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월 자동차산업 월간 동향(잠정)
담당부서 자동차과등록일 2021-05-17
2021년 4월 자동차산업 월간 동향(잠정)
車반도체 수급애로 에도 불구 생산・수출 호조, 내수도 역대 4월 중 2위 기록 -
자동차 수출금액‘15.4월 이후 6년만 2개월 연속 40억불 돌파 -
친환경차 月 수출금액은 9.3억불로 역대 최고치 경신 -
수소승용차 넥쏘 첫 月 1천대 판매 돌파 -
【 자동차 】
□ (총괄) ’21년 4월 자동차 생산은 11.8%, 수출은 52.8%(수출액 73.4%) 증가하였으나, 내수는 △3.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 ’21.4월 국내 자동차산업 총괄표 (대, %) >
구 분 ’21.4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1.1-4월 전년동기비(%)
생 산(대) 323,644 △3.1 11.8 1,232,471 12.1
내 수(대) 161,097 △6.0 △3.8 593,446 6.8
국산차(대) 135,146 △3.8 △6.3 491,797 3.8
수입차(대) 25,951 △15.8 12.1 101,649 24
수 출(대) 188,293 △3.2 52.8 734,448 22.7
수출금액(억불) 41.5 △5.7 73.4 160.7 40.3
부품수출(억불) 20.4 △6.3 99.9 78.3 20.5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ㅇ 금년 4월은 전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 애로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전년 동월 기저 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생산 증가를 견인
* ‘21.1분기까지는 한국GM(’21.2월~)만이 생산차질을 겪었으나, 4월부터는 현대, 기아, 쌍용 등 여타 업체도 생산 차질 발생
- 내수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역대 4월 중 2위 실적 기록
□ (생산)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에 따른 업체별 조업 조정*에도 불구하고,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8% 증가한 323,644대
* 공장 가동중단 현황:(현대) 울산 1공장 4.7~14 중단, 아산공장 1.12~13/19~20 중단 (기아) 화성공장 특근취소, (한국GM) 부평공장 (휴업) 4.19~23, (50% 감산) 4.26~30 (쌍용) 4.8~16 중단
□ (내수) 개소세 효과 감소 등으로 △3.8% 감소한 161,097대를 판매하였으나, 월간 판매대수는 ‘20.4월(16.7만대)에 이어 역대 두 번째 판매대수를 기록
* 20.3~6월 개별소비세 70% 감면 등 / ‘21.1~6월 개별소비세 30% 감면
ㅇ 신차(제네시스 등) 호조와 친환경차 판매 확대(전기차 +18.8%, 수소차 59.1%)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 이번 달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21.4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21.1~4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 (국산차) 제네시스 등 신차 효과로 전년 월평균(13.3만대)을 상회하였으나, 부품공급(車반도체 등) 차질 등으로 △6.3% 감소한 135,146대 판매
* 20년 내수판매는 역대 최다 판매대수를 기록
- (수입차) 대다수 브랜드의 판매 호조로 12.1% 증가한 25,951대
* 독일계 브랜드 : 벤츠(+11.0%), BMW(+1.7%) 등 판매 호조로 10.1% 증가
* 미국계 브랜드 : 포드(79.2%), 링컨(115.9%) 등 판매 호조로 18.5% 증가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미국 18.5, 영국 △0.6, 스웨덴 12.0, 이탈리아 5.7, 프랑스 13.5, 일본 25.8% 등
□ (수출) 전년 동월 수출급감(△44.6%)에 따른 기저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52.8% 증가한 188,293대, 수출금액은 73.4% 증가한 41.5억불
ㅇ 수출금액은 고부가 차종인 신차(GV 70 등), 전기차 수출 호조로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15.4월 이후 6년만 2개월 연속 40억불 돌파
※ ’21.4월 지역별 잠정 수출실적(백만달러, 전년동월) : 북미(1,934, 66.4%), EU(840, 89.8%), 유럽기타(389, 52.5%), 중동(264, △10.2%), 중남미(187, 296.6%), 아프리카(50, 86.7%), 오세아니아(263, 261.0%), 아시아(218, 131.1%)
- 이번 달은 SUV 수출비중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네시스 등 대형, 전기차 수출비중 확대가 수출 호조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 수출비중 : [SUV] (’20.4월) 69.8% → (’21.4월) 66.6%(3.2%p↓)
[전기차] (’20.4월) 5.7% → (’21.4월) 6.7%(1.0%p↑)
[대형] (’20.4월) 1.5% → (’21.4월) 2.5%(1.0%p↑)
- 모델별로는 GV70, GV80 수출 확대와 니로 EV의 견고한 호조세 등이 자동차 수출의 고부가가치화를 견인
ㅇ 수출대수는 전 차종 수출호조로 전년 월평균(15.7만대) 대비 19.8% 증가
* 차종별 전년동월비(%): 경형 +24.8, 소형 +5.6, 중형 +104.7 대형 +160.0, SUV +46.6, PICKUP +158.8, CDV +207.9
‘21.4월 수출 모델 TOP5 (대) ‘21.1~4월 수출 모델 TOP5 (대)
【 친환경차 】
□ (총괄) 내수는 전년 동월 대비 41.3% 증가한 25,269대,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4.4% 증가한 32,838대로 4개월 연속 내수와 수출 모두 증가
□ (내수) 15개월 연속 증가, 특히 수소 승용차(넥쏘)가 1개월 만에 월간 최다 판매(‘21.3월 934대)를 경신하며 첫 월 1천대 판매 돌파(1,265대)
* 차종별 판매대수: 하이브리드 17,879대(38.9%↑), 플러그인하이브리드 1,811대(209.6%↑), 전기차 4,314대(+18.8%↑), 수소차 1,265대(59.1%↑)
ㅇ 친환경차 판매비중은 전체 자동차 판매비중의 15.7%(5.0%p↑) 차지
* 친환경차 내수판매비중: (‘19.4월) 8.5% → (‘20.4월) 10.7% → (’21.4월) 15.7%(5.0%p↑)
- 신차(아이오닉5 EV) 판매 개시와 더불어 포터 EV(+144.2%), 봉고 EV(+158.8%), 넥쏘(+59.1%) 판매 확대가 호조 견인
- (국산차) 하이브리드차(+0.4%), 전기차(+13.3%), 수소차(+59.1%) 판매 호조로 6.0% 증가한 15,790대 판매
* 국산 하이브리드차 판매 : (‘20.4월) 10,751대 → (’21.4월) 10,797대(0.4%↑)
* 국산 전기차 판매 : (‘20.4월) 3,290대 → (’21.4월) 3,728대(13.3%↑)
* 국산 수소차 판매 : (‘20.4월) 795대 → (’21.4월) 1,265대(59.1%↑)
- 특히 하이브리드차는 14개월 연속 견고한 증가세를 시현, K5ㆍ쏘렌토 하이브리드의 판매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 모델별 증감률: K5 HEV(173.7%↑), 쏘렌토 HEV(97.8%↑) 등
- (수입차) 하이브리드차(+234.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246.3%), 전기차(+71.3%) 판매 호조로 217.6% 증가한 9,479대
□ (수출)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모두 두 자릿수 증가세를 시현하며 32,838대(+44.4%) 수출, 수출금액은 더 크게 증가(+60.2%)한 9.3억불
* 연료별 수출대수 증감률(%): 하이브리드 +65.4, 전기차 +17.6, PHEV +76.4, 수소차 △2.5
ㅇ 친환경차 수출비중은 전체 승용차 수출비중의 18.0% 차지
* 친환경차 수출비중 : (‘19.4월) 9.3% → (‘20.4월) 19.2% → (’21.4월) 18.0%(1.2%p↓)
- 연료별로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는데, 쏘렌토 PHEV(‘21.4월~), 싼타페 PHEV(’21.2월~) 등 신차효과가 수출호조를 견인
- 전기차는 45개월 연속 상승세 시현, 이는 니로EV(5,237대, +12.5%)의 견고한 호조세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 전기차 수출대수 : (‘19.4) 1,461대(243.4%↑) → (’20.4) 10,352대(106.3%↑) → (‘21.4) 12,172대(17.6%↑)
친환경차 모델별 수출 비중(대, %) 친환경차 차종별 수출비중 (대, %)
ㅇ 수출금액은 하이브리드차가 큰 폭으로 증가(+122.5%)하며 9.3억불 달성, 3개월 만에 역대 최고 기록 경신(前 ‘21.1월 9억불)
- 수출비중 또한 전체 승용차 수출액의 22.4% 차지
* 차종별 수출액 증감률(%): 전기・수소차 +30.8, 하이브리드 +122.5, 플러그인하이브리드 +35.7
* ‘20.4월 5.8억불 → ’21.4월 9.3억불 / 전기・수소차 10.3%(4.3억불), 하이브리드 9.8%(4.1억불), PHEV 2.4%(0.1억불)
【 자동차 부품 】
□ ‘21.4월 자동차부품 수출은 주요 시장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국내 완성차에 대한 선호가 지속되는 가운데
ㅇ 우리 기업의 신차효과(스포티지, 투싼 등)와 세계 全지역 수출호조로 99.9% 증가한 20.4억불 달성, 6개월 연속 증가
* ‘21.4월 자동차부품 잠정 수출(백만 달러, 전년동월) : 북미(609, 156.4%), EU(378, 107.8%), 중동(75, 35.9%), 중남미(205, 93.3%), 아시아(589, 78.0%), 동유럽(168, 67.4%), 아프리카(6, 83.5%), 오세아니아(11, 79.4%)
【붙 임】1~4. 4월 자동차 생산, 내수, 수출, 친환경차 동향
5~6. 4월 업체별 자동차 및 승용차 판매현황
참고 1 4월 자동차 생산 동향
□ (총괄)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에 따른 업체별 조업 조정*에도 불구,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8% 증가한 323,644대
* 공장 가동중단 현황:(현대) 울산 1공장 4.7~14 중단, 아산공장 4.12~13/19~20 중단 (기아) 화성공장 특근취소, (한국GM) 부평공장 (휴업) 4.19~23, (50% 감산) 4.26~30 (쌍용) 4.8~16 중단
ㅇ (현대) 차량용반도체 부품공급 애로 인해 생산 차질이 있었으나 전년 동월 기저효과 및 수출 호조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 증가
ㅇ (기아)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글로벌 수요 위축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 호조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43.4% 증가
ㅇ (한국지엠) 차량용 반도체 공급 애로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7% 감소
ㅇ (쌍용)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과 기업회생절차로 인한 부품협력사 납품 거부로 공장이 가동중단(△12일)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39.4% 감소
ㅇ (르노삼성) QM6, XM3 등 주력모델의 내수 부진으로 전년동월비 △31.0% 감소
< ’21.4월 업체별 생산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1.4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1.1-4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323,644 100 △3.1 11.8 1,232,471 12.1
현 대 142,507 44 △9.0 3.2 562,472 11.7
기 아 145,075 44.8 7.8 43.4 506,222 25.4
한국지엠 22,163 6.8 △16.1 △25.7 108,562 △3.8
쌍 용 4,275 1.3 △44.1 △39.4 21,779 △31.2
르노삼성 8,933 2.8 15.7 △31.0 30,994 △32.1
대우버스 0 0 - - - -
타타대우 691 0.2 △18.7 96.3 2,442 67.6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2 4월 자동차 내수 판매 동향
□ (총괄) 개소세 효과 감소 등으로 △3.8% 감소한 161,097대를 판매하였으나, 4월 월간 판매대수는 ‘20.4월(16.7만대)에 이어 역대 두 번째 판매대수를 기록
* 20.3~6월 개별소비세 70% 감면 등 / ‘21.1~6월 개별소비세 30% 감면
ㅇ (현대) 소나타, G80 등 중‧대형 세단 차종의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한 70,219대
ㅇ (기아) 카니발, K8 등 RV 및 대형 세단 호조가 판매를 견인하며 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한 51,128대
ㅇ (한국지엠) 차량용 반도체 수급애로로 부평공장 5일간(4.19〜23일, 50% 감산 등) 가동중단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4% 감소한 5,470대
ㅇ (쌍용) 부품 공급 차질에 따른 생산차질이 공급물량 감소로 연결 되어전년 동월 대비 △44.9% 감소
ㅇ (르노삼성) QM6, XM3 등 SUV 판매부진으로 전년동월비 △50.4% 감소
ㅇ (수입차) 대다수 브랜드의 판매 호조로 12.1% 증가한 25,951대
* 독일계 브랜드 : 벤츠(+11.0%), BMW(+1.7%) 등 판매 호조로 10.1% 증가
* 미국계 브랜드 : 포드(79.2%), 링컨(115.9%) 등 판매 호조로 18.5% 증가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미국 18.5, 영국 △0.6, 스웨덴 12.0, 이탈리아 5.7, 프랑스 13.5, 일본 25.8% 등
< ’21.4월 내수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1.4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1.1-4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내수판매 161,097 100 △6.0 △3.8 593,446 6.8
현 대 70,219 43.6 △4.9 △1.2 255,632 11.1
기 아 51,128 31.7 0.2 1.5 181,203 8.4
한국지엠* 5,470 3.4 △11.0 △18.4 22,823 △11.4
쌍 용 3,318 2.1 △22.9 △44.9 15,945 △32.2
르노삼성* 5,466 3.4 △4.0 △50.4 18,595 △40.0
대우버스 0 0 - - 0 -
타타대우 579 0.4 △5.2 109.8 1,849 69.8
수 입 차 25,951 16.1 △15.8 12.1 101,649 24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한국지엠ㆍ르노삼성은 수입 판매차 수치 포함.
참고 3 4월 자동차 수출 동향
□ (총괄) 전 차종 수출호조로 전년 동월 수출급감(△44.6%)에 따른 기저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52.8% 증가한 188,293대
ㅇ (현대) 신차(GV 70 등) 효과 및 GV 80, 싼타페 등 SUV 모델의 견고한 호조세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3% 증가한 77,759대
ㅇ (기아) 스포티지, 셀토스, 스토닉 등 소형 SUV의 수출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10.4% 증가한 89,500대
ㅇ (한국지엠) 트레일블레이저의 호조세에도 불구, 차량용 반도체 수급애로에 따른 생산차질로 인해 수출물량이 감소하여 △28.2% 감소한 16,012대
ㅇ (쌍용) 티볼리, 렉스턴 스포츠, 코란도 등 인기모델의 수출 호조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8% 증가한 1,033대
ㅇ (르노삼성) XM3 수출 확대로 전년 동월 대비 87.2% 증가한 3,878대
< ’21.4월 업체별 수출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1.4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1.1-4월 전년동기비
점유율
합 계 188,293 100 △3.2 52.8 734,448 22.7
현 대 77,759 41.3 △12.5 40.3 314,472 15.2
기 아 89,500 47.5 17.4 110.4 310,927 43.1
한국지엠 16,012 8.5 △31.8 △28.2 88,703 △1.2
쌍 용 1,033 0.5 △63.3 29.8 6,965 △6.1
르노삼성 3,878 2.1 34.8 87.2 12,817 22.4
대우버스 0 - - - - -
타타대우 111 0.1 △58.0 26.1 564 18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4 4월 친환경 자동차 동향(내수/수출)
□ (내수) 15개월 연속 증가, 특히 수소 승용차(넥쏘)가 1개월 만에 월간 최다 판매(‘21.3월 934대)를 경신하며 첫 월 1천대 판매 돌파(1,265대)
* 차종별 판매대수: 하이브리드 17,879대(38.9%↑), 플러그인하이브리드 1,811대(209.6%↑), 전기차 4,314대(+18.8%↑), 수소차 1,265대(59.1%↑)
ㅇ 특히 하이브리드차는 14개월 연속 견고한 증가세를 시현, K5ㆍ쏘렌토 하이브리드의 판매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 ’21.4월 친환경차 차종별 내수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1.4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1.1-4월 전년동기비
합 계 25,269 △17.7 41.3 94,198 74.9
하이브리드(HEV) 17,879 △4.3 38.9 66,493 91
전기차(EV) 4,314 △52.3 18.8 17,698 15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1,811 △11.1 209.6 7,098 333.1
수소차(FCEV) 1,265 35.4 59.1 2,909 43.7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수출) 하이브리드차, PHEV, 전기차 모두 두 자릿수 증가세를 시현하며 32,838대(+44.4%) 수출, 수출금액은 더 크게 증가(+60.2%)한 9.3억불
* 연료별 수출대수 증감률(%): 하이브리드 +65.4, 전기차 +17.6, PHEV +76.4, 수소차 △2.5
ㅇ 전기차는 45개월 연속 상승, 니로EV(5,237대, +12.5%)의 견고한 호조세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 전기차 수출대수 : (‘19.4) 5,017대(+243.4%) → (’20.4) 10,352대(+106.3%) → (‘21.4) 12,172대(+17.6%)
ㅇ 수출금액은 하이브리드차가 큰 폭으로 증가(+122.5%)하며 9.3억불 달성, 3개월 만에 역대 최고 기록 경신(前 ‘21.1월 9억불)
- 수출비중 또한 전체 승용차 수출액의 22.4% 차지
* 차종별 수출액 증감률(%): 전기・수소차 +30.8, 하이브리드 +122.5, 플러그인하이브리드 +35.7
* ‘20.4월 5.8억불 → ’21.4월 9.3억불 / 전기・수소차 10.3%(4.3억불), 하이브리드 9.8%(4.1억불), PHEV 2.4%(0.1억불)
< ’21.4월 친환경차 차종별 수출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21.4월 전월비 전년동월비 ’21.1-4월 전년동기비
합 계 32,838 15.8 44.4 119,826 47.7
하이브리드(HEV) 16,225 △7.0 65.4 66,052 63.1
전기차(EV) 12,172 62.9 17.6 40,543 32.8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4,322 34.4 76.4 12,705 30.7
수소차(FCEV) 119 △43.3 △2.5 526 39.5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참고 5 4월 업체별 자동차 국내 판매 현황
< ’21.4월 업체별 자동차 국내 판매 현황 >
(단위 : 대, %)
* 출 처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국산차 : 현대, 기아, 한국지엠, 쌍용, 르노삼성, 타타대우
참고 6 4월 업체별 승용차 국내 판매 현황
< ’21.4월 업체별 승용차 국내판매 현황 >
(단위:대, %)
* 출 처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국산차 : 현대, 기아, 한국지엠, 쌍용, 르노삼성(5개사)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채움공제’ 중소 법인병원 근로자도 가입 가능-「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시행령」개정안 입법예고(5.17~6.29) (0) | 2021.05.17 |
---|---|
청년고용 유지 소상공인에 1%대 초저금리 대출 5,000억원 지원-5월 17일부터 16,000개 청년고용 소상공인에 최대 3,000만원까지 대출 (0) | 2021.05.17 |
전기안전관리업무의 부실방지와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실태조사 실시-전기안전관리 위탁·대행사업자(33,523개) 및 전기사업용·자가용 전기설비(381,399개소)에 대해 표본·현장 조사 실시 예정 (0) | 2021.05.17 |
경기도, 등록기준 미달 및 무단영업 측량업체 일제 단속 실시 (0) | 2021.05.17 |
경기도, ‘경기도 여성 리더십 아카데미’ 교육생 모집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