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차 ICT 정책해우소(GCS사업의 성공적인 추진방안)-글로벌창조소프트웨어(GCS)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방안 모색
작성일 : 2015. 10. 19. 소프트웨어진흥과
글로벌창조소프트웨어(GCS)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방안 모색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제26차 ICT정책 해우소”개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최재유 2차관 주재로 2015년 10월 16일(금) 오후 5시에 소프트웨어(이하, ‘SW’) 전문기업인 ‘티맥스소프트’에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제26차 정보통신기술(ICT) 정책 해우소’를 개최하였다.
ㅇ 이번 정책 해우소에서는 국내 유수의 SW기업 중에서 금년도 GCS 신규과제에 선정(경쟁률 5.4:1)된 기업대표(15명)와 학계‧연구계 SW전문가가 참석하여, 국내 SW기업이 글로벌 SW전문기업으로 성장하는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이 있었다.
□ GCS 사업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과제인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 실현’ 및 ‘K-ICT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ㅇ 올해 미래부 업무보고에서 대통령께서 강조한 “협소한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획기적인 소프트웨어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 ’15년도 신규과제 15개를 선정하고, 향후 2년간 총 380억원(금년도 190억원) 지원
□ 이번 정책해우소에서는 금년도 GCS 신규과제로 선정된 기업들이 자신들의 GCS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세계시장에서의 포부와 성공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밝혔다.
ㅇ GCS 수행기업 대표들은 공통적으로 금년도 GCS 신규사업은 “2017년까지 약 2천 4백여명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창조경제 실현과 K-ICT의 대표사업”이라고 평가하면서,
- “GCS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업체의 의지와 노력,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관련 업계간 네트워크 형성 등 민·관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ㅇ 또한, 학계·연구계 SW전문가들은 “국내 SW산업의 미래는 글로벌화에 달려 있으며, 업계 발전이나 학계·연구계 등도 업계를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 최재유 2차관은 “우리나라는 경쟁력있는 글로벌 SW전문기업이 충분히 나올 수 있는 토대가 갖추어 있다”고 강조하면서, “기업의 글로벌화 노력과 학계·연구계의 R&D 역량 강화, 정부의 지원이 맞물려 글로벌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자”고 격려하였다.
붙임 : 제26차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ICT정책 해우소 개요 등 참고자료
붙임 1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제26차 ICT정책 해우소 계획
□ 추진배경
o 2015년도 GCS 사업 신규과제(9월, 15개 선정)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민관 협업·소통의 장 마련
□ 행사개요
o 일시 및 장소 : ’15. 10. 16.(금) 17:00, ㈜티맥스소프트(경기도 분당 소재)
o 참석자
- (미래부) 제2차관, SW정책관, SW진흥과장,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 인터넷제도혁신과장, 글로벌파트너스 팀장
- (산업계) ‘15년도 GCS 사 업 신규과제 선정 기업 대표(15개사)
- (학계․연구계) 고건 SW-TF 민간팀장, ETRI SW기반기술연구본부 박상규 본부장, KETI 융합산업연구본부 이형수본부장
- (유관기관) NIPA 본부장·글로벌사업단장, IITP 기술개발평가단장 등
o 논의사항 : ‘15년도 선정 GCS 과제 내용 및 성공적 추진방안
□ 세부일정(안)
시 간
세부 내용
비 고
17:00∼17:05
5분
ㅇ 참석자 기념 촬영
참석자 전원
17:05∼17:10
5분
ㅇ 행사안내 및 참석자 소개
사회자(SW진흥과장)
17:10∼17:15
5분
ㅇ 인사말씀
제2차관
17:15∼18:00
45분
ㅇ ’15년 GCS 과제 설명(각 3분)
각 기업 대표
18:00∼18:30
30분
ㅇ 석식(도시락)
18:30∼
-
ㅇ 참석자 토론(GCS사업 성공적인 추진방안)
토론종료시
5분
ㅇ 마무리 말씀
제2차관
* 행사 개시 전에 티맥스소프트 현장 방문(2차관)
붙임 2
주요 참석자 명단
□ 참석인원 : 총 29명
구 분
소속
직 위
성 명
GCS
신규과제
선정기업
(15)
㈜모비젠
전무이사
김태수
㈜비에스지파트너스
부사장
이재경
㈜사이냅소프트
대표이사
전경헌
㈜선재소프트
대표이사
김기완
㈜쓰리디산업영상
대표이사
김규년
㈜엠로
대표이사
송재민
㈜영림원소프트랩
대표이사
권영범
㈜와치텍
연구소장
권태완
㈜인브레인
대표이사
최현진
㈜인피니트헬스케어
상무이사
조상욱
㈜코난테크놀로지
대표이사
김영섬
㈜티맥스소프트
대표이사
장인수
㈜파수닷컴
상무
장일수
㈜판도라티비
대표이사
김경익
㈜포시에스
대표이사
박미경
학계/연구계
(3)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고 건
ETRI SW기반기술연구본부
본부장
박상규
KETI 융합산업연구본부
본부장
이형수
유관기관
(5)
NIPA 사업총괄본부
본부장
한호현
NIPA 글로벌사업단
단장
김득중
IITP R&D 기획본부
기반SW CP
김형철
IITP R&D 기획본부
융합SW CP
전영표
IITP 기술개발평가단
단장
홍승배
정부
(6)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최재유
SW정책관
서석진
SW진흥과장
서성일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
김정기
인터넷제도혁신과장
송재성
글로벌파트너스팀장
이동정
붙임 3
2015년도 GCS사업 선정과제 현황
분야
과제명
주관기관
E-Biz
소상공·기업 참여형 Social Free(R3)Market 플랫폼 기술 개발
비에스지
파트너스
모바일형 경영개선 분석 모델 CCI(Cloud Contents Integrator)서비스 플랫폼 개발
영림원소프트랩
대한민국 부품산업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한 글로벌 Best Practice 부품산업용 개발구매 SCM 솔루션 개발
엠로
빅데이터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의 초당 100만 레코드 이상 실시간 인덱싱을 보장하는 멀티테넌시 분산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모비젠
클라우드 환경에서 빅데이터 기반 통합 데이터 분석 스위트 개발
인브레인
시스템
인프라
코볼 컴파일러, 어셈블러 가상 머신, 웹기반 터미널 에뮬레이션 기술 개발을 포함한 대용량 IBM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확장형 3-티어 오픈 시스템 전환 종합 솔루션 개발
티맥스소프트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SDN)과 레거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는 업무중심 네트워크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와치텍
1,000Cores 이상 Scale Out 가능한 클러스터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개발
선재소프트
보안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운영 단계 별 보안 취약점 검출기술을 연계할 수 있는 상호작용 보안 테스팅 시스템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파수닷컴
주력산업
글로벌 의료 솔루션 창조 플랫폼
인피니트헬스케어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및 보철 설계를 위한 디지털 치과 시스템 개발
쓰리디산업영상
오피스웨어
클라우드 기반 Smart e-Form 서비스 플랫폼 및 마켓플레이스 개발
포시에스
실시간 공동편집 기능과 개방형 연동 API를 갖춘 기업형 클라우드 오피스 플랫폼 개발
사이냅소프트
자연어처리
다국어를 지원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개인용 원격 멀티-디바이스 검색 서비스
코난테크놀로지
미디어
글로벌 라이프로그 미디어 클라우드 개발 및 구축
판도라티비
붙임 4
GCS 신규과제 설명자료 (요약)
1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의 초당 100만 레코드 이상 실시간 인덱싱을 보장하는 멀티테넌시 분산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주관기업 : ㈜모비젠
□ 개 요
ㅇ 빅데이터 DB 및 분석 플랫폼을 상용 퍼블릭 클라우드 (AWS, uCloud 등) 상에서 구현/관리할 수 있는 IoT 서비스 인프라
ㅇ 기술개발 내용
- 다중 클라우드서비스사업자 (CSP) 기반 분산 DB 플랫폼 개발
- 실시간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 기능 및 시각화 기술 개발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 (사업화 계획)
ㅇ 상용 클라우드 시스템에 적용 (AWS, uCloud 등)
ㅇ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PaaS 서비스
□ 기대효과
ㅇ IoT 플랫폼 시장 활성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PaaS 활용)
ㅇ 빅데이터 DB 및 분석 어플라이언스 수입 대체 효과
2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SDN)과 레서시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는 업무중심 네트워크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주관기업 : ㈜ 와치텍
□ 개 요
ㅇ 네트워크 운영자가 레거시 네트워크 환경과 SDN환경 모두 관리할 수 있는 Core기술 및 통합관리 솔루션을 개발
ㅇ 업무중심의 솔루션 개발을 통해 인프라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업무 편이성 제공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네트워크관리시스템, 트래픽관리시스템, 네트워크 제어관리 시스템 에 대한 고도화 개발(3종) 및 SDN 관리시스템 및 통합 네트워크관리시스템에 대한 신규 개발(2종)로 상용솔루션을 개발 및 사업화
□ 기대효과
ㅇ 업무 중심 관리의 트랜드 실현을 위한 고객 친화적인 관리 시스템 개발/제공
ㅇ 새로운 네트워크 환경인 SDN 관리 시스템 개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ㅇ 레거시 네트워크 환경에서 SDN 환경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 네트워크 관리 환경 지원
3
실시간 공동편집 기능과 개방형 연동 API를 갖춘 기업형 클라우드 오피스 플랫폼 개발
주관기업 : ㈜사이냅소프트
□ 개 요
ㅇ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되는 문서 생산/유통/소비 도구인‘클라우드 오피스’를, 기업 내 공동 작업에 활용 및 기존 업무시스템 연계와 확장이 용이한 기업향 플랫폼으로 고도화함
ㅇ 기술개발 내용
- 클라우드 오피스 문서의 실시간 공동편집
- 클라우드 오피스 주요 기능을 API 호출로 실행
- 오피스 문서 화면을 발표 형태로 여러 사용자간에 공유
- 오피스 문서를 기존의 웹 페이지에 임베드하는 문서 퍼블리싱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네이버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일본시장 중심의 기업향 사업 전개
ㅇ 이메일, 그룹웨어, ECM, 클라우드 스토리지 등의 영역에서 구글, MS와 경쟁하는 국내외 업체들과 사업 제휴
□ 기대효과
ㅇ 연 4000억원 규모의 국내 오피스 시장에서 80% 이상을 차지하는 외산 SW의 대안으로 수입대체 효과 기대
ㅇ 27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오피스 시장 진출을 통한 소프트웨어 수출 증대 기여
4
1,000 Core 이상 Scale Out 가능한 클러스터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개발
주관기업 : ㈜선재소프트
□ 개 요
ㅇ In Memory 기반의 선형적 성능향상이 가능한 데이터관리 시스템과 고성능 분산 처리 기술을 융합하여 최적화 시킨 1,000 코어 이상을 지원하는 고성능 Scale-Out 클러스터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을 개발
< 기술 개발 개념도 >
* 새로운 IT환경에 부응하기 위해 고성능 인메모리 기반의 Scale Out 방식 클러스터 데이터베이스를 최적화된 Engineered 플랫폼으로 개발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중국 시장에 대해서는 현지 파트너를 통해 진출 및 OEM 수출 전략 구사하고, 중국 이외의 시장은 국내 통신장비, IOT, Bigdata솔루션에 임베디드 하여 간접판매
ㅇ 초기 국내 및 중국시장 진출 후 단계적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의 통신, 공공으로 확대
□ 기대효과
ㅇ 데이터 빅뱅 시대에 대응하는 글로벌 DBMS 핵심 원천기술 확보
* 빅데이터,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로 관련 DBMS시장 선점
ㅇ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따른 해외시장 진출
* 외산 주도의 관련 시장에서 수입대체 효과(2014년 현재 외국계 DBMS 시장 점유율 89.6%)
5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및 보철 설계를 위한 디지털 치과 시스템 개발
주관기업 : ㈜쓰리디산업영상
□ 개 요
ㅇ 치과용 3차원 스캐너, CT장비 등을 통해 확보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치과진단,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술가이드 설계 그리고 여러 보철물 설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환경에서 관련자들의 협업이 가능한 디지털 치과 시스템 개발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기존 판매 제품에 과제의 중간결과물을 접목하여 시장에 조기 진입하고, 치과 관련 국제적인 주요 전시회(미국, 중동, 중국, 유럽)에 참여하여 제품 적극홍보 및 신규 수요기관 확보
ㅇ 신규 개발 제품은 수요기관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 사용성 평가를 하고, 평가 결과를 재반영하여 사업성 높은 제품을 개발
□ 기대효과
ㅇ 치과용 진단영상 3차원 가시화 분야 세계 선두그룹 진입, 치과용 CAD분야 국산화와 세계 선도기업과 동등 수준의 경쟁 가능
ㅇ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치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창출하여 세계 디지털 치과시장 선도 가능
6
대한민국 부품산업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한 글로벌 Best Practice 부품산업용 개발구매 SCM 솔루션 개발
주관기업 : ㈜엠로
□ 개 요
ㅇ 21세기 경영 환경은 기업 생태계 전체의 경쟁력에 의해 글로벌 기업의 경쟁력이 결정됨. 이에 기업 생태계의 주요 인자인 “협력사”를 관리하는 구매 SCM의 중요성 증대
ㅇ 본 과제의 목표는 대한민국 No. 1 구매 SCM SW기업으로 성장하면서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하여 글로벌 TOP 5 수준의 부품산업용 개발구매 SCM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임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 기대효과
ㅇ 2022년까지 매출 1,340억 원 (해외매출 480억 원, 해외매출비중 36%)를 달성하여 Global TOP5 구매 SCM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성장
7
모바일형 경영개선 분석모델 CCI 서비스 플랫폼 개발
주관기업 : ㈜영림원소프트랩
□ 개 요
ㅇ 경영전문가 등이 기업 경영개선을 위한 경영분석모델을 콘텐츠 형태로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할 수 있는 일종의‘Analytics App Store’ 플랫폼을 개발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기존 글로벌 파트너사 및 진출 예정 파트너사 중심의 현지화된 온라인 체험사이트 운영
ㅇ 해외 유수 대학 등의 경영분석 전문가에 의한 현지화된 분석모델 콘텐츠 개발
□ 기대효과
ㅇ 고급 지식 콘텐츠를 개발하는 지식전문가 생태계 조성
ㅇ 5년간 국내 기업고객 지원위한 누적인원 250여명의 신규 고용
ㅇ Senior 지식 근로자 대상의 1인 기업 형식 고용기회 창출
ㅇ 국내 매출 5년간 1,002억원 예상, 해외 매출 5년간 617억원 예상
8
클라우드 환경에서 빅데이터 기반 통합 데이터 분석 스위트 개발
주관기업 : ㈜인브레인
□ 개 요
ㅇ 빅데이터 환경에 적합한 최신의 데이터 통계 분석 및 시각화를 제공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기존 방식의 고비용과 복잡성을 해소하고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구축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시킴.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참여기업인 롯데정보통신과 협업하여 국내 및 국외 영업 및 마케팅 진행
ㅇ 국내외 대학 및 기관에 UDAS EUA 버전 무상 공급으로 저변 확대
□ 기대효과
ㅇ 데이터 정제 프로세스 도구 및 통합된 데이터 분석 도구 제공
ㅇ 데이터 과학자 양성에 기여 및 데이터 분석 전문 인력 부족 현상을 도구로 해결
ㅇ 오픈 소스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국가 기술 경쟁력 강화
ㅇ 2020년 해외 판매 예상 매출 목표 2,900억원
9
코볼 컴파일러, 어셈블러 가상 머신, 웹기반 터미널 에뮬레이션 기술 개발을 포함한 대용량 IBM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확장형 3-티어 오픈 시스템 전환 종합 솔루션 개발
주관기업 : ㈜티맥스소프트
□ 개 요
ㅇ 자산분석, 자동전환, 테스트자동화 등의 자동화 기술 개발
ㅇ 어셈블러 가상화 플랫폼 및 3-Tier 표준 아키텍처 플랫폼 개발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기존고객 추가 사업기회 발굴, 대형 SI, 총판을 통한 수요처 확보
ㅇ 파트너 협력 강화, 해외사업 거점 확대, 주요 레퍼런스 및 인지도 확보를 통해 글로벌 진출
□ 기대효과
ㅇ 2019년까지 약 2,300억, 2021년까지 약 8,500억 수출 효과
ㅇ 국내 SW 기업의 해외 진출에 대한 교두보 역할
ㅇ 정부의 R&D 지원을 통해 글로벌 IT 리더로 발돋움
10
다국어를 지원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개인용 원격 멀티-디바이스 검색 서비스
주관기업 : ㈜코난테크놀로지
□ 개 요
ㅇ“다국어를 지원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개인용 원격 멀티-디바이스 검색 서비스”인 코난링크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아웃룩, 웹메일, 클라우드, 에버노트에 있는 파일, 메일은 물론 첨부파일의 제목과 내용까지 1초 안에 검색 가능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GCS 과제를 통해 ‘코난링크’ 검색 품질의 지속적인 향상과 검색 가능한 디바이스의 꾸준한 확대 등 사용자 가치를 극대화
ㅇ 색인 지원 대상 언어의 확대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삼성전자 등 글로벌 PC 및 스마트폰 제조사와의 제휴와 마케팅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창출
ㅇ 협업용 코난링크를 개발, 기업용 시장 창출을 타진
□ 기대효과
ㅇ 2020년, 누적 글로벌 사용자 5,100만명 확보
ㅇ 2020년, 연간 471억원 매출, 연간 해외 매출 3,855만 달러 시장 창출
ㅇ 2020년, 누적 매출 871억원, 누적 해외 매출 7,047만 달러 달성
11
글로벌 라이프로그 미디어 클라우드 개발 및 구축
주관기업 : ㈜판도라티비
□ 개 요
ㅇ 개개인의 특별한 순간들과 일상의 기록을 담은 영상과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추출하여 지능적으로 하이라이팅
ㅇ 사용자의 관심사별로 분류, 재가공 된 비디오 로그들을 관계기반 데이터로 시각화 및 아카이빙 해주는 글로벌 미디어 라이프로그 클라우드 서비스
< 기술 개발 개념도 >
글로벌 미디어 라이프로그 네트워크 플랫폼
4대
PRODUCT
미디어 기반의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시스템
멀티미디어 APP과 DIY 라이브러리 프레임웍
지능형 분석 하이라이팅 엔진과 콘텐츠 인식시스템
[관계기반 데이터로 시각화 및 아카이빙]
[퍼스널 빅데이터 융합 및 하이라이팅]
핵심기술기반
모바일 & 클라우드
전처리 기술
콘텐츠 어웨어 기반 분석기술
고속 컴퓨팅
분석 처리기술
빅데이터
처리기술
상황인지 기반의
영상 전처리 APP 개발
객체 검출 및 표정 추출을 통한 메타데이터 처리 기술
메타데이터 기반 실시간 분산
인코딩 고속화 기술
대용량 메타데이터
실시간 관계분석 기술 개발
□ 추진계획 (사업화 계획)
ㅇ 글로벌 라이프로그 미디어 클라우드의 서비스 오픈 5년 내 1억명 사용자 확보를 위해 당사가 보유한 KMP 플레이어(전세계 누적 다운로드 3.5억)와 연계하여 조기 확산 및 상용화 추진
ㅇ 협력사인 AWS, KDDI, SoftBank의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과 안정적인 CDN 전용망, 글로벌 거점 네트워크를 활용, 세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 품질과 성능, 글로벌 마케팅을 신속히 전개 추진
□ 기대효과
ㅇ 국내 클라우드 기반 멀티미디어 기술의 독보적 지위로 글로벌 모바일 앱스토어 생태계의 멀티미디어 분야 선두업체로 포지셔닝
ㅇ 판도라 보유 글로벌 플랫폼 사용자의 10%를 목표로 5대 거점시장을 우선적으로 진출해 해외 수출 비중을 확대
* 한국 200만명, 일본 100만명, 러시아 350만명, 대만 200만명, 인도 160만명 대상
12
소상공·기업 참여형 Social Free Market 플랫폼 기술 개발
주관기업 : ㈜비에스지파트너스
□ 개 요
ㅇ 제품중심의 전자상거래 한계를 벗어나 기업과 기술, 인재 또한 거래와 연계의 대상가치로 정의하고, 거래유형별 강점요소와 새로운 기술트랜드, 패러다임을 적극 융합하여 지속적 개선이 가능한 B2B e-마켓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함.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B2B 오픈마켓의 거래·가입인증수수료 및 ERP 연동 모델 라이선스 판매 모델
ㅇ Viral Marketing 서비스를 통한 인력/거래를 통한 정보제공 수수료 및 광고지원수수료 등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할 예정
□ 기대효과
ㅇ 저가의 중소기업 제품의 B2B 보급을 촉진하여 열약한 국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대외신뢰도 향상
ㅇ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광고·홍보활동, 판매기회 정보수집 등 소요비용을 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일정부분 절감함하여, 국가 경상차원의 부담 감소
ㅇ B2B 전자상거래 분야의 국내외 마켓 선점 효과
ㅇ 구매사는 구매총비용의 최대 27%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
ㅇ 공급사는 판매총비용의 최대 75%의 구매시간 절감과 30%의 수익 개선 효과
13
클라우드 기반 Smart e-Form 서비스 플랫폼 및 마켓플레이스 개발
주관기업 : ㈜포시에스
□ 개 요
ㅇ 기업에서 초기 투자비용 없이 Smart e-Form*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운영·개발 플랫폼 및 마켓플레이스 개발
ㅇ Global Smart e-Form 기반 디자이너, 뷰어, 하이브리드 앱 개발 도구, 서비스 운영시스템, 개발 플랫폼, 마켓플레이스 개발
< 기술 개발 개념도 >
* Smart e-Form이란 기업의 복잡한 서식을 사용하는 서류 기반의 업무를 디지털화하는 기술로 오피스 문서 서식 형태와 달리 서식 제작단계부터 기업시스템과 연동한 Born-Digital 전자문서를 의미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HVAC 점검 특화 서비스, 프랜차이즈 가맹 특화 서비스, 점포 고객관리 특화 서비스 개시 계획
ㅇ SMB대상 Public 마켓플레이스 판매, 기업용 Private 마켓플레이스 판매, 로컬 ERP/CRM 등 타 솔루션 연계 판매 계획
□ 기대효과
ㅇ 고객 초기비용 최소화로 SMB 시장의 전자문서 사용 확산 유도
ㅇ 마켓플레이스를 통한 개발자 적극 참여 유도로 고용창출 기여
ㅇ 사업화 후 3년 이내 글로벌 50억 이상 매출 효과 기대
14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운영 단계 별 보안취약점 검출기술을 연계할 수 있는 상호작용 보안 테스팅 시스템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주관기업 : ㈜파수닷컴
□ 개 요
ㅇ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계와 운영 단계 별 보안취약점 검출 기술을 연계할 수 있는 상호작용 보안 테스팅 시스템과 통합관리 시스템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국내 시장부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면서 제품의 안정화 기간을 확보하고 이후 미국에 런칭,
ㅇ 해외 진출을 위해서 해외 지사와 기존 리셀러를 활용
□ 기대효과
ㅇ 보안 테스팅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외산 소프트웨어를 국산으로 대체하는 수입 대체 효과 기대
ㅇ 모바일, 클라우드, IoT, 핀테크의 확대에 따른 새로운 보안취약점에 대응할 수 있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보안 위험을 저감시켜 관련 산업 성장추진력을 배가시킴
15
글로벌 의료 솔루션 창조 플랫폼
주관기업 : ㈜인피니트헬스케어
□ 개 요
ㅇ 표준 및 비표준 형태의 의료 정보 콘텐츠를 저장, 관리, 분배, 공유할 수 있는 벤더 비종속 통합 플랫폼(Vendor Neutral Archive) 및 HTML5기반 공통 영상 뷰어(Universal Viewer) 개발.
ㅇ RESTful Open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한 생태계 시스템 (Ecosystem) 구축
< 기술 개발 개념도 >
□ 추진계획(사업화 계획)
ㅇ 미국 대학병원과 연구 개발 협업을 통해 글로벌 대형 의료기관에 적합한 최적의 솔루션 개발.
ㅇ 미국내 통합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여 여러 의료 기관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형태로 빠른 보급을 실시하고, 의료 정보 공유를 원할히 수행 할 수 있도록 추진.
□ 기대효과
ㅇ 과제 종료 이후 향후 5년간 누적 수출 450억원 이상 달성 예상.
ㅇ 해외 대형 의료 기관 진출 및 글로벌 의료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선점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 플랫폼 확보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교테크노밸리]한류 융합 해외마케팅 설명회 및 상담회 (0) | 2015.10.20 |
---|---|
[판교테크노밸리]빅데이터로 중소기업 경쟁력 높인다- 중소기업 빅데이터 지원사업 공모 추진 (0) | 2015.10.19 |
[판교테크노밸리]국립과천과학관 자연의 속임수 특별기획전개최 (0) | 2015.10.19 |
[판교테크노밸리]“공공연구기관”사업화 유망 기술이 한자리에- 2015 연구개발특구 기술박람회 개막 (0) | 2015.10.19 |
[판교테크노밸리]2015 세계과학정상회의 개회, 5일간 일정 돌입-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