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8년도 KRISS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세부과제 공모

하이거 2017. 12. 26. 21:05

2018년도 KRISS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세부과제 공모

 

2017-12-26관리자


http://www.kriss.re.kr/information/inform_notice_view.do?seq=2587&page=1&num=1&searchType=title&searchWord=
























2018년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세부과제 공모 및 선정평가 추진계획(안)


1. 사업 목적
  ◦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기업 육성
  ◦ KRISS 이전기술에 대한 후속 지원을 통한 상용화 성공률 제고
  ◦ KRISS 보유 우수 연구성과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실용화 기술로 개발함으로써
     기술가치 창출 극대화 도모
  ◦ 복합기술 지원을 통한 홈닥터 기업의 제품 개발 및 기술 상용화
 
2. 사업 개요
  ◦ 사업 재원 : 주요사업
  ◦ 지원규모 및 기간 : 아래 표 참조
  ◦ 연구책임자 : KRISS 선임급 이상
  ◦ 과제 추진일정 계획(안)
    - 2018년 1월 중 공모 및 선정평가 후 2018년 2월 중 착수 예정 
  
번호
과제명
과제개요
과제당
출연금
직접비
지원
기간
기업부담금*
(현물+현금)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중소·중견기업을 집중 지원하여 세계적 수준의 제품 상용화, 세계적 기업 육성
1.5억원
이내
최장
3년
(2+1)
(중소기업)
총 연구비의 25% 이상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0 % 이상)

(중견기업)
총 연구비의 40% 이상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5 % 이상)

기술이전
후속지원
KRISS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은 중소·중견기업 대상 이전기술 상용화 지원
7천만원
이내
1년

기술실용화
KRISS 보유 우수 연구성과(원천, 기초기술 포함)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실용화 기술로 개발함으로써 기술가치 창출 극대화 도모

명품홈닥터
지도성과가 우수한 홈닥터 기업, 기술지도 및 연구장비공동활용 애로기술해결 과제에 참여한 기업에 복합기술을 지원하여 제품 및 기술 상용화 가속화


*: 총 연구비(출연금 직접비 + 기업부담금) 대비 기업부담금 비율
  - 중소기업 현금비중은 총 연구비의 10 % 이상
 ^예_출연금 직접비 6천만원인 경우: 총 연구비는 8천만원(=6천만원/0.75),
  기업부담금 2천만원 (현금: 800만원, 현물 1,200만원)

3. 추진일정 계획(안)
  - 2017. 12. 22.(금): 과제공모
  - 2018. 1.  5.(금) : 과제 참여의향서 접수(첨부-7)
  - 2018. 1. 12.(금) : 과제신청서 접수(첨부-5)
  - 2018. 1. 16.(화) : 과제선정 평가용 발표자료 접수(power point 파일)
  - 2018. 1. 18.(목) : 과제선정 평가
  - 2018. 1. 23.(화) ~ 1. 31.(수) : 최종 연구계획서 접수 및 계약
  - 2018. 2. 1.(목): 과제 착수


※ 문의: 중소기업협력센터장 정진완(042-868-5111)
※ 문의/접수: 중소기업협력센터 조문재(042-868-5304), 이일수(042-868-5781)


※ [첨부-1] :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과제 공모 1부
   [첨부-2] : 기술이전 후속지원 과제 공모 1부
   [첨부-3] : 기술실용화 과제 공모 1부
   [첨부-4] : 명품홈닥터 과제 공모 1부
   [첨부-5] : 과제신청서 양식 1부
   [첨부-6] : 참여기업 확인서
   [첨부-7] : 과제참여 의향서

 [첨부-1]

2018년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 ①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과제 공모 -


1. 과제개요
  ◦ 성장 잠재력이 있으나 기술문제로 세계시장에서 열세에 있는 중소·중견기업을 발굴, 맞춤형 기술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으로 육성


2. 참여기업 조건
  ◦ 연매출 50억 원 이상이면서 수출 실적 우수기업
  ◦ KRISS 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제품의 성능향상, 품질개선, 인증획득, 공정개선 등으로 획기적 매출신장, 시장점유율 확대 및 기술수준 제고가 기대되는 기업


3. 지원규모 및 기업 매칭펀드
  ◦ 출연금 직접비: 과제당 최대 1.5억원/년 이내
  ◦ 기업매칭 펀드
    - (중소기업) 총 연구비의 25%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0% 이상
    - (중견기업) 총 연구비의 40%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5% 이상
  ◦ 지원기간: 최장 3년 (2년 지원 후 단계평가를 통해 1년 추가 지원 가능)

4. 과제내용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측정기술을 이용하여 글로벌 톱 경쟁력을 갖는 중소·중견기업 육성
  ◦ KRISS-기업 간 연구개발팀 구성 및 첨단장비·시설을 이용한 핵심기술 공동개발
  ◦ KRISS와 기업의 연구책임자간 협력을 통한 기획 및 맞춤형 기술지원으로 기업 난제 극복
    - 기획에서 기술개발, 상용화까지 연구원과 기업 책임자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기업이 체감하는 기술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개발
    - KRISS와 기업의 연구책임자간 상시 문제의식 공유를 통해, 걸림돌 파악 → 맞춤형 기술지원 → 혁신을 위한 최적 솔루션 제공

5. 과제평가 및 보고서제출
  ◦ 연차점검, 단계평가(2년), 최종평가를 통해 목표관리 수행
    - 1단계(2년) 종료시점에서 사업의 목표대비 연구 성과 분석, 목표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계속(추가 1년) 지원여부 결정
    - 연차점검에서 과제수행에 심각한 문제가 발견될 경우 중단 가능
  ◦ 결과보고 : 매년 주관기관에서 요청하는 성과 및 보고서(차년도 계획 포함) 제출

6. 기술료 및 참여기업의 의무
  ◦ 기술개발 실시에 따른 기술료는 아래 표의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을 기본으로 함.

번호
과제명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
기술실시기간/조건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납부방식은 아래 3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
 (1)기본기술료만 납부
 (2)경상기술료만 납부
 (3)기본기술료와 경상기술료 혼합 납부
10년 / 협의


  ◦ 개발기술 적용에 의한 참여기업의 고용 및 매출 증대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KRISS에 보고

7. 선정절차 및 방법
  ◦ 과제신청서 접수
  ◦ 선정평가 : 서류검토 및 공개 발표평가
    - 공개평가는 외부전문가 중심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 연구내용의 기술성, 시장성,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참여기업의 역량 및 연구책임자의 연구수행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 구성

  
평가항목
평가 지표
배점
평가 착안점
연구내용
기술성
10
∙KRISS 보유기술로 지원 가능 여부
시장성
15
∙해당기술(제품)의 세계시장 규모의 적정성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25
∙과제수행으로 해당 기업의 국제경쟁력 성장 수준
∙사업 수행 후 예상되는 일자리 창출 및 매출증대 수준
참여기업
참여기업
역량과 의지
30
∙해당 사업분야에 대한 역량과 인프라 보유 정도
∙연구개발 능력(과제수행 실적)
∙해당 기술(제품) 개발에 대한 CEO의 의지
연구자
연구개발
능력
20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실적과 우수성
∙연구팀의 전문성 및 사업수행 능력

 
[첨부-2]

2018년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 ②기술이전 후속지원 과제 공모 -


1. 과제개요
  ◦ KRISS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아 상용화를 추진 중인 중소·중견기업 중 상용화를 위해 추가지원을 필요로 하는 유망기업을 선정·지원함으로써 상용화 성공율 제고

2. 지원규모, 기업조건 및 기업 매칭펀드
  ◦ 출연금 직접비: 과제당 7천만원 이내
  ◦ 참여기업 조건: 전수기간 중이거나 기술료 납부기간 만료 기술은 제외
  ◦ 기업매칭 펀드
    - (중소기업) 총 연구비의 25%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0% 이상
    - (중견기업) 총 연구비의 40%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5% 이상
  ◦ 지원기간: 1년

3. 과제내용
  ◦ KRISS로부터 기술을 이전 받아 상용화를 추진하였으나 주변기술 및 장비 등의 부족으로 상용화가 지연되거나 장벽에 부딪쳐 추가적인 기술지원이 요구되는 과제에 대한 후속지원
    - 기업 요구에 따른 맞춤형 기술지원을 통해 상용화 성공 가능성 제고
    - 기술이전 과제의 상용화 진행 정도에 따라 연구책임자-기업 간 협의를 통해 맞춤형 기술지원 실시

4. 과제평가 및 보고서제출
  ◦ 사업의 목표대비 성과 분석을 통해 결과평가
  ◦ 보고서: 과제 종료 시 제출

5. 기술료 및 참여기업의 의무
  ◦ 기술개발 실시에 따른 기술료는 아래 표의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을 기본으로 함.

번호
과제명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
기술실시기간/조건

기술이전 후속지원
기존 기술이전 계약조건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세부사항은 협상에 따른다.
10년 / 협의


  ◦ 개발기술 적용에 의한 참여기업의 고용 및 매출 증대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KRISS에 보고

6. 선정절차 및 방법
  ◦ 과제신청서 접수
  ◦ 선정평가 : 서류검토 및 공개 발표평가
    - 공개평가는 외부전문가 중심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 연구내용의 기술성, 시장성,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참여기업의 역량 및 연구책임자의 연구수행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 구성

  
평가항목
평가 지표
배점
평가 착안점
연구내용
기술성
30
∙상용화 가능성 여부
시장성
10
∙해당기술(제품)의 세계시장 규모의 적정성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20
∙사업 수행 후 예상되는 일자리 창출 및 매출증대 수준
참여기업
참여기업
역량과 의지
20
∙해당 사업분야에 대한 역량과 인프라 보유 정도
∙연구개발 능력(과제수행 실적)
∙해당 기술(제품) 개발에 대한 CEO의 의지
연구자
연구개발
능력
20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실적과 우수성
∙연구팀의 전문성 및 사업수행 능력

 
[첨부-3]

2018년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 ③기술실용화 과제 공모 -


1. 과제개요
  ◦ KRISS 보유 우수 연구성과(원천.기초기술 포함)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실용화 기술로 개발함으로써 기술가치 창출 극대화 도모.

2. 지원규모 및 기업 매칭펀드
  ◦ 출연금 직접비: 과제당 7천만원 이내
  ◦ 기업매칭 펀드
    - (중소기업) 총 연구비의 25%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0% 이상
    - (중견기업) 총 연구비의 40%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5% 이상
  ◦ 지원기간: 1년

3. 과제내용
  ◦ 이미 확보하고 있는 원천․기초기술을 대상으로, 산업체 등에 기술이전 직전 단계까지 상용화 기술을 개발
  ◦ 이미 확보하고 있는 원천․기초기술로서 향후 특허출원을 계획하고 있는 기술

4. 과제평가 및 보고서제출
  ◦ 사업의 목표대비 성과 분석을 통해 결과평가
  ◦ 보고서: 과제 종료시 제출

5. 기술료 및 참여기업의 의무
  ◦ 기술개발 실시에 따른 기술료는 아래 표의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을 기본으로 함.

번호
과제명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
기술실시기간/조건

기술실용화
납부방식은 아래 3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
 (1)기본기술료만 납부
 (2)경상기술료만 납부
 (3)기본기술료와 경상기술료 혼합 납부
10년 / 협의


  ◦ 개발기술 적용에 의한 참여기업의 고용 및 매출 증대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KRISS에 보고

6. 선정절차 및 방법
  ◦ 과제신청서 접수
  ◦ 선정평가 : 서류검토 및 공개 발표평가
    - 공개평가는 외부전문가 중심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 연구내용의 기술성, 시장서, 사업성, 권리성, 연구책임자의 연구수행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 구성

  
평가항목
평가 지표
배점
평가 착안점
연구내용
기술성
10
∙우리연구원의 연구과제와의 연관성
∙기술의 완성도
시장성
10
∙예상되는 기술료 수입(선급 기술료 기준)
∙국내외 시장 규모
사업성
20
∙예상되는 기술이전 사업처
∙사업화 가능 시기
권리성
10
∙지식재산권 확보 가능성
참여기업
참여기업
역량과 의지
20
∙해당 사업분야에 대한 역량과 인프라 보유 정도
∙연구개발 능력(과제수행 실적)
∙해당 기술(제품) 개발에 대한 CEO의 의지
연구자
연구개발
능력
30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실적과 우수성
∙연구팀의 전문성 및 사업수행 능력


[첨부-4]

2018년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 ④명품홈닥터 과제 공모 -


1. 과제개요
  ◦ 홈닥터기업의 생산능력 향상에 필요한 R&D를 지원하여, 기업이 국산화, 신제품 개발, 매출증대, 고용창출 등 획기적 성과창출을 이루도록 지원함

 
2. 지원규모 및 기업 매칭펀드
  ◦ 출연금 직접비: 과제당 7천만원 이내
  ◦ 기업매칭 펀드:
    - (중소기업) 총 연구비의 25%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0% 이상
    - (중견기업) 총 연구비의 40%이상을 부담,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5% 이상
  ◦ 지원기간: 1년

3. 과제내용
  ◦ 성과가 우수한 홈닥터 기업, 기술지도 및 연구장비 공동활용 애로기술 해결 과제의 참여기업에 복합기술을 지원하여 제품 및 기술 상용화 가속화
    - KRISS 융복합기술, 첨단장비 등을 활용한 기업에 신제품개발, 공정개선, 성능검사 등 지원
    - KRISS-기업간 연구개발팀을 구성하여 기업에서 필요한 핵심기술을 공동개발
    - 생산현장의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KRISS연구팀의 최적 솔루션 제공

4. 과제평가 및 보고서제출
  ◦ 사업의 목표대비 성과 분석을 통해 결과평가
  ◦ 보고서: 과제 종료 시 제출

5. 기술료 및 참여기업의 의무
  ◦ 기술개발 실시에 따른 기술료는 아래 표의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을 기본으로 함.

번호
과제명
납부방식 및 기술이전 조건
기술실시기간/조건

명품홈닥터
납부방식은 아래 3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
 (1)기본기술료만 납부
 (2)경상기술료만 납부
 (3)기본기술료와 경상기술료 혼합 납부
5년 / 협의


  ◦ 개발기술 적용에 의한 참여기업의 고용 및 매출 증대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KRISS에 보고
6. 선정절차 및 방법
  ◦ 과제신청서 접수
  ◦ 선정평가 : 서류검토 및 공개 발표평가
     - 공개평가는 외부전문가 중심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 연구내용의 기술성, 시장성,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참여기업의 역량 및 연구책임자의 연구수행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 구성


평가항목
평가 지표
배점
평가 착안점
연구내용
기술성
20
∙KRISS와의 협력을 통해 신제품 개발, 품질개선, 판로개척 등이 가능한 기술인가 ?
∙해당기술이 KRISS 미션과 부합 여부
시장성
15
∙해당기술(제품)의 국내외 시장 규모의 적정성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25
∙해당기술이 산업의 전후방분야에 있어 일자리 및 부가가치 창출 기여 정도
참여기업
참여기업
역량과 의지
20
∙해당 사업분야에 대한 역량과 인프라 보유 정도
∙연구개발 능력(과제수행 실적)
∙해당 기술(제품) 개발에 대한 CEO의 의지
연구자
연구개발
능력
20
∙과거 중소기업 지원실적과 우수성
∙연구책임자의 사업화 실적과 우수성
∙연구팀의 전문성 및 사업수행 능력

 



[첨부-5] 과제신청서


중과제명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소과제명
예_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기술이전 후속지원, 기술실용화, 명품홈닥터
세부과제명

과제 목적
기존 제품의 개선(   )
신제품 개발(   )
과제책임자
성명

부서명

직급

전화번호

참여기업
업체명

주요생산품

종업원수
               명
연 매출액
         억원
대표자 성명

전화번호

연구사업비
KRISS
               천원
업체분담금
(현금)
          천원
(    천원)
연구기간
 2018. 1. 1. ∼ 2018. 12. 31.(1년) ※ 글로벌 강소기업인 경우 2년
  관계 규정과 제반 지시사항을 준수하면서 본 과제를 성실히 수행하고자 과제신청서를
제출합니다.

                                      2018년  1월   일
               
                                             과제책임자 :                    (인)
                                 
                                        참여기업 대표자 :                    (인)


                                   소속부서 센터장(확인) :                   (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귀하

I. 연구개발의 개요 및 목표
 1. 연구개발 개요
   가. 연구개발의 필요성
    ◦
    ◦

   나. 국내외 연구동향
    ◦선진국 동향 ☞ 현재 ‘선진국과의 기술수준’과의 비교분석
      -

    ◦국내 동향 ☞ 산학연 동향 중심으로 작성
      -

   다. 연구개발의 목적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 목적
      -

    ◦기대효과
      -
  
 2.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
  ☞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은 기 제출한 연구계획서상의 내용을 토대로 계량화하여 개조식으로 작성함
  ☞ 글로벌 강소기업 과제인 경우 2차년도까지 작성 요망

   가. 연구개발 최종 목표 ☞ 참여 기업에서 필요한 기술개발 목표를 구체적으로 기술
    ◦(1차년도)
      -
      -
      -
  
    ◦(2차년도)
      -
      -
      -
    
 
   나. 목표달성도 평가지표 (☞작성예시, 최종평가시 검토사항으로 정량화․ 수치화 함.)
    ◦ 요소기술 : 예_ 초음파 파워 측정 및 성능평가 기술

평가지표
(주요성능)
단위

가중치
(%)
세계최고수준
보유국/기업
(독일/지멘스)
개발 전 국내수준
개발목표치
평가방법
성능수준
성능수준
1차년도
2차년도
1. 에어콘 부품    및 모듈별     허용 leak      rate 
 
std cm3/s
 20
Detection   
limit: < 10-10
 
지시값 분해능: 
 < 10-11
장비 지시값
이용.

표준연 leak rate 정량측정
능력 보유
 Detection   limit:<10-10
 
 분해능:<10-11

시험방법
개발

시험사례 data 제시
2. 에어콘
  전체 허용 leak rate
 
std cm3/s
 20
 

 < 10-10
 
 
표준연 leak rate  교정 및 감도평가 능력
 <10-10

시험방법
개발

시험사례 data 제시
3. 에어콘 조립 완성품 시험 장치
std cm3/s
 20
측정한계: <10-10
 
Std. leak 장착
및 tunning,
calibration 가능
Probe Hood법 적용
시험제작
< 10-10
 
 Std.leak 장착 및 tunning,
calib. 가능
시험장치
제작

시험장치
이용방법과 data제시
4. 냉매충전후   운전 중      에어컨냉매   leak rate
   (R134기준)
std cm3/s
 20
측정능력(R 134
기준): < 10-8

생산적용값:
 < 10-6
< 10-6  
(R 134기준)
시험조건별 예비 data 수집
측정능력
< 10-7
 확보
시험사례
data

KS규격안 도출
5. Leak 검사 장치 성능
   평가
std cm3/s
 20
최소검출감도:
 < 10-11

측정불확도:
10-3-10-8영역
 (1 %-2 %)
표준연:< 10-11


 측정불확도
10-3-10-8영역
 (5 %-10 %)
 수치 정량화
최소검출감도 < 10-11

불확도
1 %- 2 %
Leak 검사장치 성능평가

KS 규격안
도출


   다. 과제 수행 전/후의 TRL 수준 (※ 참여기업과 협의 작성) 
    ◦ 수행 전:  (  ) 단계, 수행 후: (  ) 단계


 3. 연구 내용 (KRISS와 업체의 역할분담 기술)

연구 내용
역할 분담
KRISS
참여기업

  -

  -

  -

  -

  -

  -

  -

  -

  -

  -

  -

  -


II. 추진계획
 1. 세부 추진계획
  ☞ 글로벌 강소기업 과제인 경우 2차년도까지 작성 요망

연도
연구 내용
추진 일정
연구비(천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차년도
(2018)





























2차년도
(2019)






























 2. 연구성과 목표

구분
특 허(건)
기술이전
건수
홍보
건수
국내
국외

출원
등록
소계
출원
등록
소계
1차년도
(2018)





2차년도
(2019)







 3.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가.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예상되는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을 상세히 기술하고 이에 따른 상용화, 기술이전 등을
  서술함
예)   - ○○ 기술개발로 ○○신제품 개발
      - ○○ 제품의 성능 개선으로 매출 ○○억원 증대
      - ○○ 제품의 수요증가로 신규고용 ○○명 채용
      - ○○ 제품의 중국수출 ○○만불

     ◦
     ◦
     ◦

  나. 기대성과

∘연구자 입장에서 기대되는 결과를 기술적 측면, 경제·산업적 측면, 혁신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간단명료하게 기술함(추상적인 문구를 사용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표현함
∘기술적측면 : 당해기술의 향상, 다른 기술향상에의 파급효과 등을 상세히 기술함
∘경제/산업적 측면 : 당해기술의 개발에 따른 경제적 효과로서 예상수익, 생산성 향상에 따른 비용절감, 수입대체, 수출기대, 당해기술의 시장성 등을 기술하고, 산업적효과로서 산업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을 서술함
∘혁신적측면 : 혁신적인 수단을 통해 도출된 연구성과 등 혁신적인 연구사업 추진을 통해 기대되는 연구성과를 서술함


  (1) 기술적 측면
    ◦
    ◦
    ◦

  (2) 경제·산업적 측면
    ◦
    ◦
    ◦

  (3) 혁신적 측면
    ◦
    ◦
    ◦


 4. 연구비 소요명세서
  가. 당해연도 예산 총괄표(※내부인건비, 연구수당, 간접비는 우선 공란으로 둠)

(단위 : 천원, %)

항목
비목
연구비
(1차년도, 2018년)
비율
(%)
비고
KRISS
참여기업부담금
소 계
현금
현물
현금
현물
인건비
내부인건비




외부인건비




소 계



0

직접비
연구장비  및 재료비
연구기자재비




시설비




시약및재료비




시작품제작비




연구
활동비
국내여비




국외여비




직접비 1%
인쇄/복사/인화비




공공요금




수수료 및
제세공과금




정보활동비




사무용품비




회의비
직접비 1%




국내전문가




지적재산권출원/
등록비




과학문화활동비




연구실안전관리비




연구수당




소계
1



0

위탁연구개발비




간 접 비




연구사업비 총액
0



0


   (2) 직접비              원
  (가) 연구장비 및 재료비 :  원
    ① 연구기자재비 :       원 (☞ 필수 기입사항)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실제 구입액)
금액(원)
비 고
(구매요청자)















합   계



<참여기업 작성용>

 1. 참여기업 현황
  가. 기업현황

업    체    명

최근 3년간 기업현황(단위: 천원, 명)
구분
2015
2016
2017(예상)
총자산


설 립 년 월 일

총자본


사업자등록번호

총부채


법 인 등록번호

매출액


대 표 자 성 명

총인원


주소
본    사

연락처
전화/팩스

공    장

전화/팩스

홈페이지

주요생산품
산업분류
코드
시장규모(억원)
시장점유율(%)
매출액(억원)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1





2





3






 2. 기술(제품) 사업화 계획
  가. 매출 계획
(단위 : 백만원)





제 품 명
2017년
실적
  2018년도
 2019 년도
  2020 년도
내 수
수 출
내 수
수 출
내 수
수 출
※당해 연구개발과제
  관련 품명 기술함




※기타 연관 제품











※ 당해제품의 판로 및 유통, 가격, 홍보전략 등을 기술




  나. 시장 상황
(단위 : 백만원)

연도별
2017년
2018년
2019년
비   고
시장
규모
국내



해외



※ 관련 근거/출처 등


  다. 인력운영 계획

구   분
현재인원
(신청일 현재)
추가 소요인원(명)
비고
   2018년도
   2019년도
연구개발직



생산직



영업직/사무직






 
  라. 생산 계획

 ※ 개발완료 이후 제품화시기, 설비도입 및 양산이후 생산추진 계획



 3. 경제적 성과 예측

가. 기술(제품) 경쟁력
제품명
※ 본 연구과제를 통해 개발되는 제품명 기술
국내외 경쟁사와의 비교 분석
(품질, 기술력 둥)

나. 기대성과
1) 신청과제를 실용화할 경우의 수익예측(수익 = 총 수입 - 총 비용)                 (단위 : 백만원)

2018년
2019년
2020년
낙관적 예측


현실적 예측


2) 신청과제의 실용화에 따른 수입대체 예측                                     
낙관적 예측


현실적 예측


3) 신청과제의 실용화에 따른 수출 예측                                       
낙관적 예측


현실적 예측



  다. 실무 책임자

소속부서명

성 명

직위

전화번호

휴대폰

이메일


[첨부-6] 참여기업 확인서


사업명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과제명
(예)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세부과제명
과제책임자
성명
소속(직책)
KRISS 과책 소속


 위의 기술개발과제 수행을 위하여 제출한 과제신청서 내용에 동의하고 본 과제가 심의를 거쳐 지원대상으로 선정될 시 참여기업으로서 제반사항을 준수할 것을 확약합니다.


                                            2018년  1월   일
                                            기업명:
                                            대표자:              (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귀하


[첨부-7]
2018 기술선도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
(과제 참여 의향서)


과제 제목

 ※ 추후 변경 가능


과제명
과제 개요
과제당
출연금
직접비
지원
기간
기업부담금
(현물+현금)
참여
여부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중소·중견기업을 집중 지원하여 세계적 수준의 제품 상용화, 세계적 기업 육성
1.5억원
이내
최장
3년
(2+1)
(중소기업)
총 연구비의 25 %   이상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0 %   이상)

(중견기업)
총 연구비의 40 %   이상 (현금 비중은   총 연구비의 15 %   이상)

기술이전 후속지원
KRISS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은 중소·중견기업 대상 이전기술 상용화 지원
 7천만원
이내
1년

기술
실용화
KRISS 보유 우수 연구성과(원천, 기초기술 포함)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실용화 기술로 개발함으로써 기술가치 창출 극대화 도모
 7천만원
이내
1년

명품
홈닥터
성과가 우수한 홈닥터기업(졸업기업 포함) 및 본 육성사업에 참여한 기업 등에 복합기술을 지원하여 제품 및 기술 상용화 가속화
 7천만원
이내
1년


 * 참여여부 란에 ○을 표기
참여
기업명(예정)
※ 추후 변경 가능
부서명

신청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