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간 치매연구 협력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 개최- 한미정상회담 후속조치 본격 착수
부서 생명기술과
한‧미간 치매연구 협력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 개최
- 한미정상회담 후속조치 본격 착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임혜숙)는 지난 5월 22일 한미정상회담의 공동선언문* 이행을 위해 바이오 분야의 한‧미 협력을 위한 행보를 시작했다.
* (공동선언문 중 발췌) ‘바이오 기술 등 신흥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함으로써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
ㅇ 5월 28일 과기정통부 용홍택 제1차관은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단”(이하 치매사업단, 단장 묵인희)을 방문하여, 효율적인 한-미 간 공동연구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 정부는 “치매 환자 증가율 50% 감소”와 “치매 극복 기술 글로벌 시장 점유율 5% 달성”을 목표로 “치매 극복 연구개발 사업”(이하 ‘치매사업’)에 ‘20년부터 9년간 총 1,987억원(국비 1,69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ㅇ 이에 ’20년 8월부터 치매사업단을 발족하여 24개 연구개발 과제를 시작으로 치매의 예방, 진단, 치료 등의 치매 극복을 위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ㅇ 치매사업단이 발족한지 8개월 만에 알츠하이머성 치매 원인 단백질의 연결고리를 밝히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인 ‘Progress in Neurobiology (IF 10.64)’에 발표*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 논문명 : Plexin-A4 mediates amyloid-β-induced tau pathology in Alzheimer’s disease animal model(서울대 정선우, 바이오오케스트라 양진희 등 총 8명)
□ 그동안 치매연구에 있어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치매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선도국과 연구 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으며,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과의 치매 협력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ㅇ 치매사업단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ging, 이하 ‘NIA’)와 치매 빅데이터 기반의 정밀의료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미국 우성유전 알츠하이머 네크워크(Dominantly Inherited AD Network, 이하 ‘DIAN’)에도 참여하기로 했다.
□ 현재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서는 치매사업단과 NIA, DIAN 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빠르면 올해 상반기 중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하반기부터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ㅇ 협력연구를 통해서 NIA가 보유한 다양한 치매환자의 데이터를 국내 연구자가 활용하여 치매 위험인자 규명, 보호인자 발굴, 바이오 마커 진단기술 개발 등의 연구성과를 높이고, 국제 치매연구 네트워크에 기여할 수 있는 치매연구 선도국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간담회에서 치매사업 단장인 묵인희 교수(서울대)가 “치매는 모든 인류가 공통으로 겪는 문제인 만큼 국제적 협력을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금번 미국과 협력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치매 연구 역량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ㅇ 한편 과기정통부 용홍택 제1차관은 “이번 협력 과제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새로운 주제를 발굴하여, 미국과의 협력연구를 강화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며, “과기정통부도 치매 극복을 위한 미국과의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참고
현장 간담회 계획(안)
◈ 한미정상회담(5.22) 및 공동성명문* 채택 관련 바이오 분야 후속 조치로 치매연구 현장방문 및 한-미 치매연구 협력 방안 논의
* (공동선언문) “바이오 기술 등 신흥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함으로써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
□ 현장방문 개요
ㅇ (일시) '21. 5. 28(금) 10:00 ~ 11:15
ㅇ (장소)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서울 종로구 대학로)
* 국가치매책임제 실현을 위한 범부처 치매연구 사업단(’20~‘28년, 1,987억원)
ㅇ (참석자) 1차관님, 사업단장(묵인희 교수) 및 한-미 협력연구자 등
ㅇ (주요내용) 美(연구기관)측 제안 공동연구 과제 및 지원방안 논의
- 연구협력① 한미간 치매 빅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공동연구
* 韓 치매연구개발사업단 - 美 국립노화연구소(NIA)
- 연구협력② 알츠하이머 국제 네트워크 참여 및 연구협력
* 韓 치매연구개발사업단 - 美 우성유전 알츠하이머 네트워크(DIAN)
□ 세부 일정(안)
구 분
주요 내용
비 고
10:00∼10:05 (5')
방문 취지 설명
1차관님
10:05∼10:20 (15')
국내외 치매연구 현황 및 국제협력 필요성
사업단장
10:·20∼10:40 (20')
한미 치매연구 협력방안 발표
협력연구
책임자
기자단 퇴장
10:40∼11:10 (30')
협력 애로사항 청취 및 정부 지원방안 논의
-
11:10∼11:15 (5')
마무리
1차관님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기정통부, 공공기술사업화 기금(펀드) 투자방향 제시 (0) | 2021.05.28 |
---|---|
통신재난관리심의위원회 2021년 제1차 회의 개최-‘20년 이행점검 결과, 중요통신시설의 통신망‧전력공급망 이원화 계획대로 이행, 잠금장치‧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모두 설치 완료 (0) | 2021.05.28 |
4차 산업혁명 대도약(퀀텀점프)를 위한 「국가초고성능컴퓨팅 혁신전략」 발표 (0) | 2021.05.28 |
가덕도신공항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착수-항공대학교 연합체 수행…28일 착수보고회 개최 (0) | 2021.05.28 |
65세 이상 어르신 예방접종 순조롭게 시작(5.28., 정례브리핑) - 어제 하루 접종자수 71만 명 넘어, 접종 시작 이래 최고치 (0) | 202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