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9일(월)부터 11월 4일(일)까지 7일 간 제13회 인문주간-전국 각지 화해와 상생의 인문학 축제 열려
담당부서홍보담당관작성일2018-10-29
전국 각지 화해와 상생의 인문학 축제 열려
교육부, 10월 29일(월)~11월 4일(일) 제13회 인문주간 선포
제5회 세계인문학포럼 등 전국 방방곡곡 다양한 행사 개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10월 29일(월)부터 11월 4일(일)까지 7일 간을 「제13회 인문주간」으로 선포하고, 전국 각지에서 다채로운 인문학 행사를 개최한다.
◦ 일주일 동안 “화해와 상생의 인문학”이라는 주제 아래 전국 38개 기관에서 강연‧공연‧체험‧전시 등 다양한 인문학 행사들이 펼쳐질 예정이다.
◦ 또한 인문주간 기간 중 10월 31일(수)부터 11월 2일(금)까지 제5회 세계인문학포럼을 개최하여, 세계 석학들과 시민들이 함께 모여 풍성한 인문학 연구 성과를 나눈다.
□ 인문주간은 인문학을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 인문학의 효용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데 기여해왔다.
◦ 그동안 참여기관 및 시민의 수가 크게 증가하는 등 외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지역사회 및 지자체가 활발하게 참여하여 지역 인문자산을 발굴 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 (’06) 참여기관 7개, 참여자 30,000명 → (’17) 참여기관 27개, 참여자 59,230명
□ 올해 인문주간은 “화해와 상생의 인문학”을 주제로, 서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동체적 연대의 복원을 모색한다.
◦ 다채로운 인문학 행사들이 펼쳐지는 가운데, 우리 사회에서 화해와 상생이 가지는 의미를 느낄 수 있는 많은 행사들이 마련되어 있다.
- 용산(숙명여대)에서는 도시 재생사업 추진 중에 나타난 세대 간, 계층 간 갈등을 인문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 전주(전주대)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다문화 가정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공동체의 경계를 세계로 확장해본다.
- 산청(인제대)에서는 한센인, 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민속놀이 축제를 통해 지역 주민의 화합과 상생의 장을 마련한다.
◦ 그 외에도 우리 지역의 현황과 역사, 인문학이 들려주는 다양한 이야기를 이웃과 함께 나누고, 나를 둘러싼 공동체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들이 개최된다.
□ 특히, 부산광역시에서는 10월 31일(수)부터 11월 2일(금)까지 제5회 세계인문학포럼(The 5th World Humanities Forum)이 개최된다.
◦ 올해로 다섯 번째를 맞는 세계인문학포럼은 세계 석학들의 인문학 담론을 한데 모으고, 인문학 연구 성과를 확산하는 데 기여해왔다.
◦ 이번 포럼에는 세계 41개국 94명의 해외 학자와 한국 학자 33명 등 모두 127명이 참석하여,
- 기조 강연, 전체‧분과회의에서 활발한 발표와 토론을 통해 거대한 사회 변화 속에서 인간이 새롭게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
<주요 강연>
구분
주제
기조강연
■ 지구촌 시대의 인간상 : 열린 인간
- 이한구 : 성균관대 철학과 교수
■ 자유와 인종과 자유의 여신상
- 타일러 스토발 미국 역사학회 前회장
■ 현대사회에 대한 인문학의 과제와 도전 : 중국의 관점에서
- 왕후이 : 칭화대 인문학부 교수
■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비판적 포스트인문학
- 로지 브라이도티 : 위트레흐트대 여성학과 교수
전체회의
■ 타자, 우리, 열린 인간
■ 새로운 인문학과 인간상
■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상
□ 2018년도 인문주간과 제5회 세계인문학포럼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인문공감 누리집(http://blog.naver.com/inmun_love) 및 제5회 세계인문학포럼 누리집(http://worldhumanitiesforum.com)에서 각각 확인할 수 있다.
◦ 아울러, 세계인문학포럼은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포럼 누리집에서 사전 등록하거나 현장에서 등록도 가능하다.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한민국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포용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앞으로 인문학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하며,
◦ “2018년 인문주간을 맞이하여 많은 국민들께서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인문학의 가치를 체험하실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1】2018년 인문주간 개최 현황
【붙임2】2018년 인문주간 주요 행사
【붙임3】세계인문학포럼 세부 일정
붙임1
2018년 인문주간 개최 현황
지역
주관기관명
인문주간 행사명
연락처
서울
1.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디지털 인문도시 : 순성의 복원
02-6393-3231
2. 덕성여자대학교
역사가 살아 있는 문화 인문도시 도봉
02-901-8492
3. 한국외국어대학교
<세계의 인문정신을 찾아서>
02-2173-2017
4. 중앙대학교
인공지능 인문학 경시대회
02-881-7354
5. 숙명여자대학교
터-무-니(터에 새겨진 무늬) 속의 더불어 삶, 인문도시 용산
02-710-9432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년 대학도서관과 인문학
053-714-0231
경기
7. 서울신학대학교
부천 공․동․체(共同體) 인문학
- 복사골인문르네상스플랫폼
032-340-9305
8. 안양대학교
인문융복합도시(Human ComFlex-City) 안양(安養) - 사람을 보다, 삶을 나누다
031-467-0929
인천
9. 인천대학교
인문도시 인천 - 산업화 100년의 역사에서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지혜를 찾다
032-835-4376
10. 경인교육대학교
부평의 ‘인문시민’ : 시공간의 단절을 딛고 부평의 미래와 소통하다
- 역사부평과 식민부평을 지나 인문도시로
032-540-1483
강원
11. 강릉원주대학교
인문정신의 요람 강릉, 대관령에서 경포대까지 인문학의 원석을 꿰어내다
033-640-2633
부산
12. 동아대학교
낙동열전(洛東列傳) - 낙동(落東)에서 낙동(樂東)의 인문도시로
051-220-1950
13. 동아대학교
지역을 품고 세계와 함께 하는 인문도시, 부산
051-200-7392
14. 부경대학교
미래를 준비하는 기장, 역사 속 옛길에서 답을 찾다
051-629-5405
대구
15. 고산도서관
대구의 정신이 한국의 정신이다
053-668-1924
경남
16. 진주교육대학교
어린이 인문학의 도시, 진주
055-740-1532
17. 경상남도청
인문 콘서트 별별 이야기
055-211-4514
18. 경상대학교
하동, 秀,茶纖水(수,다섬수); 결의 인문학으로 물들다!
055-772-2673
19. 인제대학교
치유의 인문역사 공간 산청, 정신문화의 빛을 밝히다
055-320-3430
경북
20. 위덕대학교
숨은 경주 역사 여행
054-760-1512
21. 경북대학교
영일만 친구, 인문학에 ‘철’들다
- 미래를 여는 환동해 역사문화도시 포항
053-950-6740
22. 계명대학교
생명힐링인문도시 – 별고을 성주
- 웰빙과 웰다잉이 공존하는 공동체 만들기
053-580-5650
23. 영양군청
문향의 고장 영양 인문도시를 꿈꾸다
- 역사, 문화, 문학의 어울림
054-860-6411
대전
24. 대전대학교
3快한 인문도시樂! 대전 동구를 디자인하다
042-280-2273
25. 대전광역시청
인문학, 삶을 예술로 만들다
042-270-4412
충남
26.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인문학, 세종시를 행복도시로 만든다
044-860-1247
27. 건양대학교
동고동락하는 인문감성도시 논산
–충과 예의 인문공동체 창조
041-730-5617
28. 한서대학교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 신북학파의 인문나루
041-660-1268
29. 청운대학교
2018 인문주간: 화해와 상생의 인문학
- 천년홍주의 문화, 인문도시 리턴즈
041-630-3222
충북
30. 세명대학교
역사문화․자연환경 기반 제천
- 글로컬문화 창의(創意)도시 구현
043-649-1203
31. 청주대학교
기록문화유산의 인문학적 회고와 미래
- 기록문화 유산, 인문학을 품다
043-229-7907
32.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인문도시 충주, 5,000년의 역사를 따라 걷다
- 역사, 문화, 체육의 中心 忠州 이야기
043-840-4982
광주
33.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
함께하는 인문학 “가을밤에 소설을 읽다”
062-530-4121
전남
34. 순천대학교
‘평화와 인권을 위한 인문학 여행’
061-750-3319
35. 전남대학교
해양여수 인문도시를 꿈꾸다
061-659-6583
전북
36. 군산대학교
3대가 함께 만드는, 생생지락(生生至樂) 인문도시 군산
063-469-4966
37. 전주대학교
『다가가는 인문학, 함께하는 인문학』
2018년 HK+ 온다라 지역인문학센터 인문주간 행사
063-220-3202
제주
38. 제주대학교
제주, 올레길 인문학코스를 걷다!
064-754-2333
붙임2
2018년 인문주간 주요 행사
□ 화해와 상생의 길
주관기관
주요 내용
숙명여대
(서울)
■ 터-무-니(터에 새겨진 무늬) 속의 더불어 삶, 인문도시 용산
- (강연) ① 오래된 편견, 변화하는 선입견, 고안된 타자관② 도시 빈민의 출현과 용산③ 가치전쟁-세대갈등의 관념적 재구성④ “화해와 상생의 용산” 심포지움 - 용산 청년네트워크/ 용산협동조합/ 용산의 도시재생
- (답사) 다국적 거리 한남동을 찾아서
- (체험) 화해 : 나 안의 아이 바라보기(낭독회)
고려대
세종캠퍼스
(세종)
■ 인문학, 세종시를 행복도시로 만든다
- (강연) ① 영화 속 오늘날 가족의 모습 : 화해와 상생② 식구-되기, 가족-되기 : 화해와 상생③ 나만의 책 만들기 : 자신과의 화해④ 미래의 리더와 다문화 소통능력 : 상생의 리더십
- (전시) 세대 간의 화해와 상생, 노년의 아름다움(독일 사진전)
서울신학대
(부천)
■ 부천 공‧동‧체(共同體) 인문학–복사골인문르네상스플랫폼
- (강연) ① 부천 이웃을 위한 나의 아버지, 원경선을 이야기하다② 사랑은 최고의 선물이다 ③ 낯선 문화 깊은 배려 ④ 글로벌 시대 이웃사랑
세명대
(제천)
■ 역사문화‧자연환경 기반 제천 : 글로컬문화 창의도시 구현
- (강연) ① 영화 속 이(異)문화 체험② 다문화공생사회구현을 위한 지역의 과제
- (체험) 아시아 식문화 체험과 다문화 이해
전주대
(전주)
■ 다가가는 인문학, 함께하는 인문학
- (체험) 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주말향교스테이② 다문화 가정을 위한 힐링캠프③ 1년 후 나에게 쓰는 편지, 길광편우 책 만들기
인제대
(산청)
■ 치유의 인문역사 공간 산청, 정신문화의 빛을 밝히다
- (공연) 소외계층의 치유를 위한 민속놀이 축제(한센인, 장애인 대상)
- (체험) 다문화 가정과 함께 하는 내 고장 탐방
□ 우리 동네 역사 알기
주관기관
주요 내용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서울)
■ 디지털 인문도시 프로젝트 : 순성의 복원
- (전시) 영상작품 상영 : 한양도성과 순성의 발전과 변화
- (공연) 춤으로 풀어보는 한양도성의 오딧세이
덕성여대
(서울)
■ 디지털 인문도시 프로젝트 : 순성의 복원
- (강연) ① 조광조와 기묘사화, 그리고 도봉서원 ② 창동 역사인물
- (공연) 어린이 대상 창작 음악극 : 조광조의 어린 시절
- (체험) ① 도봉서원 추향제 ② 조선시대 선비 생활‧과거급제행차 재현
부경대
(부산)
■ 미래를 준비하는 기장, 역사 속 옛길에서 답을 찾다
- (강연) ① 기장 지역 문화 유산 ② 기장 문인의 삶과 문학
- (공연) 우리 민요와 사물놀이
인천대
(인천)
■ 인문도시 인천 : 산업화 100년의 역사에서 온고지신의 지혜를 찾다
- (강연) 인천의 성냥산업
- (체험) ① 중구‧동구 일대 산업화 유산 골목길 투어② 일제강점기 형성된 부평공업지역의 흔적 답사③ 양조공장을 중심으로 보는 인천의 산업화
대전대
(대전)
■ 3快한 인문도시樂! 대전 동구를 디자인하다
- (강연) 기호학파 인문학
- (체험) 우암 송시열 생가 외 동구 문화유적지 답사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충주)
■ 인문도시 충주, 5000년의 역사를 따라 걷다
- 역사, 문화, 체육의 中心 忠州 이야기 -
- (강연) ① 우륵의 생애와 예술세계 ② 역사로 알려주는 전통놀이와 충주 성터③ 충주의 제철문화 ④ 충주의 한옥
한서대
(당진)
■ 이용후생의 인문도시 당진, 신북학파의 인문나루
- (강연) ① 이용후생과 연암의 교훈 ② 윤심덕과 김우진의 예술과 사랑
- (체험) ① 이용후생의 기초, 전통도량형 이해 ② 기지시 줄다리기 박물관 탐방
순천대
(순천)
■ 평화와 인권을 위한 인문학 여행
- (강연) ① 여순사건과 문학, 역사의 만남② 여순사건 7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체험) ① 여순사건 역사 유적지 순례 ② 소설 「태백산맥」 문학기행
위덕대
(경주)
■ 미래를 준비하는 기장, 역사 속 옛길에서 답을 찾다
- (강연) ① 유교와 동학사상 ② 역사문화도시 경주
- (체험) 조선 선비정신과 동학의 태동
□ 새롭게 알아가는 우리 지역
주관기관
주요 내용
동아대
(부산)
■ 낙동열전(洛東列傳) : 낙동(落東)에서 낙동(樂東)의 인문도시로
- (강연) ① 화해와 상생의 인문학 : 희생자의식 민족주의② 부산 : 강제동원의 기억과 치유③ 인문도시사업 낙동열전의 전망과 기대④ 낙동강 하구 인문자산의 활용 방안 – 북구를 중심으로 ⑤ 낙동강 르네상스와 낙동강 뱃길 복원
- (체험) 낙동강 하구 생태체험
고산도서관
(대구)
■ 대구의 정신이 한국의 정신이다
- (강연) ① 1910년 전후 대구의 문학과 문화 ② 4.19 혁명가요 이야기 ③ 대구사진비엔날레와 사진 이야기
- (전시) 사진 전시회 : 대구의 정체성 찾기
경인교대
(부평)
■ 부평의 ‘인문시민’ : 시공간의 단절을 딛고 부평의 미래와 소통하다- 역사부평과 식민부평을 지나 인문도시로 -
- (강연) ① 부평 문화권의 정체성과 지역인문학의 진흥② 부평의 풍수지리 자산과 지역인문학적 의미③ 부평문화권의 전통~근대 종교경관의 의미와 유산 가치④ 부평문화권의 근대도시경관 보존을 둘러싼 쟁점
- (체험) ① 부평 문화권의 풍수지리 ② 부평 문화권의 근대문화경관
강릉원주대
(강릉)
■ 인문정신의 요람 강릉, 대관령에서 경포대까지 인문학의 원석을 꿰어내다
- (강연) ① 강릉의 歌‧舞‧樂을 통해 본 화해와 상생의 정신
- (전시) ① 강릉을 노래한 詩 & 웹툰전 ② 연화낭자‧무월랑과 함께
- (체험) ① 월화거리 풍물시장 탐방 ② “배 띄워라” 월화전 설화 체험
- (공연) 월화전 갈라 공연
경북대
(포항)
■ 영일만 친구, 인문학에 ‘철’들다 : 미래를 여는 환동해 역사문화도시 포항
- (전시) 사진전시 ‘철은 문명의 아이콘’
- (체험) ① 포스코, 현대제철 현장견학 및 토론(‘삶에 철을 녹이다’)② 포항 지역 야철지, 주철지 견학 및 철문화 역사 탐방③ 시민백일장 ‘포항 이야기
제주대
(제주)
■ 제주, 올레길 인문학 코스를 걷다!
- (강연) ① 제주 해녀의 삶(영화 ‘물숨’)② 제주 4‧3, 그 끝나지 않은 세월(영화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2’)
- (체험) ① 목관아지, 관덕정, 광해군 유배지, 귤림서원 터, 삼성혈 답사② 예례동 답사(‘돌하르방의 정체성 찾기’)
□ 다채로운 인문학 이야기
주관기관
주요 내용
중앙대
(서울)
■ 인공지능 인문학 경시대회
- (전시) UCC 경연대회 : 우리 마을 이야기
- (체험) ① 학술논문 경연대회 :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존 ② 스피치대회 : 인공지능의 이해와 인식의 폭 확장
한국외대
(서울)
■ HUFS “HUMANITAS SEPTIMANA”
- (강연) 인문 기반 글로벌지역학 모델의 지향점
- (체험) ① 해외한국학 콘텐츠 제작 발표회② ‘이방인’의 눈으로 보는 세계 속 인문학(외국인 학생 패널)
KERIS
(서울)
■ 2018년 대학도서관과 인문학 : 빅데이터와 큐레이션 세미나
동아대
(부산)
■ 지역을 품고 세계와 함께 하는 인문도시, 부산
- (강연) ① 역사지리적 관점에서 본 일본 전통도시의 입지문화② 고조선과 청동기 문화③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중년 인문스쿨④ 토크콘서트 “글로 듣고 음악으로 읽다” (소설가 김훈 등)
전남대 용봉캠퍼스
(광주)
■ 함께하는 인문학 “가을밤에 소설을 읽다”
- (강연) ① 평화시대의 한국 문학 ② 환경, 동물, 그리고 아동문학③ 롤리타, 에로티시즘으로 위장한 심미주의④ 루쉰의 삶과 작품 세계
- (체험) 소설 한 편 써보기
대전광역시청
(대전)
■ 인문학, 삶을 예술로 만들다
- (강연) ① 슬픔과 분노의 처세술 ② 사랑, 영원히 대답하고 싶은 질문
안양대
(안양)
■ 인문융복합도시 안양(安養) : 사람을 보다, 삶을 나누다
- (강연) ① 4차 산업시대와 언어/문학/문화 ② 마음건강과 의사소통③ 영화를 지켜라, 장준환 감독이 들려주는 영화 이야기
청주대
(청주)
■ 기록문화유산의 인문학적 회고와 미래 – 기록문화유산, 인문학을 품다
- (강연) ① 인문학은 어떻게 문화가 되는가②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과 인문학적 배경
- (전시) ①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② 청주시 청주기록관 전시물 자료
건양대
(논산)
■ 동고동락하는 인문감성도시 논산 – 충과 예의 인문공동체 창조
- (강연) ① 군인들을 위한 인문학 : 독서의 즐거움② 21세기 인성교육을 논하다
- (체험) 외국인 유학생 논산 향시 체험
청운대
(홍성)
■ 화해와 상생의 인문학 – 천년홍주의 문화, 인문도시 리턴즈
- (강연) 프로이트의 현대적 고찰 : 라캉을 중심으로
- (체험) ① 제4차 산업혁명과 실감 콘텐츠 인문 체험② 충남의 인물을 만나다 – 목은 이색
군산대
(군산)
■ 3대가 함께 만드는 生生至樂 인문도시 군산
- (강연) 조선의 왕으로 산다는 것
- (공연) 가족극 : 3대간 갈등과 화해
- (체험) 공모전 : 군산사랑 / 나의 삶 돌아보기
전남대
(여수)
■ 해양여수 인문도시를 꿈꾸다
- (강연) 해양여수 인문도시 동아시아 인문학 수용
- (체험) 도예 체험
- (공연) 관내 고교 댄스 동아리, 다문화 공연팀 등
계명대
(성주)
■ 생명힐링인문도시 : 별고을 성주 - 웰빙과 웰다잉이 공존하는 공동체 만들기
- (강연) ① 삶의 방식으로서 철학, 에피쿠로스와 스토아② 「국가」의 이야기와 진리 ③ 문학과 음악의 만남
- (공연) 연극 : 세대 간의 화해와 상생
- (체험) ① 몸과 마음을 감싸주는 나무와 실 : 자연과 마을의 상생② 3D 프린터와 미래상상 : 인간과 기술의 상생
영양군청
(영양)
■ 문향의 고장 영양 인문도시를 꿈꾸다 – 역사, 문화, 문학의 어울림
- (강연) 한국인의 맛, 한식의 인문학적 가치
- (전시) 영양 서예인 연합 전시(서예, 사군자)
진주교대
(진주)
■ 어린이 인문학의 도시, 진주
- (강연) ① 초등교과서 속 우리말 교육 ② 어린이 인문학의 어제와 오늘
- (전시) 추천도서 및 독후감 대회 수상작 전시
- (체험) 독후감 대회 수상작 토론회
경상대
(하동)
■ 하동, 秀, 茶纖水 : 결의 인문학으로 물들다
- (강연) ① 인문도시 하동 “화해”를 말하다 ② 우리말 속에서 찾는 상생의 인문학③ 문화자원으로 정보를 만드는 상생의 시대를 만나다
- (체험) ① 최참판댁 대청마루에 앉아 펼치는 인문열전② 쌍계사 템플스테이 ③ 시와 나, 문학 ④ 칠불사 아자방에서 가야왕조를 만나다
경상남도청
(창원)
■ 인문 콘서트 별별 이야기
- (강연) 별별 이야기(천문학)
- (전시) 영호남 100인 시인의 자연 주제 거리 시화전
붙임3
세계인문학포럼 세부 일정
「1일차 : 10.31.(수)」
구분
성명
약력
강연 내용
■ 기조강연
이한구
■ 서울대 철학 박사
■ 경희대 미래문명원 원장성균관대 철학과 명예교수
<지구촌 시대의 인간상: 열린 인간>
- 지구촌 시대에 따른 기후변화‧전염병‧경제 위기 등 새로운 전지구적 문제의 출현
- 새로운 시대에 따른 반독단적‧반배타적‧반광신적 태도의 열린 인간상 필요
- 인문학을 통한 열린 정신 계승‧확산 필요성 논의
■ 전체회의 1 : 타자, 우리, 열린 인간
■ 분과회의 1
- 문화정체성
- 문학에 나타난 인간상 ①
- 영성적 인간상
- 페미니즘
- 세계화 시대 인간의 적응
■ 기조강연 : 개회식(14:15~14:55)
타일러 스토발
■ 위스컨신대 유럽사 박사
■ UC 산타크루즈 인문대학장
■ 미국 역사학회 전회장
<자유와 인종과 자유의 여신상>
- 자유의 여신상을 “자유” 뿐만 아니라 백인 여성으로서의 이미지 측면에서 조망
- 여신상의 성적‧인종적 정체성이 자유의 현대적 해석에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논의
■ 분과회의 2
- 젠더와 정체성
- 문학에 나타난 인간상 ②
- 동양철학의 인간 이해
- 새롭게 창출되는 인간 이미지 ①
- 미래산업시대의 인간상
■ 분과회의 3
- 새로운 환경과 인간
- NEH 세션
- 카자흐스탄 세션
- 인간 이미지의 다양성
- 시간의 흐름과 인간상의 변화
- 부산 세션
■ 부산시장 주최 환영 리셉션
■ 문화행사 1 : 「조선왕 멕베스」
「2일차 : 11.1.(목)」
구분
성명
약력
강연 내용
■ 기조강연
왕후이
■ 중국사회과학원 문학 박사
■ 칭화대 인문학부 교수칭화대 인문사회고등연구소 소장
<현대사회에 대한 인문학의 과제와 도전: 중국의 관점에서>
- 인문학은 영미권 민족국가 형성과 발맞추어 신학과 대비되는 인간의 세속적 가치에 대한 성찰, 과학과의 경쟁을 통해 심화‧발전
- 현대 사회에서 위와 같은 발전 경로는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관련한 인문학의 과제에 대해 고찰 필요
■ 전체회의 2 : 새로운 인문학과 인간상
■ 분과회의 4
- 생태와 문학
- 문학에 나타난 인간상 ③
- 동서비교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간상
- 이상적 인간상
- 트랜스 휴먼
■ 분과회의 5
- 언어와 인간
- 현대기술시대의 실존
- 새롭게 창출되는 인간 이미지 ①
■ 문화행사 2 : 해동 용궁사 투어
■ 문화행사 3 : 인문학 영화제
「3일차 : 11.2.(금)」
구분
성명
약력
강연 내용
■ 기조강연
로지 브라이도티
■ 소르본대 철학 박사
■ 위트레히트대 여성학과 교수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비판적 포스트인문학>
- 인간과 인간 아닌 타자들 모두를 포괄하는 횡단적‧집단적 주체로서의 포스트 휴먼
- 휴머니즘 중심 담론에서 벗어난 포스트휴먼의 비판적 성찰
■ 전체회의 3 :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상
■ 폐회식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구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 활성화 본격 추진-광주 기·사·창·투 한마당 개최 (0) | 2018.10.29 |
---|---|
기존 재난안전용 무전기, 2023년까지 사용할 수 있어-과기정통부, 재난안전통신망 주파수 사용기한 연장 결정 (0) | 2018.10.29 |
제1차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추진단 현장점검회의 결과 (0) | 2018.10.29 |
교육부.교육청, 유치원 폐원 대비 철저한 대응체계 마련 (0) | 2018.10.29 |
심사평가원, 보건의료지출관리 국제심포지엄 성공적 개최 (0) | 201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