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산업부, 2018년도 3조 1,580억 규모로 연구개발 지원- 전기·자율차 등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분야에 산업부의 R&D 투자 강화

하이거 2017. 12. 26. 20:16

산업부, 2018년도 31,580억 규모로 연구개발 지원- 전기·자율차 등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분야에 산업부의 R&D 투자 강화

 

담당부서산업기술정책과 등록일2017-12-26

 

 

 


산업부, 2018년도 3조 1,580억 규모로 연구개발 지원
- 전기·자율차 등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분야에 산업부의 R&D 투자 강화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2018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12월 27일 공고하였다.

  ㅇ (R&D 지원규모) 전년 대비 1.3% 감액된 3조 1,580억원

   * 산업부 R&D예산 규모 : (’17) 31,988억원 → (’18) 31,580억원

  ㅇ (중점지원 분야)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17.12.18)에 제시된 전기·자율차, IoT 가전, 에너지신산업 등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관련 기술확보에 전년 대비 12.5% 증가한 9,193억원 투자(’18년 산업부 R&D 총예산의 29.1%)

   * 전기·자율주행차 분야 : (’17) 1,241 → (’18) 1,491억원(250억원 증액)
     IoT 가전 분야 : (’17) 717 → (’18) 816억원(98억원 증액)
     에너지신산업 분야 : (’17) 4,059 → (’18) 4,175억원(116억원 증액)
     바이오·헬스 분야 : (’17) 1,571 → (’18) 1,992억원(421억원 증액)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 (’17) 582 → (’18) 720억원(137억원 증액)

□ ‘18년 1월 중 ’부처 합동설명회‘를 개최하여 사업의 상세 내용을 제공할 예정이다.

< 2018년 산업기술 R&D 예산 특징 >

? ‘18년 산업기술 R&D 예산은 총 3조 1,580억원* 규모임

   * ’17년 예산(3조 1,988억원) 대비 소폭 감소(△408억원, △1.3%)

? 산업기술 R&D 예산이 ’17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지만, 미래신산업· 주력산업 지능화 등 혁신성장을 위한 중점투자 분야 예산을 ’17년 1조 5,507억원에서 ’18년 1조 6,624억원으로 증액 편성함(’18년 산업부 R&D 총예산의 52.6% 차지)

 특히, 12월 18일 발표한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에 제시된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분야 기술개발에 ’17년 8,171억원에서 ’18년 산업부 R&D 총예산의 29.1%에 이르는 9,193억원을 지원(1,022억원 증액)할 계획임

< 5대 신산업 분야(R&D) 예산 편성현황 >
                                                             (단위: 억원)

분 야
’17년
’18년
’17년 대비 증감
전기·자율주행차
1,241
1,491
250
IoT 가전(스마트홈)
717
816
98
에너지신산업
4,059
4,175
116
바이오·헬스
1,571
1,992
421
반도체·디스플레이
582
720
137
합 계
8,171
9,193*
1,022


  *’18년 산업부 R&D 총예산(31,580억원)의 29.1%

 ① (전기·자율주행차) ’20년 고속도로 자율주행, ’22년 전기차 35만대 보급 등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자율주행차 관련 사업에 전년 대비 250억원 증액된 1,491억원 투자

 ② (IoT 가전) 산업융합의 허브인 빅데이터+인공지능 연계 IoT 가전 기술개발 관련 사업에 전년 대비 98억원 증액된 816억원 투자

 ③ (에너지신산업) 미래에너지 전환 및 재생에너지 3020 달성을 위한 첨단전력 인프라 구축, 분산전원 연관산업 등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전년 대비 116억원 증액된 4,175억원 투자

 ④ (바이오·헬스) 수명연장과 고령화에 대비한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신약 및 의료기기, 스마트헬스케어 등 바이오·헬스 사업에 전년 대비 421억원 증액된 1,992억원 투자

 ⑤ (반도체·디스플레이) 4차 산업혁명의 두뇌와 눈 역할을 하는 차세대 메모리·파워반도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에 전년 대비 137억원 증액된 720억원 투자

  ⇒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의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와 관련되어 향후 추진할 구체적인 기술개발 사항에 대해서는 내년 1분기까지 수립될 업종별·기능별 세부 이행방안에 포함될 예정임

 이외에도, 주력산업 고도화, 융합산업 육성, 인력양성 및 기반구축, 에너지 기술개발 등 국민생활과 산업에 필수적인 R&D 사업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투자 예정

 ① (주력산업 고도화) 기계, 조선, 섬유 등 주력산업 고도화 및 부품소재 기술개발에 6,370억원 투자

 ② (융합산업 육성)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하여 제조-서비스 융합, 나노융합 등 산업융합 기술개발에 1,733억원 투자

 ③ (인력양성 및 기반구축) 지역의 연구혁신 역량 강화 등 R&D 기반구축 및 R&D 인력양성 분야에 3,687억원 투자

 ④ (에너지 기술개발)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에 선정된 에너지신산업 이외에 석탄 발전소 미세먼지 저감, 에너지안전, 국제에너지 공동연구 등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에 2,350억원 투자

< 2018년 산업기술 R&D 설명회 >

 아울러, 산업부는 사업 참여자에 대한 폭 넓은 정보제공을 위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전담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안내 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ㅇ ’18년 1월 中 ‘부처 합동설명회’(과기정통부 주관)를 통해 서울, 대전, 광주, 부산에서 ‘18년 산업기술 R&D 사업 시행계획 설명을 시행할 예정임

< 4개 권역 부처 합동설명회 일정 >

지  역
일  시
장  소
문의처
수도권
‘18. 1. 10(수) ~ 1. 12(금)
서울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
1544-6633
(KEIT R&D 콜센터)
중부권
‘18. 1. 15(월) ~ 1. 17(수)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
호남권
‘18. 1. 18(목) ~ 1. 19(금)
광주 광주과학기술원 오룡관 다목적홀
영남권
‘18. 1. 22(월) ~ 1. 23(화)
부산 부경대학교 대학극장


[붙임] 2018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공고 지원사업 목록



붙임

 2018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R&D) 통합공고 지원사업 목록


지원사업명
(지원규모,
백만원)
지원사업명
(지원규모,
백만원)
3D/4D물리탐사연구선건조(R&D기반구축)
1,815
안전산업경쟁력강화
1,000
ESS기술개발
45,879
안전인증역량강화
6,425
경제협력권산업육성
100,939
에너지국제공동연구(에특)
19,588
공간정보기반의실감형콘텐츠융복합및혼합현실제공기술개발
2,000
에너지기술수용성제고및화촉진
2,113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28,824
에너지기술정책수립(에특)
868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
70,386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에특)
185,842
기술성과활용촉진
23,354
에너지신기술표준화및인증지원
4,300
나노융합2020(산업부)
10,548
에너지안전기술개발
14,408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
29,599
에너지인력양성(에특)
35,541
디자인혁신역량강화
40,417
엔지니어링핵심기술개발
21,470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
78,135
우수기술연구센터(ATC)
66,091
민군기술협력개발
18,846
원자력핵심기술개발
62,137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
74,550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기술개발
2,800
방폐물관리기술개발
8,430
자동차산업핵심기술개발
77,160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산업부)
11,000
자원개발기술개발
18,936
사업화연계기술개발
42,027
전력정보화및정책지원(전력기금)
3,261
산업기술국제협력
59,890
전력표준화및인증지원
32,108
산업기술혁신기반구축
2,614
전자부품산업핵심기술개발
19,994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
123,882
전자시스템전문기술개발
23,264
산업융합기술진흥
582
조선해양산업핵심기술개발
36,843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
80,110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
42,218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
59,122
지역특화산업육성
41,647
산업현장핵심기술수시개발
10,574
창의산업거점기관지원
75,798
생산시스템산업전문기술개발
17,366
창의산업미래성장동력
8,111
소재부품기술개발
261,696
창의산업전문기술개발
17,321
소재부품산업미래성장동력
41,406
첨단제품전·후방산업의순환자원이용기술개발
1,713
소재부품산업전문기술개발
44,925
청정화력핵심기술개발
23,857
스마트공장제조핵심기술개발
3,994
초절전LED융합기술개발
1,618
스마트그리드핵심기술개발
42,490
탄소산업기반조성
13,979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
75,113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산업부)
6,675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
207,941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
28,825
*총 62개 지원 사업(2,514,365백만원)

 * 총 예산 3조 1,580억원중 기관지원사업 등 신규예산 없는 비공고 32개사업 643,611백만원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