우 중국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중국 국정에 위배되거나 역사적으로
불편한 문제를 연상시키는 상표를 신청하는 경우가 더러 있음
- 이 경우 상표등록이 까다롭게 진행되며, 설령 상표가 등록된다하더라도
중국 행정당국에 의해 수시로 엄격한 관리를 받게 되므로 유의해야 함
■ 업무 편의를 위해 또는 한국 본사가 상표등록에 대한 인식이 미비해 합작파트너
명의로 상표등록을 해서 추후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주요 참고자료
국문자료
.KOTRA, 2010. 『토종 프랜차이즈 해외시장 생존전략_ 중국편』
.산업통상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2016. 『2015 프랜차이즈산업 실태조사』
.농림축산식품부. 2016 『2015년 외식기업 해외진출 실태조사 결과』
.배학, 2013. 『글로벌 프랜차이즈 성공전략』, FKI 미디어
중문자료
.中.商.出版社,2013. 『201年中.零.和餐...企...年.中.特...120
强企..展..情.
.中.商.出版社,2014. 『2014年中.....年.』,‘14年中.特...100强企.
.展..情.
.中.商.出版社,2015. 『2015年中.....年.』,‘15年中.特...100强企.
.展..情.
.中...出版社,2015 商.特...加盟商投.指南..企...年.』
.中.商.出版社,2015『商.特中...零.企.....分析.告.特...的相
.的法律
.Deloitte, 2016 『中...零.企.....分析.告 』
Reference
웹사이트
.中.商.部 中.商.特....(http://txjy.syggs.mofcom.gov.cn)
.中.......(www.ccfa.org.cn)
.中.10大品牌.(www.china-10.com)
.大.点.(www.dianping.com)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www.ikfa.or.kr)
.KOTRA 해외시장뉴스, 중국편(http://news.kotra.or.kr)
.국내 신문기사, 중국 주요 포털사이트 등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현황 및 진출방안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MA 연계 수출상담회 국내 참가기업 모집 공고 (0) | 2016.11.03 |
---|---|
KOTRA, 경제사절단 참가기업 릴레이 간담회 개최 (0) | 2016.11.03 |
동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KOTRA 심층보고서] (0) | 2016.11.03 |
인도·서남아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KOTRA 심층보고서] (0) | 2016.11.03 |
한류 식품, 일본 식탁을 사로잡다- KOTRA, 日 후쿠오카서 ‘2016 한류식품 수출상담회’ 개최 (0) | 2016.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