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UAE 통상장관 화상회담 개최‣ 수소‧재생에너지‧스마트도시 등 미래신산업 협력 추진
담당부서 중동아프리카통상과등록일 2021-04-08
한-UAE 통상장관 화상회담 개최
‣ 포스트 코로나 대비 교역투자 확대방안 논의
‣ 수소‧재생에너지‧스마트도시 등 미래신산업 협력 추진
□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4.8(목), UAE 타니 알 제유디(Thani Al Zeyoudi) 대외무역특임장관과 화상 회담을 갖고 양국간 통상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함
□ 양측 장관은 코로나19 속에서도 바라카 원전의 성공적 상업운전 개시 등 양국 협력이 지속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ㅇ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양국간 교역과 투자를 확대해 나가는 데 공동 노력해 나가기로 함
❶ 미래 신산업분야의 협력 확대 논의
- UAE는 ‘아부다비 2030 비전’을 통해 탈석유 시대를 준비하고 있고, 한국은 ‘디지털 및 그린뉴딜’을 통해 혁신성장을 추진하는 만큼 양국이 수소, 재생에너지, 스마트도시, 의료·보건 등 미래유망 분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함
* 산업부와 UAE 첨단산업기술부는 지난 3월 수소경제와 첨단산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음
❷ 기업간 투자교류 활성화 추진
- 현재 운영 중인 상호 신속입국제도와 함께, 올해 한·중동 프로젝트 파트너링 플라자, 스마트팜 웨비나, 재생에너지 투자상담회 등 다양한 협력행사를 추진함으로써 양국 기업간 교류를 보다 활성화하기로 함
❸ 양자, 다자간 통상협력 강화
- 양국간 통상협력 채널을 통해 무역과 투자 확대를 가속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논의하고,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 디지털 통상, 기후변화 등 新통상아젠다 분야의 협력도 더욱 강화하기로 함
□ 유 본부장은 한국이 미래산업 경쟁력, 투자환경, FTA 네트워크 등 여러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고 설명하면서
ㅇ 한국과 UAE가 그간의 신뢰와 우정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포스트 오일 시대의 훌륭한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해 나가자고 강조함.
ㅇ 알 제유디 UAE 장관도 양국이 코로나 상황을 모범적으로 극복해나가고 있다고 평가하며 양국간 교역과 투자가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함
【붙 임】한-UAE 무역 및 투자 현황
붙임 한-UAE 교역 및 투자현황
□ 교역 현황
ㅇ 양국 교역규모는 ‘20년 기준 약 94억불로 전체국가 중 21위
* ‘20년 기준, 수출 24위, 수입 19위(중동국가 중 수출 1위, 수입 4위)
< 우리나라의 對UAE 연도별 교역 현황(단위: 백만불) >
구 분 ‘14 ‘15 ‘16 ‘17 ‘18 ‘19 ‘20
상품수출 7,212 6,077 5,870 5,388 4,588 3,470 3,660
상품수입 16,194 8,615 6,941 9,557 9,287 8,991 5,696
총교역량 23,406 14,692 12,811 14,945 13,875 12,461 9,356
무역수지 △8,982 △2,538 △1,071 △4,168 △4,699 △5,521 △2,036
* 출처 : 한국무역협회
< ‘20년 對UAE 수출입 상위 5대 품목(단위: 백만불, %) >
주요 수출품 주요 수입품
품 목 ‘19년 ‘20년 품 목 ‘19년 ‘20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3,470 △24.4 3,660 5.5 총계 8,991 △3.2 5,696 △36.6
자동차부품 399 11.9 291 △27.2 원유 5,970 11.9 3,605 △39.6
기호식품 103 △40.7 236 128.1 석유제품 2,370 △23.5 1,584 △33.1
무기류 85 △40.0 201 135.8 알루미늄 232 △17.2 198 △14.5
우라늄 0 0 148 0 천연가스 71 0 57 △20.0
원동기·펌프 98 △0.7 143 46.3 동제품 91 △20.4 55 △39.1
* 출처 : 한국무역협회(MTI 3단위 기준)
□ 투자현황
ㅇ `20년 누계 기준 양국간 직접투자 규모는 64억불, 對UAE 투자는 29억불, 對한국 투자는 35억불
< 연도별 양국 간 직접투자 규모 (신고금액 기준, 단위: 백만불) >
구분 ‘13 ‘14 ‘15 ‘16 ‘17 ‘18 ‘19 ‘20 누계
한국→UAE 35 14 245 36 1,014 541 261 496 2,925
UAE→한국 32 55 74 114 236 47 484 698 3,499
* 출처 : 수출입은행(한국→UAE), 산업통상자원부(UAE→한국)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약처, 화장품 수출지원 방안 등 산업 발전 방안 모색-식약처-화장품 산업계 간담회 개최 (0) | 2021.04.09 |
---|---|
금융규제 샌드박스 시행 2주년 주요 성과 (0) | 2021.04.09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新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수출역량 점검회의 개최 (0) | 2021.04.0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탄소중립 기술혁신 릴레이 현장방문 (0) | 2021.04.0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5세대(5G)+ 스마트공장 정책 현장 한미정밀화학㈜방문 (0) | 202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