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 기념행사 개최
작성일 : 2017. 12. 27. 원자력연구개발과
제7회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원자력산업회의가 주관하는, 제7회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이하 원자력의 날)」 기념행사가 12월 2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되었다.
* 원자력의날은 2009.12.27일 UAE 원전수출을 계기로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어,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번갈아가며 행사를 주최
< 제7회 원자력의 날 개요>
◇ 일시·장소 : ’17.12.27(수) 14:30-17:30, 서울 웨스틴조선호텔(1층)
◇ 행사 주제 : 에너지전환시대의 원자력의 역할과 방향
◇ 참석자 : 이인호 차관(산업통상자원부, 국회 상임위 일정으로 변경가능), 이진규 1차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관섭 한국원자력산업회의 회장/한수원 사장), 김학노 한국원자력학회장 및 원자력 관련기관 및 관계자 300여명
□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축사를 통해서, 그 동안 원자력이 경제와 국민에게 기여한 성과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에너지전환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ㅇ 에너지전환이 향후 60여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원자력계가 적응할 시간이 있다고 설명하고, 국내 원전생태계의 유지, 안전관련 기술개발 및 투자, 해체기술의 확보, 사용후핵연료 처리, 원전수출 등에 대해 민관이 함께 노력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ㅇ 특히, 영국, 체코, 사우디 등 원전수출 및 해외진출 등과 관련해서는 수익성과 리스크를 감안하되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하였다.
ㅇ 더불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과정을 거치면서 확인된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높은 관심을 고려하여, 원자력이 아닌 국민들의 입장과 눈높이에서 원자력을 다시 돌아보고 적극적인 소통에 노력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이날 기념식에서는 원자력 기술개발, 안전운영, 방폐장, 해외수출 등 부문별 유공자들에게,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관장 표창 88점이 수여되었다.
붙임 : 제7회 「원자력의 날」 기념행사 개요
【붙임】
제7회 「원자력의 날」 기념행사 개요
□ 개최 목적 : 에너지 전환시대를 맞이하여 원자력의 새로운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고 원자력 산학연 관계자의 노고를 치하
□ 행사명 : ′제7회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 (원자력의 날)
- 주제 : 에너지전환시대 원자력의 역할과 방향
□ 일시 및 장소 : ′17. 12. 27. (수) 14:30~17:30, 웨스틴조선호텔 서울
□ 참석자 : 약 300명
ㅇ (주요인사)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자력 유관기관 기관장, 출연(연)기관장 등 관련 협․단체장
ㅇ (일반인) 원자력 관련 협․단체 임직원, 포상유공자 가족, 원자력계 종사자, 원자력에 관심 있는 일반인 등
□ 포상규모 : 산업부, 과기정통부 기관장 표창(88점)
□ 주요 행사내용
구분
시간
소요
프로그램
행사내용
식전
행사
(90분)
14:30~15:00
(30분)
등록
- 참석자 등록
15:00~16:00
(60분)
식전 프로그램
- 외부 전문가 특별 강연
오프닝
(30분)
16:00~16:20
(20분)
휴식(커피브레이크)
- 커피 및 다과
16:20~16:30
(10분)
오프닝 퍼포먼스
- 기념 공연
기념
행사
(60분)
16:30~16:35
(5분)
개회 및 국민의례
- 개회, 국민의례
16:35~16:40
(5분)
주제영상
- 에너지전환 영상
16:40~16:45
(5분)
개회사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회장
16:45~17:00
(15분)
격려사/축사
- 산업부, 과기정통부
17:00~17:25
(25분)
유공자 포상
- 각 부처 장관표창
17:25~17:30
(5분)
폐회 및 기념촬영
- 행사 종료 및 기념촬영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계획 발표 (0) | 2017.12.27 |
---|---|
항공산업, 업종간 융합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박차-「항공산업 융합얼라이언스」 발족, 공동 기술개발, 사업화 추진 (0) | 2017.12.27 |
2018년도 제1차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통합공고 (0) | 2017.12.26 |
2018년도 KRISS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세부과제 공모 (0) | 2017.12.26 |
1조 917억원 R&D 자금, 일자리 창출 기업에 투입! - 창의도전 R&D 집중 지원, 첫걸음기업 지원목표제 운영 (0) | 2017.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