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및 기타 ICT 동향

하이거 2016. 3. 28. 19:33

무인항공기 산업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및 기타 ICT 동향

 

거점 아메리카 > 미국(워싱턴) > 미국 기술분류 기계·소재 > 로봇/자동화기계

 

보고서종류 산업보고서 등록일 2016.03.24

 

해당안내 링크주소

 

http://www.gtonline.or.kr/kor/data/issue/dataView.do?cPage=1&sch_national_cd=&sch_report_gbn_cd=&sch_tech_1st_gbn_cd=&sch_tech_2nd_gbn_cd=&searchField=&keyword=&data_sid=218821

 

 

목차

I. 무인항공기 산업의 밸류체인

. 무인항공기 주요 제조사 및 기종

. 무인항공기 산업의 운영규정 수립

 

. 무인항공기 주요 기술개발 분야

. 무인항공기 수요 및 기술개발 전망

. 미국 기업 사례 (3D Robotics Ltd.)

주요내용

무인항공기 시장이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밸류체인이 형성되고 있음

 

무인항공기 제조회사, 부품/시스템/SW 개발회사, 부품 공급회사, 운영사, 산업촉진기관, 교육기관, 보험회사, 국제컨퍼런스, 블로그/뉴스/사용자네트워크, 대학 및 연구소 등

 

전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 운영 및 제조사가 증가하고 있으나 미국과 유럽, 중국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으며 국가별로 운영에 관한 규정을 수립중임

 

미국은 FAA(미국연방항공청), 유럽의 경우는 EASA(유럽항공안전 청)에서 무인항공기 운영규정을 수립 중

 

무인항공기의 기술 개발은 기체, 발전(추진동력), 통신·제어·관리, 센서, 정보처리의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과 부품 가격 하락으로 2030~2035년 사이에는 상업용 무인항공기가 군사용 무인항공기의 수요를 넘어설 것으로 보임

 

 

무인항공기 산업은 응용 분야가 다양해 매력적인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스마트폰/IT/소재기술 등 융합기술의 강점을 고려할 때 경쟁력 있는 분야로 판단됨

 

2014년 기준 중국 DJI(매출 5,000억원 규모), 프랑스 Parrot(매출 1,370억원 규모), 미국 3D Robotics(매출 500억원 규모)가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는데, 본 보고서에서는 미국 3D Robotics를 사례로 소개함

 




















 


번호제목기관명생성일자조회수
49631전력소모가 거의 없는 와이파이 기술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6-03-18249
49630『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6-03-24174
49629아세안 단일인증 도입 현황 및 시사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5154
49628수요가 끊이지 않는 호주 전기 및 광섬유 케이블 시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5177
49627오스트리아, 차량용 배터리시장 진출전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4227
49626캐나다, 모바일 게임이 대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4182
49625 3차원 휴먼 동작인식 및 행동인식 기술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03-23197
49624마이크로히팅플랫폼 기술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03-23171
49623영상회의 서비스를 위한 영어 음성인식 기술 (평가용)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03-23152
49622표적 도전 스포츠용 객체 플랫폼 기술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03-23134
49621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16년 3월 5th Week)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16-03-24182
49620 New on Oracle : Oracle Cloud Machine의 등장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24120
49619클라우드가 선사한 인공지능 기술의 자유와 기회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24147
49618특허기술의 전략적 활용지원 특허청2016-03-2337
49617일본 가전시장을 견인하는 미용가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3212
49616일본, IoT 시장 현황 및 전망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3355
49615 EU시장 특성에 따른 우리기업 진출 전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8214
49614모로코 전력산업의 중심,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사업 현황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2206
49613加 온타리오주, 신재생에너지 신규 프로젝트 추진동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1184
49612김진영의 측정과 분석 이야기(7회) : 데이터에 근거한 자기 측정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22206
49611수단 자동차 배터리시장, 한국산 바람 거세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1281
49610나이지리아, 신재생에너지시장 태동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1225
49609잠자는 인도 수력발전을 깨워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21232
49608중국 청두, 국경간 전자상거래 공공서비스 플랫폼 공식 출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8226
49607중국 공업용 로봇 시장 현황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8191
49606인공지능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자율자동차 기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8263
49605웨어러블을 통한 美 뷰티시장의 진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8182
49604스타트업이 데이터를 활용해야할 10가지 이유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21206
49603피트니스 앱으로 배우는 데이터 비즈니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18176
49602글로벌 IT보안의 메카, 'RSA 2016'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8458
49601미래의 에너지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8401
49600인도네시아, 35개 업종 외국기업에 문 활짝!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315
49599‘DeepMind’의 고장, 영국 스타트업 생태계를 가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377
49598中 저장성 정부의 중점 육성산업을 주목하라 ②정보산업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89
49597덴마크 병원서 일회용 의료용품 바람이 분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36
49596프랑스가 비교한 세계 주요국의 미래산업 현황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315
49595캄보디아에 부는 핀테크 바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28
49594일본, 자동차업계와 IT업계는 필요충분 조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39
49593신규 상장기업을 통해 살펴본 일본 진출 유망분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30
49592기지개를 켜는 사우디의 대체에너지 프로젝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193
49591일본 마이넘버제도 도입에 따른 IT시장 진출방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94
49590중동지역 의료기기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73
49589 CIS지역 의료기기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7270
49588캐나다, 2015년 컴퓨터 및 주변기기 구매 트렌드 분석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6293
49587모바일 메신저 경쟁, 누가 살아남을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6339
49586빅데이터 기반 정밀의학, 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6315
49585 2016년 태국 4G 시장 활성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6299
49584주목받는 딥러닝, 보안 측면의 기회와 위협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17342
49583 [빅데이터 기획보고서 제7호] 금융 산업 빅데이터 도입 방안 한국정보화진흥원2016-03-15183
49582 [빅데이터 기획보고서 제6호] 제조 산업 빅데이터 도입 방안 한국정보화진흥원2016-02-29167
49581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16년 3월 4th Week)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16-03-17316
49580정부 R&D 특허기술동향조사사업 성과사례 10選 특허청2015-12-31453
49579미래 특허분쟁 대응전략 시나리오 - 사물인터넷(IoT) 특허청2015-12-31485
49578스마트폰 중심으로 재편되는 말레이시아 휴대폰 시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6324
49577프랑스, 2016년 4월부터 HD TV 방송 전격 도입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6339
49576 2015년 방송심의 사례집 방송통신심의위원회2016-03-16269
49575미국 정밀의료추진계획 추진현황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6-03-14495
49574독일 인더스트리 4.0과 디지털 경제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6-03-04611
49573베이징, 혁신창업을 위한 新출입국정책 시행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4421
49572세르비아, 최신 의료장비 초음파장비 필요성 증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4282
49571점차 넓어지는 인도네시아 모바일 게임 시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4267
49570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한국정보산업연합회2016-03-15524
49569 2016년 독일 IT 산업 최대 화두 '사물인터넷'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4516
49568독일,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지원제도 도입 계획 추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4480
49567인공지능, 문제는 바둑이 아니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14482
49566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16년 3월 3rd Week)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16-03-14437
49565 Medical Japan 2016을 통해 본 日 의료시장 동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1530
49564우버와 Airbnb로 살펴보는 미국의 공유경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0536
49563하이얼의 GE 인수로 북미 가정용 세탁기기시장 판도 변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0466
49562스타트업 장려하는 뉴욕의 창업정책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0494
49561미국, e-커머스 활성화에 물류창고 건설 급증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0425
49560미국 MCN 산업동향을 통해 보는 한국 문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10354
49559꿈틀대는 우즈베키스탄 카드결제산업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9329
49558 3D 프린팅 합성 서비스를 위한 3D 모델 편집 SW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03-09312
49557행동인식 및 감지기술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03-09334
49556배터리형 무선 VDS(Vehicle Detectin System)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6-03-09288
49555아는 사람만 아는 데이터 동기화 기술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11386
49554웹 환경의 변화와 UI/UX의 발전 : 모바일 시대 HTML5부터 IoT 시대 WoT까지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11427
49553관민일체로 핀테크 스타트업 지원 나선 일본, 유망 분야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9407
49552 2017년과 2018년에 주목해야 할 10대 사물인터넷 기술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10607
49551日 분신로봇 '오리히메' 활용도와 가능성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9504
49550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산업의 주춧돌, 팜오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8357
49549스페인, 통신법 환경 변화로 광통신산업 위축 우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8373
49548딥러닝 기반의 음성인식 기술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09653
49547캐나다, 의료기기 시장 진출방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7416
49546日 수은 규제, 공장용 LED 조명에 기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7374
49545로봇이 이끄는 금융경제, 돈을 믿고 맡길 수 있을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7395
49544비대면 인증으로 고객과 대면하라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08371
49543아르헨티나에도 불어오는 스마트워치 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4455
49542파나마의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와 새로운 사업기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4385
49541오렌지보드를 사용하여 7세그먼트로 숫자 표시하기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07387
49540붕괴되는 포털 시대, 콘텐츠 사업자의 갈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07552
49539수단 의료기기 수입시장 현황 및 진출 방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4461
49538멕시코 방송통신시장, 성장 기대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4455
49537中, 도심 내 개인 이동수단(PM)이 뜬다! (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3455
49536 SQL을 잘한다는 기준은 무엇일까?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03457
49535디지털, 속도의 전쟁 VS 데이터, 품질의 전쟁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2016-03-04411
49534중동 주요국 발전기자재 시장보고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2-17382
49533친환경 전력 생산에 목마른 파나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2398
49532베트남 교통 O2O 시장(2) - 베트남 정부, 'Grab Taxi' 시험사업 승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6-03-02367



글로벌기술협력기반육성사업(GT)
심층분석보고서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GT2016-US05

- i-
목 차
I. 무인항공기 산업의 밸류체인 ································································································ 1
Ⅱ. 무인항공기 주요 제조사 및 기종 ······················································································· 5
Ⅲ. 무인항공기 산업의 운영규정 수립 ····················································································· 8
Ⅳ. 무인항공기 주요 기술개발 분야 ······················································································· 10
Ⅴ. 무인항공기 수요 및 기술개발 전망 ················································································· 11
Ⅵ. 미국 기업 사례 (3D Robotics Ltd.) ··············································································· 13

o 무인항공기 시장이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밸류체인이 형성되고 있음
. 무인항공기 제조회사, 부품/시스템/SW 개발회사, 부품 공급회사, 운영사, 산업촉진기관,
교육기관, 보험회사, 국제컨퍼런스, 블로그/뉴스/사용자네트워크, 대학 및 연구소 등
o 전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 운영 및 제조사가 증가하고 있으나 미국과 유럽, 중국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으며 국가별로 운영에 관한 규정을 수립중임
. 미국은 FAA(미국연방항공청), 유럽의 경우는 EASA(유럽항공안전 청)에서 무인항
공기 운영규정을 수립 중
o 무인항공기의 기술 개발은 기체, 발전(추진동력), 통신·제어·관리, 센서, 정보처리의 분
야에 집중되고 있음
o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과 부품 가격 하락으로 2030~2035년 사이에는 상업용 무인항공기
가 군사용 무인항공기의 수요를 넘어설 것으로 보임
o 무인항공기 산업은 응용 분야가 다양해 매력적인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스마트폰/IT/소재기술 등 융합기술의 강점을 고려할 때 경쟁력 있는 분야로 판단됨
o 2014년 기준 중국 DJI(매출 5,000억원 규모), 프랑스 Parrot(매출 1,370억원 규모), 미
국 3D Robotics(매출 500억원 규모)가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는데, 본 보고서
에서는 미국 3D Robotics를 사례로 소개함
주요 내용 요약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2
Ⅰ 무인항공기 산업의 밸류체인
o 글로벌 무인항공기 산업의 밸류 체인(Value Chain)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되어 있고,
아래 그림은 각 이해관계자를 클러스터화하여 무인항공기 산업의 클러스터별 주요 선두 회
사 및 기관(대학 포함)들을 표시하고 있음.
[그림1] 무인항공기 산업의 밸류 체인 2015, www.droneii.com
. [무인항공기 산업 촉진기관] 무인항공기 산업의 발전을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정책 제안을 하는 기관(주요기관 : AUVSI, UAVS, USGS, ARA 등)
. [부품 및 시스템 개발회사] 프레임, 엔진, 프로펠러, 배터리, 안테나, 트랜드미터, 오토파일

Ⅰ. 무인항공기 산업의 밸류체인
3
럿, 스크루/볼트 등 부품 및 시스템 제조 회사 (주요회사 : 오스트리아 TBS, 미국 UNAV,
핀란드 Robonic Ltd 등)
. [국제컨퍼런스] 무인항공기 산업 육성을 위한 국제컨퍼런스 (주요사례 : UAS Sumitt &
Expo, Interdrone 등)
. [무인항공기 운영사(Operator)] 상업용 무인항공기 사용을 위한 딜러(Dealer or Trader)
플랫폼 제공 (주요운영사 : Drones for hire, Airstoc, Book a drone, GECAS, Aercap 등)
. [교육 기관] 무인항공기 운영, 조정, 규정 등에 대한 교육 제공 (주요기관 :
Dartdrones, Udemy 등)
. [보험 회사] 무인항공기 운영 및 조정에 관한 보험상품 판매 (주요회사 : Drone
Insurance, UAV Protect 등)
. [무인항공기 제조회사] 무인항공기 제조회사. 전 세계적으로 100여개가 넘는 회사가 산
업을 이끌어 가고 있으며 신규 회사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그림 2] 글로벌 TOP20 무인항공기 제조사 2015, www.droneii.com
[순위산정 : Google 조회/Tweet/New Items/Drone 수의 합산 기준]
. [Media/News/Blogs/Magazines] 무인항공기 관련 미디어는 주로 미국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주요미디어 : 미국(sUAS Magazine, Bronebly, Dronelife 등), 인도(Unmanned
Magazine), 스위스(Good Drone) 등)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4
. [Service/Software/Systems/OS/Mapping/3D Modeling 개발 회사] 무인항공지도, 유연
비행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등 주요 시스템 개발 (주요회사: Skyward, Dedrone, Airware
등)
. [부품 및 무인항공기 공급자] 무인항공기, 부품, 각종 악세사리 공급자 (주요회사 :
Droneshop, Helipal 등)
. [대학 및 연구소] 무인항공기 산업 관련 교육 및 기술개발 전담 대학 및 연구소
[그림 3] 무인항공기 관련 대학 및 연구소, www.droneii.com
. [사용자 그룹/네트워크] 정보공유 플랫폼 제공 (주요회사 : SUAS global, Shedrones 등)

Ⅱ. 무인항공기 주요 제조사 및 기종
5
Ⅱ 무인항공기 주요 제조사 및 기종
o 전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 운영사 및 제조사의 수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
우 2015년 기준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미국연방항공청)에 의해 승인을 받
은 운영사는 1,700여개에 달하며, 2015년 무인항공기 판매수는 (1분기 133,000대 → 3분기
3,178,000대)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그림 4] 무인항공기 및 운영사 현황 2015, www.droneii.com
o 미국 내에서 판매 및 운영이 승인된 상위 20개의 무인항공기 종류를 살펴보면 중국 회사인
DJI(www.dji.com) 제품이 약 85%, 미국 제조사로 3D Robotics(3rd.com, 5%), Trimble
Navigation(www.trimble.com, 2%), Yuneec(www.yuneec.com, 2%), Lockheed Martin
(www.lockheedmartin.com, 2%), 그리고 스위스 제조사로 Sense Fly(www.sensefly.com)
가 4%의 점유율을 보임.
[그림 5] 미국내 승인된 무인항공기 TOP20 2015, www.droneii.com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6
o 무인항공기의 비행거리/스피드, 체공시간, 적재량 등을 분석하여 Class 1(~1kg), Class 2
(1kg~4kg), Class 3(4kg~25kg), Class 4(25kg~)로 나누어 성능비교를 한 결과 Class 1에서
는 스위스 등 유럽권, Class 2,3에서는 미국 제품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음.
[그림 6] 무인항공기 TOP10 (Class 1), www.droneii.com
[그림 7] 무인항공기 TOP10 (Class 2), www.droneii.com
[그림 8] 무인항공기 TOP10 (Class 3), www.droneii.com

Ⅱ. 무인항공기 주요 제조사 및 기종
7
o Class 4(25kg 이상)의 무인항공기는 종류가 많지 않으나 상업적 유용성으로, 특히 한국의
기술개발 중점 분야에 속하기도 함.
o Roter형식의 25kg 이상의 무인항공기 중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기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구분 UK USA USA
제조사 Advanced UAV Ltd. Advanced
Aviation Technology XactSense
항공기 AT-200 RV-VTOL-25 Series Titan
파워 Rotary Rotary Rotary
타입 Heli Heli Octo
연료 Gas Gas Battery
Endurance 240(min) 120(min) 30(min)
비행거리 1.5(km) 0.5(km) 16.1(km)
o 전체적으로 최고 성능의 무인항공기 제조사를 나라별로 분류할 경우 미국(29%)과 중국
(19%)이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그림 9] 최고 성능 제조사의 나라별 분류, www.droneii.com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8
III 무인항공기 산업의 운영규정 수립
o 국가별로 무인항공기 운영에 관한 규정을 수립하고 있고, 운영규정을 수립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이슈들이 고려되고 있음.
. 항공 규정, 정책, 운영상의 문제
. 환경상의 문제 (소음, 공해 등)
. 안전상의 문제
. 사회적 이슈 (사생활 침해, 사적/공적 방해 행위 등)
[표 1] 국가별 무인항공기 운영규정 수립 관련 기관
국가 기관 국가 기관
Argentina ANAC Korea(S) KOCA
Australia CASA Latvia CAALatvia
Austria AustroControl Luxembourg DAC
Belgium FOD Macau AACM
Brazil ANAC Malaysia DCA
Canada TC Malta TM
China CAAC Mexico DGAC
Colombia ACC Netherlands MIM
Croatia CCAA New Zealand CAANZ
Cyprus MOC Norway CAANorway
Czech Republic CAA Poland DZIENNI
Egypt MOC Portugal ANAC
Estonia DMT Qatar CAAQatar
EU EASA Romania CAARomania
Finland TRAFI Russia FAVT
France DGAC Singapore CAAS
Germany LBA Slovakia DppravnyUrad
Greece HCAA Slovenia URA
Hong Kong CAD South Africa CAASA
Hungary NKH Spain SEG
Iceland AIP Sweden Transportstyrelsen
India DGCA Switzerland BAZL
Indonesia DGCA Taiwan CAATaiwan
Ireland IAA Thailand AVI
Israel CAA Turkey SHGM
Italy ENAC UAE GCAA
Japan JUAV UK UKCAA
Kenya KCAA USA FAA
  Vietnam CAAV
o 미국은 FAA(미국연방항공청), 유럽의 경우는 EASA(유럽항공안전청)에서 무인항공기 운영
규정을 수립중인데, 향후 무인항공기의 상업적 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됨.
2016년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단연 중국 무인항공기제조사의 활약이 두
드러졌는데, 이는 중국의 느슨한 운영규정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됨.

III. 무인항공기 산업의 운영규정 수립
9
[그림 10] 미국/EU 무인항공기 운영규정 수립 관련 진행 현황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10
Ⅳ 무인항공기 주요 기술개발 분야
o 무인항공기 글로벌 시장의 확대로 인한 기술개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
로 크게 5가지 분야에 기술개발이 집중되고 있음.
기술분야 세부내용
Airframe
. 저비용 제조공정을 위해 고분자 복합재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고
성능 금속 합금 처리의 발전도 요구됨
. 각종 수요에 맞게 제작 가능한 3D printing이 기체 제조 기술로
각광받고 있음
. 고도 영구 비행을 위해 탄소 섬유 복합 날개 및 다른 소재와의
혼합형이 각광 받고 있음
Powerplants
(Propulsion)
. 연소엔진, 디젤연료, 제트엔진, 전기시스템, 연료전지, 태양광 발전,
하이브리드 전력 시스템 등의 다양한 동력원은 터빈 엔진, 내부
연소, 배터리의 세 그룹으로 나뉘어 기술개발 되고 있음
Sensors . 원격 감지 기능을 위해 전자기 스펙트럼 검출 센서, 감마 센서, 생
물학 센서, 화학 센서 등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Information processing
. Linux 기반의 Open Source 및 제조업체 각각의 별도 SW 개발 중
. 무인항공기에 최적화된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도 진행 중
. 현재 항공시스템에 접목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 3C(Communication,
Command, Control)에 대한 기술개발 진행 중

Ⅵ. 미국 기업 사례 (3D Robotics Ltd.)
11
Ⅴ 무인항공기 수요 및 기술개발 전망
o 미국 내 무인항공기의 수요는 2030 년~2035 년 사이에 유인항공기의 수요를 넘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상업용 무인항공기의 수요가 군사용 무인항공기 수요를 넘으면서
전형적인 ‘S-Curve 성장곡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함.
[그림 11] 미국 무인항공기 수요예측(2015~2035), UAS Service Demand
2015-2035 Literature Review & Projections of Future Usage
o 최근 스마트폰 제조기술의 발달로 MEM, Accelerometer, Gyroscope, Sensor,
Microcontroller, Navagation system 등 부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DJI(중국), 3D
Robotics(미국) 같은 회사들이 개인 또는 상업적 목적의 무인항공기 르네상스를 주도하고
있음.
o 고성능 센서 및 통신프로토콜의 개발로 인해 무인항공기는 산업의 각 분야(건설, 농업,
자원개발, 보안 산업 등)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취합을 위한 플랫폼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상황임.
o 앞으로 배터리 및 소재 등에 관한 기술개발을 통해 각종 산업에서 무인항공기의 활용은
폭발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함.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12
o 미국 3D Robotics Ltd. 설립자이자 사장인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은 향후
3 년간(2016~2018) 다음과 같이 무인항공기와 관련한 혁신적인 기술들이 도출될 것이라고
예측함.
. 가장 최신의 스마트폰 기술(Qualcomm Snapdragon Platform, Linux Open SW 등)을
활용하여 군사무인항공기 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민간 무인항공기 제조
. 수동 또는 GPS를 활용하여 조정하던 무인항공기가 고성능 센서(Radar, LiDAR, Stero
vision, Sonar 등)를 활용하여 자율비행(Sense-and-Avoid) 무인항공기로 변모
. 메이져 SW 회사(Autodesk, Salesforce, SAP, Google 등)가 인공위성 보다 무인항공기를
주요 데이터 취합 플랫폼으로 활용
. 고화질/고정밀 데이터 취합을 위해 무인항공기가 주된 역할을 하고 인공위성이
보조 역할을 수행
. FAA(미국연방항공청)는 Wi-Fi와 같은 개념으로 확대 할 것으로 전망 (FCC(미국연
방통신위원회)는 Wi-Fi 사용에 대한 통제나 자격증 부여를 하지 않음)

Ⅵ 미국 기업 사례 (3D Robotics Ltd.)
o 3D Robotics(www.3dr.com)의 창업자인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은 자신이
운영하던 블로그인 ‘DIY-Drones (www.diydrones.com)’를 통해 멕시코
티후아나(Tijuana)에 거주하던 Jordi Munoz 라고 하는 10 대 청소년을 만나게 되고, 자체
조립할 수 있는 ‘LEGO Drone Starter Kit’을 판매하기 시작함.
o 2009 년 창업할 당시 55 억원 정도의 수익을 내고 있었고, 2012 년 결국 Wired 매거진(당시
Chief Editor)을 떠나게 됨. 당시 Wired 매거진의 총괄 편집장이 멕시코 10 대 청소년과
로봇제조 회사를 만든다는 것에 대해 주변 모든 사람들은 미친 짓이라고 비난할 정도였음.
o 이후 3D Robotics 는 True Ventures(대표 Jon Callaghan)를 통해 400 억원을 투자받고
지금은 275 명의 직원과 100,000 명이 넘는 글로벌 고객을 보유한 미국 제 1 의 무인항공기
제조사가 되었음.
3DR (3D Robotics)
- 설립년도 : 2009년
- 설립자 : Chris Anderson,
Jordi Munoz
- 매출(2014) : 약500억원
- 본사 : 캘리포니아 버클리
- 제조 : 멕시코 티후아나
- R&D : 샌디에고
- 마케팅 : 텍사스 오스틴
<왼쪽부터 : Jordi Munoz, Chris Anderson, Jon Callaghan>
o 3D Robotics 사의 장점 중 하나는 Open Source 기반의 무인항공기 커뮤니티(DIY
Community)를 운영한다는 점임.
o 2012 년 DIY Community (www.dronecode.org)내에 회사와는 직접 관계없는 관심자들이
APM 이라고 하는 세계 최고의 ‘범용 항공조정 프로그램(Universal flight code)을 만들었고,
이를 기반으로 3D Robotics 사는 스위스 ETH Zurich 연구소와 협력하여 세계 최고의 공개
Autopilot Platform(Pixhawk, www.pixhawk.org)을 만듦.
o 현재 3D Robotics 의 모든 제품은 Pixhawk 를 바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NASA 등
연구소/대학 및 기타 Open Source 기반의 무인항공기 제조사들이 Pixhawk 을 바탕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o 미국에서 무인항공기 산업을 이끌어가는 대표기업으로 3D Robotics 사는 Linux,
Qualcomm, Intel 등과 함께 ‘Dronecode Foundation(www.dronecode.org)’을 설립함.
o 실제로 Intel 의 경우 ‘Edison microprocessor’를 3D Robotics 사의 제품에 적용하는
테스트를 하고 있음. Qualcomm 의 경우는 3D Robotics 에 투자를 하고 최신 스마트폰
기술을 무인항공기에 적용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14
o 3D Robotics 사는 하늘에 슈퍼컴퓨터를 띄운다는 개념에 최신 기술(카메라, 컴퓨터,
센서, 스마트폰, 웹, 기계장치, 전자장치, 소재 등)을 자사의 제품에 적용시키고 있음.
홈페이지 내용
DIYDrones.com 2007년부터 Chris Anderson이 운영하는 Blog 및 커뮤니티
Dronecode.org Linux Foundation에서 운영하는 무인항공기 Open Source 플랫폼
DroneKit 3D Robotics사의 공개 기술개발 플랫폼
Tower 무인항공기 Open Source 커뮤니티
Pixhawk.org Open Hardware Pixhawk 개발 플랫폼
Dronecode Foundation Intel, Qualcomm 등이 참여하는 개발 플랫폼
o 3D Robotics 의 제품 중 SOLO 의 제품 사양을 기준으로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무인항공기의 특성을 분석함. (출처 : drones.specout.com)
- Linux 기반(Open Source)
- 가격 : 1,000$
- Roter 수 : 4개
- 응용분야 : Film&Photo
- Wingspan : 460mm
- 비행시간 : 25분
- 적재량 : 420그램
- 통신거리 : 805미터
- 속도 : 24.6m/s
- 고도 : 122미터
- 조정장치 : Remote Control + Phone/Tablet
- 무게 : 1,500그램
- 바디소재 : Plastic
- Roter 소재 : Plastic
- 모터형태 : Brushless
. Software Type : SW Type에서 Open Source형태(18.69%)는 누구나 자유롭게 성능개
선을 할 수 있는 반면, Proprietary(81.31%)는 해당 무인항공기 제조사 이외에는 접근
이 불가능한 형태
. 가격 : 최소 15$, 평균 3,334$, 최대 300,000$
. Roter 수 : 최소 3개, 평균 4개, 최대 8개
. 응용분야 : Film & Photography >> Recreation/Hobby >> Serveying >> Mapping
>> Racing >> Public Safety >> Agriculture /Construction >> Travel)
. WingSpan : 최소 30mm, 최대 3,401mm

Ⅵ. 미국 기업 사례 (3D Robotics Ltd.)
15
. 비행시간 : 최소 3분, 최대 120분
. 적재량 : 최소 0그램, 최대 99,790그램
. 통신거리 : 최소 8미터, 평균 835.1미터, 최대 26,700미터
. 속도 : 최소 4.9m/s, 평균 15m/s, 최대 33.3m/s
. 고도 : 최소 4미터, 최대 6,100미터
. 조정장치 : Phone/Tablet : 4.61%, Remote Control + Phone/Tablet : 25.73%, Remote
Control : 69.66%
. 무게 : 최소 7그램, 평균 1,908그램, 최대 200,000그램
. 바디 소재 : Plastic 65.5%, Carbon Fiber 21.56%, Plastic+Carbon Fiber 7.55%,
Aluminum 4.04%, Aluminum+Carbon Fiber 1.35%
. Roter 소재 : Plastic 73.92%, Carbon Fiber 19.89%, Plastic+Carbon Fiber 6.18%
. 모터 형태 : Brushless 61.76%, Brushed 38.24%
o 무인항공기 산업이 가장 매력적인 이유는 응용분야가 무수히 많다는 점임.
o 3D Robotics 사는 새로운 혁신의 시대에 선두에 서고자 함. 글로벌 무인항공기
커뮤니티를 이끌어 가는 것 이외에, 연구실, 학교, 현장 등에서 미국 내 무인항공기
관련한 교육을 리드하고 있음.
o 무인항공기를 자체제작 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공개 Pixhawk Autopilot 코드를
제공하고 3DU(www.3dr.com/3du)라는 개념을 통해 무인항공기 관련 교육코스 및
커리큘럼 등을 제공하고 있음.
o 누구든지 쉽게 무인항공기를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스마트폰
첨단부품 제조업체들과의 강한 협력 관계로 인해 3D Robotics 는 중국의 DJI, 프랑스의
Parrot 보다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전문가들이 많은 상황임.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16
o 현재 글로벌 무인항공기 시장은 2014 년 기준 53 억 1000 만달러로 10 년 후에는 124 억
7 천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90% 이상이 군용 무인기이지만
민간 시장 성장률이 연 35%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o 2014 년 기준 중국의 DJI 가 5,000 억원, 프랑스 Parrot 1,370 억원, 미국의 3D Robotics
500 억원 가량의 매출을 달성하고 있는 상황이나, 국내사의 경우 불과 7 억원 수준에
머물고 있음.
o 무인항공기 산업은 우리나라의 스마트폰/IT/소재기술 등 융합기술의 강점을 고려할 때
경쟁력이 있는 분야라고 판단되고, 글로벌 시장에서 무인항공기의 성장속도를 고려할 때
상용화 기술개발이 시급한 분야라고 판단됨.

글로벌기술협력기반육성사업 심층분석보고서
『무인항공기 산업』과 3D-Robotics Ltd.(미국) 사례조사
발 행 일 : 2016년 3월 24일
발 행 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가 격 : 비 매 품
GT 심층분석보고서는 국제기술협력정보시스템(http://gtonline.or.kr)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본 브리프의 내용은 저자 개인의 의견으로 각 기관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합
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