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과기정통부,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합동기술위원회(JTC 1)에서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작업반(WG) 신설 주도

하이거 2021. 6. 6. 14:59

과기정통부,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합동기술위원회(JTC 1)에서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작업반(WG) 신설 주도

작성일 2021-06-06 부서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자원기획과

 

 

과기정통부,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합동기술위원회(JTC 1)에서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작업반(WG) 신설 주도

- 의장은 박수현 국민대 교수로 선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복제물(트윈)(ISO/IEC JTC 1/SC 41)주) 국제표준화회의 (‘21. 5. 24, 6. 4.)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IoT) 분야 작업반을 신설하였으며, 박수현 국민대 교수가 해당 작업반의 의장으로 선임되었다고 밝혔다.

 

주) 국제표준화기구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 : 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ttee)가 정보기술 분야 국제표준화를 위해 운영 중인 합동기술위원회 (JTC 1 : Joint Technical Committee 1)의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트윈’ 분과위원회

□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해양 및 수중 사물인터넷 (IoT)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o 또한, 2006년부터 우리나라는 국민대, 해양플랜트연구소, 강릉원주대, 호서대를 중심으로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IoT) 분야의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2018년에 세계 최초로 4건, 2020년에 2건의 국제표준을 개발 완료하는 등 그 동안의 노력이 거둔 결실이기도 하다.

 

□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IoT) 분야는 아직 미개척 분야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은 해양자원 개발, 어류양식, 수중관광, 수중로봇, 환경 모니터링 등의 분야에서 기술 개발을 점차 가속화하고 있으며, 관련분야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2016~2022년 동안 수중무선통신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18.5%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Global Underwater Modems Professional Market Survey Report 2017, HTF Market Intelligence Consulting

□ 따라서,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가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IoT)분야의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립전파연구원은 “사물인터넷 (IoT), 인공지능 (AI), 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국제표준화는 세계적인 관심사이며, 그 만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기술의 선제적 발굴 및 표준화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앞으로도 핵심 분야에서 국제표준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트윈(ISO/IEC JTC 1/SC 41) 현황

 

□ 개 요

o 그 룹 명 : 사물인터넷 및 디지털 트윈

※ Internet of Things and Digital Twin

o 간 사 국 : 한국

o 의 장 : Mr Francois Coallier (캐나다) (임기 : ~ 2022년)

o 간 사 : 이주란(KSA) / 이종화(TTA)

o 정 회 원 : 한국 등 30개국

o 준 회 원 : 아르헨티나 등 10개국

o 소관 표준 수 : 총 32건

o 작업그룹

작업그룹 작업반장(컨비너), 국적 작업그룹명

WG3 Erin Bournival, 미국 IoT 구조

(IoT Architecture)

WG4 Quan Wang, 중국 IoT 상호운용성

(IoT Interoperability)

WG5 김용진, 한국 IoT 어플리케이션

(IoT Application)

WG6 Sha Wei, 중국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WG7 박수현, 한국 해양/수중 IoT 및 디지털트윈 응용

(신설) (Maritime, underwater IoT and Digital Twin Applications)

 

□ 국제표준화 동향

- 기존 JTC 1/WG 7(센서네트워크), JTC 1/WG 10(IoT)를 통합하여, ‘16년 11월 JTC1 총회에서 신설

- ‘17년 5월 1차 총회를 한국에서 개최하고, 3개의 작업그룹을 운영

- ‘20년 11월 8차 총회에서, 디지털 트윈 작업그룹(WG 6) 신설

- ’21년 현재 총 32개의 표준을 소관 중이며, 24개의 문서 개발 중

- ‘21년 5월 9차 총회에서, 한국 주도로 수중/해양 IoT 작업그룹(WG 7) 신설 및 의장국 수임

붙임 2 한국 주도 해양/수중-IoT(수중통신) 표준 9건 현황

 

□ 한국 주도 해양/수중-사물인터넷(IoT) 표준 9건 현황

 

표준/과제번호 표준/과제명 발간

년도

ISO/IEC 30140-1 수중센서네트워크 – 제1부: 개요 및 요구사항 2018

ISO/IEC 30140-2 수중센서네트워크 – 제2부: 참조구조 2017

ISO/IEC 30140-3 수중센서네트워크 – 제3부: 엔티티 및 인터페이스 2018

ISO/IEC 30140-4 수중센서네트워크 – 제4부: 상호운용성 2018

ISO/IEC 수중센서네트워크 –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개요 및 요구사항 2020

30142

ISO/IEC 수중센서네트워크 – 응용 프로파일 2020

30143

ISO/IEC TR 30167 사물인터넷(IoT) - IoT를 위한 수중 통신 기술 2021

(예정)

ISO/IEC 30171 사물인터넷(IoT) - 기지국 기반 수중 네트워크(B-UWAN)의 개요 및 요구사항 2022

(예정)

ISO/IEC 30175 사물인터넷(IoT) - 수중네트워크(UWASN) - 수중 관리 정보 기지국(u-MIB) 2023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