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ISO IEC JTC1 신규분과위원회 간사국진출- 사물인터넷(IoT), 센서네트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표준화 활동 주도권 확보

하이거 2016. 11. 14. 18:33

ISO IEC JTC1 신규분과위원회 간사국진출- 사물인터넷(IoT), 센서네트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표준화 활동 주도권 확보

 

작성일 : 2016. 11. 14.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자원기획과

 






ISO/IEC JTC 1 총회에서 신규 분과위원회(SC 41) 간사국 진출
 - 사물인터넷(IoT), 센서네트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표준화 활동 주도권 확보 -



□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유대선)은 2016년 11월 10일 ISO/IEC JTC 1* 총회(’16.11.7~11.11, 노르웨이)에서 신설된 SC 41(IoT 및 관련기술 : Internet of Things and related technologies)에 우리나라가 간사국으로 진출했다고 밝혔다.
   * ISO/IEC JTC 1(정보기술) : 산하 21개의 SC(Sub Committee)를 거느린 정보기술 분야 국제표준화를 총괄하는 기술위원회

 ㅇ 신규 분과위원회(SC 41)는 사물인터넷(IoT) 및 관련 영역인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을 담당하며, ISO(국제표준화기구),  IEC(국제전기통신기구) 그리고 JTC 1 산하 타 위원회들에 사물인터넷(IoT) 관련 응용기술에 대한 표준화 지침도 제공하게 된다.

 ㅇ 유대선 국립전파연구원장은 이번 간사국* 진출을 확정함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등 관련 분야에 대한 표준화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한층 강화하고 표준화를 주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간사국 : 기술위원회(TC) 또는 분과위원회(SC)에게 기술 및 관리 업무를 제공하는 책임을 맞도록 상호합의에 의해 지정된 국가기관

 ㅇ 또한, 금번 총회에서 JTC 1 산하에 설립된 3D 프린팅 및 스캐닝 연구반(Study Group)에 이병남 박사(한국전자통신연구원)가 의장으로 선임됨에 따라, 3D 프린팅 관련 기술의 국제 표준화 연구도 우리나라가 주도하게 되었다.



참고

 ISO/IEC JTC 1 개요


 o JTC 1 “정보기술”은 1987년 ISO와 IEC가 공동으로 구성 운영하는 기술위원회로서 IT분야 전반의 국제 표준을 개발

   * 사용자 친화적 및 인간공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사무기기, IT 시스템 및 툴(Tool)의 설계와 개발, 상호운용성, 식별카드, 압축기술 등

 o 회원국 : P-멤버 33개국, O-멤버 62개국

   * 미국이 의장, 간사국 수임


SC
이름
내용
2
문자코드
Coded character sets : 각국의 문자코드(한글자모, 한자 포함)에 대하여 국제적인 정보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준화
6
정보통신기술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시스템 기능, 절차 및 파라미터와 기기 사용 조건 및 기기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개방형 시스템간의 정보 교환을 관장하는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표준화
7
소프트웨어
Software and system engineering :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개발자, 공급자 및 교육자를 위해서 소프트웨어공학 기술과 서비스 및 제품에 대한표준화
17
식별카드 
Cards and Personal Identification : 신원 확인 및 관련 문서, 카드 그리고 산업간 응용 및 국제적 정보교환에 관련된 장치들에 대한 표준화
22
프로그래밍언어
Programming Languages, their Environments and Systems Software Interfaces : 다른 분과 또는 기술 위원회에 할당된 분야를 제외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시스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화
23
기록매체:카트리지
Digital Storate Media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정보처리 시스템 사이에 정보교환을 위한 디지털 저장매체의 표준화
24
컴퓨터그래픽스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 : 컴퓨터 그래픽, 영상처리 및 환경데이터의 시각적 표현,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표준화
25
정보기기상호접속 
Interconne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보 기술 설비를 위한 상호연결 매체에 대한 표준화
27
정보보안기술 
IT Security Techniques : 정보기술 보안을 위한 일반적 방법과 기술에 대한 표준화. 암호화 알고리즘의 표준화, 정보기술 시스템 보안 서비스를 위한 일반적 요구 명세, 보안 기술 및 메커니즘 개발, 문서 및 표준을 지원하는 관리 개발을 포함
28
사무기기
Office Equipment : 프린터, 복사기, 디지털 스캐너,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기기의 기본 특성, 시험방법 및 기타 관련 항목에 대한 표준화
29
멀티미디어부호화표현 
Coding of Audio, Picture, and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 문자 코딩을 제외한 오디오, 그림, 멀티미디어 및 하이퍼미디어 정보의 코드화 표현과 이들 정보와 함께 사용될 압축 및 제어기능 등에 표준화 작업을 수행
31
데이터 인식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 바코드, RFID, RTLS 등과 같은 자동인식 및 데이터획득을 위한 데이터 부호화 및 기술, 데이터 구조, 자료포맷에 대한 표준화
32
데이터관리서비스 
Data Management and Interchange : 지역 및 분산 정보 시스템 환경에서 데이터 관리를 위한 표준화
34
전자문서 처리 언어
Document Description and Processing Languages : 하이퍼미디어 문서의 묘사 및 처리를 위한 문서구조, 이종 문서형식간 상호호환, 언어 및 관련 기법 분야의 표준화
35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s : 입출력 장치를 포함한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 분야의 표준화
36
교육정보
Information Technology for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 학습자, 학습 기관 및 학습 자원에 대한 자동화를 지원하는 정보기술 분야에서의 표준화
37
생체인식
Biometrics :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 사이의 상호운용성과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기 위한 생체인식 기술의 표준화. 공통파일포맷,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생체인식 템플릿, 템플릿 보안, 적합성 평가를 위한 방법 등을 포함
38
분산응용 플랫폼 및 서비스
Distributed Application Platform and Service (DAPS) : 상호운용이 가능한 분산응용플랫폼 및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 활동으로 웹서비스, 서비스지향 아키텍쳐,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함
39
지속가능한 IT(그린 ICT)
Sustainability for and by Information Technology : IT 분야의 친환경 및 에너지 소비 감소/에너지 소비 효율 향상을 위한 개발, 관리, 운영 등에 대한 표준화를 활동 범위로 하며, 특히 데이터센터 분야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다루고 있음
40
IT 서비스 관리 및 거버넌스
Standardization of IT Service Management and IT Governance : SC27 및 SC38의 범위를 제외한 audit, digital forensics, risk 관리, 아웃소싱, 서비스 운용 및 유지 등 IT 서비스 관리 및 IT Governance에 대한 표준화
41
IoT 및 관련기술(Internet of Things and related technologies)
사물인터넷(IoT) 및 이와 관련 영역인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표준화
 o 구성 : 20개의 SC 및 4개의 WG, 자문위원회(JAG)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