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기대비 8.4% 증가
담당부서유통물류과 등록일2016-11-29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기대비 8.4% 증가
- 오프라인 유통업체 6.3% 증가, 온라인 유통업체 13.2% 증가 -
< 매출 동향 조사 대상 >
□ 오프라인 유통업체(13社)
∙백화점(3社) :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대형마트(3社) :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편의점(3社) : CU, GS25, 세븐일레븐&바이더웨이
∙SSM(4社) : 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 GS, 홈플러스익스프레스
□ 온라인 유통업체(13社)
∙오픈마켓(4社) : 이베이코리아(G마켓, 옥션), 11번가, 인터파크
∙소셜커머스(3社) : 쿠팡, 티몬, 위메프
∙종합쇼핑몰(6社) : SSG(이마트, 신세계), AK몰, 홈플러스, 갤러리아몰, 롯데마트몰
1. 전체 매출 동향
□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을 조사한 결과, 전년동기대비 오프라인이 6.3%, 온라인이 13.2% 증가하는 등 전체적으로 8.4%가 증가
ㅇ 7월 이후, 하향세*이던 전년동기대비 매출 증가율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것은 코리아세일페스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
* 전년동기대비 매출 증가율 : (’16.7) 10.8% → (’16.8) 9.1% → (’16.9) 6.8%
ㅇ 오프라인은 편의점(15.5%)과 백화점(6.0%)이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대형마트(0.9%), SSM(4.5%) 역시 지난달 대비 매출증가율(각각 △3.5%, △2.7%)이 증가세로 전환
* 부문별 매출액 비중 : 백화점(40.5%), 대형마트(30.3%), 편의점(23.5%), SSM(5.6%)
ㅇ 온라인은 오픈마켓(18.6%)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종합유통몰(14.2%), 소셜커머스(2.3%)도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이 증가
* 부문별 매출액 비중 : 오픈마켓(63.2%), 소셜커머스(24.7%), 종합유통몰(12.1%)
□ 연초부터 10월까지의 누적 기준으로는 전년동기대비 11.1% 증가
< 연도별 전년동기대비 매출증가율(%) 추세 >
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오프라인 유통업체
□ 오프라인 유통업체는 편의점(15.5%), 백화점(6.0%), SSM(4.5%), 대형마트(0.9%) 全업종에서 매출 증가
ㅇ (대형마트, 이마트ㆍ홈플러스ㆍ롯데마트) 휴일 증가(+1) 및 코리아세일페스타가 매출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태풍 차바와 따뜻한 날씨의 영향으로 스포츠용품 매출이 큰 폭으로 감소(△17.6%)하여 전체 매출은 0.9% 증가
ㅇ (백화점, 롯데ㆍ현대ㆍ신세계) 코리아세일페스타로 방문객이 증가(7.3%)하는 등 가전ㆍ가구, 식품 등 全부문에서 매출이 증가하여 전체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6.0% 증가
ㅇ (편의점, CUㆍGS25ㆍ세븐일레븐&바이더웨이) 1인 가구가 소비의 주요 트랜드로 자리 잡음에 따라 식품군 매출 증가(가공식품 17.6%, 즉석식품 47.4%)로 전체 매출이 15.5% 증가
ㅇ (SSM, 이마트에브리데이ㆍGSㆍ롯데슈퍼ㆍ홈플러스익스프레스) 올해 이른 추석(9.14~9.16)으로 인한 기저효과 및 김장용 절인배추 예약으로 식품군 매출이 크게 증가(6.5%)하여 전체 매출이 4.5% 증가
온라인 유통업체
□ (온라인 유통업체) 오픈마켓(18.6%), 종합유통몰(14.2%), 소셜커머스(2.3%) 등 업종 전반에 걸쳐 매출 증가를 보이는 등 온라인 유통업체는 지속적으로 성장
ㅇ (오픈마켓) 코리아세일페스타를 활용한 적극적 마케팅으로 패션ㆍ의류가 전년동기대비 69.7% 증가하는 등 전체 18.6% 증가
ㅇ (소셜커머스) 전체 매출 비중의 23.2%를 차지하는 생활ㆍ가구 매출은 증가(20.7%) 하였으나, 아동ㆍ유아(△17.4%) 매출의 역신장으로 전년동기대비 2.3% 소폭 증가
ㅇ (종합유통몰) 매출 비중의 31.2%를 차지하는 식품(22.9%), 패션(10.8%), 생활(7.7%) 부문의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14.2% 증가
< 유의사항 >
◈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 동향은 소비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매월 경상 매출액을 기준으로 조사․분석한 것임
◈ 주요 온라인 유통업체 거래액 동향은 오픈마켓 4社, 소셜커머스 3社, 종합몰 6社의 거래액을 기준으로 조사․분석 했으며, 시범조사 결과를 발표한 것으로, 향후 통계청의 정식 승인을 받아 조사․발표할 예정임
◈ 통계청의 서비스업동향 및 온라인쇼핑동향과는 지표의 포괄범위, 표본 등이 서로 달라 양 기관 자료간 증감 크기나 방향 등이 상이할 수 있음
붙임1
조사대상 유통업체별 매출 상세자료
오프라인 유통업체
? 대형마트
ㅇ (매출동향) 전년대비 휴일증가(+1)로 방문객 증가(0.2%)와 구매단가가 증가(0.6%)되어 전체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0.9% 증가
ㅇ (품목별 동향) 전년대비 이른 추석*으로 9월 감소된 식품군 소비가 회복되어 큰 폭으로 증가(7.1%), 아웃도어 트렌드 감소로 스포츠용품 매출이 큰 폭 감소(△17.6%)
* ’16년 추석 : 9.15일, ’15년 추석 9.27일
< 품목별 매출비중 및 매출 증가율 >
구분 (단위 : %)
가전․문화
의류
가정․생활
스포츠
잡화
식품
총 계
매출비중
13.0
5.6
16.6
3.0
6.8
55.0
100
전년동기대비
△3.4
△6.2
△5.5
△17.6
△4.0
7.1
0.9
? 백화점
ㅇ (매출동향) 코리아세일페스타 할인행사 확대 등으로 全부문 매출이 증가하여 전체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6.0% 증가
ㅇ (품목별 동향) 코리에세일페스타 할인행사 등으로 가정용품부문(가전․가구) 증가(15.6%), 외국인 방문객 증가 및 웨딩박람회진행 등으로 해외유명브랜드부분 증가(13.1%)
< 품목별 매출비중 및 매출 증가율>
구분
(단위 : %)
식품
잡 화
여성
정장
여성
캐주얼
남성
의류
아동
스포츠
가정
용품
해외유명
브랜드
총 계
매출비중
11.8
16.7
9.8
14.2
8.8
14.8
11.2
12.7
100
전년동기대비
13.5
0.7
2.7
4.4
4.6
0.5
15.6
13.1
6.0
? 편의점
ㅇ (매출동향) 전년동기대비 점포수 증가(13.0%) 편의점 제품 및 서비스 다양화로 전체 매출이 15.5% 증가
< 편의점 점포수 현황 (전년동기대비) >
구분
(단위 : %)
’15년
’16년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점포
증가율
9.4
10.7
11.6
11.9
12.1
12.5
12.7
13.0
13.3
13.3
13.0
13.1
13.0
ㅇ (품목별 동향) 혼술족 증가로 맥주 판매가 증가되어 가공식품군 매출 증가(17.6%), 편도족(편의점 도시락을 즐기는 사람) 증가로 즉석식품군(도시락 등)의 매출 증가(47.4%)
< 품목별 매출비중 및 매출 증가율 >
구분
(단위: %)
식품
비 식품부문
총 계
가공식품
즉석식품
소계
생활용품
잡화
담배 등 기타
소계
매출비중
44.5
8.1
52.5
4.0
1.1
42.3
47.5
100.0
전년동기대비
17.6
47.4
21.3
16.0
10.5
9.1
9.7
15.5
? 준대규모점포(SSM)
ㅇ (매출동향) 이른 추석으로 9월 감소된 식품구매가 전년 대비 빨리 회복되어 식품부문 매출이 크게 증가(6.5%)하여 전체 매출은 4.5% 증가
ㅇ (품목별 동향) 이른 추석 기저효과와 김장용 절임배추 사전예약에 따른 매출 증가로 식품부문 매출 증가, 일상용품군의 화학성분 제품 소비 기피현상 및 온라인구매 증가로 매출 하락 지속
* 일상용품군 전년동기대비 매출 증가율 : (’16.5) △8.4 → (’16.6) △11.3 → (’16.7) △10.4 → (’16.8) △10.5 → (’16.9) △13.6 → (’16.10) △9.0
< 품목별 매출비중 및 매출 증가율 >
구분
(단위: %)
식품부문
비식품
총 계
농수축산
신선제품
가공식품
소계
일상용품
생활잡화
소계
거래비중
37.7
23.8
25.9
87.4
8.2
4.4
12.6
100
전년동기대비
9.7
6.3
2.2
6.5
△9.0
△3.8
△7.2
4.5
온라인 유통업체
? 오픈마켓
ㅇ (매출동향) 오픈마켓內 입점한 백화점관의 브랜드 의류 및 디자이너 기획전 등을 통한 패션/의류(69.7%)와 가전/전자(9.8%) 매출 성장으로 전체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18.6% 증가
ㅇ (품목별 동향) 오픈마켓에 입점한 종합유통몰의 브랜드상품에 대한 기획전(할인행사) 및 통신가전 제품(신규 핸드폰 론칭 등) 중심의 적극적 마케팅 활동으로 패션/의류, 화장품, 가전/전자를 중심으로 매출액이 상승
< 품목별 거래비중 및 거래액 증가율 >
구분
(단위:%)
가전/
전자
도서/
문구
패션/
의류
스포츠
화장품
아동/
유아
식품
생활/
가구
서비스/기타
총계
거래비중
27.4
2.9
17.2
4.9
3.2
3.7
8.6
15.8
16.3
100.0
전년동기대비
9.8
7.2
69.7
7.1
19.3
14.5
26.3
11.7
8.1
18.6
? 소셜커머스
ㅇ (매출동향) 생활/가구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20.7%)하였으나, 전체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3% 소폭 증가
ㅇ (품목별 동향) 생활/가구 중심으로 다양한 할인 프로모션 등을 통해 매출이 증가(20.7%)하였으나, 경쟁업계인 오픈마켓, 종합유통몰의 마케팅 강화로 아동/유아(△17.4%), 패션/의류(△7.4%) 감소
< 품목별 거래비중 및 거래액 증가율 >
구분
(단위:%)
가전/
전자
도서/
문구
패션/
의류
스포츠
화장품
아동/
유아
식품
생활/
가구
서비스/기타
총계
거래비중
12.2
0.2
16.1
3.6
5.8
12.7
13.4
23.2
12.8
100.0
전년동기대비
18.4
△38.8
△7.4
5.3
10.4
△17.4
4.1
20.7
△5.4
2.3
? 종합유통몰
ㅇ (매출동향) 특별기획전(햇 농산물 기획전 등) PB상품 세일 행사, 백화점 가을 정기할인행사 등으로 식품, 패션/의류, 가전/전자 부문의 매출이 증가하는 등 전년동기대비 14.2% 증가
ㅇ (품목별 동향) 매출 비중(31.2%)이 가장 높은 식품(22.9%) 및 가전/전자(17.8%), 패션/의류(10.8%) 부문이 증가하였고, 가을산행 및 캠핑 수요 증가로 스포츠(16.2%) 성장이 두드러짐
< 품목별 거래비중 및 거래액 증가율 >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창작터 2차 교육생(창업팀) 모집 (0) | 2016.11.29 |
---|---|
산업부 장관, 트럼프 新행정부와의 인프라, 산업, 에너지 분야 경제협력 모색-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오찬 간담회 (0) | 2016.11.29 |
「플라스틱 꼭지」, 「전기 감응식 수도꼭지」도 KS 인증 받는다.- 수도꼭지 재료 규정 삭제 등 KS 개정 고시(11.30) (0) | 2016.11.29 |
2017년 보건산업 전망하는 포럼 열린다-2017년 KHIDI 보건산업 전망 포럼 개최 안내 (0) | 2016.11.29 |
치과의사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정 시행(국무회의 통과)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