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판교테크노밸리]해상항해시스템분야 국제표준화 회의 개최- 선박-IT융합 기자재 신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 추진

하이거 2015. 10. 19. 11:20

해상항해시스템분야 국제표준화 회의 개최- 선박-IT융합 기자재 신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 추진

 

[담당부서 전기전자표준과 등록일 2015-10-19 ]

 

 

선박-IT융합 기자재 신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 추진

 

- 해상항해시스템분야 국제표준화 회의 개최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제대식)은 전 세계적으로 도입될 차세대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e-Navigation) 기자재 시장선점을 위해, 해상항해시스템분야 국제표준화회의(10.19()10.20(), 부산 해운대센텀호텔)를 개최한다.

 

유엔(UN)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운항자 과실에 의한 해양사고 감소와 해운 효율을 증진하고자, ’14. 11. 선박운항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융합한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e-Navigation)‘19년부터 국제적으로 시행하는 전략이행계획을 승인하였다.

 

*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e-Navigation): 기존의 선박운항조선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각종 해양정보를 국제 표준화디지털화 하여 선박 또는 육상간 실시간 상호공유토록 함으로써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추구하는 차세대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e-Navigation)이 새로운 국제 해상안전기준으로 도입됨에 따라 의무적으로 장착될 첨단 기자재 요구가 점차 높아질 것이며, 이러한 고부가 기자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각국의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국표원은 상호연동성이 확보된 한국형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e-Navigation)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우리의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 및 선박생산 기술력이 해양 국제표준에 반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선박 장비와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표준화를 담당하는 국제표준화 회의를 ‘2015 부산국제조선해양대제전*(10.20()~10.23(), 부산 벡스코)’가 열리는 부산에서 전략적으로 유치하게 되었다.

 

* 세계 55개국, 1,390개사가 참가하는 세계적인 전시회로서, 국제 조선 및 해양산업전, 국제 항만물류 및 해양 환경산업전, 국제 해양방위산업전 등 동시 개최

 

이번 회의에서 선박-육상 간 정보교환을 위한 공통 데이터모델, 선박자동식별장치, 선박통합통신시스템 등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논의되며,

 

특히, 우리나라는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e-Navigation) 국제표준화를 추진할 전담반 신설을 주도하고, 국내전문가의 전담반 리더 수임과 우리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

 

본 회의를 통해 우리나라는 선박 기자재에 대해 엄격한 국제적 규제에 대응하고,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e-Navigation) 핵심기술 및 시험방법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주도하여, 선박기자재 산업 경쟁력 강화 및 브랜드 가치 제고로 세계시장을 선점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표원은 국내·외 기술 및 시장 분석을 통해, 표준화 체계를 확립하고 표준전문가 활동지원을 더욱 강화하여 선박-정보기술(IT)융합기자재 국제표준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국제전기표준회의(IEC)의 표준이 국제해사기구(IMO)의 강제 국제협약기준으로 채택되어 선박기자재에 의무적용되므로, 기술표준선점을 위해 국내 선박기자재 업계의 선행대응에 따라 세계시장 선점의 가능성이 높아짐

 

 

붙임 1

 

IEC/TC 80(해상항해시스템) 국제표준화회의 총회 개요

 

배 경

 

(국제현황)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운항자 과실에 의한 해양사고 감소 및 해운 효율화 증진을 위해 선박운항기술에 ICT를 융합한 e-Navigation 도입 결정(‘06), ’19년 시행하는 '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을 승인(’14.11)

 

 

 

< 국제해사기구의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개요 >

 

 

 

 

국제해사기구(IMO): 미국·영국 등 171개국이 참가하는 UN12번째 전문기구로, 해상안전, 보안, 해양오염방지를 위해 각종 국제협약과 관련 규정을 제·개정하는 해사안전 전문기구(우리나라는 1962년 가입)

 

e-Navigation: 기존의 선박운항조선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각종 해양정보를 국제 표준화디지털화 하여 선박 또는 육상간 실시간 상호공유토록 함으로써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추구 할 수 있는 차세대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

 

주요 내용: ‘19년부터 e-Navigation을 국제적으로 시행하고자, 5개의 중점 해결책을 식별하고, 기술개발(‘16~’17)-국제표준화(‘18~’19) 계획 하에 18개 세부 실행과제를 제시하여, 16개의 해상서비스목록을 정의함

 

 

 

(국내현황)차세대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 전략이행계획(해양수산부, ‘15.4)을 수립하고 한국형 e-Navigation 구축을 위한 세부추진 로드맵을 제시

 

* 주요 내용: 해양안전 증진, 및 항만운용 효율화, 해양 분야의 신시장 선점을 위해 ‘16부터 ’20년까지 5년간, 기술개발·인프라확충·국제협력 추진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e-Navigation가 제도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차세대 선박 기자재 시장 선점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

 

- e-Navigation 정책을 지원하고, 한국의 우수한 ICT를 해양 국제표준에 반영하여, 스마트 선박 시장의 선점 기반 마련 필요

 

< e-Navigation 세계 시장 규모 >

 

연관 산업

시장 규모

선박용 전자통신 장비

‘13년 기준 약 26.37조원, ’2733.11조원 전망

항만운영 정보기술

‘15년 기준 약 1.8조원, ’273.5조원 전망

해상무선데이터통신 서비스

‘13년 기준 19조원, ’27년 최대 92조원 전망

 

[출처: 차세대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 전략이행계획(해수부, ‘15.4)]

회의 개요

 

국 문: 2015 IEC/TC 80(해상항해 및 무선통신 기기와 시스템) 정기 총회

 

일 시: ‘15.10.19.() 10.20.()

 

장 소: 부산센텀호텔(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

 

주 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주 관: ETRI, 동서대학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

후 원: 금호마린테크, 신동디지텍, 원데이터기술, 인텔리안,

레인보우와이어리스

 

참가규모: 미국, 일본 등 12여 개국 40여명(외국인: 30여명)

 

? 우리나라 중점 추진 사항

 

e-Navigation 국제표준화 전담반 신설을 주도하여, 우리기술의 국제표준 제안 및 국내 전문가의 전담반 리더 수임을 동시 추진

 

 

 

붙임 2

 

IEC/TC 80(해상항해 시스템) 일반현황

 

명 칭: 해상항해 및 무선통신기기와 시스템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표준화 기술위원회

 

전기/전자공학, 전자음향, 전자광학기술 및 데이터 처리기술을 이용하는 항해장비/시스템과 무선통신 기기/시스템에 대한 표준화

(설립년도)1980

(간사국/간사) 영국 / Mr. Kim FISHER(영국, BSI)

(의 장) Dr. Hannu Peiponen(핀란드, Furuno, ‘15.9‘218)

(회 원 국)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17 개국

(비회원국) 이탈리아, 스페인, 인도, 파키스탄 등 17 개국

표준 개발 분과

 

작업반

작업반장

(컨비너)

명칭

WG 6

Mr Hannu Peiponen

(핀란드, Furuno Finland)

Digital interfaces for navigational equipment within a ship

(선내 항해장비를 위한 디지털연동)

WG 15

Mr Stefan Bober

(독일, 연방교통국)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자동식별 시스템)

 

 

* 신규 국제표준화 프로젝트 팀(2):

· PT 62940 : 선박통합통신시스템(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ICS)

· PT 62923 : 선교경보관리시스템(Bridge Alert Management, BAM)

 

* 기존 국제표준 유지보수 팀(3):

· MT 4 : 선박 추적제어

· MT 5 : IEC 62288(선박 항해 정보 표현 디스플레이의 기술요건 및 시험방법) 개정

· MT 7 : IEC 61174(전자해도 표시 및 정보 시스템의 성능 및 시험방법) 개정

 

국제표준 개발 현황 :

- IEC 61174(선박 안전장비인 전자해도 표시 및 정보 시스템의 성능 및 시험방법), IEC 61023(속도 및 거리 측정장비) 55종 국제표준 발간

- IEC 62940(선박통합통신시스템의 기술요건 및 시험방법) 20개 표준화 프로젝트 추진 중

우리나라 국제 활동 현황

 

‘08년부터 한국의 대표단이 활동하기 시작하였으며, ’11년 국내전문위원회가 본격 구성하여 대응 중

 

- 국제표준화 완료: 1

제안규격명

(설명)

제안자

(소속)

현재

상태

제안

시기

IEC 61162-460 Ed. 1.0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460: Multiple talker and multiple listeners - Ethernet interconnection - Safety and security

 

(동종 및 이종 선박장치 또는 시스템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 시, 발생하는 안정성과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한 요건들을 규정)

이광일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국제표준으로

’15.8월 발간

2012

 

 

- IEC 61162-450(이더넷 기반의 선박통합네트워크 표준)에 국내기술(Ship Area Network) 반영

 

- 국제해사기구(IMO)에서 e-Navigation*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모델인 S-100의 표준개발임시반 리더를 수임하는 등 차세대 선박 기자재 표준화 주도 중

 

* e-Navigation: 해양안전을 위한 종합적인 전자항법체계 및 정보교환 체계로서 국제해사기구(IMO)‘14년에 전략이행계획을 완료하고 ’19년부터 구축 이행 예정

 

e-Navigation을 위한 신규 선박-육상 정보교환 인터페이스 표준화작업반 신설 주도 및 우리나라 전문가의 작업반장(컨비너, 리더 등)을 수임 추진 중

 

- 해수부, 산업부 등의 e-Navigation관련 사업들간 부처간 교류협력을 통한 국제표준화 공동 전략을 수립하여, 선박 기자재 분야에서 표준선점을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창출 기반 마련

 

스마트 선박 기자재관련 신규 국제표준* 제안 추진 예정

 

* 선박 항해 장치들을 위한 인터페이스, S-100기반의 선박-육상간 정보 교환모델 등

국내 표준화 현황

 

해양IT 국내 제조사들의 제품 설계·생산 및 품질 평가에 국제표준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 한국해양연구원과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에서 의무 장착 안전장비들에 대한 기술개발 진행 중

 

KS표준수 : KS X IEC 61174(전자해도 표시 및 정보 시스템의 성능 및 시험방법) 13

 

국내전문위원회 : 15(‘15.8월 기준)

 

순번

성 명

근무처

직 위

비 고

1

유영호

한국해양대학교

교 수

위원장

2

한태수

국가표준코디네이터

표준

코디

 

3

박수현

동서대학교

교 수

 

4

이광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 임

 

5

심우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실 장

 

6

조성훈

()한국선급

책 임

 

7

최병철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차 장

 

8

모수종

한국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

사무국장

국내민간표준화

포럼 운영사무국

9

김재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 임

 

10

신일식

중소조선연구원

팀 장

 

11

이희용

금호마린테크

소 장

 

12

박민식

이마린()

이 사

 

13

문성미

신동디지텍

책 임

 

14

최인준

삼영이엔씨

상 무

 

15

김준범

()한국선급

선 임

전문위원회

간사기관

담당관 : 국가기술표준원 배승호 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