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정보보호산업에 날개를 달다. 「정보보호 R&D 기술공유 협의체」출범

하이거 2016. 7. 26. 14:07

정보보호산업에 날개를 달다. 정보보호 R&D 기술공유 협의체출범

 

작성일 : 2016. 7. 26. 정보보호기획과

 

 


정보보호산업에 날개를 달다!

- 정보보호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정보보호 R&D 기술공유 협의체」출범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7월 26일(화)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백기승),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이상훈), 국가보안기술연구소(소장 김광호), 유관 협회·학회 및 기업과 함께 정보보호 R&D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정보보호 R&D 기술공유협의체’가 본격 출범하였다.

 ㅇ 이 협의체는 지난 6월 발표된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의 후속조치로서 공공기관에서 연구개발한 성과물을 민간에 이전하고 관련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ㅇ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안랩, 시큐아이, SK인포섹 등 기업, 정보보호산업협회·학회 등 정보보호 분야 주요 R&D 기관과 기술 수요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정보보호의 달 행사의 일환으로 출범식을 개최하게 되었다.

    ※ 일시/장소 : ’16.7.26(화) 16:00∼18:00, 한국인터넷진흥원 본원 15층 대강당

□ 이날 출범식에서는 미래부를 비롯한 정보보호 분야 주요 이해관계자가 모여 정보보호 R&D 성과의 공유 및 확산을 위한 기관별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협력 선언문을 채택‧서명하였다.

 ㅇ 출범식에 참여한 기업 및 협회는 국내 연구기관, 대학 등에서 각각 수행하던 R&D 성과물의 기술이전 체계를 통함하고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맞춤형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ㅇ 이에 따라 ETRI, KISA, NSR 등 주요 R&D기관은 2016년부터 공동 선정한 53개 기술을 우선 공개하고 매년 주요 R&D 성과에 따라 이전대상 기술 리스트를 최신화할 계획이며 기존 개별적으로 진행하던 기술이전 설명회와 기술예고제를 통합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ㅇ 또한 민간기업이 이전된 기술을 활용하는 과정에서의 경험 및 애로사항‧개선방안을 담은 기술활용도 분석서를 발간하여 제공 정보의 질을 높이고 접근‧편의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 정보보호 R&D 기술공유 협의체 개요 >

▴목 적

 - 기술수요기관과 연구기관 간 상호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국가 정보보호 R&D 연구 성과의 활용도 향상과 기술공유 활성화 도모

▴구 성

 - (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방과학연구소
 - (산업계/학계) 정보보호 유관 협회 및 학회 등

▴주요활동
 - 매년 기술이전 대상 세부기술 선정 및 공개(리스트 발표, 2016년 53개 기술)
 - 수요자 중심의 정보보호 R&D 기술활용도 분석 보고서 발간
 - 수요기업의 기술 수요 조사 및 연구기관 기술방향 수립(기획)시 반영 제안
 - 연구기관별 정보보호 R&D 성과 공유 및 국내외 기술동향 정보 분석 등 기술교류


□ 행사에 참여한 미래부 김용수 실장은 “융합보안 수요와 곧 도래할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새로운 사이버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정보보호 분야 기술이전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ㅇ “이번 협의체 출범식에서 미래부가 선정한 유망 정보보호 스타트업에 대해 기술이전 착수기본료를 최대 50%까지 감면토록 합의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라고 강조하였다.

□ 이번에 발족한 기술공유협의체는 정보보호 분야 연구기관과 산업계간 소통 강화를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을 중심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ㅇ 협의체 운영을 맡은 한국인터넷진흥원 백기승 원장은 “국내 정보보호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공유 및 확산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갖고 관련 연구기관과 산업계 모두가 힘을 모으게 된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붙임1
 기술공유협의체 개요


□ 추진 배경

 o 정부 지원을 토대로 국내 연구기관, 대학 등에서 수행한 R&D 성과물의 기술이전 실적과 사업화 성공률은 매우 낮은 실정임*
    * 공공 R&D 연구성과 활용도(28.3%), 이전기술 사업화 성공률(15%)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5년)

  - 특히, 기술이전 성과지표인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생산성*은 지속 하락
    * ’12년 4.29%, ’13년 3.73%, ’14년 3.30% (국가과학기술연구회, ’15년)

 o 기술수요기관과 연구기관 간 상호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국가 정보보호 R&D 연구성과의 활용도 향상과 기술공유 활성화 도모

□ 협의체 개요

 o (추진목적) 정보보호 R&D 기술의 공유․확산 활성화를 위해 산․학․연 소통․협력의 장 마련 및 수요기업 중심의 협력모델 개발

 o (참여대상) 연구기관(KISA, ETRI, NSR, ADD), 관련협회, 산업체, 학회, 대학 등
    * 협의체 간사기관 : KISA 정보보호R&D기술공유센터

 o (역할) 원스톱 기술공유 허브, 기관간 공유․협력, 국가 R&D 개선의견 수렴 등

 o (개최주기) 분기별 1회 정기회의 개최 및 이슈 발생시 회의 개최

□ 협의체 주요활동

 - 국가 정보보호 R&D 기술 성과 활용도 향상 및 정보공유 활성화 방안 논의

 - 연구기관의 정보보호 R&D 성과물 발표 및 홍보

 - 수요자 중심의 정보보호 R&D 기술활용도 분석 및 결과 검토
    * 정보보호 수요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술 공유체계 구축․운영 

 - 수요기업의 기술 니즈를 청취, 연구기관 기술방향 수립(기획)시 반영

 - 분과 구성 및 분과별 국내외 기술동향 정보 분석 등 기술교류
    * 분과 구분(공통기반 보안, 네트워크/디바이스 보안, 서비스/융합보안)


붙임2
 협력 선언문


정보보호 R&D 기술공유 및 성과확산을 위한
협력 선언문


우리 정보보호 R&D 기술공유협의체는 국가 정보보호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연구 성과의 활용도 향상과 기술 공유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호 협력한다.

하나, 우리는 정보보호 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보호 R&D 성과 향상에 한 마음으로 노력한다.

하나, 우리는 R&D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축적한 연구 자원의 공동 활용 및 교류를 통해 정보보호 R&D 연구/기술/성과의 향상/확대/활성화에 기여한다.

하나, 우리는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R&D 성과의 유기적 연동 및 시너지 창출을 위한 초석이 되도록 열린 마음으로 상호 협력한다. 

하나, 우리는 특히 선발된 유망 스타트업 기업이 R&D 성과물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 착수기본료 감면(최대 50%), 개발 컨설팅 등 지원을 강화하도록 노력한다.

하나, 우리는 위에서 선언한 사항들을 추진하기 위하여 구성된 ‘정보보호 R&D 기술공유 협의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할 것임을 선언한다.
 

본 선언문의 내용을 성실히 이행하고 협정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 선언문을 기술공유협의체 구성원들은 각각 서명한다.


2016. 7. 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이상훈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소장 김광호
서명:
서명:

 

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 백기승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회장 홍기융
서명:
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