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과기정통부, 2020년 기술수준평가 결과 발표

하이거 2021. 3. 12. 10:00

과기정통부, 2020년 기술수준평가 결과 발표

 

부서 과학기술정보과

 


심화되는 국가간 ‘글로벌 기술 확보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 120개 중점과학기술 경쟁력 지속적으로 향상

- 최고기술 보유국과 비교한 우리나라 중점과학기술 수준은
2018년(76.9%) 대비 3.2%p 향상된 80.1% 수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 상의 11대 분야 120개 중점과학기술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도 기술수준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 (11대 분야) ①건설‧교통, ②재난안전, ③우주‧항공‧해양, ④국방, ⑤기계‧제조, ⑥소재 ‧나노, ⑦농림수산‧식품, ⑧생명‧보건의료, ⑨에너지‧자원, ⑩환경‧기상 ⑪ICT‧SW

ㅇ 과기정통부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핵심기술에 대한 수준을 면밀히 진단하고 해당 기술수준 향상을 위한 시책 마련을 위해, 주요 5개국(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의 상대적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를 2년 마다 평가해 오고 있다.
* 최고기술 보유국의 기술수준을 100%로 보았을 때의 상대적 기술수준
** 최고기술 보유국의 기술수준에 도달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기간

ㅇ 특히, 이번 ?2020년도 기술수준평가?는 논문·특허분석과 함께 ’18년에 도입한 기술분야별 전문가 패널을 활용해 기술수준, 기술격차 등에 대한 1,200명 전문가 패널 델파이 조사(2회)를 실시함으로써 기술수준평가의 전문성과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 (’18) 관계부처 및 관련단체, 전문가 상호 추천을 바탕으로 120개 중점과학기술별로 10명씩의 전문가를 위촉 → 일관성 있는 평가를 위해 임기 5년을 보장

□ ?2020년도 기술수준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중점과학기술 수준은 최고기술 보유국(미국)과 비교할 때 80.1% 수준이며 기술격차는 3.3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2018년 당시의 기술수준과 대비하여 3.2%p 향상되었고 기술격차는 0.5년 단축된 것이다.
ㅇ 국가별 기술수준을 살펴보면, 최고기술 보유국은 미국(100%)으로 나타났으며, EU(95.6%), 일본(87.3%), 한국(80.1%), 중국(80.0%) 순으로 평가되었다.

ㅇ ’18년과 비교한 최고기술 보유국과의 기술격차는, 한국과 중국이 0.5년 감소하였으나, EU는 동일한 격차를 유지하고 일본은 오히려 0.1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
구분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18 ’20 ’18 ’20 ’18 ’20 ’18 ’20 ’18 ’20
기술수준(%) 76.9 80.1 76 80 87.9 87.3 94.8 95.6 100 100
기술격차(년) 3.8 3.3 3.8 3.3 1.9 2 0.7 0.7 0 0

□ 우리나라의 「11대 분야별 기술수준」은 모두 ’18년 대비 증가(1.6%p~5.0%p)하였고, 기술격차도 ‘우주·항공·해양’ 분야를 제외하고 모두 감소(-0.2~-1.2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ㅇ 11대 분야 중 상대적으로 기술수준이 높은 분야는 ‘건설·교통(84.0%) 분야’이며, 낮은 분야는 ‘우주․항공․해양(68.4%) 분야’로 나타났다.

ㅇ ‘생명․보건의료’와 ‘에너지․자원’ 분야의 경우, ’18년까지 중국에 앞서있었으나, ’20년 들어와 중국에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11대 분야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
11대 분야 기술수준(%) 기술격차(년)
(중점과학기술 수)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건설・교통(11) 84 80 89.1 97.8 100 2.6 3.2 1.6 0.1 0
재난안전(4) 80.4 75.5 87.8 92.6 100 2.9 3.3 1.8 0.9 0
우주・항공・해양(7) 68.4 81.6 83.5 93.3 100 8.6 5.1 3.9 1.8 0
국방(3) 75 81.7 77 88.3 100 5.5 3.8 4.7 2.3 0
기계・제조(13) 80.7 77.6 90.3 100 98.9 2.8 3.1 1.4 0 0.2
소재・나노(5) 80.8 79.9 97.6 91.9 100 2.5 3.2 0.6 1.1 0
농림수산・식품(9) 81.4 78.6 88.4 99.7 100 3.2 3.6 2.1 -0.1 0
생명・보건의료(21) 77.9 78 81.6 92.2 100 3.1 3 2.4 1.1 0
에너지・자원(18) 80.2 81.6 91 98.2 100 3.7 3.5 1.9 0.3 0
환경・기상(12) 81.1 75.5 90 99.2 100 3.7 4.6 2 0.3 0
ICT·SW(17) 83 85.7 84.3 90.9 100 1.9 1.6 1.6 1.1 0
전체 80.1 80 87.3 95.6 100 3.3 3.3 2 0.7 0
□ 「120개 중점과학기술」별로 살펴보면, 지난 2018년 평가 대비 83개 기술의 기술수준이 증가(0.5%p~ 19.0%p)하였으며, 20개 기술은 유지, 17개 기술은 감소(0.3%p~5.5%p)하였다.

ㅇ 최고기술 보유국과 대비하여 기술수준이 가장 높은 기술은 ‘대용량 장수명 이차전지 기술(96%)’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기술은 ’우주환경 관측·감시·분석 기술(55.5%)‘로 나타났다.

ㅇ 또한 스마트홈 기술, 재난구조 및 극한탐사 기술, 기능성 유기소재 기술, 질병진단 바이오칩 기술,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 및 장비․소재 기술 등 5개 분야 기술은 국내에서 120개 중점과학기술 중 상대적으로 논문·특허 활동이 활발하고,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함께 조사한 「기술동향」에서는 연구개발 활동경향은 11대 분야 모두 ’상승‘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단계별 연구역량은 대부분 기초단계는 ’보통‘(1개 분야 우수), 응용개발 단계는 ’우수‘(1개 분야 보통)로 평가되었다.
※ 연구개발 활동경향은 4구간(급상승, 상승, 유지, 하강), 연구단계별 역량은 5구간(탁월, 우수, 보통, 미흡, 부족)으로 평가

□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과학기술 투자와 R&D 혁신을 통해 미국, EU,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과의 기술격차를 점차 줄여나가고 있으나, 점점 치열해지는 국가간 경쟁속에서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총 R&D 투자는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ㅇ ’18년 우리나라의 총 R&D 투자 규모는 779억 달러(약 85.7조원)수준으로, 최고기술을 보유한 미국의 경우 우리나라에 비해 7.5배 이상을 투자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를 맹추격하고 있는 중국도 우리나라 대비 3.8배 정도의 자금을 R&D에 집중 지원하고 있다.

ㅇ 특히, 이번 기술수준평가에서는 미국․EU에 이어 세계 3위의 R&D 투자 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기술수준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중국의 기술수준은 ’18년 대비 4%p 증가하였으며, ‘뇌신호 관측 및 조절’과 ‘바이오 및 생체공학 기반 인공장기’ 기술 수준이 가장 많이 증가(각각 16.5%p, 15.5%p)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8년 주요국 연구개발비>
(단위 : 백만 US달러)
구분 미국 EU 중국 일본 한국
(주요국)
총 연구개발비 규모 581,553 396,130* (독) 123,609 297,431 162,276 77,900
(프) 61,136
(영) 49,460
* ’18년 기준 EU 회원국 총 연구개발비 합(불가리아, 키프로스, 크로아티아, 몰타 제외)
(※ 자료원: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2020-1, 2020)


□ 과기정통부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의 흐름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가와 기업의 운명을 좌우할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간 경쟁이 보다 치열해지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ㅇ ”2년 전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이 향상되었으나, 최고 기술보유국 대비 기술격차가 여전히 존재하고 중국이 무섭게 추격해 오고 있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인 투자와 노력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ㅇ 또한 이를 위해 “이번 「2020년 기술수준평가 결과」가 향후 관계부처에서 수립하는 기술 분야별 연구개발 전략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과기정통부는 이번 기술수준평가 결과를 각 부처와 연구기관 등에 배포하여,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 전략 및 부처 차원의 과학기술정책 수립, R&D사업 기획 등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핵심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붙임 2020년 기술수준평가 주요 내용

□ 평가 개요

○ (대상)「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상의 120개 중점과학기술

<기술수준평가 대상 11대 분야별 중점과학기술 수>
11대 분야 건설 교통 재난 우주 국방 기계 소재 농림 생명 에너지 환경 ICT
안전 항공 제조 나노 수산 보건 자원 기상 SW
해양 식품 의료
120개 기술 11 4 7 3 13 5 9 21 18 12 17

○ (내용) 120개 중점과학기술별 주요 5개국(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의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를 평가

- 최고기술 보유국과 대비하여 국가별 기술수준(%)과 기술격차(년)를 평가하고, 정책제언 제시

○ (방법) 정성평가(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정량분석(논문·특허 분석)실시

- (정성평가) 전문가*(1,200명) 대상 2 라운드 온라인 델파이 조사를 통해 기술별 기술수준(%) 및 격차(년) 등을 평가

* 산·학·연 비율을 고려하여 120개 중점과학기술별로 10명씩 선발

- (정량분석) 논문·특허의 활동 추이와 기술적 가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결과 도출

□ 2020년도 기술수준평가 결과

1)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전체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

○ 한국의 최고기술 보유국(미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는 80.1%, 3.3년으로 평가됨

- ’18년(76.9%, 3.8년) 대비하여 기술수준은 3.2%p 향상되고, 기술격차는 0.5년 단축
○ 국가별 기술수준은 미국이 최고기술 보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EU(95.6%), 일본(87.3%), 한국(80.1%), 중국(80.0%) 순으로 평가

- 최고기술 보유국(미국)과의 기술격차는 EU 0.7년, 일본 2.0년, 한국과 중국은 3.3년으로 평가

- ’18년 대비, 최고기술 보유국(미국)과의 기술격차는 한국과 중국은 0.5년 감소, 일본은 0.1년 증가, EU는 동일한 격차 유지

<국가별 전체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 변동>
구분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18 ’20 ’18 ’20 ’18 ’20 ’18 ’20 ’18 ’20
기술수준(%) 76.9 80.1 76 80 87.9 87.3 94.8 95.6 100 100
기술격차(년) 3.8 3.3 3.8 3.3 1.9 2 0.7 0.7 0 0

2) 11대 분야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년)

○ 한국의 11대 분야별 기술수준은 6대 분야에서 4위, 5대 분야(‘우주・항공・해양’, ‘국방’, ‘생명・보건의료’, ‘에너지・자원’, ‘ICT·SW’)에서 5위로 평가
※ 특히, 생명·보건의료와 에너지·자원 분야의 경우 ’18년 대비 중국이 한국의 기술수준을 역전함.

- ‘건설·교통’ 분야가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수준(84.0%)이 가장 높고, ‘ICT·SW’ 분야가 기술격차(1.9년)가 가장 적은 것으로 평가

- ‘우주·항공·해양’ 분야가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수준(68.4%)이 가장 낮고, 기술격차(8.6년)도 가장 큰 것으로 평가

○ 한국 11대 분야의 기술수준은 모두 ’18년 대비 증가(1.6%p~5.0%p)하고, 기술격차는 ‘우주·항공·해양’ 분야를 제외하고 감소(-0.2~-1.2년)하였음

- 기술수준이 가장 많이 증가한 분야는 ‘건설·교통’ 분야(5.0%p)이며, 기술격차가 가장 많이 감소한 분야는 ‘국방’ 분야로(-1.2년) 나타남

○ 11대 분야 중 10대 분야에서 미국이 1위를 차지하였으며, ‘기계·제조’ 분야는 EU가 1위로 평가

- 중국, EU 및 미국 11대 분야의 기술수준 모두 ’18년 대비 유지 또는 증가하는 경향(각각 1.0~5.5%p, 0~1.5%p, 0~0.3%p)을 보임
※ 일본의 경우, 3대 분야(‘우주・항공・해양’, ‘국방’, ‘에너지・자원’)를 제외한 8대 분야의 기술수준이 감소(-0.1~-2.7%p)

<11대 분야별 기술수준(%) 변동>
11대 분야 기술수준(%)
(중점과학기술 수)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18 ’20 ’18 ’20 ’18 ’20 ’18 ’20 ’18 ’20
건설・교통(11) 79 84 75.4 80 89.3 89.1 96.5 97.8 100 100
재난안전(4) 75.9 80.4 70 75.5 90.5 87.8 92.5 92.6 100 100
우주・항공・해양(7) 65.1 68.4 80.6 81.6 83.1 83.5 93.2 93.3 100 100
국방(3) 72.5 75 80 81.7 76.3 77 88.3 88.3 100 100
기계・제조(13) 78 80.7 73.7 77.6 90.8 90.3 100 100 98.6 98.9
소재・나노(5) 78.3 80.8 76.2 79.9 98 97.6 91.7 91.9 100 100
농림수산・식품(9) 79.8 81.4 75.3 78.6 88.9 88.4 99.3 99.7 100 100
생명・보건의료(21) 75.2 77.9 73.2 78 83.8 81.6 91 92.2 100 100
에너지・자원(18) 76.8 80.2 76.8 81.6 90.6 91 96.7 98.2 100 100
환경・기상(12) 76.6 81.1 71.4 75.5 90.1 90 98.7 99.2 100 100
ICT·SW(17) 80.2 83 82 85.7 84.9 84.3 89.8 90.9 100 100
전체 76.9 80.1 76 80 87.9 87.3 94.8 95.6 100 100

<11대 분야별 기술격차(년) 변동>
11대 분야 기술격차(년)
(중점과학기술 수)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18 ’20 ’18 ’20 ’18 ’20 ’18 ’20 ’18 ’20
건설・교통(11) 3.1 2.6 3.8 3.2 1.4 1.6 0.2 0.1 0 0
재난안전(4) 3.4 2.9 4.3 3.3 1.1 1.8 1.1 0.9 0 0
우주・항공・해양(7) 8.4 8.6 5.3 5.1 4.1 3.9 1.6 1.8 0 0
국방(3) 6.7 5.5 4.3 3.8 5.6 4.7 2.5 2.3 0 0
기계・제조(13) 3.4 2.8 4.2 3.1 1.2 1.4 0 0 0.1 0.2
소재・나노(5) 3 2.5 3.7 3.2 0.4 0.6 1.1 1.1 0 0
농림수산・식품(9) 4 3.2 4.3 3.6 1.8 2.1 0.1 -0.1 0 0
생명・보건의료(21) 3.5 3.1 3.7 3 2.2 2.4 1.2 1.1 0 0
에너지・자원(18) 4 3.7 3.9 3.5 1.8 1.9 0.3 0.3 0 0
환경・기상(12) 4.1 3.7 4.9 4.6 1.9 2 0.3 0.3 0 0
ICT·SW(17) 2.1 1.9 1.9 1.6 1.5 1.6 1 1.1 0 0
전체 3.8 3.3 3.8 3.3 1.9 2 0.7 0.7 0 0

참고 120개 중점과학기술별 국내 기술수준
대분류 번호 중점과학기술 기술수준 기술격차 연구 기초 응용 기술
(%) (년) 개발 연구 개발연구역량 수준
활동 역량 합의도*
’18 ’20 ’18 ’20 경향
①건설・교통 1 지능형 건물관리기술 78.5 82 3 3 상승 우수 우수 0.96
-11 2 친환경 다기능 건설재료 기술 70 80 4.3 3 상승 우수 탁월 0.88
3 스마트홈 기술 80 85 2 1.8 상승 보통 우수 0.97
4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기술 70 80 5.5 3.5 상승 보통 보통 0.94
5 스마트시티 구축 및 운영 기술 80 86.5 2 1.5 상승 우수 우수 0.83
6 국토공간정보 구축 및 분석기술 77 81 3 3 상승 보통 우수 0.9
7 지속가능한 인프라 구조물 건설기술 80 85 5 3.8 상승 우수 우수 0.96
8 빅데이터 기반 국가 인프라 예방적 유지관리 기술 77 80 4 3.5 상승 보통 우수 0.99
9 스마트 도로교통 기술 82.5 80 3 3 상승 보통 우수 0.94
10 스마트 철도교통 기술 80 86.5 4 3 상승 보통 우수 0.88
11 지능형 물류체계기술 78.5 80 3 3 상승 보통 우수 0.89
건설・교통 분야 79 84 3.1 2.6 상승 보통 우수 ㅡ
②재난 12 복합재난 스마트 예측・대응기술 70.5 80 5 4 상승 보통 우수 0.94
안전 13 범죄・테러 통합 지능형 예측・대응시스템 기술 79 80 3 2.5 상승 보통 우수 0.86
-4 14 재난 전주기 정보통신체계기술 80 80 2 2 상승 보통 보통 0.97
15 재난현장 소방구조 장비・시스템 기술 74 81.5 3.8 3 상승 보통 우수 0.9
재난안전 분야 75.9 80.4 3.4 2.9 상승 보통 우수 ㅡ
③우주 ・항공 16 우주발사체 개발 및 운용 기술 60 60 17 18 상승 보통 보통 0.92
・해양 17 우주환경 관측・감시・분석 기술 54.5 55.5 10 10 상승 보통 보통 0.91
-7 18 우주 탐사 및 활용 기술 55 56 12 15 상승 보통 보통 0.82
19 유・무인 통합 자율 비행체 기술 70 80 5.5 3.5 상승 우수 우수 0.94
20 유・무인 자율 비행체 통합 관제시스템 기술 65 70 5 5 상승 보통 보통 0.86
21 지속가능한 해양공간 개발 기술 80.3 80 4 4.5 상승 우수 우수 0.98
22 극한공간 인프라 기술 71 75 5 4.8 상승 보통 보통 0.97
우주・항공・해양 분야 65.1 68.4 8.4 8.6 상승 보통 보통 ㅡ
④국방 23 국방 스마트 플랫폼 및 무인화・지능화 기술 75 78 6 5.5 상승 우수 우수 0.97
-3 24 고해상 감시 정찰 및 장거리 정밀 타격 기술 62.5 65 9 7 상승 보통 보통 0.85
25 전군 다계층 네트워크 정보통합 및 사이버 대응 기술 80 82 5 4 상승 보통 우수 0.96
국방 분야 72.5 75 6.7 5.5 상승 보통 우수 ㅡ
⑤기계・제조 26 선박 전생애주기 통합형 기반기술 80 85 5 1.8 상승 우수 탁월 0.82
-13 27 친환경・스마트 선박 기술 80 81 3 3 상승 보통 우수 0.88
28 해양플랜트 실용화 기술 72 75 7 6 상승 우수 우수 0.93
29 친환경・스마트 플랜트 기반 기술 80 82 4 4 상승 보통 우수 0.77
30 스마트 자동차 기술 80 84 2.5 2.5 상승 보통 우수 0.9
31 친환경 고효율 자동차 기술 90 90 1.8 1.5 상승 우수 우수 0.98
32 적응형 서비스 로봇기술 80.5 83.5 3 2.5 상승 보통 우수 0.96
33 재난구조 및 극한탐사 로봇기술 77.5 80 4 3 상승 우수 우수 0.94
34 스마트 제조로봇 기술 80 80 3.3 3 상승 보통 우수 0.81
35 스마트 팩토리 기술 67.5 75 3.5 3 상승 보통 우수 0.87
36 고효율・초정밀 생산시스템 기술 81.6 80 4.8 3.5 상승 우수 우수 1
37 3D 프린팅 장비・소재 기술 55.5 67.5 4 3.8 상승 보통 우수 0.72
38 3D 프린팅 소프트웨어・활용 기술 75 70 3 2.8 상승 보통 우수 0.86
기계・제조 분야 78 80.7 3.4 2.8 상승 보통 우수 ㅡ
⑥소재・나노 39 기능성 유기소재 기술 80 82 2 1.8 상승 보통 우수 0.93
-5 40 친환경 바이오소재 기술 80 85 3.5 3 상승 우수 우수 0.94
41 고성능 금속소재 기술 78 82 3.5 3 유지 보통 우수 0.96
42 나노구조제어 세라믹・탄소 소재 기술 80 80 3 2.3 상승 우수 우수 0.94
43 다기능 융・복합소재 기술 73.5 75 3 2.5 상승 보통 우수 0.87
소재・나노 분야 78.3 80.8 3 2.5 상승 우수 우수 ㅡ
⑦농림 44 저항성 및 고기능성 품종개발 기술 81 80 5 5 상승 우수 보통 0.94
수산 45 친환경 맞춤형 신재배기술 77.5 80 3 3.3 상승 우수 우수 0.94
・식품 46 스마트팜 기술 75.5 70 4.8 4 상승 보통 우수 0.81
-9 47 유용유전자 및 유전자원 개발 기술 75 80 4 4.3 상승 우수 우수 0.95
48 친환경 사양기술 75.5 76.5 7.5 5.5 상승 보통 보통 0.91
49 동물 질병 통제 기술 80 80 5 4 상승 보통 우수 0.94
50 ICT 기반 수산양식 및 수산자원 개발 기술 70 75 5 4.5 상승 보통 우수 0.93
51 식품안전성 평가・향상 기술 80 85 4 3 상승 보통 우수 0.99
52 식품가치창출기술 80 80 3 3 상승 우수 우수 0.81
농림수산・식품 분야 79.8 81.4 4 3.2 상승 보통 우수 ㅡ
⑧생명・보건 의료 53 유전체정보를 이용한 질환원인규명기술 70 70 3.5 3 상승 우수 보통 0.86
-21 54 유전자 치료기술 82.5 80 3.5 3 상승 보통 우수 0.75
55 줄기세포 기능조절 기술 75 70 3.8 4 상승 보통 우수 0.86
56 줄기세포 활용 기술 85 85 2 2 상승 우수 우수 0.92
57 맞춤형 신약 개발 기술 70 70 5.5 6 상승 우수 보통 0.9
58 지능형 약물 전달 최적화 기술 83.5 85 3 2.5 상승 우수 우수 0.94
59 바이오마커 기술 73 80 4 4 상승 우수 우수 0.9
60 불임·난임 극복기술 85 85 2.5 3 상승 보통 우수 0.92
61 신・변종 감염병 대응기술 70 80 5 3 상승 보통 우수 0.91
62 한의약 효능 및 기전 규명기술 82.5 81 3.5 3 상승 보통 우수 0.94
63 의료영상융합기술 60.5 67.5 4 4.3 상승 보통 보통 0.85
64 재활 치료 및 생활지원 기기 기술 75 78 3 3 상승 보통 보통 0.9
65 생체적합 재료 개발기술 80 81 3 2.5 상승 우수 우수 0.88
66 초정밀 의료용 로봇 기술 70 73 4.5 4 상승 보통 우수 0.86
67 질병진단 바이오칩 기술 80 80 3 2.5 상승 우수 우수 0.95
68 바이오 및 생체공학 기반 인공장기 기술 70 80 4 3 상승 우수 우수 1
69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77.5 80 3 2 상승 우수 우수 0.94
70 정밀의료 인프라 기술 76.5 82.5 2.3 2 상승 우수 우수 0.94
71 시스템생물학 및 합성생물학 분석 및 활용기술 70 75 4 3 상승 보통 보통 0.87
72 뇌신경계 질환 원인 규명 및 치료・예방기술 70 75 4.3 2.5 상승 우수 우수 0.89
73 뇌신호 관측 및 조절 기술 65 70 4 4 상승 우수 보통 0.9
생명・보건의료 분야 75.2 77.9 3.5 3.1 상승 보통 우수 ㅡ
⑨에너지・자원 74 대용량 장수명 이차전지 기술 80 96 2 0.5 상승 보통 탁월 0.9
-18 75 무선 전력전송・충전 기술 80 80 2 2 상승 보통 우수 0.94
76 스마트 에너지그리드 기술 80 80 2.5 2.5 상승 우수 우수 0.94
77 고효율 전력수송 기술 88 90 2.5 2 상승 우수 우수 0.92
78 고효율 가스발전 기술 57.5 65 8.5 7 상승 보통 보통 0.85
79 바이오 및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71.5 78 4.8 4 유지 우수 우수 0.94
80 지열에너지기술 68.5 69 5 5 상승 보통 보통 0.78
81 고효율 태양전지 기술 87.5 90 2 1 상승 우수 우수 0.98
82 풍력발전 기술 74 75 5 5 상승 보통 보통 0.89
83 수소・연료전지 기술 78.3 75 3 3 상승 우수 우수 0.93
84 해양에너지 기술 81.5 81 4.3 4.5 상승 우수 우수 0.94
85 원자력 에너지 기술 88.8 88 4 4 유지 보통 우수 0.95
86 원자력 환경방호 기술 78 80 4.5 5 상승 보통 우수 1
87 핵융합에너지 기술 75 75 7 6 상승 우수 보통 0.87
88 차세대가속기 기술 64 67.5 6 7 상승 보통 보통 0.78
89 지능형 융합 자원탐사 기술 62.5 59.5 6 6.3 상승 보통 보통 0.75
90 ICT기반 자원 개발・처리 기술 60 70 5 5 상승 보통 보통 0.86
91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이용 기술 80 80 5 5 상승 보통 보통 0.94
에너지・자원 분야 76.8 80.2 4 3.7 상승 보통 우수 ㅡ
⑩환경・기상 92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대응기술 65 70 5 4.8 상승 보통 우수 0.96
-12 93 기후변화 감시・예측・적응 기술 75 80 5 4 상승 보통 보통 1
94 고효율 친환경 Non-CO2 온실가스 저감 기술 81 88.5 3 2.3 상승 우수 우수 0.86
95 자연재해 감시・예측・대응 기술 70 75 5 5 상승 보통 우수 0.84
96 유해요인의 환경・인체 위해성 평가 기술 72 82.5 3 3.8 상승 우수 우수 0.89
97 생활환경 안전성진단 및 예방 기술 76 77.5 5 3.5 상승 우수 우수 0.85
98 스마트 물순환 및 수자원 확보・관리 기술 80 85 5 4 상승 우수 우수 1
99 통합 수환경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 77.5 80 5 5 상승 우수 우수 0.96
100 수환경오염물질 초고도 처리 및 제어 기술 76 79.3 3.3 2.8 상승 우수 우수 0.94
101 토양・지중 환경오염 관리기술 82.5 84 3 3 상승 우수 우수 0.94
102 지능형 자연생태계 보전 및 복원 기술 70.5 75 6 6.5 상승 보통 우수 0.87
103 폐자원 재활용 기술 80 80 3.5 3 상승 우수 우수 0.93
환경・기상 분야 76.6 81.1 4.1 3.7 상승 보통 우수 ㅡ
⑪ICT 104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 및 장비・소재기술 94 90 1 1.5 상승 보통 우수 0.91
・SW 105 초고속・초절전형 반도체 소자 및 SoC 설계・제작 기술 85 85 1.5 1.5 상승 보통 우수 1
-17 106 인체친화형 디스플레이 기술 94 95 0.5 0.8 상승 우수 탁월 0.97
107 대면적・초고속・초정밀 디스플레이 소재・공정 및 장비 기술 97.5 95 0.8 0.5 상승 우수 탁월 0.98
108 지능형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기술 70 79 2.3 2 상승 보통 우수 0.87
109 초고속・대용량 데이터 플랫폼 기술 50 69 4 3.5 상승 보통 보통 0.78
110 다중 인공지능 공통 플랫폼 기술 80 80 2 2 상승 보통 우수 0.9
111 양자정보통신 기술 55 62.5 6.5 4.5 상승 보통 보통 0.84
112 신개념 컴퓨팅 기술 76 72.5 3 3.3 상승 보통 보통 0.79
113 시스템 SW 운영 및 기반 기술 72.5 75 2.5 3 상승 보통 보통 0.87
114 가상・혼합현실 기술 80 82 2 2 상승 보통 우수 0.88
115 지능형 콘텐츠제작 기술 75 83.5 2.5 2.3 급상승 보통 우수 0.94
116 NUI・NUX 기술 87.5 87 2 2 상승 보통 우수 0.79
117 지식정보보안기술 80 83 2 2 상승 보통 우수 0.95
118 초고속・대용량・초저지연 통신 네트워크 기술 90 90 1 1 상승 보통 우수 0.94
119 초연결 사물인터넷 기술 82 88 1.8 1.3 상승 보통 우수 0.94
120 지능형 실감 방송・미디어 서비스 기술 86.5 87 1 1 상승 우수 우수 0.89
ICT・SW 분야 80.2 83 2.1 1.9 상승 보통 우수 ㅡ

* 중점과학기술별 한국의 기술수준(%)에 대한 전문가 합의도
※ 합의도: 델파이 기법의 타당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서 Q1(1사분위값)과 Q3(3사분위값)가 일치(완전합의) 했을 때 1의 값을 가지며, 의견의 편차가 클 경우 수치가 감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