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리 시력 저하되는 50대 이상에서 안약 오인 점안사고 다발-무좀약ㆍ피부질환약ㆍ순간접착제ㆍ반려동물 의약품 등 다양해
담당부서 소비자안전정보과 등록일 2021-08-25
근거리 시력 저하되는 50대 이상에서 안약 오인 점안사고 다발
-무좀약ㆍ피부질환약ㆍ순간접착제ㆍ반려동물 의약품 등 다양해-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 이하 공정위)와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 이하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이 무좀약 등을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ㅇ 황사·미세먼지 등 환경요인, 안구질환 치료 목적으로 안약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가운데, 특히 여름철에는 유행성 눈병 등으로 안약을 점안하는 경우가 더욱 늘어난다.
ㅇ 공정위와 소비자원이 최근 3년간의 소비자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무좀약·순간접착제 등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결막염 등 안구 손상을 입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ㅇ 안약으로 착각한 품목은‘무좀약’이 40.1%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덥고 습한 여름철에 특히 무좀약 사용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 무좀약, 안약 등을 같이 보관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위해사례와 사고예방 요령을 숙지하여 위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하는 한편, 주요 무좀약 제약회사에 소비자가 오인하지 않도록 제품 용기 변경 등을 권고했다.
1 안전사고 발생 현황
□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는 총 152건이며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연도별 현황]
(단위 : 건)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
건수 58 50 44 152
※ 제목코드에서 ‘안약’, ‘눈물’, ‘점안’, ‘눈에’ 검색 후 안약으로 오인한 사고만 추출
ㅇ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50.0%(76건), ‘50대’ 22.4%(34건), ‘40대’ 10.5%(16건) 등의 순이었으며, 근거리 시력이 저하되는 ‘50대’와 ‘6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72.4%를 차지했다.
ㅇ 안약으로 착각해 눈에 점안한 품목은 ‘무좀약’이 40.1%(6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습진ㆍ지루성 두피 치료약 등의 의약품**’ 24.3%(37건), ‘순간접착제’ 18.4%(28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무좀약의 경우 최근 3년간 연속해서 안약 오인 품목 1위를 차지
** 무좀약 이외 기타 의약품
[연령별 현황] [위해품목별 현황]
* 20대 5건(3.3%), 10대 미만 4건(2.6) * 렌즈세척액, 모기기피제, 방향제, 등
2 세부 안전사고 현황 및 주요 품목 용기 비교
가. 연령대별 주요 오인 품목
□ 연령대에 따라 안약으로 착각한 품목에 차이가 있었는데, ‘10대’ㆍ‘40대’는 ‘순간접착제’, ‘20대’는 ‘전자담배 액상’, ‘30대’는 ‘무좀약’과 ‘의약품’이 많았다.
ㅇ 안약 오인사고의 다수를 차지하는 ‘50대’ㆍ‘60대 이상’은 ‘무좀약’, ‘의약품’, ‘순간접착제’ 등 다양한 품목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 ‘10대 미만’은 4건 모두 미취학 아동에게 발생한 안전사고였으며, 이 중 ‘의약품’ 관련이 2건으로 보호자가 쓰는 녹내장약(만7세)과 귀에 넣는 외이도염약(만4세)을 눈에 넣은 사례였다.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약품의 투약ㆍ보관, 생활화학제품 등의 보관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ㅇ 최근에는 반려동물용 ‘심장사상충 예방약’과 손톱에 바르는 ‘큐티클 수렴제’, ‘디퓨저 리필용액’ 등을 안약으로 착각한 사례가 발생하는 등 소비생활 변화에 따라 오인 제품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에서는 동물용 안약ㆍ안구세정제ㆍ의약품 등을 인체용과 분리해 별도 장소에 보관하는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19 영향으로 네일아트 제품을 구입해 가정에서 직접 손톱을 관리하는 소비자가 많은데 이를 안약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보관에 주의가 요구된다.
<주요 위해사례>
무좀약 (60대, 여) 2019년 10월, A씨는 발톱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화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동물용 (60대, 여) 2020년 7월, B씨는 강아지 심장사상충 예방약을 인공눈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의약품
의약품 (4세, 남) 2018년 5월, C씨는 외이도염약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약물 오용에 의한 안구의 이물감과 통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음.
전자담배 (10대, 남) 2018년 4월, D씨는 전자담배 액상첨가제를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액상
순간접착제 (70대, 남) 2019년 7월, G씨는 순간접착제를 인공눈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눈꺼풀에 피부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나. 주요 안약 오인 품목의 용기형태 비교
□ 무좀약
[점안액 형태] 안약 vs 무좀약 (좌 : 안약, 우 : 무좀약)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안연고 형태] 안약 vs 무좀약 (위 : 안약, 아래 : 무좀약)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 반려동물용 ‘심장사상충 예방약’
[안연고 형태] 안약 vs 심장사상충 예방약 (위 : 안약, 아래 : 심장사상충 예방약)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3 당부 및 조치사항
□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자는 용기에 제품명 및 용도를 큰 글씨로 써 붙여 놓을 것, ▲안약을 눈에 넣기 전에 반드시 처방 받은 안약이 맞는지 확인할 것, ▲가정에서는 의약품을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보호자는 영유아가 보는 앞에서 안약을 점안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ㅇ 또한 안약이 아닌 의약품이나 제품을 눈에 잘못 넣었을 경우 ▲절대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말 것, ▲눈에 내용물이 들어간 즉시 깨끗한 생리식염수나 물을 사용하여 씻어낼 것, ▲응급 처치 후 가까운 응급실 및 안과를 방문해 진료 받을 것 등을 조언했다.
□ 한편 공정위와 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동아제약㈜, 삼일제약㈜, ㈜유한양행은 향후 출시되는 자사 무좀약 용기에 발모양 픽토그램을 삽입하고 사용설명서의 주의문구를 강화하는 등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 조치를 취하기로 하였다.
<붙임> 1. 안약 오인 점안사고 위해사례 현황 분석
2. 주요 안약 오인 품목의 용기형태 비교
3.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주의사항. 끝.
위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www.ftc.go.kr
붙임 1 안약 오인 점안사고 위해사례 현황
□ (현황)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 관련 위해정보는 총 152건이며, 2018년 58건, 2019년 50건, 2020년 44건 등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
건수 58 50 44 152
※ 제목코드에서 ‘안약’, ‘눈물’, ‘점안’, ‘눈에’ 검색 후 안약으로 오인한 사고만 추출
□ (위해품목별) 안약으로 착각한 품목은 ‘무좀약’이 61건(40.1%)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무좀약 이외 ‘의약품’ 37건(24.3%), ‘순간접착제’ 28건(18.4%) 등의 순임. 무좀약의 경우 최근 3년 연속으로 안약 오인 품목 1위를 차지함.
ㅇ 안약 오인사고가 꾸준히 발생하는 ‘의약품’의 세부내용을 보면 습진, 지루성 두피 등 피부질환과 관련된 약이 1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타박상․찰과상에 바르는 연고(3건), 귀 질환 치료약(3건), 티눈액(2건) 등의 순임.
ㅇ 특이 품목으로는 최근 CISS에 접수된 ’동물 심장사상충 예방약‘과 ’큐티클 수렴제‘가 있음. 반려동물 양육 가구 확대, 코로나19로 인한 셀프 네일제품 사용자 증가에 따라 향후 안전사고가 확대될 우려가 있음.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비율)
무좀약 21 21 19 61(40.1)
의약품* 15 14 8 37(24.3)
순간접착제 11 9 8 28(18.4)
화장품 및 화장용품 4 2 - 6(4.0)
전자담배 액상 2 - 3 5(3.3)
기타** 5 4 6 15(9.9)
합계 58 50 44 152(100.0)
* 무좀약 이외 기타 의약품 ** 렌즈세척액, 모기기피제, 방향제, 탈취제 등
□ (성별) ‘여성’이 91건으로 59.9%을 차지해 ‘남성’(61건, 40.1%)보다 약 1.5배 많았으며, 매년 ‘여성’과 관련된 위해사례가 더 많이 접수되고 있음.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비율)
여성 32 31 28 91(59.9)
남성 26 19 16 61(40.1)
합계 58 50 44 152(100.0)
□ (연령대별) ‘60대 이상’이 76건 접수돼 전체의 50.0%를 차지하였고, 이어 ‘50대’ 34건(22.4%), ‘40대’ 16건(10.5%) 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근거리 시력이 저하되는 ‘50대’와 ‘6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72.4%를 차지해 노안, 안과질환 때문에 용기형태가 유사한 제품을 안약으로 혼동하는 점안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됨.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비율)
10세 미만 3 1 - 4(2.6)
10대 7 2 2 11(7.3)
20대 - 1 4 5(3.3)
30대 4 2 - 6(3.9)
40대 11 1 4 16(10.5)
50대 14 7 13 34(22.4)
60대 이상 19 36 21 76(50.0)
합계 58 50 44 152(100.0)
□ (연령대별 위해 다발 품목) 연령대에 따라 주요 안약 오인 품목에 차이를 보였는데, ‘10대’․‘40대’는 ‘순간접착제’, ‘20대’는 ‘전자담배 액상’, ‘30대’는 ‘무좀약’과 ‘의약품’이 많았음.
ㅇ 타 연령대보다 안약 오인사고가 훨씬 많은 ‘50대’, ‘60대 이상’의 경우 ‘무좀약’, ‘의약품’, ‘순.간접착제’가 다발 품목으로 나타났음.
ㅇ ‘10대 미만’의 경우 총 4건 모두 미취학 아동의 위해사례였으며, 이 중 ‘의약품’ 관련이 2건으로 보호자가 쓰는 녹내장약(7세)과 귀에 넣는 외이도염약(4세)을 눈에 넣은 사례였음. 이외 순간접착제(7세), 모기기피제(6세) 등이 있음.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보호자가 의약품의 투약ㆍ보관, 생활화학제품 등의 보관에 각별히 주의해야 함.
[ 연령별 위해 다발 상위 품목 현황 ]
구분 위해 다발 상위 품목
60대 이상 ①무좀약(43건/56.6%), ②의약품(18건/23.7%), ③순간접착제(11건/14.5%), ④화장품 및 화장용품ㆍ기타(각 2건/2.6%)
50대 ①무좀약(13건/38.2%), ②의약품(8건/23.5%), ③순간접착제(6건/17.6%)
④전자담배 액상ㆍ화장품 및 화장용품(각 1건/2.9%) ⑤기타(5건/14.7%)
40대 ①순간접착제ㆍ의약품(각 5건/31.3%), ②무좀약(3건/ 18.8%)
③화장품 및 화장용품(2건/12.5%) ④기타(1건/ 6.3%)
30대 ①무좀약ㆍ의약품(각 2건/33.3%),
②순간접착제ㆍ전자담배 액상(각 1건/16.7%)
20대 ①전자담배 액상(2건/40.0%) ②의약품(1건/20.0%) ③기타(2건/40.0%)
10대 ①순간접착제(4건/36.3%), ②전자담배 액상ㆍ의약품ㆍ화장품 및 화장용품(각 1건/9.1%), ③기타(4건/36.3%)
10세 미만 ①의약품(2건/50.0%), ②순간접착제(1건/25.0%), ③기타(1건/25.0%)
□ (위해증상별) ‘결막염 또는 안구손상’이 104건(68.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안구 이물감’ 29건(19.1%), 찰과상 15건(9.9%) 등의 순으로 나타남.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비율)
결막염 또는 안구손상 39 33 32 104(68.4)
안구 이물감 10 9 10 29(19.1)
찰과상 7 7 1 15(9.9)
기타* 2 1 1 4(2.6)
합계 58 50 44 152(100.0)
*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 화상, 출혈 및 혈종 등
[주요 안약 오인 품목의 점안사고 시 위해증상]
▪ (무좀약) 각막 및 결막의 손상을 유발할 위험성이 높음.
▪ (순간접착제) 각막에 염증 발생 및 각막 부분이 흐려질 수 있음. 또한, 순간접착제가 굳는 화학반응 시 열이 발생하고 인체조직에 닿은 경우 화상을 입을 위험이 높음.
▪ (기타 생활화학제품)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 화상(chemical burn) 발생 가능성이 있음.
□ 소비자 위해사례
오인 품목 위해사례
무좀약 ㅇ 2019년 10월, A씨(60대, 여)는 발톱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화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의약품 ㅇ 2020년 7월, B씨(60대, 여)는 강아지 심장사상충 예방약을 인공눈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ㅇ 2018년 5월, C씨(4세, 남)는 외이도염약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약물 오용에 의한 안구의 이물과 통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음.
전자담배 ㅇ 2018년 4월, D씨(10대, 남)는 전자담배 액상첨가제를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액상
디퓨저 용액 ㅇ 2018년 4월, F씨(10대, 남)는 디퓨저 용액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의 충혈로 병원 진료를 받음.
큐티클 ㅇ 2020년 7월, E씨(20대, 여)는 큐티클 수렴제를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 손상으로 병원 진료를 받음.
수렴제
순간접착제 ㅇ 2019년 7월, G씨(70대, 남)는 순간접착제를 인공눈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눈꺼풀에 피부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붙임 2 주요 안약 오인 품목의 용기형태 비교(예시)
□ 무좀약
[점안액 형태] 안약 vs 무좀약 (좌 : 안약, 우 : 무좀약)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안연고 형태] 안약 vs 무좀약 (위 : 안약, 아래 : 무좀약)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 순간접착제
[점안액 형태] 안약 vs 순간접착제 (좌 : 안약, 우 : 순간접착제)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 반려동물용 ‘심장사상충 예방약’
[안연고 형태] 안약 vs 심장사상충 예방약 (위 : 안약, 아래 : 심장사상충 예방약)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 네일 ‘큐티클 수렴제’
[점안액 형태] 안약 vs 큐티클 수렴제 (좌 : 안약, 우 : 큐티클 수렴제)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 렌즈세척액
[점안액 형태] 안약 vs 렌즈세척액 (좌 : 안약, 우 : 렌즈세척액)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붙임 3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주의사항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복지공단과 전국화물자동차공제조합이 협력의 손을 잡다!-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 간 구상금 분쟁 조정 기능 강화 (0) | 2021.08.25 |
---|---|
고용노동부, ‘미래청년인재육성 사업’ 참여 접수 시작-청년을 채용한 미래유망기업에 6개월간 최대 1,140만원 지원 (0) | 2021.08.25 |
신고 준비상황별 가상자산사업자 명단과 가상자산 관련 불법행위에 대한 범부처 특별단속(4.16~9.30) 중간 실적을 발표합니다. (0) | 2021.08.25 |
홍 부총리, 'K-테스트베드 출범식' 개회사 (0) | 2021.08.25 |
「2021 디지털이코노미포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혁신기술과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논의 (0) | 202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