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글로벌포럼' 출범- - G20 정상회의 ('16.9월, 중국 항저우) 후속 조치
담당부서철강화학과 등록일2016-12-19
철강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글로벌포럼」 출범
- G20 정상회의 ('16.9월, 중국 항저우) 후속 조치로
세계 주요국들은 ?철강 글로벌 포럼? 출범에 합의
- 세계 조강생산 6위인 우리나라도 포럼 「운영위원회」 참여 확정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주형환)는 지난 9월 G20 정상회의(중국 항저우, 9.4~5)에서 각국이 구성하기로 합의한 ?철강 글로벌 포럼(Global Forum on Steel Excess Capacity)?이 12월 16일 공식 출범하였다고 밝힘
ㅇ (목적) 동 포럼은 철강 공급과잉 문제가 세계 각국의 공동 대응을 필요로 하는 글로벌 이슈라는 인식 하에,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각국 간의 정보 공유, 협력, 효과적 대응 방안 마련 등을 위해 구성됨
ㅇ (회원국) G20 국가 및 OECD 회원국 등 총 33개 국가가 참여함
* 33개 회원국 : 아르헨티나,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브라질, 캐나다, 중국, EU,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슬로바키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한민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영국, 미국
ㅇ (구성) G20 정상회의 이후, 회원국들은 「철강 글로벌포럼」의 임무․역할, 회원국, 운영위원회, 의장국, 예산․일정 등 포럼의 운영세칙(Terms of Reference)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왔으며,
- 독일(G20 의장국)이 주관한 금번 회의에서 최종적으로 합의에 이름
< 철강 글로벌포럼 1차 회의 >
▪(일정/장소) '16.12.16(금) 09:00~17:00 / 독일 베를린
▪(참여 국가) G20 국가, OECD 회원국 (독일, 중국 공동의장 역할)
※ 우리측 : 강준하 통상정책심의관 (수석대표), OECD대표부, 철강화학과, 다자통상협력과 담당자
□ 금번에 각국이 합의한 ?철강 글로벌 포럼?의 구성은 아래와 같음
ㅇ (임무) ❶ 회원국 간 철강 공급과잉 이슈에 대한 효과적 소통, 정보공유, 협력 증진을 보장하고, ❷ 철강 공급과잉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 조치를 통해 시장 기능 강화와 설비 조정을 촉진하는 것임
ㅇ (운영위원회) 효과적 운영을 위해 9개국으로 운영위원회(Steering Group) 구성․합의, ‘G20 의장국 + 8개 주요 철강 생산국* 참여함
* 8개 주요 철강 생산국 : 중국, EU, 일본, 인도, 미국, 러시아, 한국, 브라질
ㅇ (의장국) 매년 새로 선정하되, G20 의장국은 당연직, 운영위원회에서 2개 국가를 지역간 및 선진국-개도국간 균형을 고려하여 선정함
* '17년도는 독일(G20 의장국), 미국, 중국 등 3개국을 의장국으로 선정
ㅇ (회의) 1년에 최소 2회 이상 실무급 또는 고위급 회의를 개최
ㅇ (협력기관) OECD가 글로벌 포럼, 운영위원회, 의장국의 활동을 기술적․행정적으로 지원
ㅇ (운영기간) 3년간 운영하고, 회원국간 합의에 의해 연장 가능
□ 특히, 금번회의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6위의 조강생산국으로서 글로벌 포럼의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운영위원회(Steering Group)에 참여하기로 확정되어,
ㅇ 향후 포럼 의제 선정 등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그간 업계 자율로 추진해 온 설비 감축 및 사업재편 성과를 알리는데도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ㅇ 차기 회의는 오는 2월에 개최되며, 철강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세계 각국의 협력 및 공조 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됨. 끝.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정부R&D지원금 무료세미나 (0) | 2016.12.19 |
---|---|
KOTRA, 지방 中企 맞춤형 설명회 개최 (0) | 2016.12.19 |
유럽연합과 무역장벽 해소로 수출 길 넓힌다.-대형 TV 기술규제 등 비관세장벽 해소 및 건축사 등 전문직 MRA 체결 추진 (0) | 2016.12.19 |
내년 한국에서 아시아-유럽 통상.경제장관 한자리에- ASEM 경제장관회의 준비기획단 정식 출범 (0) | 2016.12.19 |
’17년 창업선도대학 혁신방안 및 신규선정 계획 발표 (0) | 2016.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