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ETRI 지능정보 기술, 농업에 본격 적용- 농업현장 애로해결 위한 지능형 스마트팜 테스트베드 구축

하이거 2016. 11. 22. 11:06

ETRI 지능정보 기술, 농업에 본격 적용- 농업현장 애로해결 위한 지능형 스마트팜 테스트베드 구축

배포일2016.11.22.담당자 IoT융합연구부

 

 










 
ETRI 지능정보 기술, 농업에 본격 적용
- 농업현장 애로해결 위한 지능형 스마트팜 테스트베드 구축
- 이달 중순 전남 장성 딸기농원에 국내 첫 적용
- 2018년 상용화 목표, 우리농업 경쟁력 향상 계기마련



‘농사 짓기’는 작물에게 어떤 환경을 유지해줘야 하는지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접근하기 불가능한 일이다. 뿐만 아니라, 농사짓는 달인들에게도 농사는 작물이 크고 있는 땅을 떠나서는 불가능한 개념이었다. 그동안 이러한 진입장벽이나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ICT기술을 농업에 접목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ETRI와 ㈜이지팜은 농사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 농사를 지을 수 있게 하거나, 지리적 종속성에서 탈출할 수 있게 해주는 사물인터넷 및 클라우드 기술 기반의 온실재배용‘스마트농사플랫폼’을 개발, 이달 중순부터 딸기농장에 처음으로 적용하는 테스트베드 구축계획을 22일 밝혔다. 


그동안 농업에 ICT가 일부 적용되어 농가의 편의를 돕긴 했지만, 온실 시설을 관리하는 제어기를 제공하는 스마트팜 스마트팜(Smart Farm) : 농사 기술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만들어진 지능화된 농장
 수준에 머물고 제어기의 표준이 마련되지 않아 다양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현장의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능정보 기술이 융합된“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베드 시스템 및 서비스 기술개발”사업을 기획하여 지원하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와 ㈜이지팜이 발표한 온실재배용‘스마트농사플랫폼’은 온실 내에서 작물을 직접 재배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기반의 『온실 재배용 베드 양액(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무기 양분의 수용액으로 배양액)재배장치와 사물인터넷 기술이 융합된 농업 생산 시설로, 농작물의 근권(뿌리)부를 포함한 환경 정보의 원격 수집 및 제어가 가능한 차세대 재배 시스템
』 와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기반의 『온실재배관리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실과 클라우드 플랫폼 사이에는 로라(LoRa) LoRa :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센서 데이터 및 간단한 제어 데이터 등의 전송 을 위한 저가, 저전력 장거리 통신기술
기반 통신기술을 적용, 여러 농가의 온실을 적은 비용으로 연결, 다양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 사물인터넷 표준 기술(OneM2M)기반의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LoRa)을 적용
 이다. 
연구진은 사업의 1차 년도 성과로 이달 중순부터 다양한 환경 센서와 제어기를 일체화, 설치와 유지관리가 간편한 지능형 베드를 농가 현장에 적용, 검증을 시작하였다.
연구진은 충분한 적용시험 검증을 거쳐 내년에는 지능정보 기술기반의 딸기 병해충의 인지 SW 및 생산 효율화 기술 등 다양한 농업용 SW기술개발을 할 계획이다.
본 기술이 성공적으로 검증되면 작목반원들끼리 온실 별 생육관리 데이터를 비교해보고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 개선하는 등 데이터 기반 품질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클라우드 기반 기술개발로 각 비닐하우스 별로 활용하는 PC와 통합제어기 등의 비용을 줄여 농가의 운영비용 절감에도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지팜의 박흔동 대표는“이번 기회를 통해 지능정보 기술이 결합된 보급형 스마트팜 제품을 공동개발 기업들과 협력해 내년 하반기 부터 국내외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ETRI 김세한 책임연구원은“우리나라는 네덜란드와 달리 하우스 형태 및 규모가 다양해 국내 현장에 적합한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 등 차별화 전략을 통한 경쟁력 향상이 중요하다”밝혔다. <보도자료 본문 끝>



<참고자료>

(1) FaaS (Farm as a Service,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 서비스)
사물인터넷 및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농장 자원의 가상화를 통해 스마트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데이터 수집, 제어, 관리를 지원하는 운영 및 개발 환경과 이를 활용하여 농장의 운영, 모니터링, 단순/복합제어, 장치 관리, 데이터 관리, 모델 관리를 지원

(2) 지능형 사물인터넷 베드
양액재배장치와 사물인터넷 기술이 융합된 농업 생산 시설로, 농작물의 근권(뿌리)부를 포함한 환경 정보의 원격 수집 및 제어가 가능한 차세대 재배 시스템
* 양액재배 : 딸기, 토마토, 오이 등 과체류, 상추 등의 엽채류, 장미 등의 화회류 등을 대상으로 토양(흙)없이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수용액으로 만들어 재배하는 방식

(3) LoR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센서 데이터 및 간단한 제어 데이터 등의 전송 을 위한 저가, 저전력 장거리 통신기술 (응용 예 : 미터링(가스, 수도, 전기 등), 트래킹(위치 관제), 센싱 및 제어, 안전/보안, 농업 등)

(4) 스마트팜
똑똑한 농업(Smart Farm)을 의미로 1세대에는 온습도 센서 등을 설치, 노동력 절감을 도와주는 형태였고 2세대는 사람의 간섭이 없는 복합제어를 의미함. 센서가 기반으로 정보를 가져다가 직접 제어하는 형태임. 3세대의 경우 유리온실, 수출용 등 대형시설용 시설위주의 농업을 말함

(5)공동개발기업 : ㈜이지팜, 한국시설원예 ICT 융복합 협동조합 국내 시설원예 ICT융복합 관련 기업의 협동체로 시설원예를 위한 복합환경제어 시스템, 양액 공급기, 농업 정보화의 국내외 개발 및 해외 진출을 위한 기업들로 2014년 설립된 조합
, ㈜엘시스, ㈜씨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