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탄소중립 시대 UAE와 함께 개척한다-산업부 성윤모 장관, UAE 알자베르 장관과 수소에너지 협력 양해각서 체결’

하이거 2021. 3. 5. 13:01

탄소중립 시대 UAE와 함께 개척한다-산업부 성윤모 장관, UAE 알자베르 장관과 수소에너지 협력 양해각서 체결

 

담당부서중동아프리카통상과 등록일2021-03-04

 

 


‘탄소중립 시대 UAE와 함께 개척한다’
‘산업부 성윤모 장관, UAE 알자베르 장관과 수소에너지 협력 양해각서 체결’
-CEO 라운드 테이블, 주제별 워크숍 등 기업인 행사개최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UAE 산업첨단기술부(MOIAT, 장관 알자베르)는 3.4일(목) “한-UAE 산업·에너지 협력포럼(Korea-UAE Industry and Energy Cooperation Forum)”을 개최해(화상) 수소경제협력 양해각서와 산업기술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협력과 디지털 혁신‧전환을 위한 산업·기술 협력방안을 논의함

ㅇ 이번 포럼은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인 양국의 미래지향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장관급 면담, CEO 라운드테이블, 주제별 워크숍(Breakout Session)이 진행됨

< 포럼 개요 >

◇ 일시 및 장소 : 2021.3.4.(목), 15:00∼17:00, 화상회의

◇ 주요 내용 : 장관급 회의, MOU 체결, CEO 라운드테이블, 주제별 워크숍

◇ 참석자 : (한) 산업부, 기업(GS에너지/칼텍스 등), (UAE) 산업첨단기술부, 아부다비석유공사(ADNOC) 관계자 등 180여명

□ 장관급 면담에서 양국은 원전건설, 석유·가스 등 기존 전통적 협력을 넘어 양국간 협력을 확대·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함
ㅇ 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장관은 한국은 수소로드맵 수립, 세계 최초의 수소법 제정 등 ‘한국판 그린뉴딜’을 적극 추진중이고 UAE도 에너지계획 2050’ 실현을 위해 노력중인 바, 수소 등 신에너지 분야에서 양국간 협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함

- 또한 양국은 이번 ‘수소경제협력 MOU‘로 탄소중립시대 동반자로서 수소 교역 제도 및 정책 공유, 수소경제 추진지원 체계*간 협력채널 구축, 관련 기술협력 강화 등 수소경제 협력을 위한 계기를 마련함
* (한)H2Korea-(UAE)수소얼라이언스

<수소경제협력 양해각서>
⚫MOU주체 : (韓)산업통상자원부 - (UAE)산업첨단기술부

⚫주요내용 : △수소교역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 법, 규제 협력 △H2Korea-UAE 수소동맹간 협력채널 구축, △한-UAE간 국제 수소 컨퍼런스에서의 협력, △수소, 탄소 재활용 및 배출저감 기술에 대한 투자 기회 모색 등

ㅇ 양국 장관은 디지털 혁신과 전환을 위한 산업·기술 협력방안도 논의함

- 성윤모 장관은 “양국은 지난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상호 기업인 입국 원활화와 방역 등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모범적으로 협력해 왔다”고 평가하면서

- “이러한 성공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 바이오 산업 분야는 물론 스마트제조, 전자상거래, AI, 이러닝 등 디지털 경제분야와 스타트업 등 창의적 중소기업 육성도 함께 협력하자”고 말함

- 이날 한국과 UAE는 “산업기술정책 협력 양해각서”도 체결해 양국간 산업기술정책 협력채널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협력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산업‧기술정책협력 양해각서>
⚫MOU주체 : (韓)산업부 - (UAE)산업첨단기술부

⚫주요내용 : △산업‧기술정책 의제 발굴, △산업발전 우수제도, △바이오산업, 항공우주산업, AI‧이러닝, 4차 산업혁명 등 협력, △협력채널 개설

⚫이행 : 양국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전략회의 2년 단위로 교차 개최

□ 이어서 진행된 CEO 라운드테이블에서는 GS에너지, 한국석유공사, H2KOREA 등 9개 기업의 최고 경영자가 참석하여 탄소중립 및 수소경제 전환을 위한 기업전략을 논의하는 한편,

ㅇ 양국의 전문가와 기업인 170여명이 참여해 AI·신에너지 등 한-UAE 유망협력 분야에 대해 논의하는 주제별 워크숍*도 개최됨

* 아부다비석유공사(ADNOC)의 수소·지속가능한 연료 개발, 조달 절차, 재생에너지(마스다르사) 및 기후변화 대응 등

□ 양국 장관은 오늘 행사가 그간 양국 협력 성과를 재조명하고 새로운 미래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의미있는 자리였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탄소중립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함





【붙 임】한-UAE 무역 및 투자 현황

참고 한-UAE 무역 및 투자 현황

□ 교역 현황

ㅇ 양국 교역규모는 ‘20년 기준 약 94억불로 전체국가 중 21위

* ‘20년 기준, 수출 24위, 수입 19위(중동국가 중 수출 1위, 수입 4위)

ㅇ ‘20년 교역규모는 전년대비 25% 감소, 무역수지는 20억불 적자

< 우리나라의 對UAE 연도별 교역 현황(단위: 백만불) >
구 분 ‘14 ‘15 ‘16 ‘17 ‘18 ‘19 ‘20
상품수출 7,212 6,077 5,870 5,388 4,588 3,470 3,660
상품수입 16,194 8,615 6,941 9,557 9,287 8,991 5,696
총교역량 23,406 14,692 12,811 14,945 13,875 12,461 9,356
무역수지 △8,982 △2,538 △1,071 △4,168 △4,699 △5,521 △2,036
* 출처 : 한국무역협회

< ‘20년 對UAE 수출입 상위 5대 품목(단위: 백만불, %) >
주요 수출품 주요 수입품
품 목 ‘19년 ‘20년 품 목 ‘19년 ‘20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3,470 △24.4 3,660 5.5 총계 8,991 △3.2 5,696 △36.6
자동차부품 399 11.9 291 △27.2 원유 5,970 11.9 3,605 △39.6
기호식품 103 △40.7 236 128.1 석유제품 2,370 △23.5 1,584 △33.1
무기류 85 △40.0 201 135.8 알루미늄 232 △17.2 198 △14.5
우라늄 0 0 148 0 천연가스 71 0 57 △20.0
원동기·펌프 98 △0.7 143 46.3 동제품 91 △20.4 55 △39.1
* 출처 : 한국무역협회(MTI 3단위 기준)

□ 투자현황

ㅇ `20.9월 누계 기준 양국간 직접투자 규모는 63억불, 對UAE 투자는 28억불, 對한국 투자는 35억불

< 연도별 양국 간 직접투자 규모 (신고금액 기준, 단위: 백만불) >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9 누계
한국→UAE 35 14 245 36 1,014 541 261 365 2,794
UAE→한국 32 55 74 114 236 47 484 691 3,492
* 출처 : 수출입은행(한국→UAE), 산업통상자원부(UAE→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