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2017년도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 신규과제 공모

하이거 2016. 12. 29. 09:38

2017년도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 신규과제 공모

 

작성일 : 2016. 12. 28. 국제협력총괄담당관

 

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do?mId=MTE5
















미래창조과학부공고 제2016-0573호

2017년도「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신규과제 공모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2017년도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신규과제를 선정하여 지원하고자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16년  12월  28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최 양 희


1. 사업목적

□ 과학기술 선진국의 핵심기술 및 연구인력 등 해외 우수자원의 유입・활용을 통해 설립된 글로벌 공동연구센터 운영 지원

□ 국내 우수인력 및 첨단장비 등의 인프라와 해외연구기관의 기초・핵심기술 및 선진 연구기법의 융합을 통하여 원천기술 확보 및 세계 기술시장 선도

2. 지원분야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 - ’17)의 「국가전략기술」목록에 제시된 국가적으로 필요한 전략적 기술 분야

     ※ 연구기관이 과제 신청 시 해당분야를 구체적으로 명시 (붙임1 참조)

3. 신청자격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해당하는 연구기관으로서, 해외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공동연구센터를 국내에 설립하고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기관

   ※ 동 사업의 기 지원받은 연구책임자의 경우, 신규 신청 불가

4. 선정규모 및 지원내용

□ 신규 선정규모 : 6개 과제 내외

□ 신규 과제 선정 추진 방향
 
   ○ 공동연구성과로 원천기술을 확보, 기술사업화 및 후속과제 확보 등 자립화를 최종목표로 하는 전략적 신규과제 선정추진

     - 지원 기간 내 자립화(후속연구․기술사업화 등) 계획을 평가요소에 반영하여, 지원 종료 후 협력 유지 및 공동연구의 자립화 가능성 제고

     - 연구소장, 대학총장(학장), 병원장 등 기관장급 연구책임자가 참여하거나, 기관 차원의 해외 연구기관 유치 의지가 강할 경우 가점 부여

   ○ 협력 네트워크 다변화 및 동북아 지역의 R&D 허브 기반 구축

     - 신규 협력대상국 및 신규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에 대해 가점을 부여하여 다양한 국가를 연결하는 R&D 허브 기반 구축 장려

□ 지원내용 및 규모

 ○ 해외로부터의 인적·물적 연구자원 유입 및 자체 연구비 확보 규모에 상응하는 매칭 연구비 지원을 원칙으로 하되,

 ○ 유치 필요성과 우수성 등을 검토하여 과제당 매년 6억원 내외의 정부 연구비 (간접비 포함) 지원

    ※ 단, 신규과제의 1차년도(2017년) 연구비는 당해연도 사업기간 9개월분(4∼12월)에 해당하는 450백만원 내외 지원예정

    ※ 모든 기관의 간접비는 직접비(미지급 인건비, 현물 및 위탁연구개발비 제외)의 15% 이내로 계상

□ 지원기간 : 2년(연구기관 유치지원 프로그램), 최대 6년(2+2+2)

 ○ 신규과제 지원 시, 해외연구기관 유치 및 공동연구 특성에 따라 최대 6년(2+2+2)의 장기계획을 포함한 사업계획서 제출

 ○ 단계별 진도관리를 통해 지원조건 미이행 과제에 대한 연구비 조정 또는 계속지원 여부 신중검토

5. 지원 조건

□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 관련 협약 체결

   ○ 선정 후 1년 이내 해외협력연구기관과 인력교류, 연구내용, 지식재산권 소유․분배 등에 관한 기관장 차원의 협약 체결

  □ 공동연구센터 국내 설치

   ○ 선정 후 1년 이내 독립 연구공간 및 연구시설 구축

  □ 해외 기관의 인적‧물적 자원 투입

   ○ 해외 연구기관의 국내 중장기 인력 파견(2인 이상 각각 21일 이상, 총 120일 이상 확보)

   ○ 해외 연구기관의 매칭펀드(현금 및 현물, 당초 계획 대비 70% 미만일 경우 미이행으로 간주)





6. 선정 평가 절차 및 항목

가. 평가절차


과제계획서 등 입력 및 제출
(1.31까지)

1차 평가
(2월 중)

1차 평가 선정과제 및 2차 평가 계획 공고

2차 평가
및 과제선정
(3월 중)

협약체결
(사업착수 : ‘17.4)
주관연구기관

서면평가
(경쟁상황에 따라 생략 가능)

홈페이지 공지

발표평가
(FPI 참석)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주관연구기관

  ※ 평가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나. 평가주안점

□ 1, 2차 평가 공통적용

   ○ ① 지원 종료 후 센터 유지율 제고를 위해 연구소장, 대학총장(학장), 병원장 등 기관장급 연구책임자가 참여하거나 기관 차원의 유치 의지가 강할 경우 ② 협력다변화를 위해 기존 공동연구 추진 대상국(기관)과 다른 국가(기관)인 경우 각각 가점 부여
 
   ○  해외기관, 지자체 및 민간자본의 참여의지 및 투자계획을 정량지표화하여 평가에 반영

   - 평가 시 해외협력연구기관의 매칭펀드 중 현금부담액 비중 우대

  □ 1차 평가 : 해외 연구기관의 유치 및 공동연구 필요성과 국내/해외 연구기관 간 역할 분담의 적절성

   ○ 최종선정과제의 2~3배수 내외 선정

□ 2차 평가 : 기관운영계획의 충실성, 주관기관의 유치의지 및 후속연구․기술사업화 계획과 지원종료 후 네트워크 유지 가능성

   ○ 해외기관 연구책임자(FPI)의 발표평가 참석 또는 사전질의에 대한 답변을 담은 동영상 파일 제출 등으로 사업 참여의사 평가

다. 평가항목

1차 평가
2차 평가
[공동연구(40점)]
∙필요성(15점)
∙우수성(15점)
∙역할분담(10점)

[기관유치(60점)]
∙필요성(25점)
∙유치의지 및
  준비정도(15점)
∙계획충실성(10점)
∙매칭펀드(10점)
[공동연구(40점)]
∙우수성(15점)
∙기존 네트워크 실적
  및 역할분담(15점)
∙기대성과(10점)
[기관유치(60점)]
∙필요성 및 파급효과(10점)
∙계획충실성(15점)
∙유치의지 및 준비정도(10점)
∙매칭펀드(5점)
∙기술사업화,자립화(15점)
∙자율성과지표(5점)

    ※ 평가항목은 세부 평가계획 수립 시 변경될 수 있음

  라. 가점 반영 지표

1차 평가
2차 평가
[협력 다변화(1점이내)]
∙협력대상국 다변화
∙협력기관 다변화 
[기관장급 연구책임자 참여(2점이내)]
∙연구소장, 대학총장(학장), 병원장 등 기관장급 연구책임자의 참여 및 기관 유치 의지 정도
[협력 다변화(1점이내)]
∙협력대상국 다변화
∙협력기관 다변화 
[기관장급 연구책임자 참여(2점이내)]
∙연구소장, 대학총장(학장), 병원장 등 기관장급 연구책임자의 참여 및 기관 유치 의지 정도


7. 신청방법

□ 신청방법 : 한국연구재단 연구관리시스템 온라인 등록 및 입력

   ○ 온라인 등록 및 입력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2017년 1월 2일경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 예정

□ 신청기간 : 2017. 1. 16 (월) ~ 2017. 1. 31 (화) 18:00 한

   ※ 주관연구기관 (산학협력단) 승인기한 : 2017.2.1(수) 18:00 한

□ 제출내역 : 과제계획서, 개인정보활용동의서 등
□ 과제계획서 작성방법

  ○ 과제계획서 양식을 활용하여 작성하되, 공동연구 부문과 기관유치 부문을 구분하여 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계획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도록 작성

8. 타 사업 참여에 관한 사항

  □ 「미래창조과학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2015. 12. 7) 적용

제18조(연구개발과제의 수행전념) ①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기관의 장은 소속 연구자가 연구개발과제의 수행에 전념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② 연구자가 동시에 연구원으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5과제 이내로 하며,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3과제 이내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과제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1. 제16조제2항에 따른 신청마감일로부터 4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연구개발과제
  2. 사전조사, 기획ㆍ평가연구 또는 시험ㆍ검사ㆍ분석에 관한 연구개발과제
  3. 세부과제의 조정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과제
  4. 중소기업과 비영리법인의 공동기술개발 과제로서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그 금액 등을 별도로 정하는 연구개발과제
  5.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별도로 정하는 금액 이하의 소규모 연구개발과제
  6. 연구개발사업의 위탁연구과제
  7.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인력양성 및 학술활동사업
  8. 그 밖에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이 필요성을 인정하는 연구개발과제
  ③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연구개발과제를 수행 중인 연구책임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장관 또는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을 받거나, 연구책임자를 변경하여야 한다.
  1. 연구책임자가 외국에 6개월 이상 체류하려는 경우
  2. 연구기관의 장이 연구책임자를 국내외 기관에 6개월 이상 파견(교육훈련, 출장, 연수 등을 포함한다)하려는 경우
  3. 그 밖에 연구책임자가 해당 연구개발과제를 더 이상 수행하기 어려운 사유가 발생한 경우
  ④ 전문기관의 장은 제2항제8호의 인정기준 및 절차에 대한 세부기준을 마련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결과를 분기별로 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⑤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제41조제1항에 따른 연구개발정보의 관리를 위하여 참여연구원의 변경이 있을 경우 지체없이 전문기관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다만, 창의 등 대형사업 연구책임자에 대하여는 과제의 연관성 및 연구범위 등을 고려하여 연구비 조정 지원 가능

    - 평가 시 타 과제 수행현황 및 참여정도 등을 중요 참고사항으로 심의

9. 기타사항 – 학생인건비 하한선 적용

  □ 대상과제 : ‘13년 1월부터의 신규ㆍ계속과제

  □ 대상학생 :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는 석․박사 과정 학생연구원

  □ 적용기간 : 과제 협약기간

  □ 학생인건비 지급기준 및 하한선 적용 방법

  ○ (적용대상) 과제별 평균 연구개발비가 1억 원* 이상인 사업의 세부과제에 참여하는 석ㆍ박사 과정 학생연구원

  ○ (적용방법) 연구개발과제 참여율*에 따라 적정인건비를 지급하되, 개인별 실지급액 기준으로 석사 월 80만 원(참여율 기준 약44%), 박사 월 120만 원**(참여율 기준 48%) 지급

     * 참여율 100퍼센트 가정 시 석사 180만 원, 박사 250만 원

     ** 단, 학업 등의 사유로 학생 요청 및 지원대상 학생 수 과다 등의 사유로 연구책임자 요청 시 전문기관 검토 후 한시적으로 예외 인정

10. 문의처

 □ 미래창조과학부 국제협력관 국제협력총괄담당관

  ○ 박은솔 사무관 : 02)2110-2289 Fax 02)2110-0277 E-Mail eunsolpark@korea.kr

  ○ 임하영 주무관 : 02)2110-2319 Fax 02)2110-0277 E-Mail ihy24@korea.kr

 □ 한국연구재단 국제협력센터 글로벌R&D협력팀 정한나 연구원

    ○ 전화 02)3460-5743 Fax 02)3460-5649 E-Mail hanna075@nrf.re.kr
[붙임1]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 - ’17)의 「국가전략기술」

분야
국가전략기술명
전자·
정보· 통신
1. 차세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기술(5G)
2. 지식기반 빅데이터 활용기술
3. 신개념 컴퓨팅 기술 (양자·뉴로 등)
4. 데이터 분산처리 시스템기술
5. 방송통신융합서비스 기술
6.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 및 장비기술
7. 인간친화형 디스플레이기술
8. 초정밀 디스플레이 공정 및 장비기술
9. 지식정보보안기술
10. 가상·증강현실기술
11. 지능형 인터렉티브기술
12. 감성공학적 디자인기술
13. 감성인지 및 처리기술
14. 신개념 사용자 경험기술
15. 융합서비스 플랫폼기술
16. 초고속 반도체 디바이스기술
17. 친환경 초절전형 반도체 회로기술
18. 실감형 감성 컨텐츠기술
정보‧전자‧통신 분야
의료
19. 유전자 치료기술
20. 약물 전달 최적화기술
21. 뇌·신경계 기능 분석기술
22. 감염병 대응기술
23. 한의약 효능 및 기전 규명기술
24. 인체 영상기기 기술
25. 서비스 로봇기술 (진단·치료)
26. 모바일 원격진료기술
27. 줄기세포기술(치료기술)
28. 건강관리 서비스기술
29. 맞춤형 신약개발기술
30. 바이오마커 개발기술
31. 생활 및 이동 지원기기기술
32. 질병진단 바이오칩기술
33. 신체기능 복원기기기술
34. 재활치료기술
35. 불임·난임 극복기술
의료 분야
바이오
36. 줄기세포기술  (분화·배양기술)
37. 유전체정보를 이용한  질환원인 규명기술
38. 바이오 인공장기  개발기술
39. 유용 유전자원 이용기술
40. 친환경 사양기술 및 사료 개발기술
41. 농축수산자원 질병 예방·대응·치료기술
42. 식량자원 보존 및 식품가치 창출기술
43. 식품안전성 평가·향상 기술
44. 생명시스템 분석기술
45. GMO 영향분석·대응기술
46. 재해·병해충 저항성 품종 확보기술
47. 맞춤형 신재배기술
바이오 분야
기계·
제조· 공정
48. 서비스 로봇기술
49. 첨단 무기개발기술
50. 군전략·정보기술
51. 스마트 자동차기술
52. 환경친화 자동차기술
53. 생산시스템 생산성  향상기술
54. 고부가가치 선박기술
기계·제조·공정 분야
에너지·자원·
극한
기술
55. 스마트그리드 기술
56. 환경친화형 고성능 전력수송기술
57. 고효율 전지기술
58. 열에너지 네트워크기술
59. 폐자원 에너지화기술
60. 고효율 석탄 가스화·액화 발전기술
61. 바이오 에너지기술
62. 지열기술
63. 태양에너지 기술
64. 풍력발전기술
65. 수소에너지 기술
66. 해양플랜트 실용화  기술
67. 해양에너지 기술
68. 자원탐사기술
69. 자원 개발처리 기술
70. 핵융합기술
71. 원자력 안전 확보기술
72. 차세대 가속기기술
73. 원자력기술
74. 기계적 에너지 저장기술
75. 무선전력전송·무선충전 기술
에너지·자원·극한기술 분야
항공· 우주
76. 우주비행체 개발 및 관제운영기술
77. 우주발사체 개발기술
78. 우주감시 시스템기술
79. 미래형 유인 항공기기술
80. 지능형 무인 비행체기술
항공‧우주 분야
환경·
지구· 해양
81. 환경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기술
82. 오염물질 제어 및 처리기술(수질, 대기 등)
83. 환경·인체 위해성  평가기술
84. 수자원 통합관리 시스템기술
85. 폐기물 감량 및 처리기술
86. 유용 폐자원 재활용기술
87. 자연생태계 보전 및  복원기술
88. 기후변화  감시·예측·적응기술
89.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이용기술
90. Non-CO2 온실가스 저감기술
91. 온실가스 감축 통합관리기술
환경·지구·해양 분야
나노· 소재
92. 멀티스케일 금속소재기술
93. 첨단 소재기술(기능성 유기소재)
94. 첨단 소재기술(친환경 바이오소재)
95. 첨단 소재기술(나노구조 제어 무기·탄소소재)
96. 생체적합 재료 개발기술
나노‧소재 분야
건설·
교통
97. 해양공간 개발기술
98. 초고층 건물 건설기술
99. 지능형 건물제어기술
100. 고효율 에너지 빌딩기술
101. 슈퍼 건설재료 및 자재기술
102. 서비스 로봇기술(건설)
103. 미래 첨단도시 건설기술
104. 복합 지하 대공간 활용기술
105. 국토정보 구축 및 활용기술
106. 첨단철도 기술
107. 지능형 물류체계 기술
108. 최첨단 인프라 구조물 건설기술
109. ICT기반 친환경 도로기술
110. 지능형 교통시스템기술
111. 극한공간 개발기술
112. 첨단플랜트 원천기술
건설‧교통 분야
재난·
재해·
안전
113. 자연재해 모니터링·예측·대응기술
114. 기상기후 조절기술
115. 재난구조 로봇기술
116. 재난 정보통신 체계기술
117. 사회적 복합재난 예측·대응기술
118. 기반시설 기능유지 및 복구·복원기술
119. 재난현장 소방·구조 장비 개발기술
120. 범죄·테러 대응시스템기술
재난‧재해‧안전 분야


[붙임2]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 수행 과제현황
              ('16.12월 기준) 
< 해외연구기관 유치 지원 현황 >

구분
미국
독일
스웨덴
이스라엘
일본
중국
합계
기관수
12
3
1
1
1
1
19
(63.2%)
(15.8%)
(5.3%)
(5.3%)
(5.3%)
(5.3%)
100%



선정
연도
센터명
주관기관
해외 공동연구기관
연구
분야
‛11년
(6개)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프라운호퍼 공동연구소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독 프라운호퍼-IZI
(Fraunhofer Institute for Cell Therapy and Immunology)
혈액학,
유전체학
복합재 구조 건전성관리 및 신뢰성평가 원천기술 개발
(로스알라모스연구소-전북대학교 한국공학연구소)
전북대
미 LANL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
구조건전성관리 및 선진비파괴평가
아산-다나파버 암 유전체 연구 센터
울산대
미 DFCI(Dana-Farber Cancer Institute)
암유전체
가톨릭-하버드 Wellman 광의학 핵심기술 개발 센터
가톨릭대
미 하버드 Wellman
광의학 센터
부인암,
암줄기세포, 광역학치료
국제우주탐사연구센터
한양대
미 Honeybee Robotics Spacecraft Mechanisms Corporation
우주탐사
차세대 플라즈마 나노 융합 그린에너지 및 플렉시블 전자 신소재 공정기술 개발
(플라즈마 - 나노 신소재 연구소)
성균관대
일 Nagoya University
플라즈마나노기술센터
재료공학
‛12년
(4개)
전남대학교 - Fraunhofer-IPA 국제공동연구소
전남대
독 프라운호퍼-IPA
기계‧로봇
연세 - Cedars-Sinai 심장융합영상연구센터
연세대
미 씨다-사이나 메디컬 센터
영상의학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DGIST 공동연구센터
DGIST
미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나노소재
한국베크만광의료기기연구센터
단국대
미 베크만레이저연구소
의료기기
‛13년
(2개)
국민대-텍사스주립대 국제미래재료혁신 연구소
국민대
미 텍사스대
In-FUSION 센터
다기능 소자용
재료
서강-하버드 질병 바이오 물리 연구센터
서강대
미 하버드 Wyss 질병 바이오물리 연구소
바이오칩
‛15년
(4개)
나노종합기술원-드렉셀  FIRST 나노기술 Co-OP 센터
나노종합기술원
Drexel Univ. 산하 A.J. Drexel 나노재료 연구소
나노소재기술
아산-미네소타 이식 이노베이션 센터
서울아산병원
미네소타대학교
줄기세포응용
SNU-SciLifeLab차세대유전체기술 센터
서울대
Science for Life Laboratory
분자유전 진단기기
이화-잭슨랩 암면역치료법  연구센터
이화여대
The Jackson Laboratory
유전체종양면역
‘16년
(3개)
와이즈만-순천향 조직재생 연구센터
순천향대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Israel)
줄기세포기술
한양대-HPSTAR-카네기 글로벌 고압연구센터
한양대
Center  for High Pressure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d Research (HPSTAR)
나노융복합소재
독일 INP-광운대 PBRC 플라즈마 의과학 센터
광운대
라이프니츠 INP 연구소
플라즈마응용 피부질환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