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과기정통부, 삼차원(3D) 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공모

하이거 2021. 3. 25. 09:25

과기정통부, 삼차원(3D) 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공모

 

부서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삼차원(3D)프린팅 기술 융합을 통한 제조산업
디지털전환 가속화

- 제조산업 핵심부품의 삼차원(3D)프린팅 공정개발 지원을 위한
「삼차원(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3월 25일(목)부터 공모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내 제조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3D프린터를 활용한 양산공정 개발을 지원하는 ’21년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공고를 3월 25일(목)에 진행한다고 밝혔다.

ㅇ 동 사업은 3D프린팅 기업과 제품의 설계 권한을 보유한 제조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고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되는 부품을 발굴하고 3D프린터를 활용한 제조방식에 최적화된 양산공정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 ’20년에 선정된 계속과제(3개), ’21년 신규과제(3개) 등 6개 과제에 총 57억원 지원

ㅇ 공모를 통해 선정되는 컨소시엄에 자동차ㆍ항공ㆍ전자ㆍ발전ㆍ조선ㆍ철도ㆍ방산ㆍ우주ㆍ플랜트 분야의 고부가가치 부품과 생산설비(금형, 지그 등)에 대한 3D프린팅 공정개발(시제품→양산)을 위해 3년 (’21∼’23년)간 총 28.5억원(연간 9.5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 과기정통부는 연구용 시제품 제작 위주로 활용중인 국내 3D프린팅 기술을 제조산업으로 확산하여 핵심부품 생산 공정기술을 확보하고 부품ㆍ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20년부터 동 사업을 추진해 왔다.

ㅇ 작년에 착수한 3개 과제는 방위산업ㆍ우주ㆍ자동차 분야 핵심부품에 대한 3D프린터 생산 공정을 개발중이며, 사업추진 첫 해 임에도 강도ㆍ정밀도 등 주요 성능이 최종목표치의 80% 이상을 달성하며 제품개발이 순조롭게 진행중이다.

□ 과기정통부 이승원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3D 프린팅 기술은 제조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차세대 부품ㆍ장비 시장을 선점하고 국내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동력”이라며,

ㅇ “국내 3D 프린팅 기업과 제조기업 간 협력사례를 지속 발굴하는 한편, 이들이 글로벌 선도 제조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신청접수는 3월 25일부터 4월 23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과기정통부(www.msit.go.kr) 또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www.nipa.kr) 누리집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붙임1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사업 개요(안)

□ 사업목적

ㅇ 시제품 제작에 머물던 3D 프린팅 기술 시장수요의 제조업 분야 핵심부품 양산으로 확장 및 고부가가치 3D프린팅 선도기업 육성

ㅇ 3D프린팅 공정개발을 통한 제품혁신 및 최적 생산기술 확보 지원

□ ’21년 신규과제 공모 개요

ㅇ (지원대상) 3D프린팅 기업과 제조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구분 내용
주관 3D프린팅 ◾전문 3D프린팅 제조기업(출력물 공정개발ㆍ생산ㆍ납품 전문기업)
기업
참여 제조기업 ◾제품에 대한 공정설계 변경 권한을 보유한 제조기업
* (분야) 자동차, 항공, 전자, 발전, 조선, 철도, 방산, 우주, 플랜트 등

ㅇ (지원규모) 3개 과제(과제 당 총 28.5억원, 3년간 지원*)

* 1년 단위 협약체결, 매년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차년도 협약

ㅇ (지원내용) 고부가가치 부품과 생산설비(금형, 지그 등)에 대한 3D프린터를 활용한 공정개발(시제품→양산) 전 과정

- (품목 발굴) 핵심부품 및 제품생산을 위한 생산설비(금형, 지그 등) 중 사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은 품목 선정

- (고부가화) 경량화ㆍ일체화 등 3D프린팅 적용으로 부품의 성능 향상

- (상용화) 생산성 제고, 공정 단순화, 불량률 절감 등 3D프린팅 맞춤형 생산(양산) 공정 개발

- (규격화) 확보된 공정(형상정보, 제작 비용, 제작 조건 등)의 매뉴얼화
붙임2 3D프린팅 제조혁신 실증지원 ’20년 주요성과



▪ 주관기관(3D프린팅) : ㈜태성에스엔이
▪ 참여기관(제조기업) : LIG넥스원㈜
▪ 개발목표 : 레이더ㆍ위성ㆍ로봇 등에 적용되는 고강도ㆍ경량 부품의 3D프린팅 공정개발로 불량률 25%, 비용 50% 수준으로 개선
▪ 주요성과 : 고정밀 성능을 요구하는 고강도·경량 구성품에 대한 공정기술 확보
▪ 주관기관(3D프린팅) : ㈜스타코
▪ 참여기관(제조기업) : ㈜이노스페이스
▪ 개발목표 : 우주발사체 산화제펌프에 대한 3D프린팅 공정개발 및 경량화ㆍ일체형 부품 개발
▪ 주요성과 : 극한 작동환경(극저온ㆍ고압)에 대한 물성 요구기준을 만족하는 산화제펌프 부품 공정기술 확보
(부품1) 임펠러 (부품2) 디퓨저 (부품3) 볼류트

▪ 주관기관(3D프린팅) : ㈜링크솔루션
▪ 참여기관(제조기업) : 덕양산업㈜
▪ 개발목표 : 소ㆍ중ㆍ대형 도어트림 금형 15종에 대한 3D프린팅 공정개발 및 소재 국산화로 제작기간 및 비용 50% 감축
▪ 주요성과 : 소형 도어트림 부품에 대한 3D프린팅 금형제작 공정기술 확보
차종(중형 SUV) 3D프린팅 코어금형 사출금형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