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2020.06.24.
‘20.6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경제전망 수정
◇ 국제통화기금(IMF)은 ‘20.6.24.(수) 22:00(미국 동부시간 6.24.(수) 09:00) World Economic Outlook update를 발표
* IMF는 4월·10월 세계경제전망(WEO,한국 포함), 1월·7월 세계경제전망 수정(WEO Update,한국 미포함) 발표, 이번 update는 통상 7월에 발표되는 update를 앞당겨 발표
◇ 同 전망에서 IMF는 4월 전망시 예상보다 부진한 대다수 국가의 1분기 GDP 실적과 2분기 중 보다 더 심각한 경기 위축 가능성을 반영하여 ‘20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4.9%(’20.4월대비 △1.9%p)로 전망
ㅇ 선진국의 경우 -8.0%(‘20.4월 대비 △1.9%p), 신흥개도국의 경우 -3.0%(‘20.4월 대비 △2.0%p)로 성장전망 하향 조정
◇ 한편, IMF는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본 보고서와 별도로 한국을 포함한 30개국의 성장전망을 홈페이지에 공개
ㅇ 한국 성장률은 ’20년 -2.1%(’20.4월대비 △0.9%p)로 전망
- 이번에 성장전망이 공개된 선진국 중 가장 높고,
신흥개도국 평균보다도 높은 수준
-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월 전망대비 조정폭도
선진국 중 가장 작은 수준
- 선진국 중 유일하게 ‘21년말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GDP 수준 회복 전망
※ 붙임자료는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비공식 한글요약본이며,
자세한 내용은 www.imf.org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붙임 1 '20.6월 IMF 세계경제전망 수정(WEO update) 주요내용
? (세계경제) '20년 –4.9%(‘20.4월比 △1.9%p), '21년 5.4%(△0.4%p)
ㅇ (최근 상황) 중국,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1분기 GDP가 예상보다 부진하고, 최근 지표들을 볼 때 2분기에 보다 심각한 위축 가능성 (中 제외)
- 소비ㆍ서비스생산 급감, 여전한 이동 제약, 노동시장에 큰 타격(특히, 저숙련 노동자), 교역 감소, 인플레이션 하락 등
ㅇ (기본 가정) ①4월 전망에 비해 ’20년 상반기 경제활동에 큰 타격 + 하반기 회복세 둔화, ②現 수준의 금융여건 지속 등
ㅇ (전망 결과) ‘20년 -4.9%, ’21년 5.4%로 4월 전망 대비 하향 조정
- 글로벌 경제활동은 금년 2분기 저점 이후 회복되는 가운데, 소비는 내년에 점진적으로 증가, 투자도 약하게나마 회복
- 교역량은 금년 11.9% 감소 後 내년 8.0% 증가 예상
◇ 상기 기본전망 外 추가 시나리오도 함께 제시
➀ (’21년초 코로나19 재확산) ’21년 약 4.9%p↓→ (’20년) -4.9% (’21년) 0.5%
➁ (예상보다 빠른 경제회복) 기본전망 대비 ’20년 약 0.5%p↑, ‘21년 약 3%p↑ → (’20년) -4.4% (’21년) 8.4%
? (국가별) '20년 선진국 –8.0%(‘20.4월比 △1.9%p), 신흥국 -3.0%(△2.0%p)
ㅇ (선진국) 상반기에 4월 전망보다 큰 부정적 영향과 하반기 더딘 회복세로 동반 부진(synchronized deep downturns)*
→ ‘20년 -8.0%로 하향, ‘21년은 4.8%로 상향
* ’20년 전망(%): (미국)-8.0(일본)-5.8(영국)-10.2(독일)-7.8(프랑스)-12.5 (이태리·스페인)-12.8
ㅇ (신흥개도국) 국내 경제활동 타격, 부진한 대외수요에 따른 파급효과 등을 반영하여 ‘20년 -3.0%, ‘21년 5.9%로 하향
- 국가별로는 팬데믹 양상, 경제구조 등에 따라 상당한 차이*
* ’20년 전망(%): (중국)1.0 (인도)-4.5 (브라질·)-9.1 (멕시코)-10.5 (러시아)-6.6
? (위험요인) 팬데믹 관련 위험, 美-中 관계 등 상당한 하방위험
ㅇ 팬데믹 전개양상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방*ㆍ하방위험 중 어느 것이 우세하다고 말하기 어려우나, 상당한 하방위험 상존
* 신속한 경제활동 정상화 및 백신 개발 가능성, 코로나19에 따른 생산·유통·지급 시스템 변화의 생산성 제고 가능성 등
- 코로나19 재확산, 실직 장기화, 금융여건 악화 등 팬데믹 관련 위험 뿐 아니라 美-中간 긴장 고조, OPEC+ 국가간 갈등, 사회적 불안 등으로 경제활동에 부정적 영향 우려
? (정책권고) 보건지출 + 피해가구/기업·경제회복 지원 + 국제공조
ㅇ (보건지출) 각국은 보건시스템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해야 하며, 정보공유, 백신개발 자금지원 등을 위해 국제공조 강화 필요
ㅇ (피해·경제회복 지원)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는 국가는 방역과 경제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두고, 선별적 지원조치와 재교육 확대, 사회안전망 확충 등 필요
- 경제활동을 재개하고 있는 국가는 피해지원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면서 고용보조금 및 교육훈련 지출 확대 등을 통해 수요가 증가하는 부문으로 자원의 재배분을 촉진
ㅇ (국제공조) 긴급한 유동성 지원 외 추후 무역긴장 완화, 기후변화 대응 등에 대한 고민 필요
? (한국 전망*) '20년 –2.1%(‘20.4월比 △0.9%p)로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수준
* 보고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IMF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IMF는 최근 코로나19의 영향 등을 감안, IMF WEO Update 보고서와 별개로 한국을 포함하여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중요성이 큰 30개국의 전망을 홈페이지에 공개
ㅇ 한국 성장률은 ’20년 -2.1%(’20.4월比 △0.9%p), ’21년 3.0%(△0.4%p)
- ’20년 성장률은 이번에 성장전망이 공개된 선진국 중 가장 높고, 신흥 개도국 평균보다도 높은 수준
-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월 전망 대비 조정폭도 선진국 중 가장 작은 수준
- 선진국 중 유일하게 ‘21년말에 코로나19 이전 GDP 수준으로 회복 전망
주요국 ‘20년 성장률 전망 추이 ‘20.1월 대비 ’20년 성장률 전망 조정폭
붙임 2 '20.6월 IMF WEO Update 전망
(단위 : %, %p)
경제성장률 19년 20년 21년
‘20.1월 ‘20.4월 ‘20.6월 4월比 1월比 ‘20.1월 ‘20.4월 ‘20.6월
(A) (B) (C) (C-B) (C-A) (D) (E) (F)
세계 2.9 3.3 -3 -4.9 △1.9 △8.2 3.4 5.8 5.4
(교역량) -0.9 -2.9 (-11.0) (-11.9) (△0.9) (△14.8) -3.7 -8.4 -8
선진국 1.7 1.6 -6.1 -8 △1.9 △9.6 1.6 4.5 4.8
(소비자물가) -1.4 -1.7 -0.5 -0.3 (△0.2) (△1.4) -1.9 -1.5 -1.1
미국 2.3 2 -5.9 -8 △2.1 △10.0 1.7 4.7 4.5
유로존 1.3 1.3 -7.5 -10.2 △2.7 △11.5 1.4 4.7 6
독일 0.6 1.1 -7 -7.8 △0.8 △8.9 1.4 5.2 5.4
프랑스 1.5 1.3 -7.2 -12.5 △5.3 △13.8 1.3 4.5 7.3
이탈리아 0.3 0.5 -9.1 -12.8 △3.7 △13.3 0.7 4.8 6.3
스페인 2 1.6 -8 -12.8 △4.8 △14.4 1.6 4.3 6.3
일본 0.7 0.7 -5.2 -5.8 △0.6 △6.5 0.5 3 2.4
영국 1.4 1.4 -6.5 -10.2 △3.7 △11.6 1.5 4 6.3
캐나다 1.7 1.8 -6.2 -8.4 △2.2 △10.2 1.8 4.2 4.9
기타 선진국 1.7 1.9 -4.6 -4.8 △0.2 △6.7 2.4 4.5 4.2
한국 2 2.2* -1.2 -2.1 △0.9 △4.3 2.7* 3.4 3
신흥개도국 3.7 4.4 -1 -3 △2.0 △7.4 4.6 6.6 5.9
(소비자물가) -5.1 -4.6 -4.6 -4.4 (△0.2) (△0.2) -4.5 -4.5 -4.5
중국 6.1 6 1.2 1 △0.2 △5.0 5.8 9.2 8.2
인도 4.2 5.8 1.9 -4.5 △6.4 △10.3 6.5 7.4 6
러시아 1.3 1.9 -5.5 -6.6 △1.1 △8.5 2 3.5 4.1
브라질 1.1 2.2 -5.3 -9.1 △3.8 △11.3 2.3 2.9 3.6
멕시코 -0.3 1 -6.6 -10.5 △3.9 △11.5 1.6 3 3.3
사우디 0.3 1.9 -2.3 -6.8 △4.5 △8.7 2.2 2.9 3.1
남아공 0.2 0.8 -5.8 -8 △2.2 △8.8 1 4 3.5
* 한국은 ‘20.1월 WEO Update에는 未포함, ’20.2월 IMF의 G20 Surveillance Note 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