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양자 네트워크, 초전도 나노소자로 실현한다-표준연, 세계최초로 니오븀 기반 초전도체 나노전기역학 소자 개발 성공

하이거 2021. 4. 15. 09:22

양자 네트워크, 초전도 나노소자로 실현한다-표준연, 세계최초로 니오븀 기반 초전도체 나노전기역학 소자 개발 성공

2021-04-14관리자

 

 

양자 네트워크, 초전도 나노소자로 실현한다

- 표준연, 세계최초로 니오븀 기반 초전도체 나노전기역학 소자 개발 성공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역학계팀이 세계최초로 니오븀(Niobium)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를 개발하고 그 특성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KRISS 연구팀이 개발한 니오븀 기반 나노전기역학 소자는 기존의 알루미늄을 기반으로 한 소자보다 더 실용적인 온도와 자기장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양자 네트워크를 위한 마이크로파-광파 변환장치, 양자컴퓨터용 소자, 고정밀 스핀감지 기술 등에 응용될 전망이다.

 

초전도체 기반 양자소자는 기가헤르츠(GHz)의 전자기파인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초전도 큐비트’라는 양자 상태를 제어하거나 측정한다. 알루미늄과 니오븀 모두 극저온에서는 초전도* 특성을 나타낸다.

 

   *초전도: 특정 온도 이하에서 물질의 전기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런 성질을 가진 물질을 초전도체라고 한다.

 

니오븀은 온도 및 자기장과 같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강한 전기역학 상호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건인 기판 전극으로부터 소자를 100 nm (나노미터, 10억분의 1 m) 수준으로 띄워 유지하는 기술이 부재했다. 나노스케일에서는 분자 간 끌어당기는 힘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나노구조를 만들고 내부의 잔류응력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KRISS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역학계팀은 약 2년의 연구 끝에 니오븀 증착 조건을 최적화하여 잔류응력을 제어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세계최초로 니오븀 나노전기역학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 니오븀 나노전기역학 소자는 절대온도 4 K(켈빈, 절대온도 273.15 K은 섭씨 0도와 같다), 외부자기장 0.8 T(테슬라)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알루미늄 소자의 제한된 작동 환경인 절대온도 1 K, 외부자기장 0.01 T를 크게 뛰어넘는 결과다.

 

KRISS 연구팀은 개발한 소자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제어에도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강한 전기역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기존 소자보다 마이크로파 투과율을 1000배 이상 줄일 수 있었다.

 

 ◦ 연구팀에서 개발한 소자를 이용하면 비가역 마이크로파 소자*의 소형화를 앞당길 수 있다. 비가역 마이크로파 소자는 마이크로파 신호를 한 방향으로만 투과시켜 외부에서 소자로 유입되는 잡음을 차단한다. 

 

  * 비가역 마이크로파 소자(nonreciprocal microwave device): 마이크로파 신호를 한 쪽 방향으로만 전달하는 장치이다. 마이크로파 아이솔레이터(isolator) 및 서큘레이터(circulator)가 이러한 소자의 대표적인 예이다. 

 

KRISS 차진웅 선임연구원, 서준호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소자를 활용해 다양한 양자정보장치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마이크로파-광신호변환 장치를 개발할 예정”이라며, “소규모 양자 네트워킹을 넘어, 다양한 양자 시스템 간 양자정보를 자유롭게 전송하는 양자 인터넷을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과 KRISS 주요사업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IF: 11.238)에 게재됐다.

 

붙임1

연구성과 추가 설명

 

 

□ 용어 설명

 

○ 나노전기역학 소자(nanoelectromechanical systems)

나노스케일의 소자로 역학적 진동을 전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자를 말한다.

 

○ 초전도

특정 온도 이하에서 물질의 전기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런 성질을 가진 물질을 초전도체라고 한다.

 

○ 마이크로파

파장의 범위가 1 mm부터 1 m 사이의 전파들을 모두 가리키는 용어이다. 파장이 짧으므로 빛과 거의 비슷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살균력이 강하고 식물이나 물에 잘 흡수돼 열을 발생시킨다. 레이더, 휴대전화, 와이파이(Wi-Fi), 전자레인지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저주파나 빛에서는 볼 수 없는 물리적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므로 물질의 성질 연구용으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전파분광학에서는 전파의 주파수를 아주 정밀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빛의 분광학에 비해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 양자신호변환

초전도 양자소자에서 발생한 GHz 대역의 마이크로파 신호를 수백 THz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양자시스템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 연구 이미지 및 상세 설명

 

1. 연구 과정

니오븀 기반 나노전기역학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KRISS 공용연구실에 있는 다양한 나노 공정장비를 이용했다.

(1) 스퍼터 장비를 이용해 니오븀을 사파이어(sapphire) 기판에 증착한 후

(2) 전자빔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해 소자 형상을 패터닝했다.

(3) (2)의 형상에 따라 반응이온에칭(reactive ion etching)이라는 공정을 통해 패터닝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증착된 니오븀을 제거하여 소자를 완성했다.

(4) 완성된 소자는 액체헬륨냉동기 안에서 다양한 마이크로파 장비(네트워크분석기, 스펙트럼분석기 등)를 이용해 특성을 측정했다. 

 

 2. 실험 결과

절대온도 4.2도 환경에서 나노역학계의 동적 특성을 마이크로파로 제어

(1) 포논냉각기술 구현: 마이크로파와 나노역학계의 강한 전기역학적 상호작용(electromechanical interaction)을 이용해 나노역학계 움직임의 에너지를 온도 스케일로 환산했을 때 절대온도 4.2도에서 절대온도 0.075도로 50배 이상 감소를 달성했다.

(2) 포논증폭기술 구현: 마이크로파의 주파수를 변조해 나노역학계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특히 포논증폭기술은 나노역학계의 손실률(damping rate)를 4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고, 이는 나노역학계를 이용한 다양한 센서기술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RISS에서 개발한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 제작 이미지

 

 

▲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의 전자현미경 사진

 

 

▲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 개념도

 

○ 양자역학계팀 소개

 

양자역학계팀은 나노전기역학 소자를 기반으로 양자기술을 연구한다. 극저온에서 동작하는 고주파 나노전기역학 소자는 양자역학적 효과를 보이게 되어 양자소자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양자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특별한 성질을 지닌다. 양자역학계팀은 이러한 역학적 양자소자를 제작,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양자 시스템들과 연결하여 양자정보와 센싱을 아우르는 미래 양자하이브리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관련 논문

 

1. Nano Letters (I.F. 11.238), p1800–p1806, (2021.4.21.) 

- 제목: “Superconducting Nanoelectromechanical Transducer Resilient to Magnetic Fields”

- 주소: https://pubs.acs.org/doi/10.1021/acs.nanolett.0c04845

 

 

붙임2

사진 자료

 

 

 

▲ KRISS 양자기술연구소 차진웅 선임연구원(좌), 서준호 책임연구원(우)이

니오븀 나노전기역학 소자 측정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 KRISS 양자기술연구소 차진웅 선임연구원(좌), 서준호 책임연구원(우)이

니오븀 나노전기역학 소자 측정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 KRISS 양자기술연구소 연구팀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김학성 선임기술원, 차진웅 선임연구원,

서준호 책임연구원, 김지환 박사후연구원, 심승보 책임연구원)

 

 

붙임3

연구팀 프로필

 

 

1. 인적사항

 ○ 성 명 : 차진웅

 ○ 소 속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역학계팀

 

 

 

 

 

2. 경력사항

 ○  2017.1~2018.04 :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Caltech) 방문연구원 

 ○  2018.4~2018.10 :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Caltech) 박사후연구원

 ○  2018.10~2020.5 :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후연구원

 ○  2020.5~2020.9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  2020.10~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3. 전문 분야 정보

○ 나노스케일 포노닉 메타물질, 초전도 메타물질

○ 나노역학소자의 양자 현상 및 응용 기술 연구

 

4. 발표논문

 ○ “Superconducting Nanoelectromechanical Transducer Resilient to Magnetic Fields” Nano Letters 21, 4,1800-1806, 2021.2 (I.F. 11.238) 및 Nature, Nature Nanotechnology 포함 SCI급 6편 

 

 

 

 

 

1. 인적사항

 ○ 성 명 : 서준호

 ○ 소 속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역학계팀

 

 

 

 

 

2. 경력사항

 ○  2011.4~2014.6 :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Caltech) 박사후 연구원

 ○  2014.7~2016.12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7.1~현재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3. 전문 분야 정보

 

○ 나노역학소자의 양자 현상 및 응용 기술 연구

 

4. 발표논문

   ○ “Superconducting Nanoelectromechanical Transducer Resilient to Magnetic Fields” Nano Letters 21, 4,1800-1806, 2021.2 (I.F. 11.238) 및 Nature, Science 포함 SCI급 17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