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지능이 디자인하는 미래 11. 15.~16. 코엑스에서 ‘2016 넥스트 콘텐츠 콘퍼런스’ 개최

하이거 2016. 11. 14. 17:21

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지능이 디자인하는 미래 11. 15.~16. 코엑스에서 ‘2016 넥스트 콘텐츠 콘퍼런스개최

게시일 2016.11.14. 담당부서 대중문화산업과

 

 

 




















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지능이 디자인하는 미래
- 11. 15.~16. 코엑스에서 ‘2016 넥스트 콘텐츠 콘퍼런스’ 개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조윤선, 이하 문체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강만석)이 주관하는 ‘2016 넥스트 콘텐츠 콘퍼런스(Next Content Conference)’가 11월 15일(화)부터 16일(수)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넥스트 콘텐츠 콘퍼런스는 국제 콘텐츠 콘퍼런스(DICON)와 문화기술(CT) 포럼이 통합된 새로운 이름이다. ‘미래, 디자인하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권위의 전문가들이 전하는 세계 콘텐츠산업의 최신 동향과 문화기술의 미래 전망을 살펴보고, 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지능 등 미래콘텐츠 전시를 체험할 수 있다.
 
 ‘포켓몬 고’ 열풍으로 살펴본 증강현실․가상현실, 클라우드 등 기조 강연 이어져

  전문가들의 기조강연은 4개의 주제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강연에서는 ▲가상현실(VR) 저널리즘의 발전 가능성과 ▲새로운 시각을 통해 본 가상현실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한다. ▲세 번째 기조강연에서는 현재 전 세계 35개국, 1억 명이 넘는 사용자가 즐기는 세계적 게임인 ‘포켓몬 고’를 개발한 나이앤틱 인터렉션 비주얼 총괄 감독인 데니스 황이 기술과 콘텐츠의 융합에 대한 미래를 조망한다. ▲네 번째 기조강연에서는 신문, 보고서, 누리소통망(SNS) 포스팅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분석해낼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플랫폼인 아이비엠(IBM) 왓슨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사업화 및 신시장 창출의 가능성과 글로벌 한류, 웹툰 등 6개 분과 구성

  또한 이번 콘퍼런스는 6개 분과(세션)로 나누어 진행된다. ▲첫 번째 분과 ‘가상현실의 산업화’에서는 영화 <어벤저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시각효과 연출가인 아이엘엠(ILM, Industrial Light & Magic)의 이승훈 수석 기술 감독과 미국 남가주(USC) 대학 김선호 교수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시장과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두 번째 분과 ‘인공지능의 가능성’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구글의 알파고(Alphago) 등 인공지능에 대한 향후 산업의 변화와 방향성을 진단한다. ▲세 번째 분과 ‘한류의 새로운 도약’에서는 ‘동남아시아 콘텐츠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토크 콘서트 ‘비정상, 한류를 말하다’를 통해 국내 재외국인들의 한류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살펴본다. ▲네 번째 분과 ‘기술의 혁신’에서는 현재 기술의 발전 현황과 향후 전망 등에 대한 강연과 대담이 이어진다. ▲다섯 번째 분과 ‘일상의 재발견’에서는 생활방식(라이프 스타일)과 엔터테인먼트 등을 주제로 가상현실·증강현실·인공지능이 바꾸어놓을 미래의 일상을 상상해본다. ▲마지막으로 특별 분과로 마련된 세계웹툰포럼에서는 ‘디지털 퍼블리싱의 최전선’과 ‘가상현실(VR) 웹툰의 현재와 미래’ 등 웹툰 비즈니스의 진화에 대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된다.

 인공지능 전시작품과 가상현실․증강현실 직접 체험 등 다양한 볼거리도 마련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미래 콘텐츠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시체험관은 코엑스 콘퍼런스룸 402호에 마련된다. ▲캔버스나 터치스크린에 그림을 그리면 인공지능(AI)이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그림을 덧칠하는 ‘하싯 아그라왈(Harshit Agrawal)’의 ‘탠덤(Tandem)’을 비롯해 ▲나선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큐비스트 미러(Cubist Mirror)’, ▲거대자료(빅 데이터)를 활용한 ‘이모션 윈즈(Emotion Winds)’, ▲캐릭터 피규어와 인공지능을 결합한 ‘당당이’와 인공지능 로봇밴드 ‘비트봇 밴드’의 공연, ▲광운대학교의 ‘가상문화재 체험’, ▲가상현실 기기인 에이치티시 바이브(HTC VIVE), ▲가상현실 동작(모션) 캡처 장비인 노이톰(NOITOM)의 퍼셉션 뉴론(Perception Neuron), ▲드래곤플라이의 가상현실게임 ‘스페셜포스’, ▲피엔아이시스템의 ‘가상현실(VR) 롤러코스터‘와 ‘가상현실(VR) 레이싱 게임’ 등 다양한 볼거리들도 준비되어 있다.

  문체부 윤태용 문화콘텐츠실장은 “장르와 산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기존에 없던 새로운 콘텐츠가 등장하는 지금,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촉매제로서 콘텐츠와 문화기술의 만남은 나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는 콘텐츠와 문화기술의 융합이 만들어 갈 미래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우리 콘텐츠 기업들이 글로벌 전략 수립에 필요한 혜안을 얻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별첨  2016 넥스트 콘텐츠 콘퍼런스 개요 등


별첨1

 Next Content Conference 2016 개요


□ 컨퍼런스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가. Next Content Conference: 2016년 11월 15일(화) / 코엑스
  나. 전시 및 체험관: 2016년 11월 15일(화) - 16(수) / 코엑스
ㅇ 주최 / 주관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콘텐츠진흥원
ㅇ 참가자 : 총 2,000여 명
ㅇ 공식 언어 : 한국어, 영어 (동시통역 제공)
ㅇ 주제 : ‘미래, 디자인하다’
ㅇ 목적 : 콘텐츠와 최신 문화기술(CT)의 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타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콘텐츠산업의 확장에 대한 미래비전 공유


□ 행사장 배치도


별첨2

 콘퍼런스 세부 프로그램

□ 1일차 – 오프닝 세레머니 및 기조연설

시간
프로그램
09:00-10:00
참가등록 및 관객입장
10:20-10:30
안내 및 장내 소개
10:30-11:10
해외기조 1
‘VR저널리즘’(Nonny de la pena)
11:10-11:50
해외기조 2
‘새로운 시선으로 미래를 바라보다’(지미 펑)
11:50-13:00
브레이크타임
개막식
13:00-13:15
오프닝영상
주제: “미래, 디자인하다”
환영사
한국콘텐츠진흥원
축사
문화체육관광부
13:15-13:55
해외기조3
‘융합으로 바라본 미래’(데니스 황)

□ 1일차 - 콘퍼런스 (11.15)

시간
프로그램
401호
300호
301호
15:00 - 16:30
[콘퍼런스 1-1]

가상현실: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 창출
[콘퍼런스 2-1]

인공지능:
열린 가능성을
말하다
[콘퍼런스 3-1]

글로벌 영역확장:
동남아시장 현황과
진출전략
16:30 ~ 18:00

[콘퍼런스 1-2]

가상현실:
현장에서의 VR
[콘퍼런스 2-2]

인공지능:
미래의 재화를
꿈꾸다
[콘퍼런스 3-2]

글로벌 영역확장:
콘텐츠 비정상회담
- 주한외국인이 본 K-콘텐츠
□ 2일차 - 콘퍼런스 (11.16)

시간
프로그램
401호
300호
301호
14:00 - 15:30
[콘퍼런스 4-1]

기술혁신:
현실로 다가 온 미래 기술
[콘퍼런스 5-1]

미래변화:
라이프 스타일
(교육, 마케팅, 의료)
[세계웹툰포럼]

웹툰비지니스의 진화 : 디지털 퍼블리싱의 최전선
15:30 ~ 17:00

[콘퍼런스 4-2]

기술혁신:
콘텐츠 체험의 변화
[콘퍼런스 5-2]

미래변화:
엔테터이먼트
(쇼핑. 여행, 놀이)
   [세계웹툰포럼]

웹툰비지니스의 진화 :
VR 웹툰의 현재와 미래



별첨3

 콘퍼런스 주요내용 및 연사 소개


□ 기조강연

구분
성명
프로필
11.15
<기조 1>
Nonny
de la Peña
‣ VR 다큐멘터리 제작사 ‘엠블러매틱 그룹’ 대표 
‣ 뉴욕타임즈, 뉴스위크 등 특파원 기자
   - VR계의 선구자, 몰입 저널리즘(Immersive Journalism) 분야의 대부
   -‘Fast Company’(미국 월간 잡지사)에서 “세상을 창의적으로                만드는 13인” 선정
   - 선댄스 영화제에서 CG VR로 재현한 사고 현장을 공개한 기아(Hunger)’출품
   - 시리아의 폭탄테러를 녹취, 증언등을 바탕으로 현장을 3D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한 ‘프로젝트 시리아’ 기획
11.15
<기조2>
Jimmy
Feng
‣ IT기기 회사 ‘HTC’ 대표
‣  ‘딜로이트 컨설팅’ 최고 컨설턴트
    - ‘보스턴컨설팅그룹’의 프로젝트 리더 역임
    - ‘HTC’사의 VR기기인 ‘바이브’는 지스타 2015에 출품된 바 있고 다양한        시뮬레이터들과 함께 VR계의 대표주자로 떠오르는 기업
11.15
<기조3>
Dennis Hwang
‣  현 Niantic, Inc, 인터렉션 비쥬얼 디자인 디렉터
‣  'Pokemen GO' 총괄 아트디렉터, 나이앤틱 스타트업 멤버
    - 혁신적 위치기반 모바일 앱 등의 UX 및 비쥬얼 디자인 총괄
      (Ingress, Pokémon GO 등)
    - 전 구글 웹페이지 총괄책임자, 스페셜 에디션 로고 디자이너
    - 대표작품: 구글 로고 홀리데이 버전 및 스페셜 에디션 수백개                  이상 작업.
      (Original Designer of Google Doodle logo 2000 ~ 2009)
      Ingress, Pokémon GO 등 다수
11.16
<기조4>
Armando Arismendi
‣  현 IBM 왓슨그룹 클라우드 테크놀로지 & 서포트 부사장
‣  정부기관 특별 프로젝트 디렉터
    - IBM 36년 근무 (1980년 입사)
    - IBM Global Services Excellence Award 수상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관련 스페인, 마드리드와 호주, 시드니에서의 업무수행 관련)
    - IBM Exceptional Advocate Award 수상 (2005)
    - 미국 조지 W.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President's Volunteer Service Award 수상 (2005)
    - 히스패닉 사회에 전문성 환원한 공로로 HENAAC 의장상 수상 (2014)

□ (1세션) 가상현실의 산업화 (Business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 금년 전세계 ICT 시장의 유행과 기술을 주도하는 대표적 행사인 MWC(Mobile World Congress)와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의 핵심키워드는 가상현실 이었고 이에 2016년은 VR/AR의 원년, 혹은 실감형 콘텐츠의 전환점이 될 것 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에 콘퍼런스1에서는 VR/AR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해 보고 시장의 성장성 및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트랙1-1에서는 공급자의 측면에서 VR/AR로 인한 비즈니스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VR/AR 상품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판로를 위한 플랫폼 비즈니스, 커머스와 콘텐츠의 경계가 사라지는 새로운 수익모델의 대두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어 트랙1-2에서는 게임 산업, 방송 산업, 공연 산업 등 각 장르 산업에서 VR/AR로 인한 실질적 변화, 전망 및 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1-1> 가상현실, 비즈니스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다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이성춘

KT경제경영연구소 / 상무
-한국 최대 IPTV 기업 KT에서 미디어정책과 전략을 연구
-한국방송개발원에서 방송 프로그램 제작, 편성에 대해 연구한 후, 미국 USC에서 석사, 인디애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Moderator
알레시아 아브라미스
(Alethea Avramis)

Specular Theory, Inc. / 프로듀서
-미국 VR콘텐츠 제작 전문 회사의 프로듀서 겸 작가
-2012년 ‘Foreigner'로 Emmy상을 받음. 2015년에는 Emmy상을 받은 시리즈인 ’Home Made Simple'과 ‘The Great Food Truck Race'를 프로듀스 하는 등 다수의 작품을 제작
스토리
텔링
안준한
(Joseph J. Ahn)


87870 (幸福互动(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 COO
-세계 최고 수준으로 알려진 중국 VR산업에서도 키플레이어로 손꼽히고 있는 NO.1 VR User Platform 幸福互动(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 87870 COO
플랫폼
김선호

USC IMSC / 부소장
-미국 USC 통합 미디어 시스템 센터 어소시에이트 디렉터
-KSEA-SC(Korean 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Southern California Chapter), KOCSEA(Korean Computer Scientists and Engineers in America) 회장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1-2> 산업의 미래를 가상현실에서 찾다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정재민

KAIST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 교수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방송사 피디와 신문사 기자로 근무
-웨스트 플로리다 대학교와 서울여대 교수를 거쳐 현재 카이스트 정보미디어 경영대학원에서 재직중.
-카이스트 사회적기업가 MBA 프로그램의 책임교수로 재직
Moderator
최정환

㈜스코넬 엔터테인먼트 / 부사장
-국내 최초로 기어VR용 게임 ‘모탈블리츠 VR'을 론칭/ 체감형 디바이스 통합 플랫폼 개발을 총괄 담당하고 있음
게임
산업
소피 추이
(Sophie
Chui)

LeEco / 아태지역 특별 프로젝트 컨설턴트
-중국 동영상 콘텐츠 분야 선두주자 러에코(LeEco)
-동영상 및 TV 콘텐츠 제작관련 오래 경력이 있고 영상이 VR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대한  비즈니스 전문가
-자회사 LeVR은 셀러브리티 인터뷰, 라이브 공연, VR 영화를 위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음
영상
산업
이승훈

ILM / Creature Supervisor
-조지 루카스가 설립한 비쥬얼 이펙트(VFX)를 제작하는 미국 최고의 디지털 특수효과 회사
-‘영화'어벤저스2'의 특수효과를 총괄했으며 '아바타' '캐리비안의 해적''트랜스포머'등 제작에 참여
영화
산업

□ (2세션) 인공지능의 가능성  (Future of AI)

 - 구글의 알파고(AlphaGo), IBM의 왓슨(Watson) 등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며 트렌드의 정점에 있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향후 세계 콘텐츠 산업의 변화 및 방향성 진단
 -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를 맞아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대한 과학기술, 산업, 예술, 인문 등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 간 논의
 - 인공지능, 로봇, 바이오 등 지능형 융복합 콘텐츠를 중심으로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국민들과의 교류의 장 마련

<2-1> 열린 가능성을 말하다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최두은

큐레이터
-아트센터 나비 겸임 큐레이터
-서울문화재단 금천예술공장 다빈치 크리에이티브 2017 예술감독
-미국 달라스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Aurora 2017 공동 큐레이터
모더
레이터
켄릭 맥도웰
(Kenric McDowell)

Google / AMI 프로듀서
-키워드: 산업(기술, 기획) / AI 아트 프로젝트, 머신러닝, 예술
-구글 내 AMI 그룹 AI프로젝트 큐레이터이자 엔지니어
-마젠타 프로젝트 등 구글 내 머신러닝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기게와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발표
연사
장병탁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교수
-학계(기술) / 국내외 인공지능 기술 개발 현황
-국내 AI 연구 권위자로 인공지능 기술 발전사와 현재 머신러닝, 인공신경망 활용 연구 소개,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의 결합을 통한 휴먼증강 하이퍼지능까지 연결하며 앞으로 도래할 인간다운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발표
연사
골란 레빈
(Golan Levin)

카네기멜론대학교 / 교수, 아티스트
-키워드: 문화(예술) / 컴퓨팅 아트, 로보틱스, 인터랙션 디자인
-인지과학과 기계공학을 접목한 예술활동을 해오고 있는 아티스트이자 엔지니어. 비주얼 인식 기술 등 인공지능 기반 기술을 활용한 사례를 통해 표현의 한계를 확장하는 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발표
연사

<2-2> 미래의 재화를 꿈꾸다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정상근

SK텔레콤 AI Tech Lab
-키워드: 산업(기술) / 인공지능, 자율성, 머신러닝, 딥러닝
모더
레이터
김영욱

한국 마이크로 소프트 / 개발자 및 플랫폼 사업 총괄
-키워드: 산업(기술) / 소프트웨어 발전 방향, IoT 플랫폼, ICT생태계
-마이크로소프트 내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사례와 산업 내 기술자로서 바라보는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한 발표.
연사
이기열

SK C&C / 디지털금융사업부문 총괄책임자
-키워드: 산업(마케팅) / 기술전략, 시장마케팅
-SK C&C 의 인공지능 서비스 AIBRIL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 내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 및 앞으로의 비전에 대한 발표
연사
모리스 베나윤
(Maurice Benayoun)

홍콩시티대학교 / School of Creative Media 교수
-키워드: 문화(예술) / 미디어 아트, 바이오, 디지털 페브리케이션
-빅데이터와 EEG를 활용해 인간이 지닌 감정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 알고리즘, 빅데이터 등 기술을 사용한 작업사례를 통해 산업에 영감을 주는 예술에 대하여 발표
연사


□ (3세션) 한류의 새로운 도약 (Hallyu to the Next Stage)

<3-1> 한류, 동남아시아를 품다
 - 한국 콘텐츠의 전략 시장으로 RCEP 국가들에 주목하여 각 시장의 트렌드 및 투자 동향과 통상관련 이슈들을 살펴보고, 한국 콘텐츠의 시장 진출 방안을 논의하며 더 나아가 콘텐츠 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정달영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 교수
-콘텐츠 해외진출 및 투자 동향 연구 발표
-前 (주)아이엠지예술기획 부사장, 국립극장전속단체 국립극단 총무
Moderator
한경진

인도네시아 RCTI / 제작국장
-인도네시아 최대 민영방송사 책임PD
-전) 인도네시아 트랜스TV 제작본부장
-SBS ‘좋은친구들’, ‘일요일이 좋다’ 연출 PD
인도네시아
토비 찬
(Toby Chan)

C.T.H.H. Culture and Media (Shenzhen) Ltd / Managing Director
-홍콩 크리에이티브 산업의 대표자로 알려져 있음
-브랜드 라이센싱, 마케팅 프로모션, 어린이 출판물 제작, 애니메이션 제작 등 다양한 사업에 종사
-영화 “My Life as McDull” 제작
홍콩
샬레름차이
마하티시리
(Chalermchai Mahagtisiri)

태국 411ent / 대표
-태국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회사. 한국 콘텐츠를 많이 수입하고 있고 태국 내 한국 가수들 콘서트 등을 많이 진행하고 있음
태국


<3-2> 비정상회담, 한류를 말하다
 - 색다른(Unusual) 사람들의 회담!
   다양한 권역, 국가의 패널들의 토론을 통해 듣는 각국 콘텐츠의 트렌드 및 한국 콘텐츠의 현지화 가능성에 대한 캐쥬얼한 토론을 진행하고자 한다.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문소리

SBS CNBC / 아나운서
-2016 문화창조아카데미 크리에이터 대담 진행
-창의융합콘서트, TECH+ 진행
-다양한 토크쇼 및 토론 진행 중
사회
미샤노바 마리아

우즈베키스탄
-EBS 한국어 방송 패널 활동 중
-한국 거주 14년차
-다양한 방송 프로 패널로 활동
우즈베키스탄
샌더 룸머

네덜란드
-한국 거주 3년차
-비정상회담 네덜란드편 대표로 참여
-KBS 아침이 좋다 패널 활동
네덜란드
알파고 시나씨

터키
-한국전문뉴스포털 ‘하베르코레’ 편집장
-터키, 이란 등 중동 전문가로 활동
-전) 지한통신사 한국특파원
터키
황지군

중국
-한국 거주 8년차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대학원생
중국


□ (4세션) 기술의 혁신 (Innovation of Technology)
 - 현재 기술이 어디까지 와있고 향후 전망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로 인해 콘텐츠 산업에 요구되는 변화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인공지능과 가상증강현실 분야 권위자의 특별 강연과 대담을 통해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고 이어 VR로 인해 새롭게 체험해 볼 수 있는 경험과 VR기술을 이용한 콘텐츠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4-1> 미래기술, 상상이 현실이 되다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조영신

SK경영경제연구소 / 수석연구원
-서울 디지털 포럼의 심화세션을 기획 / 진행했고 <미디어의 관점에서 본 IoT와 방송시장의 변화> 등과 같은 논문을 다수 작성했으며, MCN 등 신흥 산업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현장과 밀접한 연구를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Moderator
알만도
아리스멘디
(Armado
 Arismendi)

IBM Watson Group / Vice President
- 전세계 클라우드 인프라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Cloud Technology & Support 그룹을 총괄하고 있음
- 미국 정부의 안보를 위한 슈퍼컴퓨터 개발 연구를 총괄하는 등 36년간 IBM에 재직하며 다양한 연구를 이끌어 옴
AI
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 교수
-증강현실연구 권위자
-증강현실연구센터 센터장
AR
특별 대담


<4-2> 미래기술, 콘텐츠의 진화를 이끌다

성명
사진
프로필
주제
정동훈

광운대학교 /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아칸사 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컬럼비아 대학교의 컴퓨터사이언스학과에서 방문학자를 역임한 바 있다.
-인간경험(UX)을 분석함으로써 마케팅과 정책에 대한 실행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것을 주요한 연구분야로 삼고 있다.
-베스트 티처상과 우수 연구상 등 14개의 수상
Moderator
아리엘 탈비
(Ariel Talbi)

타칸토 버츄얼 리얼리티(Takanto Virtual Reality) / CEO
-싱가포르 대표적 VR 영상 및 앱 제작 회사
-2006 Virtual Reality Symposium (Singapore) 연사
VR 콘텐츠
피터 유
(Peter Yu)

제트원모션(JetOneMotion) / CEO
-홍콩 대표적 VR체험공간. 단순 VR안경을 끼고 감상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체험기기와 프로그램 운영. 또한 VR을 이용한 전문가 트레이닝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음
어트
렉션
정덕영

Clicked / 대표
-지난 3년간 세계에서 가장 많은 LBE base의 VR컨텐츠를 제작해 온 회사중의 하나임.
VR
제작 기술


□ (5세션) 일상의 재발견 (Rediscovery of Daily Life)
 - VR/AR/AI 등으로 인한 일상의 변화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청중들이 이러한 기술로 인한 콘텐츠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는 세션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쇼핑, 비즈니스, 의료, 여행, 교육, 놀이 등으로 테마를 잡아 분야별로 기존 콘텐츠와 대비되는 변화에 대해 시연 및 발표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다가올 미래에 대해 느껴보고 상상해 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한다.

<5-1> NEXT Big Thing, 라이프스타일을 바꾸다 (교육, 비즈니스, 의료)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두일철

동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인문‧문화예술(CT) 분야의 산학협력 전문가
-융합소프트웨어교육권 부원장,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이사
Moderator
데이비드 킴
(David Kim)

이온리얼리티(Eon Reality)코리아 / 대표
-세계적인 VR 선도기업 이온리얼리티는 산업 교육 프로그램 등 여러가지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
교육
셀리아 첸
(Celia Chen)

LeVR /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전략 부장
-동영상 콘텐츠 분야 선두주자 러에코(LeEco)의 VR전문 자회사
-LeVR은 셀러브리티 인터뷰, 라이브 공연, VR 영화를 위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음
비즈니스
현정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선임연구원
-일본 동경공업대학교의 박사 과정 졸업. 가상/증강현실에 관한 연구.
-일본 산업기술총합연구소(AIST)에서 증강현실과 서비스 공학을 접목한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의료IT융합에 관한 연구 중.
의료


<5-2> NEXT Big Thing, 미래의 행복을 전하다 (쇼핑, 여행, 놀이)

성명
사진
프로필
비고
윤은상

건국대학교, CAF Inc. / 겸임교수, 대표
-미국 위스콘신대 박사
-대표로 있는 카프는 네이버에서 투자를 받아 설립되었고 웹툰, SNS, 온라인 광고를 망라한 온라인홍보사업을 주축으로 하고 그 외에 소프트웨어 개발, 디지털방송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Moderator
마사히로
야먀구치
(Masahiro
Yamaguchi)

사이킥VR랩(Psychic VR Lab) / CEO
-‘STYLY' 가상현실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HMD로 장착해 가상공간 접속, 해당 브랜드 매장 제품 획인 및 온라인 결제 구매 가능. 의류전용 3D스캐너로 데이터화
쇼핑
발레리 콘드룩
(Valeriy Kondruk)

아스케이프VR(Ascape VR) / CEO
-세계적인 VR 여행 컨텐츠 앱 전문 회사
-2015년에만 세계적으로 15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Virtual Vacations'을 체험함
여행
최석영

감성놀이터 / CEO, New Media Artist
-VR을 활용한 뉴미디어 전시뿐만 아니라 심리치료 VR콘텐츠개발과 어린이를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와 SeeSeaVR을 통해 광주ACE페어에서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유수의 기업과 MOU를 체결
-최근 꿀벌생태체험VR을 제작하여 실제꿀벌의 입장에서 직접 꿀벌이 되어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 중
여흥





□ (6세션) 웹툰 비즈니스의 진화

성명
사진
프로필
신종민
(모더레이터)

EGA / 대표
- 마블코믹스가 한국에서 접촉하는 유일한 에이전시이며 미국   출판사와 직접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 작가의 코믹 북에 대한 공동   출판 진행하고 있음
Luc Bourcier

izneo / 대표
- 수천권에 달하는 책을 열람할 수 있는 유럽 최대의 디지털 코믹   플랫폼 대표
- 현재 유럽권에서 디지털 만화를 판매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성장했음
Didier Borg

Delitoon / 대표
- 수천권에 달하는 책을 열람할 수 있는 유럽 최대의 디지털 코믹   플랫폼 대표
- 현재 유럽권에서 디지털 만화를 판매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성장했음
미정

DarkHorse Comics / 미정
- 미국에서 3번째로 큰 만화출판사- 전세계 60개의 퍼블리셔에 20개 이상의 언어로 출판물들을   수출하고 있음
김숙

한국콘텐츠진흥원 / 박사
- MBC 시청자 연구소 연구원- 채널A 편성기획팀 연구원
- 이화여대 언론학 박사
- (현) 한국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원 : 만화/웹툰, 이야기산업 분야   정책연구 담당

Mitchell Broner Squire

Oniride / 공동대표
- VR을 활용한  VR 코믹을 제작하는 VR 플랫폼 활용 스타트업
- 2014년부터 Magnétique 라는 VR 코믹을 제작 중이며 영어와     이탈리아어로 개발됨, 2017년까지 중국어로 번역하여 배포할 계획 있음
김정호

나인픽셀즈 / 대표
- 모션코믹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곰코믹스‘ 플랫폼   제작/서비스- 곰코믹스 출시 후 만화 카테고리 1위 차지  (2014년 기준)- 2014 글로벌모바일비전 해외외신 혁신 부문 금상 수상


별첨4

 체험관 전시리스트와 공간구성


□ 전시리스트

전시내용
전시업체
비고
하싯아그라왈(1.작품) Tandem(2016)
아트센터나비
AI
모리스베나윤(1.작품)Emotion Winds 2015
진 코건(2.작품)Cubism Mirror 2016, Kandansky Mirror 2016
가상문화재 체험
광운대학교
VR
HTC VIVE
HTC VIVE
VR․AR
Perception Neuron
Noitom
스페셜포스 및 또봇 VR
드레곤플라이
VR 롤러코스터 시뮬레이터
피앤아이시스템
VR레이싱 시뮬레이터
Beat Bots Band(2015), 당당이(2016)
아트센터나비
AI


□ 공간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