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KOTRA, 전 세계 85개국 2017년 진출전략 발간

하이거 2016. 11. 30. 13:34

KOTRA, 전 세계 85개국 2017년 진출전략 발간

 

작성일2016-11-30 11:50:34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21/globalBbsDataList.do?setIdx=252







 

 
KOTRA, 전 세계 85개국 2017년 진출전략 발간
- 유통망 활용 소비재 수출, 신산업, 인프라 등 기회요인 제시 -
- 新고립주의는 위기이자 기회… 확대되는 각국 내수시장 적극 공략해야 -

KOTRA(사장 김재홍)는 30일 전 세계 85개국의 2017년 진출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가별 주요이슈, 진출환경, 시장분석, 유망품목, 진출전략 등의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해외무역관에서 발굴한 현장 정보와 54년 노하우를 토대로 작성한 이번 보고서는 우리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및 2017년 사업계획 수립에 중요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OTRA가 내놓은 주요 국가별 내년도 이슈와 진출 전략은 아래와 같다.

▷ 내수확대와 혁신적 신산업의 지속 성장…美, 中, 獨, 日 등 주력시장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게 될 미국의 경우, 내수 중시 新고립주의 경제 및 통상정책으로의 큰 변화가 예상된다. 또한 혁신을 바탕으로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등 신산업의 부상이 가속화되며, 고학력 중상위층의 성장으로 경제내 소비여력이 상승하고 있는 점을 눈여겨 봐야한다. 1조 달러에 달하는 인프라 개발 계획도 기회요인이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신산업 시장, 온/오프라인 유통망, 공공조달시장을 공략할 것을 조언했다. 구체적으로 對美 수출유망품목에 화장품, 정수(淨水)관련 제품, 공작기계, 자동차부품, 의료진단장비, LED조명 등을 선정하였다.

우리 최대시장 중국은 ‘중국제조 2025’를 통한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전략과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구조조정 그리고 서비스산업 확대 등이 내년 주요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를 고려한 우리의 중국 진출 전략으로는 △ 내수시장 공략 및 한-중 FTA 활용 확대 △ 현지 기업과의 협력 강화 △ AIIB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주를 제시하였다. 對中 수출유망품목으로는 유아용품, 미용제품, 신에너지 자동차 부품, 무선통신장비 등이 있다.

유럽의 대표국가 독일은 디지털 기반 4차 산업혁명의 급진전, 전기차 등 미래형 스마트 자동차 개발이 주요 이슈가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부품 아웃소싱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모바일상거래를 통한 소비재 시장 공략이 필요하다. 내년부터 베이비붐 세대(단카이 세대)의 70대 돌입이 시작되는 일본은 실버산업, 미용산업, 식품산업에 대한 진출이 유망하다.

▷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과 소비재 수출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신흥시장

최근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베트남, 멕시코의 경우, 대기업 및 글로벌 기업 현지투자와 관련된 부품조달 수요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붐을 이용해 문화콘텐츠와 소비재 수출을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인도와 아랍에미리트(UAE)는 급성장하는 소매유통시장을 활용해야 하며, 인프라 개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올해 처음 설치된 한-쿠바 경협위원회로 포괄적 협력채널이 구축된 쿠바시장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이를 종합하면, 글로벌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활용해 소비재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과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모바일 거래,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분야를 적극 공략해야 한다는 점이 전 세계에 걸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KOTRA는 설명했다.

김재홍 KOTRA 사장은 “국별 진출전략 보고서는 국가정보와 함께 우리 기업이 해외시장에 나서기 전 꼭 읽어봐야 할 KOTRA의 대표 브랜드”라고 밝히면서 “어려운 수출여건 속에서도 고군분투하는 우리 수출기업의 좋은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017년 국별 진출전략보고서는 KOTRA 해외시장뉴스 홈페이지(news.kotra.or.kr)에서 무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첨부 : 주요 국가별 2017 이슈 및 진출전략(요약)



<주요 국가별 2017 이슈 및 진출전략(요약)>

지역
비고
내용
미국
주요
이슈
○ 트럼프 취임이후 통상환경 변화
○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신시장 성장 지속
○ 주요 소비층 소득 증가로 인한 소비여력 상승
진출
전략
○ 미국의 경제‧통상 환경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 (품목) 신성장 시장 공략을 통한 수출 품목 다변화
○ 온/오프라인 유통망 공략, 공공조달시장 진출로 수출방식 확대
중국
주요
이슈
○ ‘중국제조 2025’를 통한 제조업 경쟁력 강화
○ 공급측 개혁을 통한 구조개혁 및 지속 성장동력 강구
○ 서비스산업 수요 확대에 따른 시장 진출 기회 확대
○ AIIB활용을 통한 동북아‧유라시아 지역 투자 확대
진출
전략
○ 내수시장 공략 및 한-중 FTA활용 확대
○ 로컬기업과의 협력 강화
○ 中 서비스 무역시장 선점을 통한 진출강화
○ 中 정책 시행에 따른 新시장기회 발굴
일본
주요
이슈
○ 엔화 강세 지속 가능성
○ 아베내각 최대 규모 28조 엔 경제대책 확정
○ 확대 일로의 일본 온라인 시장
○ 일본 완성차 메이커, 신흥국 진출 가속화
진출
전략
○ IT산업, 자동차 부품산업, 실버산업, 미용산업, 재생에너지
   산업 진출 확대
유럽
독일
주요
이슈
○ 유로화 약세 요인 지속에 따른 원화강세 기조
○ 디지털 기반 산업 급성장
○ 전기차 시대로의 본격 진입
진출
전략
○ 친환경‧디지털화를 겨냥한 시장 진출 확대
○ 아웃소싱 확대 전략에 편승한 미래형 스마트카 부품 시장 공략
○ 선박부품, 시장 맞춤형 전략으로 승부
○ 소비재, E-Commerce를 통한 B2B 시장 공략 강화
영국
주요
이슈
○ 영국의 EU탈퇴 협상 개시에 따른 경제 변동성 확대
○ 영국-EU 역외국 간 FTA 체결 조짐 가시화
○ 브렉소더스(Brexodus)를 막기 위한 법인세 인하 추진
진출
전략
○ NHS(National Health Service)등을 통한 공공조달기회 활용
○ 도로, 철도 등 인프라 프로젝트 적극 참여
○ 온라인 유통망을 통한 소비재 수출 확대
동남아
베트남
주요
이슈
○ 제 29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 부품소재산업 투자기업에 인센티브 혜택 부여
○ 제 7차 베트남 전력개발계획 수정안 발표
진출
전략
○ 수출품목 다양화 및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한 베트남    
   내수시장 공략 필요
○ 베트남 진출 글로벌 기업에 대한 부품공급 확대
○ ODA프로젝트 뿐 아니라 PPP방식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
미얀마
주요
이슈
○ 미얀마 첫 문민정부, 대내외 기대 속 변화 추구
○ 제재 완화에 따른 대외 경제협력 확산
진출
전략
○ 신규 프로젝트 발굴 및 공적자금 활용 사업을 통한 진출
○ 한류열풍을 통한 소비재 및 서비스업 진출
○ 3대 특별경제구역(짜욱퓨, 드웨이, 띨라와)을 집중 활용
인도
주요
이슈
○ 통합 간접세 도입 및 인도의 경제개혁
○ 한국기업 인도 투자진출 20년, 새로운 기회의 포착
진출
전략
○ 급성장하는 소매유통시장 및 모바일상거래 활용
○ ‘Make In India’ 정책(제조업‧산업 육성)추진에 참여
중동
UAE
주요
이슈
○ 탈석유화와 산업다각화의 중요성 증가
○ 프로젝트 수주환경 변화
진출
전략
○ 급성장하는 내수‧소비재 시장 진출 확대
○ 저유가에 따른 프로젝트 수주 유망분야 적극 공략
이란
주요
이슈
○ 이란 대통령 선거
○ 유가 하락 및 경기 회복세 둔화
○ 국내 산업보호정책 강화 및 환율‧금융시장 개혁
진출
전략
○ 이란 대선에 따른 정책변화 활용
○ 산업협력을 통한 녹다운(skd·ckd) 방식의 수출 강화
○ 이란의 민영화 정책에 따른 M&A기회에 주목
중남미
멕시코
주요
이슈
○ 페소화 환율 등락 지속
○ 친환경에너지 성장 가속
○ 자동차 시장 성장 지속으로 부품시장 성장 기대
진출
전략
○ 기아차 진출 및 글로벌기업 투자와 관련된 부품수요 활용
○ 중남미 한류붐을 활용하여 컨텐츠, 소비재 수출 확대
쿠바
주요
이슈
○ 쿠바의 대외 교역관계 재편
○ 내부 경제개혁 지속적 추진
진출
전략
○ 직‧간접 거래 방식 혼용을 통한 거래규모 확대
○ 수요 맞춤형 투자진출 사업기회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