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제1차 전환기 업종별 미래산업 포럼 개최-반도체 산업을 시작으로 총 8번의 주력산업 진단

하이거 2021. 3. 5. 13:04

1차 전환기 업종별 미래산업 포럼 개최-반도체 산업을 시작으로 총 8번의 주력산업 진단

 

담당부서반도체디스플레이과 등록일2021-03-05

 

 


제1차 전환기 업종별 미래산업 포럼 개최

- 반도체 산업을 시작으로 총 8번의 주력산업 진단 -
- 디지털 전환, 탄소 중립 등 산업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방향 논의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3월 5일(금) 7시 30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된 제1차 「전환기 업종별 미래산업 포럼」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당면 과제를 점검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ㅇ 대한상의가 주최한 同 포럼은 우리의 주력산업별로 총 8번을 개최할 예정이며, 산업별 민간 전문가의 주제발표와 민·관 참석자의 자유토론으로 진행된다.

【 제1차 「전환기 업종별 미래산업 포럼」 개요 】
◇ 일시/장소 : ‘21. 3. 5(금) 07:30∼09:00 /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1층 EC룸

◇ 참석자 : (산업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반도체디스플레이과장
(기관)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업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실리콘마이터스
(발표) 딜로이트컨설팅, 산업연구원, 산업기술대학교

◇ 주요내용 : (1부) 주제 발표(조찬 진행), (2부) 자유토론(비공개)

◇ 포럼 개최 계획

순서 주제 산업 순서 주제 산업
1차 ▸반도체 5차 ▸자동차, 2차전지
2차 ▸디스플레이, 전자정보통신 6차 ▸기계, 로봇
3차 ▸석유화학 7차 ▸조선해양플랜트
4차 ▸철강, 비철금속 8차 ▸Wrap-up 회의
□ 첫 번째 주제로 반도체 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딜로이트컨설팅 조은덕 상무가 발표하였다.

ㅇ 조은덕 상무는 “디지털 기술은 단순히 각 산업을 지원하던 과거와 다르게, 최근에는 주체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며 전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하고 있다.”면서,

ㅇ “반도체 산업은 국내 제조업 디지털성숙도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할 만큼 디지털 성숙도가 높으나*, 보다 진보된 변화를 위해서는 기업 운영, 고객 관리에 데이터, AI 등의 디지털 기술 적용을 확대하여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산업별內 디지털 성숙도 평가 >
순위 산업 분야 디지털성숙도 순위 산업 분야 디지털성숙도
1위 반도체 6.3 9위 소비재 5
2위 전자 5.6 10위 헬스케어 5
3위 유통 5.5 11위 운송, 여행 관광 5
4위 자동차 5.4 12위 화학 4.8
5위 통신 5.3 13위 에너지 4.7
6위 제약 및 바이오 5.2 14위 농업 및 관련사업 4.7
7위 건설·부동산 5.1 15위 물류 4.5
8위 항공우주 및 방위 5 16위 오일 및 가스 4.3
※ 출처 : 딜로이트컨설팅(’20) / 제조업 디지털성숙도 평균 4.4

□ 두 번째 주제는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탄소 중립 주요 과제이며, 산업연구원 정은미 본부장이 발표하였다.

ㅇ 정 본부장은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대해 “국내 반도체 산업은 최신 감축설비 투자, 대체 공정가스 개발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고 평가하면서,

ㅇ “글로벌 패러다임인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면서도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와 친환경 공정가스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밝히고,

ㅇ “특히, 공정가스 개발은 특정 기업의 힘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와 반도체·공정가스 생산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기관들의 협조체계 마련이 중요하다.”고 제언하였다.

□ 마지막 주제 발표를 진행한 산업기술대학교 장석인 석좌교수는 코로나19 이후 반도체 산업 성장을 위한 新규제 패러다임을 주문하였다.

ㅇ 장 교수는 “향후 반도체 산업의 규제 패러다임은 글로벌 경쟁우위 확보와 혁신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도록 재편해야 한다.”면서,

ㅇ “반도체 산업은 특성상 막대한 부지가 필요한데, 공장 신·증설 과정에 자연녹지가 포함되면 확장·이전이 어려우므로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제언하였다.

ㅇ 아울러, “대규모 반도체 생산라인은 유해화학물질의 인·허가 문제가 수시로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규제도 탄력적이고 효율적인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이 후 진행된 자유 토론에서는 주제 발표에 대해 참석자들이 의견을 제시하고, 반도체 산업의 주요 이슈와 기업 건의사항 등을 논의하였고,

ㅇ 반도체산업협회 이창한 상근부회장은 ①산업별 디지털 전환 지원, ②친환경 공정가스 개발을 위한 R&D 지원, ③기업의 경영 부담을 심화하는 규제 완화 등의 건의사항을 정부에 전달하였다.

□ 산업부 강경성 산업정책실장은 “최근 우리 산업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탄소 중립 도전 등의 환경 변화로 빠르게 전환기를 맞고 있다.”면서,

ㅇ “특히, 반도체 산업은 미래차, 5G, AI 등 유망산업의 핵심부품이자 군사안보적인 전략부품으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적극적이고 과감한 지원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참고 제1차 전환기 업종별 미래산업 포럼 개요

□ 회의개요

ㅇ (목적) 우리 주력 산업의 당면과제·미래전략 점검 및 정책과제 논의

< 주력산업별 미래산업 포럼 개최 계획(안) >
순서 주제 산업 순서 주제 산업
1차 ▸반도체 5차 ▸자동차, 2차전지
2차 ▸디스플레이, 전자정보통신 6차 ▸기계, 로봇
3차 ▸석유화학 7차 ▸조선해양플랜트
4차 ▸철강, 비철금속 8차 ▸Wrap-up 회의

ㅇ (일시·장소) ’21. 3. 5일(금) 07:30~09:00, 상의회관 1층 EC룸

ㅇ (주최·주관) 대한상공회의소

ㅇ (참석) ▴[정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반도체디스플레이과장
ㅇ (참석) ▴[기관] 대한상의 우태희 부회장(주재), 반도체협회 이창한 부회장
ㅇ (참석) ▴[기업] SK하이닉스 박용근 부사장, 삼성전자 엄재훈 전무,
실리콘마이터스 김동천 부사장, DB하이텍 권종혁 상무
ㅇ (참석) ▴[발표] ①디지털 전환 → 딜로이트컨설팅 조은덕 상무,
②탄소 중립 → 산업연구원 정은미 본부장
③규제 개혁 → 산업기술대 장석인 교수

□ 주요내용

➊ (디지털 전환) ①반도체 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 ②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 ③반도체 산업의 데이터·AI 적용

➋ (탄소 중립) ①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②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③공정가스 분해 및 대체가스 기술개발 등

➌ (규제 개혁) ①자연녹지지역 內 사업 허용, ②화관법 인·허가 기간 완화, ③특별연장근로 신속·자동 인가 허용 등

□ 세부일정

시간 세부 진행순서 비고
7:30 1. 개회
07:30~08:00 2. 주제 발표(조찬진행) : ① 디지털 전환 딜로이트 컨설팅
② 탄소 중립 산업연구원
③ 규제 개혁 산업기술대
08:00~09:00 3. 비공개 자유토론 참석자 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