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제34회 섬유의 날」 기념행사 개최-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및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 발표

하이거 2020. 11. 11. 11:17

34회 섬유의 날기념행사 개최-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및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발표

 

담당부서섬유탄소나노과 등록일2020-11-11

 

 


「제34회 섬유의 날」 기념행사 개최

-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 및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 발표 -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56명 포상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20.11.11(수) 16시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업계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4회 「섬유의 날」 행사를 개최함

< 제34회 「섬유의 날」 개요 >
ㅇ (일시/장소) ’20.11.11(수) 16:00∼16:45 / 섬유센터(서울 삼성동)

ㅇ (참석자)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이상운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섬유패션단체장, 기업대표, 수상자 등 총 50여명

ㅇ (주요내용) 섬유패션분야 한국판뉴딜 실행전략 발표 및 발전 유공자 시상 등

ㅇ 「섬유의 날」은 국내 업종 중 최초로 섬유패션업이 수출 100억불을 달성한 1987년 11월 11일을 기념해 개최되고 있으며, 올해 34회째를 맞이함

ㅇ 오늘 행사에는 박진규 차관이 참석하여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56명의 유공자들을 포상하는 한편,

ㅇ 부대행사로 중소협력업체의 자금조달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섬유 유관기관 간 ‘상생특별보증 프로그램 출연 협약식’을 체결하고,
- ‘26년까지 총사업비 1조 4,000억원 투자, 3만 6천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섬유패션산업 한국판뉴딜 실행전략」을 발표하였음
□ 박진규 차관은 축사를 통해, 우리 섬유패션산업은 현재 28만여명이 종사하고 있는 전후방 파급효과 가 큰 국가 주요 산업으로, 그동안 산업발전에 헌신해 온 섬유패션인들의 노고를 치하함

ㅇ 올해는 코로나19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섬유패션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하면서, 혁신을 통한 변화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위기에 강한 산업으로 만들어 가자고 언급함

□ 또한 박진규 차관은 섬유패션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함

➊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이 무엇보다 시급함을 언급하면서
- 친환경 소재와 공정기술 개발 및 클린팩토리 구축 등을 통해 친환경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자고 제안함

➋ 코로나19로 비대면 경제가 가속화 되면서 섬유패션산업 분야에서도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을 이루어 나가야 한다고 하면서
- 섬유소재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의류 제조 등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 발굴하고 확산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함

➌ 최근 방역, 안전과 안보이슈가 중요해짐에 따라 안전한 사회구현을 위한 섬유패션 분야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하면서
- K-방역, 안전, 국방 분야의 섬유 소재와 제품 개발, 성능평가 및 인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탄소섬유 등 첨단소재의 개발 및 자립화도 이루어 나가겠다고 밝힘

➍ 전례가 없는 코로나19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경제주체 간 연대와 협력을 통해 튼튼한 산업생태계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하면서
- 봉제공장 간 네트워크 생산체계 구축, 섬유스트림 간 기술협력 및 수요-공급기업 간 연대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함
□ 오늘 기념식에서는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총 56명의 섬유업계 종사자가 정부포상*을 수상함

* 훈장(금1, 은1), 포장(2), 대통령표창(5), 국무총리표창(4), 장관표창(43)

ㅇ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한 ㈜파크랜드 이병걸 회장은 47년간의 의류패션 분야의 경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 기반마련 등을 통해 우리나라 섬유패션산업의 글로벌 위상강화 및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260여개 국내 협력사로부터 국산소재를 활용하는 등 상생협력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음

ㅇ 은탑산업훈장을 수상한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김이진 이사장은열병합발전소 이전 등을 통한 공단 입주업체(126개사)들의 원가절감, 공정개선, 폐수처리 기본요금 면제 등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등 국내 염색산업의 발전과 지역경제 상생에 기여함

ㅇ 한편, 자동차용・산업용 Filter 소재와 응용제품의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투자를 통한 고용창출 및 산업용 여과지 국산화, 코로나19 대응 멜트블로운 공급 확대를 통해 마스크 수급 안정화에 기여한 ㈜크린앤사이언스 곽규범 대표이사와 생산관리시스템의 혁신으로 품질경영과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에 기여한 태광산업㈜ 전정식 공장장은 각각 산업포장을 수상함

ㅇ 이 외에도 ㈜웰크론 신정재 대표, ㈜자인 권재원 소장, 삼성물산㈜ 정연암 부장, 도레이첨단소재,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대통령 표창을,

- ㈜대천나염 김도균 대표, ㈜대성섬유 김철수 대표, ㈜영보월드와이드 김승영 대표, KEIT 윤석한 섬유PD가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함


※ [별첨] 섬유패션산업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


참고1 행사 개요

□ 일시/장소 : ’20.11.11(수) 16:00∼16:50/섬유센터(서울 삼성동) 3층

□ 주최/후원 : 한국섬유산업연합회/산업통상자원부

□ 의의 : 국내 단일업종 최초로 섬유산업이 수출 100억불을 달성한 ’87.11.11일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11.11일 「섬유의 날」 행사 개최

□ 참석자 : 차관,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이상운) 및 섬유패션단체장, 기업대표, 수상자 등 총 50명 내외

* 역대 참석자 : ’11∼‘12년 총리, ’13년 장관, ’14∼‘15년 총리, ’16년 차관, ’17년 총리, ‘18년 장관, ’19년 차관

□ 세부일정

시간 행사내용 비고
16:00∼16:05 (’05) ㅇ 개회, 국민의례 및 내빈소개 사회자
16:05∼16:10 (’05) ㅇ 기념사 섬산련 회장
16:10∼16:15 (’05) ㅇ 축사 차관
16:15∼16:20 (’05) ㅇ 섬유패션분야 한국판뉴딜 실행전략 발표 섬산련 부회장
16:20∼16:35 (’15) ㅇ 연대협력을 위한 특별보증 프로그램 출연 협약식 출연기관
16:35∼16:40 (’05) ㅇ 섬유의 날 유공자 포상 시상식 차관
16:40∼16:45 (’05) ㅇ 회장상 섬산련 회장
16:45∼16:50 (’05) ㅇ 수상소감 수상자

□ 포상계획 (정부포상 총 56점)

훈 격 규모 비 고
금탑산업훈장 1 이병걸 회장(파크랜드)
은탑산업훈장 1 김이진 이사장(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산업포장 2 곽규범 대표(크린앤사이언스), 전정식 공장장(태광산업)
대통령표창 5 전해상 대표(도레이첨산소재, 단체상), 신정재 대표(웰크론),
권재원 소장(자인), 정연암 부장(삼성물산)
방윤혁 원장(한국탄소융합기술원, 단체상)
국무총리표창 4 김도균 대표(대천나염), 김철수 대표(대성섬유),
김승영 대표(영보월드와이드), 윤석한 섬유PD(산기평)
장관표창 43 박영규 대표(구주패브릭) 등
참고1 정부포상 유공자 명단(훈장, 포장)

훈격 수상자 주요 공적
금탑 ㈜파크랜드 • 47년간 의류패션 분야의 경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가능경영 기반마련, 안정적인 재무구조 확립 등을 통해 Global 위상 강화 및 경쟁력 향상에 기여(47년 근무)
산업 이병걸 회장
훈장 • 200억 규모의 국산소재 활용으로 260여개 협력사 3,000여명의 간접 고용 효과와 12개 브랜드 및 660개 매장 운영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

• (‘19년 실적) 매출 9,456억원, 고용 562명
은탑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 원가절감, 공정개선, 폐수처리 기본요금 면제 등을 통해 공단 입주업체(126개사)들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등 대구염색산업 발전에 기여(15년 근무)
산업 김이진 이사장
훈장 • 친환경 염색공단 조성, 입주업체 원가절감 및 공단 자구책 마련에 기여(공정개선 및 약품비 절감, 폐수처리 기본요금 면제 등 약 230억원 경감)

• (‘19년 실적) 매출 1,180억원, 고용 201명
산업 ㈜크린앤사이언스 • 자동차용, 산업용 Filter 소재와 응용제품인 에어 클리너 등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를 통해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을 견인하는데 기여(34년 근무)
포장 곽규범 대표이사
• 마스크용 원단 긴급지원(371톤, 약 2억만장) 및 마스크 생산의 핵심원료인 멜트 브로운 공급 확대(0.2톤 → 85톤)를 통해 수급 안정화에 기여

• (‘19년 실적) 매출 1,183억원, 고용 182명
산업 태광산업(주) • 울산공장 공장장으로 생산관리시스템의 혁신으로 품질경영과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기여(12년 근무)
포장 전정식 공장장
• LMF, 나일론, 아라미드 제품에 대한 품질경영 시스템 구축과 인증 획득 등을 통해 품질 경쟁력 향상 및 원가절감에 기여

• (‘19년 실적) 매출 20,272억원, 수출 504백만불
고용 347명
참고2 대통령 표창 이하 수여 대상자 현황
소속 직위 성명 수공 주요 공적내용 추천
(나이) 기간 훈격
도레이첨단소재㈜ (단체) - 20년 ㆍ차세대 고부가가치 제품인 메타아라미드, 탄소섬유 등을 통해 섬유기술 고도화에 기여 대통령
표창
㈜웰크론 대표 신정재 9년 ㆍ축척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능성 침구, 여성용품, 위생재 등 소비자 생활안전에 기여 대통령
이사 (55세) 표창
㈜자인 소장 권재원 15년 ㆍ지반침하 방지용 직물, 마이크로 초극세사 침구제품 등 섬유제품의 품질향상에 기여 대통령
(47세) 표창
삼성물산㈜ 부장 정연암 25년 ㆍ멜트 브로운(MB) 필터를 적기에 수입하는 등 국내 마스크 수입 안정화에 기여 대통령
(54세) 표창
한국탄소융합기술원 (단체) - 17년 ㆍ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및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국산화 추진에 기여 대통령
표창
(주)대천나염 대표 김도균 32년 ㆍ신소재 개발에 디지털을 이용한 생산 방식을 적용하여 섬유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 국무총리
이사 (63세) 표창
(주)대성섬유 대표 김철수 31년 ㆍ부산경남봉제산업협동조합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부산지역 봉제산업 활성화에 기여 국무총리
이사 (69세) 표창
㈜영보월드와이드 대표 김승영 17년 ㆍ직물분야(고급안감)의 신시장 개척(리사이클 스트리치 이너제품)을 통해 수출증대에 기여 국무총리
이사 (53세) 표창
한국산업기술 섬유PD 윤석한 19년 ㆍ핵심 수요산업에 요구되는 고성능 부직포 소재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 국무총리
평가관리원 (48세) 표창
㈜구주패브릭 대표 박영규 21년 ㆍ합성섬유교직 수출시장 개척을 통해 섬유제품 수출증대에 기여 장관
이사 (49세) 표창
한솔섬유㈜ 전무 한기욱 31년 ㆍ3D를 활용한 New Pun 시스템 도입 추진 등 혁신기술을 섬유패션산업에 도입하는데 기여 장관
(62세) 표창
㈜다원섬유 대표 정태섭 21년 ㆍLow/high gauge 환편니트 소재분야의 신제품 개발 및 제품화를 통해 대중화에 기여 장관
이사 (63세) 표창
㈜서진니트 대표 권영헌 12년 ㆍ새로운 소재, 디자인 등을 예측하여 신제품을 지속 출시하는 등 섬유제품 발전에 기여 장관
이사 (51세) 표창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수석 김성룡 29년 ㆍ고강도 중탄성급 제품을 개발하는 등 우리나라 섬유제품의 기술력 향상에 기여 장관
연구원 (56세) 표창
㈜강길 대표 김용 19년 ㆍ항균원사를 활용하여 생활마스크 130만장을 공급하는 등 마스크 수급안정화에 기여 장관
이사 (45세) 표창
㈜나비스 대표 소대성 22년 ㆍ침구류 분야의 공정 개선 및 섬유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 장관
이사 (54세) 표창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단체) - 6년 ㆍ섬유패션산업 2, 3차 협력업체의 성장기반 조성 및 제조 뿌리산업 육성에 기여 장관
표창
경기섬유산업연합회 (단체) - 7년 ㆍ경기지역 섬유업계의 발전전략과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등 지역 섬유패션산업 발전에 기여 장관
표창
두칸 대표 최충훈 9년 ㆍ100% 국산 원자재 사용 및 국내 임가공 생산 등을 통해 섬유패션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장관
이사 (46세) 표창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본부장 복진선 28년 ㆍ산업용 섬유소재의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 산업용 섬유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기여 장관
(58세) 표창
DYETEC연구원 책임 김지연 21년 ㆍ염색, 가공기업과의 공동과제 수행을 통해 기능성섬유 분야의 기업경쟁력 향상에 기여 장관
연구원 (44세) 표창
삼성전자㈜ 차장 강주혜 17년 ㆍ멜트 브로운(MB) 필터를 적기에 수입하는 등 국내 마스크 원자재 부족 해소에 기여 장관
(39세) 표창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차장 송지영 15년 ㆍMB 필터 신규 수입처 발굴, 조달 계약, 인증 등 마스크 수급 안정화에 기여 장관
(40세) 표창
㈜성안 부장 곽기훈 23년 ㆍ잠재권축사를 활용한 니트직물을 개발하여 약 300만불 상당의 매출 성장에 기여 장관
(49세) 표창
㈜신원 이사 이규권 20년 ㆍ특수복 등 신 item의 해외 현지 vertical 오더 수주($900만)를 통한 수출확대 기여 장관
(50세) 표창
㈜국동 차장 이경연 16년 ㆍ미국 수출 900만불에서 2,000만불로 향상될 수 있도록 영업 및 생산관리에 기여 장관
(41세) 표창
㈜티케이케미칼 부장 류찬식 25년 ㆍSPANDEX 분야의 공정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품질 안정에 기여 장관
(51세) 표창
㈜휴비스 부장 이광희 17년 ㆍ친환경 신축성 섬유소재 등의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향상에 기여 장관
(45세) 표창
㈜경일테크 상무 이상민 18년 ㆍ섬유인쇄기계 특허권창출 및 신기술개발로 해외 시장 확대에 기여 장관
(65세) 표창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원 박근혜 12년 ㆍ스마트 웨어러블 의류 등 섬유패션산업의 실증적 연구 수행에 기여 장관
(41세) 표창
한세실업㈜ 차장 조리라 19년 ㆍ부자재, 후가공 등 국내 협력 업체와 상생의 파트너쉽을 통해 수출경쟁력 향상에 기여 장관
(43세) 표창
대한화섬㈜ 기장 이상환 39년 ㆍ폴리에스터 제품 공정의 안정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에 기여 장관
(62세) 표창
태광산업㈜ 분임장 박창언 33년 ㆍ공업용수 배관 지상화로 용수 Loss 최소화 등 공정개선을 통한 원가절감 기여 장관
(55세) 표창
전방㈜ 과장 김영수 32년 ㆍ방적생산의 공정의 체계를 확립하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 장관
(60세) 표창
일신방직㈜ 차장 황영훈 30년 ㆍ제조공정 단축과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켜 원가절감 및 수율향상에 기여 장관
(58세) 표창
㈜럭스 이사 노임현 30년 ㆍ염색 공법 및 신제품 개발 연구에 이바지하여 불량률 감소 및 수익증대에 기여 장관
(55세) 표창
FITI시험연구원 팀장 임미영 29년 ㆍ품질매뉴얼 등 내부 관리체계를 확립하여 시험품질 향상과 시스템 개선에 기여 장관
(47세) 표창
코오롱머티리얼㈜ 과장 김근희 27년 ㆍ현장에 Computer Color Matching을 도입하여 체계적인 Color 관리 및 염색품질 향상에 기여 장관
(46세) 표창
DI동일 부장 권오석 25년 ㆍ신 염색기술 및 정보를 현장의 실무진에게 전파하는 등 섬유분야 기술발전에 기여 장관
(49세) 표창
태광산업㈜ 분임장 김중수 25년 ㆍ공정개선 활동 및 적극적인 제안 활동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 장관
(51세) 표창
한국의류시험연구원 계장 손영해 21년 ㆍ기술표준 정보 제공 및 기술 지도를 통해 섬유업계의 발전과 수출 증대에 기여 장관
(42세) 표창
KOTITI시험연구원 책임 가창현 20년 ㆍ섬유시험분석 시스템의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시험분석 향상에 기여 장관
연구원 (45세) 표창
㈜대농 사원 변상오 20년 ㆍ모터 교환 장치 개선을 통해 기계능률 향상 및 정비시간 단축에 기여 장관
(46세) 표창
㈜콜핑 대리 송승미 16년 ㆍ물류 입출고 관리업무의 체계를 확립하여 출고안정 및 경쟁력 향상에 기여 장관
(59세) 표창
㈜서원테크 차장 허은지 22년 ㆍ효율적인 재고관리 및 신규 프로세스 공정혁신을 통해 가격경쟁력 향상에 기여 장관
(44세) 표창
㈜티케이케미칼 부장 최찬호 24년 ㆍ원사 제품 수출시장 개척 및 다변화를 통해 수출 경쟁력 강화에 기여 장관
(51세) 표창
서진섬유㈜ 대표 육이수 33년 ㆍ휴대폰 전자파 차단, 고신축 특수사 등의 제품으로 섬유산업 개발 향상에 기여 장관
이사 (70세) 표창
성진섬유 대표 백종남 29년 ㆍ경기북부 원자재물류센터 건립 활동 및 지역 섬유업계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 장관
이사 (62세) 표창
㈜엔라인 부사장 이은경 8년 ㆍ브랜드 매출 확대 및 국내외 소비자에게 트렌드를 제시하는 등 패션문화의 확장에 기여 장관
(54세) 표창
인터텍스서울㈜ 대표 장인철 25년 ㆍ기술 특허를 기반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 장관
이사 (60세) 표창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원 윤혜준 22년 ㆍ봉제 생산관리시스템 개발과 기술의 접목으로 새로운 Smart System 개발에 선도적 기여 장관
(49세) 표창
㈜이주 대표 이창석 24년 ㆍ의류봉제용 접착심지 기술개발 및 제품생산으로 섬유산업 기술발전에 기여 장관
이사 (50세) 표창






참고3 「섬유패션산업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주요내용

1. 추진배경

□ 도ㆍ소매업 포함시 종사자 83만명에 이르는 대표적인 고용 창출산업

* 취업유발계수(명/10억원) : 섬유(10.7), 제조업 평균(9.3), 자동차(8.6), 반도체(3.6)

□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확대, 개도국 추격을 받는 Nut-Cracker상황 직면, GVC 재편, 디지털 전환 등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재도약 기회 활용

2. 주요내용 (4개 전략, 16개 과제, 총사업비 1조 3,947억원)

1 (그린) 환경 친화적 산업으로 전환 (11개 과제, 총사업비 1,431억원)

ㅇ 친환경 섬유소재ㆍ제품 개발 및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을 통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한 친환경섬유 제조기반 강화

ㅇ 진단 컨설팅, 노후설비 교체 지원을 통해 염색업종의 그린산업 전환

2 (디지털)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 (11개 과제, 총사업비 1,120억원)

ㅇ 공정별 디지털 제조기술 개발ㆍ실증, 섬유소재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ㆍ활용 등을 통해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제고

ㅇ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의류 제조, 스마트 쇼룸 구축 등 K-패션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구축ㆍ확산

3 (안전) 첨단기술로 안전한 사회 구현 (11개 과제, 총사업비 2,541억원)

ㅇ 방역ㆍ산업안전ㆍ국방분야의 섬유제품 개발, 성능평가 및 인증 인프라 구축으로 수입대체 및 글로벌 시장진출 확대

ㅇ 고강도ㆍ고탄성 유기섬유, 탄소섬유 등 핵심 전략소재 자립화

4 (연대&협력)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화 (8개 과제, 총사업비 8,855억원)

ㅇ 지역거점 봉제산업 혁신공정 구축, 섬유스트림간 기술협력 및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기반조성을 통해 섬유패션 생태계 강화

3. 기대효과

□ ‘26년까지 총사업비 1조 4,000억원 투자, 3만 6천개 일자리 창출

⇨ 그린ㆍ디지털 혁신을 통해 섬유패션산업 글로벌 신시장 선점





섬유패션산업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








2020. 11. 1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섬유산업연합회




I . 추진 배경

1 국내 섬유패션산업 현황 및 문제점

□ 산업구조

ㅇ (균형잡힌 스트림 보유) 원사․원단․염색․봉제 등 균형있는 제조기반 보유, 48천개 기업 중 88%가 10인 미만 중소기업으로 구성

ㅇ (핵심 제조산업) 도․소매업 등 연관산업 포함시 종사자가 83만명에 이르는 대표적인 고용창출 산업, 고부가가치 산업

* 취업유발계수(명/10억원) : 제조업 평균(9.3), 섬유 및 의복(10.7), 일반기계(9.7), 자동차(8.6), 선박(8.2), 철강제품(4.6), 반도체(3.6), 석유제품(2.0)

□ 최근 동향

ㅇ (생산) ‘11년 49.4조원을 정점으로, 원자재 가격하락에 따른 제품 단가하락, 해외 이전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 지속

* 생산(조원) : (‘10) 36.9 → (’14) 43.8 → (‘16) 41.0 → (’17) 40.1 → (‘18) 39.4

ㅇ (수출) 중국․동남아 등 후발국의 해외시장 잠식 및 해외 생산 확대 등으로 감소세 지속

* 수출(억불) : (‘00)188 → (’15)145→ (’16)138 → (’17)137 → (’18)141 → (’19)130

- ‘20년 상반기 수출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 및 생산부진,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19.1% 감소

<국내 섬유패션산업 생산 및 수출 추이 >

ㅇ (고용) 원부자재․인건비 등 직접비 상승에 따른 해외 이전 등으로 종사자 수 감소 및 취업 기피에 따른 고령화 심화

* 종사자 수(천명) : (‘00) 488 → (’15) 306 → (‘16) 299 → (’17) 294 → (‘18) 278
* 종사자 연령 비중(%) : (‘29세 이하) 6.4 → (30대) 21.0 → (40대) 23.7 → (50대 이상) 48.8

<국내 섬유패션산업 해외투자 및 고용 추이 >


□ 문제점 및 평가

ㅇ (국내 생산기반 약화) 인건비 상승으로 해외이전 가속화, 청년 인력 부족으로 고령화 심화 등 국내 생산여건 악화

- 노동집약적 산업에 머물러 임금상승에 취약, 가격경쟁력을 상실한 봉제, 염색 업종 등에서 해외이전 가속화

* 해외 신규법인 수(개) : (‘80년대) 111 → (’90년대) 1,705 → (‘00년대) 3,020 → (’10~‘17) 951

-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 국내 청년층의 구직 기피, 고령화가 심각

⇨ 국내 일감 부족 → 생산 감소 → 투자 위축 등 악순환 계속

ㅇ (기술투자 부족) 선진국이 산업용섬유, 고감성ㆍ기능성 소재에 주력한데 반해, 우리는 저부가가치ㆍ범용 섬유 중심

* 산업용섬유 수출 비중 : (한국) 23%, (미국) 48%, (일본) 39%, (독일) 49%

⇨ 선진국과 기술격차 확대, 개도국의 추격을 받는 Nut-cracker 상황

ㅇ (환경변화 대응 미흡)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스마트화ㆍ친환경화ㆍ융복합화 등 환경변화에 대응한 준비 부족
⇨ 섬유패션 수요시장에서 국내 제품의 국제 경쟁력 약화 초래
2 최근의 환경변화

□ (글로벌 공급망 재편) 미․중 무역분쟁, 보호무역주의 강화,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 재편 진행중

ㅇ 마스크, 진단키트 등 방역물자의 해외공급 차단, 입국제한조치, 글로벌 공급망 중단 등에 따른 자국內 제조기반 중요성 부각

ㅇ 소규모 오더를 근거리에서 생산하는 지역 기반 공급망으로 변화

* 이태리 패션 브랜드 몽클레어는 전체 생산량의 절반을 이태리에서 생산하고, 나머지는 기존 중국‧동남아 지역에서 루마니아 등 동유럽으로 이동

□ (디지털 전환 가속) 4차 산업혁명으로 주목받았던 AI, IoT 등 정보통신기술이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디지털 경제구조 전환 가속화

ㅇ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상호작용 강화로, 제조방식뿐만 아니라 유통․판매방식도 디지털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 국내 온라인 쇼핑시장은 ‘05년 이후 평균 19.6%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AI‧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확산

□ (보건․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기후변화 및 코로나19 확산은 소비자들의 보건․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소비 행태도 변화

ㅇ 소비자의 친환경 인식 증대로 인하여 디자인과 기능성을 겸비한 친환경 소재의 소비가 증가

ㅇ 마스크, 보호복 등 개인보호장비(PPE)의 생산 및 수출 급증

* 마스크 수출(전년 동기대비 %) : (‘19) 0.8억불(△14.3%) → (’20.상) 2.9억불(680.5%)

◆ 디지털 혁신, 상생협력 기반조성 등을 통해 국내 생산기반 강화

☞ 공정별 디지털 제조기술 개발ㆍ실증,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ㆍ활용, 스트림간/수요ㆍ공급기업간 협력 강화 중점 추진

◆ 친환경 산업 전환, 첨단소재 자립화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친환경 소재 및 공정 개발, 첨단 산업소재 개발 중점 추진
참고 1 해외 주요국의 대응 동향

◇ GVC 재편에 대응하여 국내 제조기반 강화, 지속가능성 제고, ICT를 활용한 기술혁신 등 제조업 강화정책 추진

미국 ◈ ‘Make it America(’10)’, ‘Manufacturing USA(’14)’ 등 제조업 부흥책 추진

* 법인세 인하(35%→21%), 해외 자회사 중과세 등 제조업 국내복귀 유도

◈ 마스크 등 방역용 개인보호장비(PPE) 국내 제조기반 강화

* 전미섬유단체연합회(NCTO)의 PPE산업 제조기반 강화 및 정책지원 촉구
EU ◈ 독일, ‘국가산업전략 2030‘ 발표(’19.2)

* 핵심기술 분야 폐쇄적 가치사슬 강화, 중소기업 역량 강화 지원 등

◈ 유럽섬유의류산업연합회(EURATEX),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럽 섬유‧의류산업 경기 회복 전략’ 발표(‘20.4)

* 유동성 지원, 기술혁신‧디지털화, 지속가능성 제고, EU 주변국과의 섬유산업 통합 생태계 구축 추진 등
일본 ◈ ‘신산업구조비전(’17)‘ 등 산업 발전전략 추진

* 소재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머터리얼 혁신전략’ 수립중(‘20.12 예정)

◈ 일본섬유연맹(JFT), ‘일본 섬유산업 발전전략 2030’ 발표(‘20.1)

* 혁신을 통한 가치 창출, 인적자원 개발, 해외시장 확대 및 마케팅 강화, 지속가능성 관리, 산학관 협력 개선 등
중국 ◈ ‘중국 제조 2025(’15)‘, ’9대 신흥전략산업(‘18)’ 발표

* ‘25년 제조강국 진입을 목표로 ICT, 로봇, 신소재, 바이오 등 10대 중점분야 육성 → 핵심기술 및 소재부품 70% 이상 자급
참고 2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개요

◇ ❶디지털 혁신, ❷친환경‧저탄소 전환, ❸안전망 강화를 통하여 코로나19 위기 극복 및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기틀 마련

□ 주요내용



□ 기대효과

ㅇ ‘25년까지 총 사업비 160조원(국비 114.1조원) 투자, 일자리 190.1만개 창출 ⇨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 최소화 및 글로벌 경제 선도
참고 3 기존 대책과의 연계

Master Plan Action Plan Invest Plan

「섬유패션산업
「섬유패션산업 ╋ 한국판뉴딜 실행전략」
발전전략」 (‘20.11)
(‘18.3) 「동대문 패션시장 「섬유패션산업
활성화 방안」 활력제고 방안」
(‘19.4) (‘19.6)

핵심전략 기술혁신을 통한 ICT 기술을 활용한 당면 현장애로 해소를 통한 산업 활력 제고 그린ㆍ디지털 혁신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동대문 패션시장 활성화 글로벌 新시장 선점

제조공정 혁신 ㅇ ICT기반 공정 자동화, 디지털염색 기술개발 ㅇ 개인맞춤의류 생산ㆍ판매매장(Within24) 시범운영 ㅇ 봉제, 염색ㆍ가공, 신발 분야 스피드팩토리 핵심기술개발 ㅇ 제조공정 뿐만 아니라 신제품 기획ㆍ마케팅 분야도 디지털 전환
산업용섬유 육성 ㅇ 탄소섬유, 슈퍼섬유 원천기술 및 제품개발 - ㅇ 산업용섬유 기술개발 및 업종재편 등 구조고도화 지원 ㅇ GVC 재편에 대응한 자동차, 전기전자 등 주요 수요산업 핵심소재 자립화
패션산업 ㅇ 고부가ㆍ고감성 고급 원단 및 스마트 의류 기술개발 ㅇ 24시간 개인맞춤의류매장(Within24), 봉제생산 공동 네트워크(따로또같이) 구축 - ㅇ 친환경 소재 개발, K패션 디지털 생태계 조성 및 비즈니스 모델 구축
활성화

비 고 ㅇ 섬유패션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 ㅇ 동대문 패션시장 활성화위한 산업부&서울시 공동 프로젝트 ㅇ 인력난, 환경규제 등 현장애로 해소를 위한 지원대책 및 제도개선 ㅇ 섬유패션산업 글로벌 新시장 선점을 위한 실행계획
II. 추진전략

비전 그린ㆍ디지털 혁신을 통한 섬유패션산업 선도국가 실현

추진 1. (그린) 환경 친화적 산업으로 전환
전략
2. (디지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

3. (안전) 첨단기술로 안전한 사회 구현

4. (연대와 협력)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화

1. 그린 ① 친환경섬유 소재 개발
② 염색업종 그린산업 전환
③ 자원순환형 그린섬유 생태계 육성
④ 친환경ㆍ디지털분야 전문인력 양성

2. 디지털 ① 공정별 디지털 제조기술 개발 및 실증
②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③ K-패션 디지털 생태계 조성
④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창출

3. 안전 ① K-방역산업 생태계 육성
② 안전보호 소재산업 육성
③ 부직포 소재산업 고도화
④ 첨단 산업소재 자립화

4. 연대와 협력 ① 지역거점 봉제 혁신공정 구축
② 섬유스트림간 기술협력 강화
③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기반조성
④ 의류생산 리쇼어링 기반조성
Ⅲ. 추진과제

1 환경 친화적 산업으로 전환

① 친환경 섬유소재 개발

□ (현황) H&M, ZARA, Nike 등 글로벌 패션기업을 중심으로 친환경섬유 사용 확대, 자동차 부품 등 산업용 신규 수요도 증가

* 글로벌 패션기업을 선두로 ‘25년까지 지속가능 소재 비중을 50% 이상 적용 선언
* 친환경섬유 세계 시장규모 : (‘18) 375억불 → ('25) 690억불(연평균 9.2% 성장 전망)

□ (투자방향)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생분해성 섬유, 리사이클 섬유 소재 및 제조공정 기술개발을 통한 그린소재 자립화

ㅇ 바이오매스 기반 생분해성 섬유 제조기술 및 응용제품 생산기반 강화

* 천연고분자 기반 바이오 생분해 조절 섬유 개발(‘21~’24, 총사업비 150억원)

ㅇ 글로벌 브랜드 수요에 대응한 폐섬유 원료 활용 업사이클링 소재 개발

* 폐섬유 원료 활용 업사이클링 소재 개발(‘21~’24, 총사업비 120억원)

ㅇ 천연섬유 융복합 방적기술의 자립화 생산기반 강화 및 제품개발

* 천연융복합 방적기술 및 제품화 생산기반 강화(‘21~’24, 총사업비 120억원)




◆ 생분해 섬유 ◆ 천연유래 섬유 ◆ 리사이클 섬유 ◆ 친환경섬유 완제품
<친환경섬유 소재 및 완제품>

□ (기대효과) 친환경섬유 원료부터 제품화까지 원천기술 확보로 국내 친환경섬유 기술력 강화 및 글로벌시장 진출 확대

② 염색업종 그린산업 전환

□ (현황) 염색업종의 경우 공정상 폐수, 대기 오염물질 등이 다수 발생,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역량(인프라, 전문가, 공정기술 등)은 부족한 상황

* 주요 염색산단 현황 : 대구(124개사), 반월(78개사), 검준(49개사), 부산(45개사)

□ (투자방향) 공정상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반조성을 통해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친환경 그린산업으로 전환

ㅇ 폐수ㆍ대기오염 방지 등 환경개선을 위한 업체별 진단 컨설팅 지원

* 수질, 대기오염 방지 환경 진단 컨설팅 지원(‘21~’23, 총사업비 20억원)

ㅇ 친환경 제조공정을 갖춘 그린&클린팩토리 조성을 위한 친환경 염색가공 및 환경오염시설 설비 전환 지원

* 그린&클린팩토리 전환 지원(‘21~’23, 총사업비 40억원)



<염색가공 그린&클린팩토리 구축>

□ (기대효과) 염색·가공 업종의 그린&클린팩토리 조성을 통해 지속가능 산업으로 전환

③ 자원순환형 그린섬유 생태계 육성

□ (현황) 지속가능한 그린섬유의 수요 및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개발 인프라 및 산업기반 취약

□ (투자방향) 자원순환형 친환경섬유 소재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 그린섬유 생태계 육성

ㅇ 그린섬유 원료 개발, 제품 표준화 및 인증을 지원하는 연구센터 구축

* 친환경 나노섬유기술융합 니사이클 소재산업 기반구축(‘22~26, 총사업비 350억원)
* 그린섬유 RVC 생태계 기반조성 및 재활용센터 구축(‘22~’25, 총사업비 140억원)


<니사이클 소재 산업화>

ㅇ 미래 자동차용 경량 복합재 생산기술 개발센터 구축

* 1.7GPa 이상급 저비용 탄소섬유 양산 기반구축(‘22~’25, 총사업비 240억원)

□ (기대효과) 글로벌 섬유패션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

④ 친환경ㆍ디지털분야 전문인력 양성

□ (현황) 산업구조 변화, 기술혁신 가속화로 인한 산업현장 요구와 교육과정과의 연계 부족으로 산-학 인력수급 미스매치 심화

□ (투자방향) 친환경ㆍICT융합 섬유 분야 전문인력 양성으로 글로벌 기술경쟁력 강화 및 민간투자 활성화

ㅇ 친환경 섬유, ICT융합 섬유 소재 및 제조공정 개발 분야 석·박사급 고급 연구인력 양성

* 친환경 그린섬유 제조과정 전문인력양성사업(‘22~’26, 총사업비 75억원)
* ICT융합섬유 제조과정 전문인력양성사업(‘20~’24, 총사업비 136억원)

ㅇ 산업현장 수요를 반영한 실무 전문인력 양성 및 기업 수요맞춤형 취업지원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 수요기업 맞춤형 인력양성 및 취업연계 지원(‘19~’23, 총사업비 40억원)

□ (기대효과) 친환경ㆍ디지털 등 미래 섬유패션 성장분야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연계를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
2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

① 공정별 디지털 제조기술 개발 및 실증

□ (현황) 전문인력 부족으로 통합 자동화와 디지털 정보기술 활용을 통한 제조시스템 혁신 필요

□ (투자방향) 온-오프라인 연결 O2O 기술 및 유연생산 구축 공정 In-line화 등 공정별 디지털 제조기술 확보

ㅇ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이용한 공정별 스마트 생산장비 및 시뮬레이터 구현 디지털 플랫폼 개발

* 첨단 제조공정 혁신 실증센터(마이크로팩토리) 구축(‘22~’25, 총사업비 200억원)

ㅇ 염색 제조공정의 언택트화에 필요한 디지털 정보화 및 통합 관리시스템 솔루션 기술개발

* 염색공정 디지털 정보화 및 통합 플랫폼 구축(‘22~’26, 총사업비 100억원)

□ (기대효과) 스마트 표준공정 모델 기술 확보 등 디지털 제조 고도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제고

②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 (현황) 생산·유통·소비 트렌드의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수요자 맞춤형 정보제공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 구축 필요

□ (투자방향) 신제품 기획ㆍ설계, 제조공정 표준화, 유통ㆍ마케팅 등의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ㅇ 디지털 소재물성 데이터 활용 및 빅데이터로 분석한 패션 시장 통계시스템 정보 제공 등으로 신제품 개발 지원

* 섬유소재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20~’23, 총사업비 150억원)
* 섬유패션 빅데이터 구축(‘19~’21, 총사업비 40억원)



<실시간 섬유패션 빅데이터 트랜드 분석 시스템>

ㅇ 제조현장에서 데이터 중심의 진단-예측-의사결정-적용을 통하여 현장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제조 플랫폼 개발

* 디지털 트윈 섬유신소재 AI제조 플랫폼 구축(‘20~’24, 총사업비 150억원)

ㅇ 패션 디자인 저작권 보호 및 디자인 공유 플랫폼 개발

* 블록체인 기반 K패션브랜드 디지털 정보 구축(‘22~’24, 총사업비 100억원)

□ (기대효과) 섬유소재, 패션 트렌드의 디지털 데이터화를 통해 생산 주기 단축, 생산비 절감 및 온라인 거래 활성화

③ K-패션 디지털 생태계 조성

□ (현황) 오프라인 중심의 국내 패션산업은 디지털 환경변화에 취약

□ (투자방향) 디지털·언택트로 전환중인 패션산업 생태계에 대응할 수 있는 K-패션의 디지털 혁신 기반조성

ㅇ 디지털 포럼 운영 및 K-패션 비즈니스 모델 확산을 통해 지역 상권 활성화 및 개인맞춤형 패션 新시장 선점

* K패션 디지털 생태계 전환 포럼 운영(‘21~’25, 총사업비 10억원)
* K패션 디지털 플랫폼 구축 지원(‘21~’25, 총사업비 100억)


디지털 룩북 ⇨ 3D 가상피팅 ⇨ 3D 디자인커스텀 ⇨ 3D바디스캐너 ⇨ 가상의상, 그레이딩
(의류 선택) (가상 fitting) (의류 변형) (3D 신체측정) (패턴 변경 등)

<개인 맞춤형 의류 제조·판매 매장(WITHIN 24) 운영 개요>

ㅇ K-패션 디지털 생태계에 적합한 글로벌 브랜드 육성 및 의류패션 제조기반 조성

* K패션 글로벌 브랜드 육성(‘21~’25, 총사업비 150억원)

□ (기대효과) 국내 중소·중견 중심의 패션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K-패션 디지털 기반 확보로 국내외 판로개척

④ 섬유 특화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구축

□ (현황) 코로나19 이후 비대면화 및 온라인화 확대에도 불구하고, 소량오더 품목 이외에는 대면 프로모션 등 기존 무역거래 형태 의존

□ (투자방향) 의류, 홈텍스 소재분야의 한국형 온·오프라인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및 스마트 인프라 확보

ㅇ 기 구축된 해외 경쟁력 강화 거점을 체험형 스마트 쇼룸으로 전환하여 온라인과 통합된 옴니(온·오프 믹스) 비즈니스 지원 인프라 구축

* O4O 스마트 비즈니스 인프라 구축(‘22~’26, 총사업비 60억원)



<온·오프라인 통합 스마트 스토어 비즈니스 모델>

ㅇ 섬유소재 생산자간의 디지털 SCM 구축(소재-염색-봉제) 및 비즈니스 디지털화를 촉진할 실시간 거래 시스템 구축

* 클라우드 섬유특화 디지털 SCM 구축(‘22~’26, 총사업비 60억원)

□ (기대효과) 국내 섬유패션산업을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전환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

3 첨단기술로 안전한 사회 구현

① K-방역제품 생태계 육성

□ (현황) 코로나19를 계기로 개인보호장비(PPE)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나, 국내 생산기반은 취약

* PPE 세계 시장규모 : (‘19) 527억불 → ('25) 925억불 전망

□ (투자방향) K-방역제품 토탈 솔루션 확보를 통한 글로벌 시장 선점

ㅇ ‘Made in Korea’ 프리미엄을 활용한 방역, 안전 분야의 수출 유망품목 「소재개발-제품제조-성능평가-인증」 생태계 구축

* K-방역용 휴먼케어 섬유소재 개발(‘21~’24, 총사업비 200억원)

ㅇ 국내 스마트섬유 기술역량을 바탕으로 스마트 PPE 제품 실증을 위한 서비스랩 구축

* 스마트 개인보호장비 실증 서비스랩 구축(‘22~’26, 총사업비 250억원)

□ (기대효과) K-방역제품 산업생태계 구축으로 신규 일자리 창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확보

② 안전보호 소재산업 육성

□ (현황) 안전보호제품 국내시장은 수입의존도가 높고, 고가의 고품질 제품(미국, 유럽), 저가의 저품질 제품(중국)으로 양분

□ (투자방향) 안전장갑ㆍ보호복 등 안전보호 섬유제품, 전투복ㆍ위장막 등 국방 섬유제품 개발을 통해 산업재해 감소와 글로벌 시장 선점

ㅇ 안전보호 융‧복합 섬유제품 상용화 기술개발 및 기술지원센터 구축

* 안전보호 융복합섬유 산업육성(‘19~’23, 총사업비 524억원)

ㅇ 고성능 국방섬유 소재ㆍ제품 개발, 첨단소재 개발 테스트베드 및 완제품 실증센터 구축

* 국방섬유소재 산업육성(‘21~’25, 총사업비 357억원)

□ (기대효과) 산업안전 및 국방 분야에서 국산 섬유 소재의 우수성을 입증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

③ 부직포 소재산업 고도화

□ (현황) 환경ㆍ보건에 대한 관심 증대 및 건축용ㆍ산업용 등 용도 확장에 따라 부직포산업이 빠르게 성장중

* 부직포 세계 시장규모 : (‘10) 190억불 → ('15) 250억불 → (’20) 480억불(예상)

□ (투자방향) 세계시장 선도형 고성능 부직포 소재 기술개발 및 실증기반 구축으로 부직포 소재산업 생태계 고도화

ㅇ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인체 친화형, 건축ㆍ산업용 고성능 부직포소재 및 제품개발

* 건축·환경용 고차단성 플래시방사 부직포 개발(‘21~’24, 총사업비 150억원)
* 첨단 방사형 부직포 제조 시스템 및 제품화 기술개발(‘21~’24, 총사업비 180억원)

ㅇ 고성능 부직포 소재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 및 제품 표준화ㆍ인증 지원센터 구축

* 부직포소재 생산설계 플랫폼 구축(‘22~’26, 총사업비 250억)

□ (기대효과) 고성능 부직포 소재 및 장비 자립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국내 부직포산업 생태계 강화

④ 첨단 산업소재 자립화

□ (현황) 일본 수출규제, 코로나 19 등 영향으로 기존 GVC 체계 균열

ㅇ 일본 수출규제 이후 코로나 19, 美中 무역분쟁 등 외부 충격으로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소부장 수급우려와 GVC 재편 확산

□ (투자방향) 핵심 수요산업에 요구되는 극한성능 유기섬유, 탄소섬유 복합재 등 첨단 산업소재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자립화
ㅇ 고강도ㆍ고탄성 유기섬유, 탄소섬유 복합재 등 전략 핵심소재의수요ㆍ공급기업 공동 기술개발

ㅇ 첨단 산업소재 자립화를 위한 표준화, 인증 및 기업지원 등 산업 생태계 고도화

* 고강도ㆍ고탄성 유기섬유 및 복합재 개발(‘20~’24, 총사업비 180억)
* 클린룸 공기질 관리용 헤파필터 소재개발(‘20~’25, 총사업비 150억)
* 수소저장용기용 탄소섬유 복합재 개발(‘20~’24, 총사업비 150억)
* 미래 자동차용 친환경ㆍ경량 부품소재 개발(‘21~’24, 총사업비 150억)

<극한 성능 유기섬유 및 복합재> <클린룸용 HEPA·케미컬 필터>

□ (기대효과) 자동차ㆍ반도체ㆍ전자 등 핵심 수요산업에 요구되는 첨단 섬유소재 자립화를 통해 공급망 안정 및 시장 진출

4 연대와 협력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화

① 지역거점 봉제산업 혁신공정 구축

□ (현황) 고령화, 신규인력 유입 부족 등으로 국내 봉제산업 생산기반 붕괴 우려

□ (투자방향) 봉제공장의 일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IT기반의 신속·유연·분산 생산이 가능한 네트워크 생산체계 구축

ㅇ 5G 기반의 봉제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공장을 통합하여 공동 물량 수주 시 시스템을 통하여 일감 분배

ㅇ 방역물품(방호복, 마스크 등)을 비롯 군복, 소방복, 경찰복 등 특수웨어 품목을 ICT기반으로 시스템화하여 물량조절 지원

* ICT 기반 봉제산업 혁신공정 네트워크 구축(‘20~’24, 총사업비 70억원)



<5G기반 봉제생산 네트워크 구축>

□ (기대효과) 5G 및 IoT 기반 최적 공정관리시스템 구축 및 브랜드와 봉제기업간 유기적 연계 플랫폼 제공으로 생산성 향상

② 섬유스트림간 기술협력 강화

□ (현황) 국내 섬유산업은 스트림이 균형적으로 발달하여 부가가치 창출에 유리한 산업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나, 스트림간 협력 미흡

ㅇ 산업 특성상 스트림간 유기적인 협력이 중요하나, 대기업의 의식 부족, 기업의 영세성, 교류 부족 등으로 협력 미흡

* 일본은 Toray Cluster의 스트림간 협업 성공사례를 통해 신시장 및 부가가치 창출

□ (투자방향) 국내 섬유산업 스트림별 우수 전문기업 육성 및 미래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섬유패션산업 구조 고도화

ㅇ 섬유제조 스트림별 미래 글로벌 시장을 리딩할 수 있는 우수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 섬유 스트림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22~’28, 총사업비 5,200억원, 예타 기획중)

ㅇ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위한 국가 핵심기술 확보 지원

* 섬유 스트림 핵심품목 기술개발(‘22~’28, 총사업비 2,800억원, 예타 기획중)

□ (기대효과)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트랜드에 대응 가능한 스트림별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통해 수출 강국 재도약
③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기반조성

□ (현황) 국산 섬유소재에 대한 신뢰성평가 미흡 및 국산 적용사례 부족 등으로 국내 수요업체의 연계ㆍ활용 저조

□ (투자방향) 수요-공급기업간 상생협력 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국내 섬유산업 경쟁력 강화

ㅇ 슈퍼섬유, 고성능부직포, ICT융합 전자섬유 등 첨단 산업용섬유수요기업 매칭 소재제작 및 현장테스트 지원

* 수요-생산기업 협력 첨단소재 사업화 지원(‘21~’25, 총사업비 270억원)

ㅇ 국내외 패션소재 수요기업 맞춤형 신소재 제작지원 및 기획·기술컨설팅 지원 등 유기적 네트워크 운영

* 수요 연계 프리미엄 패션소재 제작 및 마케팅 지원(‘21~’25, 총사업비 190억원)

ㅇ 홈텍스 수요(브랜드, 유통)기업 및 소재기업간의 스트림 연계협력 지원

* 홈텍스 섬유제품 프리미엄화 및 경쟁력 강화(‘21~’25, 총사업비 200억원)

□ (기대효과) 수요기업 맞춤형 사업화 지원 및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기반 조성을 통한 섬유산업 경쟁력 강화

④ 의류생산 리쇼어링 기반조성

□ (현황) 인건비 상승, 숙련인력 부족으로 의류산업 국내 생산기반 취약

□ (투자방향) 국내 의류생산 기업의 리쇼어링 지원 강화를 통한 글로벌 디지털 생태계 경쟁력 확보

ㅇ 의류제조 자동화공장 공유 플랫폼 구축을 통해 해외 생산오더의 국내 전환 지원

* 의류제조 자동화공장 공유 플랫폼 구축(‘21~’25, 총사업비 75억원)

ㅇ 고부가가치 High-end 의류 샘플ㆍ패턴 기술인력 확보를 통해 패션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국내 일감연계 활성화

* 고부가 High-end 의류제조 인력양성 및 일감연계 활성화(‘19~’23, 총사업비 50억원)

□ (기대효과) 자동화공장 공유 플랫폼 구축, 인력양성으로 해외 생산오더의 국내 전환 및 Re-shoring 기업유치 등 국내 봉제산업 경쟁력 확보
참고 지역별 섬유패션산업 추진전략

□ 산ㆍ학ㆍ연 협력 클러스터 활성화, 지역별 특화품목 육성을 통해 섬유패션산업 구조고도화 추진

ㅇ (서울ㆍ경기) 디지털 팩토리 구축을 통한 디지털 전환 및 IT융합섬유ㆍ니트편직ㆍ염색가공 분야 민간투자 활성화

ㅇ (대구ㆍ경북) 첨단 산업용섬유 육성, 미래시장 대응을 위한 ICT연계 및 친환경산업 육성 프로그램 추진

ㅇ (부산ㆍ경남) 해양 융복합소재 고부가가치화, 봉제-ICT 융합 위기대응형 특수워크웨어(방역물품, 군복) 생산 시스템 구축 지원

ㅇ (충청ㆍ전라) IT융합 제조혁신으로 생산성 향상, 안전보호제품 등 기술융합 산업용섬유 개발 촉진

< 지역별 섬유패션산업 현황 >


*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18년 전국사업체조사(1인이상 사업체 조사자료)
* 주: 괄호 안은 전체 섬유패션산업 내 비중
Ⅳ. 기대효과

□ (섬유패션산업 현재와 미래) 그린ㆍ디지털 혁신을 통한 섬유패션산업 선도국가로 발돋움


□ (경제·산업적 기대효과) 그린, 디지털, 안전 분야 전략적인 투자와 산업생태계 강화로 2조 2,252억원 생산유발, 3만 6천개 일자리 창출

ㅇ 생산유발 2조 2,252억원, 부가가치 6,800억원 달성
ㅇ 3만6천개 민간 일자리 신규 창출 및 4만4천명 고용 성과 달성





Ⅴ. 추진일정 및 소요예산

연번 추진과제 추진일정 총사업비 비고
(국비) (관련사업)
01월 01일 친환경섬유 소재 개발 ‘21~’24 390억(320억) ㆍ소재부품기술개발
01월 02일 염색업종 그린산업 전환 ‘21~’23 60억(30억)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01월 03일 자원순환형 그린섬유 생태계 육성 ‘22~’26 730억(400억) ㆍ산업혁신기반구축
01월 04일 그린&디지털 전문인력 양성 ‘20~’26 251억(251억) ㆍ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02월 01일 공정별 디지털 제조기술 개발 및 실증 ‘22~’26 300억(150억) ㆍ산업혁신기반구축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02월 02일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19~’25 440억(260억) ㆍ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02월 03일 K-패션 디지털 생태계 조성 ‘21~’25 260억(210억)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02월 04일 섬유특화 디지털비즈니스 모델구축 ‘21~’25 120억(120억) ㆍ디지털리테일기술개발
03월 01일 K-방역제품 생태계 조성 ‘21~’26 450억(300억) ㆍ소재부품기술개발
ㆍ산업혁신기반구축
03월 02일 안전보호 소재산업 육성 ‘19~’25 881억(503억) ㆍ안전보호섬유산업육성
ㆍ국방섬유소재산업육성
03월 03일 부직포 소재산업 고도화 ‘21~’26 580억(395억) ㆍ소재부품기술개발
ㆍ산업혁신기반구축
03월 04일 첨단 산업소재 자립화 ‘20~’25 630억(535억) ㆍ소재부품기술개발
04월 01일 지역거점 봉제산업 혁신공정 구축 ‘20~’24 70억(50억)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04월 02일 스트림간 기술협력 강화 ‘22~’28 8,000억(6,250억) ㆍ섬유스트림협력개발(예타)
04월 03일 수요-공급기업간 상생협력 기반조성 ‘21~’25 660억(490억)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04월 04일 의류생산 리쇼어링 기반조성 ‘21~’25 125억(100억) ㆍ섬유패션활성화기반마련
총 계 13,947억
(10,364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