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민관이 힘 모은다!-‘(가칭)디지털 국면전환자(게임체인저) 육성 프로그램(’21~’30, 20조원 규모)’등 범부처 지원체계 본격 가동
부서 정보통신산업정책과
디지털·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민관이 힘 모은다!
-‘(가칭)디지털 국면전환자(게임체인저) 육성 프로그램(’21~’30, 20조원 규모)’
등 범부처 지원체계 본격 가동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6월 4일(금), 조경식 제2차관 주재로 ’제1차 디지털·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전담팀(TF)‘을 개최하였다.
ㅇ 동 전담팀는 올해 1월 발표한 ’케이-뉴딜 세계화 전략‘의 후속조치로, 전세계적인 디지털화·비대면화 경향 속에서 국내 혁신기업들이 세계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민관협업·범부처 차원에서 운영된다.
ㅇ 현장에서의 애로사항이 원활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수출산업계, 금융·수출 전문 지원기관 등 30여명으로 구성하였다.
* 과기정통부·외교부·행안부·문체부·산업부·국토부·해수부·중기부
□ 과기정통부는 그동안 코로나19 유행에도 국내 디지털·정보통신기술 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금지원부터 판촉(마케팅), 기반(인프라), 인증지원 등 전방위적인 수출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ㅇ 비대면 플랫폼을 통해 해외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고, 해외거점을 활용하여 현지화를 지원하여 정보통신기술 기업의 투자유치금액과 특허출원 등록 건수 대폭 증가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 과기정통부 해외진출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세계 정보통신기술 포털 누리집(www.globalict.kr)에서 확인 가능하다.
□ 이번 전담팀에서는 그동안의 해외진출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정보통신기술 기업 해외진출의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ㅇ ①일괄 해외진출 지원 플랫폼 역할을 정립하고, ②21년부터 10년간 20조원 규모로 금융 지원을 실시하는 ‘(가칭)디지털 국면전환자(게임체인저) 육성프로그램’ 등 신규 사업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ㅇ 특히,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디지털 수출 지원센터에서는 해외진출 유형·단계·목표국가별 맞춤형 서비스를 일괄로 제공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성공사례 공유 등을 통해 디지털·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지원 역할을 전방위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ㅇ 또한 ‘(가칭)디지털 국면전환자 육성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수출입은행과 협업하여 디지털뉴딜 중점분야(5세대(5G)·차세대반도체, 제약·건강관리어, 디지털 콘텐츠)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 ①대출한도 확대(최대 10%p), ②금리우대(최대 1.0%p) 및 ③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차주별 통합한도 제공을 통한 신속한 자금지원
□ 과기정통부 조경식 제2차관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기는 우리 디지털·정보통신기술 혁신 기업에게 도전과 기회의 장”이라며,
ㅇ “디지털·정보통신기술 분야 경쟁력을 기반으로 민·관이 긴밀히 협업하여 국제 디지털 시장 선점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별도 참고자료 : 과기정통부 2020년도 해외진출 지원사례
참고1 제1차 디지털·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전담팀 개최계획(안)
□ 추진 배경
ㅇ 관계부처 합동 ‘케이-뉴딜 세계화 전략’(’21.1.13.)에 따라 전방위적 해외진출 지원체계인 디지털․정보통신기술 산업 해외진출 전담팀* 운영
* 제2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후속조치: 해외진출 전담팀(과기정통부 제2차관 주재)
-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디지털 대전환기를 활용하여 우리 디지털·정보통신기술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민관 협업회의 운영
□ 전담팀(TF) 회의 개요
ㅇ (일시/장소) ’21.6.4.(금) 14:00 ~ 15:30 / 서울중앙우체국* 국제회의실(21층)
* 서울 중구 소공로 70(충무로 1가, 온·오프라인 병행)
ㅇ (참석대상) 과기정통부(제2차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등) 및 관계부처*(담당 국장), 수출산업계, 금융 지원기관, 수출 전문기관 등 30명 내외
* ’케이-뉴딜 글로벌화전략‘ 관계부처 : 기재부·행안부·문체부·산업부·국토부·해수부·중기부·외교부
ㅇ (주요내용) 부처․유관기관의 ①디지털․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지원 체계 및 사업 공유, ②산업계 해외진출 애로사항 청취와 해결방안 도출
□ 세부 일정(안)
시간 내용 비고
14:00 ~ 14:02 2‘ ㅇ 개회 과기정통부
14:02 ~ 14:05 3‘ ㅇ 인사말씀 과기정통부 제2차관
14:05 ~ 14:08 3‘ ㅇ 안건보고 과기정통부
- (안건1) 디지털ㆍ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전담팀 운영계획
14:08 ~ 14:22 14‘ - (안건2) 부처별 디지털·정보통신기술 해외진출 추진상황 발표 관계부처
14:22 ~ 14:30 8‘ - (안건3) 디지털수출지원센터 운영계획(안)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4:30 ~ 15:28 58‘ ㅇ 토론 참석자 전체
- 해외진출 애로사항 및 해결 방안
15:28 ~ 15:30 2‘ ㅇ 마무리 말씀 과기정통부 제2차관
※ (참고) 부처별 케이(K(-뉴딜 세계화 전략(디지털 뉴딜 분야) 추진실적(서면 공유)
□ 전담팀 회의 구성
구 분 기관 및 직위 성명 비고
의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조경식 전담팀(TF) 총괄
관계부처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 이동규 해외공관 지원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국장 정선용 디지털정부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정책국장 김영수 콘텐츠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 조영태 무역정책
국토교통부 도시정책관 최임락 스마트시티
해양수산부 정책기획관 이경규 스마트항만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관 노용석 중소기업 지원
수출 산업계 네트워크산업협회 정책기획팀 부장 백승환 네트워크 장비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실장 조영훈 소프트웨어
한국무역협회 혁신성장본부장 이동기 무역업계
한국IT서비스협회 부회장 채효근 SI 수출업계
한국전파진흥협회 부회장 송정수 방송ㆍ통신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상근부회장 박윤현 정보보호
지능정보산업협회 사무국장 임선경 인공지능산업
금융 지원기관 한국무역보험공사 단기보험총괄실 실장 이두원 무역보험
한국수출입은행 혁신성장금융본부 부행장 안종혁 수출 금융지원
수출 지원 본투글로벌센터(B2G)장 김종갑 ICT 스타트업
전문기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김상묵 수출총괄 지원기관
혁신성장본부장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오동환 정보보호 분야 수출지원
디지털보안산업본부 보안산업단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이재호 전자정부 수출지원
글로벌협력본부장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강하연 디지털 국제협력
국제협력연구본부장
간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이승원 TF 운영
전담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김태열 디지털
글로벌협력본부장 수출지원센터 총괄
참고2 디지털 수출 지원센터 운영방안
□ 추진 배경
ㅇ 관계부처 합동 ‘케이(K)-뉴딜 세계화 전략’ 발표(‘21.1)의 후속조치로, 부처별 디지털뉴딜 해외진출 사업 간 연계,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 및 성과 창출을 위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 ’디지털수출 지원센터‘를 설치·운영
□ 역 할
ㅇ 사업간 연계 강화, 성과 창출, 기업애로 해결 및 우호기반 조성
- (사업간 연계 강화) 민관협의체 운영, 케이디지털 연합 운영, 국제 정보통신기술포털을 통한 정보 공유, 해외 공관 연계 협력 등
- (성과 창출) 디지털 게임체인저 육성프로그램, 해외거점 상시지원서비스,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 디지털 수출전문관, 비대면 서비스발굴, 현지화 역량 강화 등 추진
- (애로 해결 및 우호기반 조성) 애로사항 헬프데스크 운영, 해외진출 금융지원, 디지털 통상대응, 디지털 포용정책 등 추진
<디지털 수출지원센터 개념도>
참고3 (가칭) 디지털 게임 체인저 육성프로그램 개요
범부처 글로벌 성장 로드맵 / 20조원 규모의 금융지원 / 선단형 지원
ㅇ (로드맵) 기업 성장단계별 글로벌 진출 로드맵 구성 및 맞춤형 지원사업 트랙을 제시하여 해외진출 지원체계의 디지털 고도화 추진
- 부처별 산재되어 있는 지원사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별 최적의 글로벌 성장 로드맵을 제시하는 큐레이션 방식의 로드맵 구축
- 기업성장단계(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주력비즈니스(기업범용, 산업특화, 디지털헬스, 스마트시티, 비대면서비스 등), 해외진출모델(직접투자, 클라우드, 파트너연계, G2G 등)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해외진출 로드맵 제시
ㅇ (금융지원) 디지털뉴딜 중점분야 대상 ①대출한도 확대, ②금리우대 ③차주별 통합한도 제공을 통한 신속한 자금지원 추진 (10년간 20조원 규모)
- 디지털뉴딜 중점분야(차세대반도체, 5G, 헬스케어, 콘텐츠 등) 선정, 분야별 목표․전략 수립, 우대 지원제도* 등을 통한 집중 육성
* K-뉴딜 글로벌 촉진 프로그램 : ①대출한도 확대(최대 10%p), ②금리 우대(최대 1.0%p) 및 ③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차주별 통합한도 제공을 통한 신속한 자금지원
-「R&D/M&A→ 시설투자→ 생산」등 사업추진 全단계별 맞춤형 금융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우리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ㅇ (선단형 지원) 하드웨어/ 운영체제/ 미들웨어/ 개별솔루션을 통합 서비스할 수 있는 공급체인을 구성한 대형 선단형 해외진출 과제 추진
- 국내 D.N.A분야 혁신기업간 융합을 통해 해외진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현지화 → 마케팅 → 실증지원을 통해 글로벌 레퍼런스를 확보
- 5G서비스, 디지털 헬스, 핀테크, 스마트공장 등 유망 디지털 융합서비스를 발굴하고 해외진출 프로젝트 지원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하반기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등 현황 발표 (0) | 2021.06.06 |
---|---|
과기정통부,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합동기술위원회(JTC 1)에서 해양/수중 사물인터넷 작업반(WG) 신설 주도 (0) | 2021.06.06 |
캠핑카 시대 활짝… 이제 캠핑용 자동차도 렌트하세요-7일부터「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0) | 2021.06.06 |
전통의 멋과 가치 품은 전통건축문화를 확산하겠습니다 한옥 전문인력 양성교육 전담기관 4곳 지정·발표 (0) | 2021.06.06 |
경기도 산학협력지원으로 코로나 진단키트 원료 공급 바이오기업 매출 340% ↑ (0) | 2021.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