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시상식 및 활용 박람회 열린다- 11. 15.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16 문화데이터 융합 페스티벌 개최
게시일 2016.11.14. 담당부서 정보화담당관
http://www.culture.go.kr/contest/awards.do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시상식 및 활용 박람회 열린다
- 11. 15.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16 문화데이터 융합 페스티벌 개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조윤선, 이하 문체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이 주관하는 ‘2016 문화데이터 융합 페스티벌’이 11월 15일(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제4회 정부3.0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이하 경진대회) 수상팀과 문화데이터 개방 우수기관에 대해 시상하고, 그간의 문화 분야 공공데이터(이하 문화데이터) 개방 성과를 국민들에게 보고한다.
전시와 세미나, 토크콘서트 등 다채로운 행사 진행
또한, 문화데이터 분야별 활용 우수사례와 활용기업 간 융・복합사례를 전시하고, ‘문화데이터 활용 방안’,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 등을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된다. 그간의 문화데이터 우수 활용 사례를 수록한 ‘문화데이터 활용 사례집’도 현장에서 배포한다.
특히, 벤처스퀘어 명승은 대표와 케이 아이시티(K-ICT)본투글로벌센터 김종삽 센터장 등 창업 전문가와 스타트업 대표들이 함께하는 토크콘서트에서는 문화데이터를 활용한 창업을 흥미롭고 쉽게 설명할 예정이다.
경진대회 대상 스폰서 등 12개 팀, 개방 우수 대상 저작권위 등 6개 기관 시상
아울러 경진대회와 문화데이터 개방 우수기관에 대한 시상도 진행된다. 경진대회의 ‘제품 개발・창업’ 분야에서는 ‘공연자를 위한 토털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폰서’(대상)를 비롯해 플레이콕(최우수상), ㈜컨트릭스랩(우수상), 보그앤보야지(우수상), 스리디(3D)업앤다운(장려상), (주)포워드퓨쳐(장려상), 아트맵(장려상)이 상을 받는다. 경진대회의 ‘아이디어’ 분야에서는 ‘한국 안내 서비스 앱 플랫폼, 워커즈’ 서비스를 제안한 ‘바모스’(대상)를 비롯해 김혜성(최우수상), 노승주(우수상), 이닛시, 박소정(우수상), 코발트(장려상), 궁(宮)금하지!(장려상), 어반트레져(특별상) 등 14개 팀이 수상한다.
‘문화데이터 개방 우수기관’으로는 한국저작권위원회(대상)를 비롯해, 국립중앙도서관(최우수상)과 한국정책방송원(우수상), 영화진흥위원회(우수상), 국립국어원(장려상), 한국관광공사(장려상) 등 6개 기관이 수상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제 단순히 한 가지 분야의 데이터만 활용해 서비스를 구상하는 단계를 넘어서 다양한 데이터를 융합해 신규서비스를 창출하는 사례가 늘어났다.”라며 “특히 올해는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아이디어 사례가 부쩍 늘어났으며, 그 외에도 3차원(3D)프린팅이나 가상현실(VR)서비스 등 문화데이터와 신기술의 융합 사례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라고 밝혔다.
문화데이터 활용에 관심 있는 국민이면 누구나 이번 행사에 참가할 수 있으며, 행사의 공식 누리집(www.culture.go.kr/contest/awards.do)에 접속하면 자세한 행사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참가 신청도 할 수 있다.
별첨 1. 2015년도 행사 주요 사진
2. 제4회 정부 3.0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수상작
붙임1
지난해(2015년도) 행사 주요 사진
붙임2
제4회 정부 3.0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수상작
제품개발•창업 부문
순위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비고
[제품개발/창업]
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상금 10,000,000원)
스폰서
공연자를 위한 토탈솔루션
(공연장 정보 및 장비 렌탈 서비스 APP)
[관광]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스폰서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공연장소 정보, 버스킹 수요 증가에 따른 통합 서비스 제공 및 버스킹 장비 가격 부담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된 앱으로 전국 모든 공연장 정보 검색, 버스킹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고 이미지
순위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비고
[제품개발/창업]
최우수상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위원장상
(상금 7,000,000원)
플레이콕
공공장소를 활용한 스포츠 교육 연결 서비스
[체육]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플레이콕은 스포츠 액티비티 플랫폼으로 사설 시설과의 제휴를 통한 신규 교육 컨텐츠, 모임, 장소대관 등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설 시설, 교육으로 한정된 콘텐츠를 정부 3.0 데이터를 활용해 공공시설을 활용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스포츠는 엘리트스포츠에서 여가스포츠로 발전하는 중이다.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기존 생활체육인들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플레이콕에서는 여가스포츠 발전을 위한 기존 생활체육인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사업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참고 이미지
순위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비고
[제품개발/창업]
우수상
국민체육진흥공단이사장상
(상금 5000,000원)
주식회사 컨트릭스랩
3DCRAFTS Museum:Online 3D박물관
[여건조성]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문화데이터 활용기업 사업화지원
Online 3D 박물관은 자주 방문하기 힘든 국내 전시/박물관의 유물을 필요시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on-line, mobile을 통해 3D로 입체적으로 바로 볼 수 있고, 해당 유물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참고 이미지
순위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비고
[제품개발/창업]
우수상
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장상
(상금 5000,000원)
보그앤보야지
전통문양을 모티브로한 디자인모듈형여행가방 및 커버
[여건조성]
제품제작
문화데이터 활용기업 사업화지원
모듈형 여행가방과 캐리어 커버는 한국의 정체성을 세계에 인정받을 수 있는 제품이자 나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이다.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전통문양데이터를 활용해 여행가방과 캐리어커버에 접목시켜 한국의 전통문양을 해외에 자연스럽게 노출함으로써 대한민국 전통 홍보에 기여할 수 있으며 나만의 개성 있는 디자인의 커버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비슷한 캐리어와 혼동이 생길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참고 이미지
순위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비고
[제품개발/창업]
장려상
한국관광공사
사장상
(상금 2,000,000원)
3D업앤다운(주)
3D프린팅용 문화데이터 및 출력물 전세계 수출 판매
[문화유산]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3D 프린팅
당사는 미국, 유럽의 3D 프린팅 디자인과 차별화된 한국 전통문화의 독특한 3D디자인을 전 세계로 판매하고 있다. 3D 디자인파일 유통 국제 플랫폼(3dupndown.com)을 통한 전통문화재 디자인 및 출력물의 국내 및 해외 수출 판매는 문화재를 통해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전세계에 홍보하고 외국인의 한국 방문 계기를 유도하며, 전통 문화재 문양 제작 대학생 및 관련 사업자의 매출 증대 및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한다.
참고 이미지
순위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비고
[제품개발/창업]
장려상
한국문화정보원장상
(상금 2,000,000원)
(주)포워드퓨처
에듀팡 문화교육, 전시, 체험 프로그램 활성화 서비스
[문화예술]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문화데이터 활용기업 사업화지원
교육, 전시, 체험 프로그램을 찾는 소비 주체는 해당 교육 등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의 부족,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 신청 방법의 어려움 등으로 참여하고 싶어도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문화데이터 중 문화 교육, 전시, 체험 정보를 가공, 전달을 용이하게 만들어 다수의 소비 주체에게 알리고 참여를 유도해, 많은 예산과 힘들게 준비한 교육, 전시, 체험 프로그램들을 활성화하는데 도모한다.
참고 이미지
순위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비고
[제품개발/창업]
특별상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상금 500,000원)
아트맵
아트맵-미술관을 배달받다
[문화예술]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문화데이터 활용기업 사업화지원
아트맵은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전국 미술 전시회, 미술관 정보열람, 작가, 미술관, 미술품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앱 사용자의 거주 지역, 선호 장르 등에 따라 맞춤형 미술품을 큐레이션해 제공한다. 앱 외에도 Web, 인터랙티브 터치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안드로이드 키오스크용 아트맵 앱 컨텐츠 서비스도 제공한다.
참고 이미지
아이디어 부문
비고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기대효과
[아이디어]
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상금 3,000,000원)
바모스
(Vamos)
한국 안내 서비스 앱 플렛폼, 워커즈 (Walkerz)
[관광]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가이드를 통한 여행으로 외국인 관광객의 여행 만족도 향상에 기여
워커즈는 한국에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한국의 관광지, 문화시설 등을 소개하고, 그 곳을 찾아가는 데 필요한 가이드를 매칭 해줌으로써 자연스럽게 한국의 문화와 숨은 명소도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바일 앱 서비스이다.
참고 이미지
비고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기대효과
[아이디어]
최우수상
국립중앙도서관
관장상
(상금 2,000,000원)
김혜성
‘모두의 도서관’책 기부공유 플랫폼
[문화산업]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공공도서관 부족 및 정보 격차 해소에 기여
모두의 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 ‘우리집 e서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LBS(위치기반서비스)기반 책 기부공유 O2O 플랫폼으로 공공도서관 부족문제 및 정보소외계층 정보격차 해소에 기여한다.
참고 이미지
비고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기대효과
[아이디어]
우수상
국립민속박물관관장상
(상금 1,000,000원)
노승주
나 혼자 떠난다!
[도서관]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나 홀로 여행객이 특정 지역에 방문함으로써 새로운 관광 가치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나 홀로 여행족 증가에 따라 그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합해주는 맞춤 어플리케이션으로 테마별 맞춤 여행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치안 기능/ 숙박 찾기 / 여행 추천음악 / 사진 노트 기능을 제공한다.
참고 이미지
비고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기대효과
[아이디어]
우수상
한국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상
(상금 1,000,000원)
이닛시, 박소정
아트트리
[문화예술]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문화 예술 관련 통합 정보 확인으로 사용자의 불편 해소
기존에 흩어져 있던 문화예술 데이터를 하나로 모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청년•아마추어 예술인을 위한 보조사업, 대회•공모전, 창작공간안내, 문화 웹진, 상담•컨설팅, 아르바이트•커뮤니티 등 관련정보를 하나의 앱으로 제공한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 정보 제공, 'D-day 위젯' 및 '푸시알람' 기능 등을 통해 보다 쉽게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참고 이미지
비고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기대효과
[아이디어]
장려상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상
(상금 500,000원)
코발트
360 SEAT U (360 씨트 유)
[문화예술]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VR 영상을 통해 관객이 원하는 음향, 위치에 따라 공연 좌석을 미리 경험해 보고 선택함으로써 공연 만족도 향상에 기여
360 SEAT U (360 씨트 유)는 360 VR영상을 활용한 국내 공연 좌석 예매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360 SEAT U (360 씨트 유)를 사용해 공연 장소 내부를 360도로 확인하여 본인이 선택한 좌석에서 미리 무대 및 공간 사운드를 가상체험할 수 있다.
참고 이미지
비고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기대효과
[아이디어]
장려상
한국문화정보원
원장상
(상금 500,000원)
궁(宮)금하지!
증강현실기반 고궁가이드 서비스, Go!궁
[여건조성]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책이나 지도보다 현실감 있는 정보 제공
증강현실 기반 고궁 안내 어플리케이션 이용을 통해 외국인에게 정확하고 알찬 관광정보 제공한다. 고궁 내부의 주요 문화재 및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와 단어 설명이 각각 인접한 위치에 도착하여 증강현실 카메라로 바라보았을 때 해당 문화재를 인식하고 현재 보는 곳에 대한 설명을 팝업으로 띄운다.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①고궁 내 유적지나 문화재에 대한 정보 설명, ②고궁 내부에 있는 여러 유물들이나 문화재에 대한 단어 데이터 번역이다.
참고 이미지
비고
성명
서비스 내용
서비스 유형
기대효과
[아이디어]
특별상
중소기업중앙회회장상
(상금 500,000원)
어반트레져
서울 1392
[문화유산]
모바일
(태블릿pc)앱.웹 서비스
AR기반의 인증샷 촬영, 가상 건축물 복원 콘텐츠로 과거의 서울을 실제처럼 확인 가능
서울이 수도가 된 1392년 이후의 도시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게 만든 과거 도시 증강현실(AR) 기반 어플리케이션이다. 기존의 문화유산 어플리케이션이 해설전달에 치중한 반면에 서울 1392는 관광객이 직접 참여하고 보상을 받는 게임을 하면서 도시의 변화를 체험할 수 있다.
참고 이미지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 IEC JTC1 신규분과위원회 간사국진출- 사물인터넷(IoT), 센서네트워크,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표준화 활동 주도권 확보 (0) | 2016.11.14 |
---|---|
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지능이 디자인하는 미래 11. 15.~16. 코엑스에서 ‘2016 넥스트 콘텐츠 콘퍼런스’ 개최 (0) | 2016.11.14 |
정부3.0 국민체험마당·글로벌포럼’ 국내외 큰 관심 속 성황리 종료 (0) | 2016.11.14 |
2016년 글로벌게임허브센터 및 모바일게임센터 입주기업 홍보지원 기업모집 (0) | 2016.11.14 |
[공고] 2017 독일 하노버 생명공학 기술 박람회 참가기업 모집공고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