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5대 신산업 분야 ‘29년까지 산업기술인력 15만 5천명 필요

하이거 2021. 3. 4. 13:22

5대 신산업 분야 ‘29년까지 산업기술인력 155천명 필요

 

담당부서산업일자리혁신과 등록일2021-03-04

 

 


5대 신산업 분야 ‘29년까지 산업기술인력 15만 5천명 필요

- ‘19년말 기준, 차세대반도체, 신금속, 차세대세라믹, 첨단화학, 하이테크섬유 소재 분야 2,845명 부족, 석·박사 부족율은 4.2%에 달해 (평균 부족률 2.5%)

- 산업부, 5대 신산업 분야 석·박사 인력양성 사업 확대 추진

* (‘20년) 6개 프로그램 125.8억원 → (’21년) 9개 프로그램 234.4억원

□ ‘29년까지 차세대반도체, 신금속소재, 차세대세라믹소재, 첨단화학소재, 하이테크섬유소재 등 5대 유망 신산업에 산업기술인력* 15.5만명 (’19년 대비 +4.4만명, +40%) 필요 전망

* 산업기술인력 : 고졸 이상의 학력자로서 기업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생산․정보통신 관련 관리자, 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인력

□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9년말 기준 5대 유망 신산업 분야 사업체(종사자 10인 이상)를 대상으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ㅇ ‘19년말 기준으로 5대 신산업분야에 산업기술인력은 11.1만명 수준이나, 향후 10년간 연평균 3.4% 증가하여, ‘29년에는 15.5만명(+4.4만명, +40%)까지 확대될 것으로 나타남

ㅇ ‘19년말 기준 부족인력은 2,845명, 부족률은 2.5%로 나타났으며
특히 석·박사급 인력(부족률 4.2%) 공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 (학력별 부족률) 고졸 1.2%, 전문대졸 1.5%, 대졸 3.3%, 석·박사 4.2%

□ 금번 ‘18년에 이어 재조사한 차세대반도체는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이 다소 완화(3.8 → 2.1% / 18년 조사대비 1.7%p 하락))된 것으로 나타남
【 5대 신산업 분야별 조사 및 전망 】

□ 5대 신산업별 산업기술인력의 세부사항을 살펴보면, (☞상세붙임참조)

➊ (차세대반도체, 재조사*) ‘19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3.6만명으로 ’17년말(2.8만명) 대비 1.3배 증가하였으며 ‘29년에는 5.1만명(‘19년 대비 +15천명, 연평균증가율 3.5%)으로 확대될 전망

* 차세대반도체는 ‘17년 말 기준으로 최초 조사, ‘19년 말 기준 재조사 됨

- ‘19년말 기준 부족률은 2.1%(부족인원 766명)이며, 인력증가 요인은 ①기업성장에 따른 인력 증가(0.6만명), ②신규 참여 기업 증가(0.2만명), ③산업간 융합 등 산업범위 확장(0.1만명)로 조사됨

- 전방산업 수요 증가와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등으로 산업의 높은 성장률을 바탕으로 인력수요 확대가 지속될 전망

* 2030년까지 글로벌시장 점유율 20%, 고급인재 3,000여명 육성 등(‘20.10, 관계부처합동)

➋ (신금속소재) ‘19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2.6만명(부족률 2.4%, 부족인원 652명)이며, ’29년에 2.9만명(‘19년대비 +0.3만명, 연평균 +1.2%)으로 확대될 전망

- 탄소중립 선언 등 저탄소 전환 가속화 등 국내·외 환경규제 대응과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한 인력수요가 지속될 전망

- 신금속 분야 기업에서는 소재·금속공학(71%) 전공자를 선호하고, 환경친화적 생산·재활용 등 통합적 관점에서 연구개발 및 환경·안전관리 전문인력의 증가율이 높을 전망

* (29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개발 1.9%, 환경·안전관리 2.4%, 시험평가·검증 1.0% 등

➌ (차세대세라믹소재) ‘19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0.7만명(부족률 4.5%, 부족인원 364명)이며, ’29년에 1.1만명(‘19년대비 +0.3만명, 연평균+ 3.6%)으로 확대될 전망
- 공정단계 축소 및 자동화 전환으로 공정설계, 연구개발 인력 공급이 시급

* (직무별 부족률) 공정설계·디자인 10.3%, 연구개발 6.9%, 시험평가·검증 4.7% 등
- 기업은 세라믹·신소재공학(75%) 전공자를 선호하며, 광전자, 이차전지 적용 소재 등 최신 기술개발을 위한연구 개발과 평가 인력 증가율이 높을 것으로 전망

* (29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개발 4.1%, 시험평가·검증 5.2% 등

➍ (첨단화학) ‘19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2.5만명(부족률 2.7%, 부족인원 714명)이며, ’29년에는 3.9만명(‘19년대비 +0.1민명, 연평균증가율 4.5%)으로 확대될 전망

- 전기․전자 및 수송기기 등에 적용되는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위해 전문가형 인력을 선호하는 경향이 가장 큰 산업으로, 채용시 전공과 전문성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남

* 고려 역량(%) : 전공(35) > 전문성(30) > 업무경력(22) > 인성(8) 등

- 기업은 화학공학(75%) 전공자를 선호하며, 의약품․뷰티용품 및 주력산업과 연계된 고기능성 화학소재에 대한 연구개발 수요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29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개발 5.0%, 시험평가·검증 4.4% 등

➎ (하이테크섬유소재) ‘19년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1.5만명(부족률 2.3%, 부족인원 350명)이며, ’29년 2.3만명(‘19년대비 +0.88만명, 연평균증가율 4.6%)으로 확대될 전망

- 항바이러스·방역 등 메디컬·안전 및 ICT융합 관련 섬유소재 수요 증가로 기술개발과 성능평가 인력 공급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

* (직무별 부족률) 시험평가·검증·인증 8.8%, 연구개발 3.3%, 공정설계·디자인 3.1% 등

- 기업은 소재·재료공학(58%), 기계·금속공학(11%) 전공자를 선호하며, 향후에도 연구개발 및 평가 관련 인력 증가율이 높을 것으로 전망

* (29년 연평균 증가율) 연구개발 5.2%. 시험평가·검증·인증 5.7% 등
【 인력정책방향 】

□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계의 인력수급 애로 해소 및 지속적인 혁신성장을 위한 인력양성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임

ㅇ 산업부는 금번 조사된 5개 분야에서 기업이 인력수급에 가장 애로를 호소하고 있는 석·박사급 인력양성 사업을 금년부터 확대* 시행하고

* (‘20년) 6개 사업 125.8억원 → (’21년) 9개 사업 234.4억원
(➊차세대시스템반도체설계, ➋기능성세라믹소재, ➌탄소복합재 분야 교육훈련 신설)

- ‘22년에는 업계수요를 바탕으로 신산업 분야 교육과정을 추가로 신설*하여 석·박사 인력양성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임

* 업계 의견청취를 바탕으로 ➊차세대반도체품질관리, ➋스마트융합금형, ➌친환경그린섬유제조과정 등 10여개 교육훈련 프로그램 신설 추진

□ 또한 산업부는 인력 미스매치 해소 및 산업계 인력수요를 전달하기 위해 교육부·고용부 등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

ㅇ 교육부의 3단계 LINC 사업,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사업 기획, 신산업 분야 대학원 정원조정 등의 과정에 금번 조사결과 및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를 통해 파악한 산업계 인력수요를 반영하고

* 주요 업종별로 업종단체, 대표기업, 전문연구기관이 참여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양성과 관련된 원활한 수급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협의체 (현재 23개 운영중)

ㅇ 고용부의 디지털 신기술 협업예산 편성시 신산업 분야 인력수요 전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

□ 아울러, 급변하는 산업환경을 고려하여 주기적인 재조사 체계를 마련하여 향후에도 신산업 분야 인력수요 전망을 추진해 나갈 계획

* ‘21년 디지털헬스케어, 미래형자동차, IoT가전, 스마트·친환경 선방, 항공·드론 등 5개 신산업 분야 조사 예정



참고 1 조사개요

□ (조사분야) ‘16년 미래형자동차를 시작으로 총 13개 신산업* 수요전망 수행

* 12대 신산업(‘16.12), 5대 신산업 프로젝트(’17.12),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19.6) 등 산업부 정책 기반 선정

ㅇ ‘20년에는 ➊차세대반도체, ➋첨단소재*(신금속소재, 차세대세라믹소재, 첨단화학소재, 하이테크섬유소재) 분야 재조사 (총 1,874개사 표본조사)

* ’18년 조사결과 세분화 필요성 제기 → 4개 분야로 세분화하여 각각 조사

<분야별 미래유망 신산업 산업기술인력 수요전망 조사현황>
‘16 ‘17 ‘18 ‘19 ‘20
조사 미래형 자동차 미래형자동차
분야 지능형 로봇 지능형로봇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AR/VR
IoT가전
첨단신소재 신금속
차세대세라믹
첨단화학
하이테크섬유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 (주관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산업연구원

□ (분석기간) ‘20.7월 ~ ’21.1월(조사기준시점 : ‘19년 말)

□ (조사내용) 사업체 일반현황, 신산업 세부분야별ㆍ직무별* 산업기술인력 현원 및 부족인원, 채용인력, 채용 시 선호 전공 및 역량, 애로사항 등

* 분야 : SC, 산업연의 산업군 분류를 통해 도출된 KSIC 189개 업종(제10차 5자리)
직무 : 연구개발, 공정설계․디자인, 시험평가․검증, 생산기술, 품질관리·인증, 환경·안전관리(보증·정비), 구매․영업․시장조사
<신산업별 세부분야 분류 >

· 차세대반도체 :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공정·장비, 반도체 소재
· 신금속소재 : 초성능·초임계 철강소재, 고기능 비철소재, 신기능 복합소재
· 차세대세라믹소재 : 광·전자, 지능구동형, 에너지·환경, 메디컬, 생활환경 세라믹소재
· 첨단화학소재 : 정밀기능 화학소재, 첨단고분자소재, 산업용 첨단화학소재
· 하이테크섬유소재 : 테크패션 섬유소재, 소비재용 테크니컬 섬유소재, 산업용테크니컬 섬유소재

참고 2 세부 조사결과

차세대반도체 AI와 같은 신기능을 포함하거나 성능·소모 전력을 개선하여 고도화 분야 및 미래 신시장 분야의 반도체를 개발·제조하는 산업
(재조사)

사업체현황(‘19) 참여기업(859개사), 현원(36,341명), 부족인원(766명), 부족률(2.1%)
규모별 구 분 10~29인 30-99인 100인~299인 300인 이상
분포현황 47% 28% 15% 10%
분야별 공정·장비 인력 비중이 41%(14,758명) 높고, 부족인원도 45%(345명)로 가장 많음
부족률에서는 시스템반도체 2.8%로 가장 높음
선호전공 반도체공학(33%), 전자공학(20%), 기계공학(17%)

인력전망(‘29) ‘29년까지 총 51,483명으로 예상 (연평균 증가율 3.5%)
분야별(명,) 메모리반도체 12%(6,269명), 시스템반도체 19%(9,736명), 공정·장비 38% (19,739명), 소재 31%(15,739명)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직무별(명,) 생산기술 50%(25,688명), 연구개발 27%(13,876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학력별(명,)) 대졸 44%(22,757명), 고졸 28%(14,628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분야별 학력별
직무별
신금속소재 금속 또는 이들 혼합체를 원료로 하여 기존 재료 특성을 향상 또는 신기능을 부여하여 새로운 금속소재를 개발·제조하는 산업

사업체현황(‘19) 참여기업(859개사), 현원(26,113명), 부족인원(652명), 부족률(2.4%)
규모별 구 분 10~29인 30-99인 100인~299인 300인 이상
분포현황 37% 39% 17% 6%
분야별 초성능·초임계 철강소재 비중이 48%(12,491명) 높고, 부족인원도 64%(418명)로 가장 많음
부족률에서도 3.2%로 가장 높음
선호전공 소재·금속공학(71%), 기계공학(14%), 자동차공학(6%)

인력전망(‘29) ‘29년까지 총 29,362명으로 예상 (연평균 증가율 1.2%)
분야별(명,) 초성능·초임계 철강소재 47%(13,818명), 고기능 비철소재 25% (7,310명), 신기능 복합소재 28%(8,234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직무별(명,) 생산기술 49%(14,257명), 연구개발 20%(5,809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학력별(명,)) 대졸 44%(10,437명), 고졸 28%(8,634명)등의 순으로 인력이 필요
분야별 학력별
직무별
차세대세라믹소재 천연원료․인공합성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물성과 특성이
향상된 다양한 기능의 세라믹소재를 개발·제조하는 산업

사업체현황(‘19) 참여기업(399개사), 현원(7,698명), 부족인원(364명), 부족률(4.5%)
규모별 구 분 10~29인 30-99인 100인~299인 300인 이상
분포현황 46% 28% 12% 15%
분야별 에너지·환경세라믹소재 인력 비중이 29%(2,223명) 높고,
부족인원은 광․전자소재 28%(101명)로 가장 많음
부족률에서도 7.6%로 가장 높음
선호전공 세라믹·신소재공학(75%), 기계·로봇공학(8%), 의용공학(4%)

인력전망(‘29) ‘29년까지 총 10,975명으로 예상 (연평균 증가율 3.6%)
분야별(명,) 에너지·환경세라믹소재 32%(3,508명), 메디컬세라믹소재 23%(2,576명), 광·전자세라믹소재 18%(2,014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직무별(명,) 생산기술 39%(4,300명), 연구개발 29%(3,200명), 품질관리·인증 9% (962명)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학력별(명,) 대졸 53%(5,808명), 고졸 20%(2,201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분야별 학력별
직무별
첨단화학소재 화학산업 기반기술과 첨단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소재에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여 고부가가치 화학소재를 개발·제조하는 산업

사업체현황(‘18) 참여기업(1,182개사), 현원(25,423명), 부족인원(714명), 부족률(2.7%)
규모별 구 분 10~29인 30-99인 100인~299인 300인 이상
분포현황 38% 35% 20% 7%
분야별 정밀기능화학소재 인력 비중이 56%(14,131명) 높고, 부족인원은 첨단고분자소재에서 48%(340명)로 가장 많음
부족률은 산업용 첨단화학소재 4.3%로 가장 높음
선호전공 화학공학(75%), 기계·금속공학(9%), 생물·화학·생명과학(8%)

인력전망(‘29) ‘29년까지 총 39,392명으로 예상 (연평균 증가율 4.5%)
분야별(명,) 정밀기능화학소재 56%(22,128명), 첨단고분자소재 29%(11,564명), 산업용 첨단화학소재 14%(5,699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직무별(명,) 생산기술 38%(15,155명), 연구개발 36%(14,371명), 품질관리·인증 9%(3,431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학력별(명,) 대졸 54%(21,377명), 고졸 18%(6,966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분야별 학력별
직무별
하이테크섬유소재 섬유산업 기반기술과 첨단기술의 융합을 통해 차별화된 기능·성능·용도를 지닌 원사 및 직물 관련 섬유 소재를 개발 ·제조하는 산업

사업체현황(‘18) 참여기업(800개사), 현원(15,053명), 부족인원(350명), 부족률(2.3%)
규모별 구 분 10~29인 30-99인 100인~299인 300인 이상
분포현황 56% 26% 13% 5%
분야별 산업용 테크니컬섬유소재 인력 비중이 58%(8,757명) 높고, 부족인원도 51% (177명)로 가장 많음
부족률에서는 테크패션 섬유소재와 소비재용 테크니컬섬유소재에서 2.7%로 가장 높음
선호전공 소재·재료공학(58%), 기계·금속공학(11%), 디자인(9%)

인력전망(‘29) ‘29년까지 총 23,508명으로 예상 (연평균 증가율 4.6%)
분야별(명,) 산업용 테크니컬섬유소재 63%(14,741명), 테크패션섬유소재 21% (14,741명), 소비재용 테크니컬섬유소재 16% (3,882명)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직무별(명,) 생산기술 44%(10,438명), 연구개발 31%(7,242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학력별(명,) 대졸 50%(11,739명), 고졸 26%(6,041명) 등의 순으로 인력 필요

분야별 학력별
직무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