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의 컴퓨팅 역량 강화 전략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 제2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 의견수렴
작성일 : 2017. 12. 26. HPC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컴퓨팅역량 강화 전략
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
- 제2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 의견수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12월 27일(수) 10시에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더케이호텔에서 「제2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이하 ‘2차 기본계획’)」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공청회에서는 지난 5년간 추진된 「제1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이하 ‘1차 기본계획’)」의 성과와 미흡한 점을 점검하고, 향후 5년간 추진할 2차 기본계획(`18~`22)을 논의할 예정이다.
ㅇ 이번 2차 기본계획(안)은 초고성능컴퓨팅 분야 산학연 전문가 60여명이 참여한 추진위원회(`17.4~)에서 마련하였다.
□ 정부는 과학기술 혁신, 산업경쟁력 강화, 국민 삶의 질 향상 등을 위해 5년 주기로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해 왔다.
o 1차 기본계획을 통해 세계 10위 수준의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교육·연구 분야에 컴퓨팅 활용 저변을 확대하여 세계적 과학 발견(중력파 검출 등)에 기여하는 등 국내 초고성능컴퓨팅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였다.
□ 2차 기본계획은 다가오는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대응 초고성능컴퓨팅 역량확보’를 비전으로 3가지 추진전략을 제시한다.
o 첫 번째로, 다양한 분야의 초고성능컴퓨팅 활용을 확대한다. 대형연구성과 창출을 위해 파급력을 가진 집단연구를 강화하고, 기상·해양분야의 환경변화 예측정확도 향상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중소·중견기업의 제조 생산성 향상을 위해 디지털 제조업 전환 플랫폼을 구축한다.
o 두 번째로, 미래수요 대응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를 확보한다. 폭발적인 데이터 분석 수요,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 대응을 위해 컴퓨팅 자원을 목적에 맞게 다변화하고, 컴퓨팅 자원 운영기관과 수요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한다.
o 마지막으로, 초고성능컴퓨팅 개발역량을 강화한다. 주요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통해 페타스케일* 초고성능컴퓨터 자체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선도국가와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한 기술혁신(차세대 반도체, 양자컴퓨팅 등)도 병행한다.
* 1 PetaScale: 초당 1,000조번 연산 가능
□ 2차 기본계획은 이번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과 관계기관 의견수렴 결과를 검토‧반영하여 내년 초 국가초고성능컴퓨팅위원회(위원장 과기정통부 장관)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o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커져가면서 컴퓨팅 역량 확보의 중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다. 컴퓨팅 자원확보, 연구개발, 인력양성, 사회 전반의 활용 확대 등 종합적 측면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차질 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제2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공청회 개최 계획
붙임
공청회 개최 계획
□ 추진 개요
ㅇ 「제2차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18~’22)」에 대한 산·학·연 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 개최
* 수립근거: 「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5조
□ 주요 내용
ㅇ (일시/장소) ’17.12.27.(수) 10:00∼12:00 / 더케이호텔 서울 한강홀
ㅇ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ㅇ (참석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산·학·연 전문가 등
ㅇ 세부일정
시 간
내 용
비 고
9:30~10:00
30‘
공청회 사전등록 및 개회
10:00~10:10
5‘
인 사 말 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5‘
축 사
KISTI 부원장
10:10~10:30
20‘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육성 2차 기본계획(안) 발표
추진위원회 총괄담당자
10:30~11:40
70‘
패널토론
성균관대 정진욱 교수 외 7명
11:40~12:00
20‘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
□ 향후 일정
ㅇ (’17.1월)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위원회 상정 및 심의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7회 산업기술보호위원회 개최 - LGD TV용 OLED 패널 제조 기술수출 승인(안) 등 4건 심의‧의결 (0) | 2017.12.26 |
---|---|
산업부, 2018년도 3조 1,580억 규모로 연구개발 지원- 전기·자율차 등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분야에 산업부의 R&D 투자 강화 (0) | 2017.12.26 |
25개 출연(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진 현황- 녹색기술센터(GTC), 전환대상 업무의 83.3% 전환 (0) | 2017.12.26 |
2017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발표 (0) | 2017.12.26 |
범부처 IP카메라 종합대책 마련 (0) | 2017.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