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발표

하이거 2021. 3. 31. 17:22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발표

 

담당부서 | 식품위해평가과/위해예방정책과2021-03-31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발표
▪ 다이옥신류(29종) 및 4종 중금속 노출수준은 위해우려 없음
▪ 1-2세 유아의 경우, 납 노출 저감을 위해 노출원 관리 필요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다이옥신류* (29종)와 중금속(납, 수은, 카드뮴, 비소, 크롬)의 통합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체내 노출량이 감소되고 있고 노출원도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다이옥신류 : 산업 활동의 불순물 혹은 산불 등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잔류성유해물질로써 생식발생 및 발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
○ 이번 평가는 기존에 식품의 위해성평가만을 진행하던 노출원을 인체적용제품(화장품, 위생용품, 생활제품 등)과 환경매체(집먼지, 물, 토양 등)로 확대하고, 우리 국민의 실제 생활 속에서 노출 가능한 경로를 고려해 통합위해성평가를 수행한 결과입니다.
- 평가 방법은 노출원별 노출량을 모두 합산하여 총 노출량을 산출했으며 인체바이오모니터링*을 통해 노출 수준의 변화도 함께 조사했습니다.
* 인체바이오모니터링 : 혈액, 소변 등 인체시료에서 직접 다이옥신류와 중금속 등을 분석하여 실제 노출량을 확인하는 방법
❮ ① 다이옥신류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
□ 다이옥신류(29종)의 노출은 인체노출안전기준*과 비교할 때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인체노출안전기준 : 평생 노출되어도 위해우려가 없다고 판단되는 체중 당 일일노출량
○ 다이옥신류 1일 총 노출량(0.281∼0.960 pg TEQ/kg b.w./day)은 인체노출안전기준(2.0 pg TEQ/kg b.w./day) 보다 낮았으며, 주요 노출원은 식품(92% 이상)으로 환경(대기, 물, 토양, 집먼지)과 식품 이외 제품*(325개 품목)을 통한 노출은 매우 낮았습니다.
* 식품 이외 제품 : 지류(紙類), 위생용품, 공산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
□ 우리 국민의 인체시료(혈액)에 대한 다이옥신류 바이오모니터링 결과, 조사시점인 2010년∼2011년 대비 2017년∼2018년에 체내 노출은 감소했으며 특히 남성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남성> <여성>

(그림 1) 성인의 다이옥신류 노출량 변화
○ 또한 수도권 거주자 152명을 대상으로 체내 노출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지수(BMI) 25 이상인 경우 ▲식품 섭취량(육류, 우유, 알류)이 많을수록 ▲임신 경험이 있는 경우 ▲흡연 등의 요인이 체내 다이옥신류 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특히 다이옥신류는 지방 함량이 많은 식품에 축적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이옥신은 체내 흡수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지방조직에 장기간 잔류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짐
❮ ② 중금속 5종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
□ 납을 제외한 수은, 카드뮴, 비소, 크롬 등 4종의 총 노출량이 인체노출안전기준보다 낮아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식품을 통한 납 노출량은 전 연령대 모두 2010년에 비해 감소했지만, 1세∼2세 유아의 납 노출량(0.58 ㎍/kg b.w./day)은 독성참고값*(0.50 ㎍/kg b.w./day)보다 다소 높아 납 노출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 납의 독성참고값 : 혈중 납 농도와 어린이 IQ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IQ 1점이 낮아지는 납의 일일노출량으로, 납의 위해여부를 판단할 때 참고하는 값
- 1세∼2세 유아의 주요 납 노출원은 식품(63%) 및 환경(토양 및 집먼지 19%, 먹는물 15%, 대기 3%)이었는데, 특히 토양 및 집먼지에서 성인(4.5%)에 비해 높은 것은 손이나 물건을 입에 넣고 빠는 행동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림 2) 식품을 통한 납 노출량 변화
- 식약처는 지속적 식품 모니터링 및 기준규격 재평가, 체내 납 노출 요인 조사 및 환경 오염원 관리를 위한 관계부처 협력 등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 우리 국민 인체시료(혈액, 소변)에 대한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 비소)바이오모니터링 결과, 조사시점인 2010년∼2012년 대비 2017년∼2018년에 체내 노출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크롬의 경우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비소는 독성이 낮은 유기비소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습관(어패류 섭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남성> <여성>

(그림 3) 성인의 비소종별 농도 변화
□ 식약처는 앞으로도 주요 노출원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체내 노출수준의 변화와 그에 따른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 관계 부처*와 협력하여 노출원 정보를 공유하고 주요 노출경로를 정확히 파악하여 우리 국민에게 많이 노출되는 제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 식약처, 환경부(환경과학원), 해양수산부(수산과학원), 산업통상자원부(국가기술표준원), 농림축산식품부(농업과학원) 등 5개 부처와 협력 강화
* 통합위해성평가 결과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홈페이지(nifds.go.kr)→정보마당→간행물·자료집에서 확인 가능
<붙임> 1. 주요 용어 해설
<붙임> 2.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붙임> 3. 질의응답
<붙임> 4.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카드뉴스(별첨)
[붙임 1] 주요 용어 해설
○ 통합위해성평가 :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인체적용제품과 대기, 물, 토양 등 환경 노출원을 고려하여 인체 총 노출량에 대한 위해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함.
○ 노출원 : 위해요소를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식품, 화장품, 장난감, 물, 토양, 대기 등이 해당되며, 사람은 노출원을 통해 위해요소에 노출됨.
○ pg TEQ/kg b.w./day : 다이옥신류(29종)의 체중 당 일일 노출되는 양을 표기하는 단위임.
* pg(피코그램) 1그램을 1조로 나눈 값(10-12)
* TEQ(Toxic Equivalent, 독성등가환산농도) : 다이옥신류 29종 중 독성이 가장 큰 물질(2,3,7,8-TCDD)의 독성을 1로 하고 다른 다이옥신류의 독성을 상대적 비율로 환산한 농도
○ 인체노출안전기준 : 인체적용제품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에 노출되었을 경우 평생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노출량을 말함.
○ 독성참고값 : 인체노출안전기준이 없는 경우 위해 여부 판단에 사용되며, 동물독성시험 혹은 인체역학 연구에서 확인된 위해요소의 노출량과 유해영향을 용량-반응 평가하여 산출한 독성값으로 최대무독성용량, 최소유해용량 및 벤치마크용량(BMDL) 등이 포함됨.
○ 바이오모니터링 : 인체시료(혈액, 소변, 머리카락, 모유 등)에서 직접 위해요소를 분석하여 실제 노출량을 확인하는 방법
[붙임 2] 통합위해성평가 결과

표 1. 다이옥신류의 다양한 노출원을 통한 총노출량
노출원 노출경로 1-2세 3-6세 7-12세 13-18세 19-64세 ≥65세
식품 경구 0.887 0.677 0.456 0.282 0.389 0.265
식품 화장품 경피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이외 위생용품 경피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제품2) 어린이용품 경피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기타소비자제품 경피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환경 대기 흡입 0.034 0.017 0.01 0.008 0.007 0.007
먹는물 경구 0.014 0.011 0.009 0.007 0.007 0.007
토양 경구 0.025 0.012 0.006 0.004 0.001 0.002
다이옥신류 총노출량  0.96 0.717 0.481 0.301 0.404 0.281
인체노출안전기준 2 2 2 2 2 2
위해지수 0.48 0.36 0.24 0.15 0.2 0.14
* 위해지수 공식 : 노출량 ÷ 인체노출안전기준
(위해지수가 1보다 크면 위해우려 있음으로 판단)
품목분류 노출경로 1∼2세 3∼6세 7∼12세 13∼18세 19∼64세 65세이상
식품 경구 0.366 0.293 0.23 0.145 0.192 0.17
식품이외 제품 화장품 피부 0.001 0.001 0.003 0.002 0.002 0.002
어린이용품 경구 <0.0001 <0.0001 - - - -
담배 흡입 - - - - 0.01 0.011
기타소비자제품 피부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환경 먹는 물 경구 0.084 0.079 0.057 0.041 0.039 0.036
대기 흡입 0.018 0.011 0.006 0.004 0.008 0.006
토양 및 먼지 피부 0.001 0.001 0.001 0.001 <0.000 <0.000
경구 0.111 0.063 0.057 0.042 0.013 0.01
납 총 노출량 0.581 0.448 0.354 0.235 0.264 0.235
독성참고값 0.5 0.5 0.63 0.63 0.63 0.63
노출안전역 0.85 1.12 1.78 2.68 2.39 2.68
* 납은 인체노출안전기준이 철회되어 독성참고값과 비교하는 노출안전역으로 판단:
노출안전역 공식: 독성참고값 ÷ 노출량
(납의 경우 역학연구를 기반으로 산출된 독성참고값이므로 노출안전역 1 이상일 경우 위해우려 낮은 것으로 판단)

품목분류 노출경로 1∼2세 3∼6세 7∼12세 13∼18세 19∼64세 65세 이상
식품 경구 0.179 0.126 0.087 0.052 0.075 0.061
식품이외 제품 화장품 피부 0.008 0.005 0.003 0.001 0.001 0.001
어린이용품 경구 - - - - - -
담배 흡입 - - - - 0.0005 0.0006
기타소비자제품 피부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환경매체 물 경구 0.018 0.016 0.011 0.008 0.008 0.007
대기 흡입 0.0007 0.0007 0.0004 0.0004 0.0003 0.0004
토양 및 먼지 경구 0.0003 0.0003 <0.0001 <0.0001 <0.0001 <0.0001
수은(무기)의 일일 총 노출량 0.206 0.148 0.102 0.062 0.085 0.07
인체노출안전기준 0.528 0.528 0.528 0.528 0.528 0.528
위해지수 0.39 0.28 0.19 0.12 0.16 0.13
품목분류 노출경로 1∼2세 3∼6세 7∼12세 13∼18세 19∼64세 65세 이상
식품 경구 0.412 0.461 0.562 0.277 0.358 0.238
식품이외 제품 화장품 피부 0.002 0.001 0.013 0.008 0.007 0.008
어린이용품 경구 <0.0001 <0.0001 <0.0001 - - -
담배 흡입 - - - - 0.011 0.011
기타소비자제품 피부 0.00004 0.00003 0.00005 0.00008 0.00007 0.00008
환경 먹는 물 경구 0.036 0.032 0.022 0.016 0.016 0.014
대기 흡입 0.001 0.001 0.001 0.0004 0.001 0.0004
토양 및 먼지 경구 0.023 0.012 0.008 0.005 0.002 0.002
카드뮴 총 노출량 0.474 0.507 0.606 0.306 0.395 0.273
인체노출안전기준 0.833 0.833 0.833 0.833 0.833 0.833
위해지수 0.57 0.61 0.73 0.37 0.47 0.33
품목분류 노출경로 1∼2세 3∼6세 7∼12세 13∼18세 19∼64세 65세 이상
식품 식품전체 경구 0.578 0.518 0.383 0.263 0.243 0.284
식품이외 제품 화장품 피부 0.036 0.023 0.141 0.092 0.084 0.092
어린이용품 경구 0.064 0.001 - - - -
담배 흡입 - - - - 0.001 0.001
기타소비자제품 피부 0.0002 0.0001 0.0002 0.0004 0.0004 0.0004
환경 먹는 물 경구 0.09 0.079 0.056 0.04 0.04 0.036
대기 흡입 0.01 0.011 0.001 0.001 0.004 0.001
토양 및 먼지 경구 0.036 0.02 0.015 0.011 0.008 0.004
비소(무기) 총 노출량 0.814 0.652 0.596 0.407 0.38 0.418
인체노출안전기준 1.285 1.285 1.285 1.285 1.285 1.285
위해지수 0.63 0.51 0.46 0.32 0.3 0.33
품목분류 노출경로 1-2세 3-6세 7-12세 13-18세 19-64세 65세이상
식품 경구 4.221 3.223 2.294 1.639 1.566 1.176
식품이외 제품 화장품 피부 0.162 0.104 0.692 0.442 0.404 0.442
어린이용품 경구 0.021 0 - - - -
담배 흡입 - - - - 0.01 0.011
환경 먹는 물 경구 0.361 0.317 0.224 0.159 0.158 0.144
3가크롬 총 노출량 4.765 3.644 3.21 2.24 2.138 1.773
인체노출안전기준 300 300 300 300 300 300
위해지수 0.02 0.01 0.01 0.01 0.01 0.01

[붙임 3] 질의응답
Q 1. 다이옥신류는 무엇인가?
- 쓰레기 소각, 화산활동, 산불 등의 불완전연소에 의해 자연발생하거나 염소와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합성과정에서 불순물로 생겨난 물질
- 폴리염화디벤조다이옥신류(75종) 및 폴리염화디벤조퓨란류(135종) 동족체의 혼합물(210종)을 통칭하며, 이 중 2,3,7,8-TCDD를 포함한 17개 동족체가 독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2,3,7,8-TCDD는 베트남전에서 사용되었던 고엽제에 포함된 2,4,5-T의 불순물임
- 독성이 큰 17종 이외 다이옥신류와 유사한 독성을 갖는 다이옥신 유사 PCBs (dioxin-like PCBs) 12종을 포함하여 총 29종을 다이옥신류라 함.
Q 2. 중금속은 무엇인가?
- 자연적으로도 존재하는 물질이며, 생산·제조 등 산업에 사용되는 금속임.
- 구리, 철, 아연 등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납, 수은, 카드뮴, 비소 등은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Q 3. 중금속을 관리해야 할 이유는?
- 중금속은 자연적으로 존재하지만, 산업적인 제조과정을 통해 생성되어 대기, 토양 등 환경을 오염시키고, 식품, 생활제품 등에서도 검출되므로, 소비자의 중금속 노출을 줄이기 위한 관리가 필요함.
Q 4. 사람은 중금속 및 다이옥신류에 어떻게 노출되는가?
- 사람은 식품, 물, 공기 혹은 생활제품 등을 통해 매우 적은양의 중금속 및 다이옥신류에 노출될 수 있음.
- 또한 이들을 사용하거나 생산하는 일부 산업체의 작업장에서도 노출될 수 있음.
- 다만, 중금속이나 다이옥신류에 노출되었다는 것이 바로 질병이나 독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님.
Q 5. 우리나라 중금속 및 다이옥신류의 주요 노출원은?
- 중금속 및 다이옥신류의 주요 노출원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음.
Q 6. 식품이외 중금속 체내 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 식습관, 생활습관, 유전적요인, 흡연 등의 요인도 체내 중금속 노출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짐.
- 납은 1-2세 유아의 경우 환경(집먼지 및 토양)도 주요 노출원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손이나 물건을 빠는 행동특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됨.
Q 7. 중금속 노출에 의한 위험성은 무엇인가?
- 단기간 많은 양의 중금속에 노출되면 빠르게 급성 중독증상(마비, 메스꺼움, 구토, 혼수상태 등)이 나타나거나 사망할 수도 있음.
- 매우 적은 양으로 오랫동안 중금속에 노출되는 것을 만성적 노출이라 하며, 만성적 노출은 확실하게 건강영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거나 매우 느리게 나타날 수 있음.
Q 8. 인체바이오모니터링을 하는 이유는?
-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은 오랫동안 체내에 축적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체 시료(혈액, 소변, 머리카락, 모유 등) 분석을 통해 실제 체내의 노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음.
- 따라서, 노출 변화를 관찰하는데 도움이 되며, 다양한 경로와 모든 노출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음.
Q 9. 중금속과 다이옥신류의 체내 반감기는?
물질 시료 반감기
납 뼈 5년
혈액 30일
카드뮴 소변 10년 이상
혈액 100일
수은 혈액 18일
다이옥신(2,3,7,8-TCDD) 혈액 7년
Q 10. 중금속 중독을 치료하는 방법은?
- 우리의 몸은 중금속에 노출되면 오랜 기간 천천히 배출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체내 장기)에 저장함으로써 뇌, 신경 및 기타 장기에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자연적으로 반응함.
- 그러나 급성 중금속 중독 시에는 중금속을 우리 몸에서 배출하도록 도와주는 킬레이트 작용을 하는 약으로 치료가 가능함.
Q 11. 중금속 노출을 예방하는 방법은?
- 가장 좋은 방법은 중금속의 노출원을 확인하고, 제거하여 추가적인 노출을 예방하는 것임.
- 실내에서는 먼지가 없도록 잘 청소하기, 나물 조리 시 중금속이 물에 우러나오도록 데쳐서 조리하기,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식습관 가지기, 금연 및 금주 실천 등은 중금속을 줄이는데 도움이 됨. (식약처의 카드뉴스 참고)
Q 12. 다이옥신류의 인체바이오모니터링에서 측정된 체내 농도는 어떻게 해석하는가?
- 체내 축적성이 높은 다이옥신류의 바이오모니터링 결과는 과거부터의 노출 상황을 반영하고 있음.
* 혈중 다이옥신 농도는 20년∼25년 전 노출을 반영할 수 있음.
- 우리국민의 2010년∼2012년 및 2017년∼2018년에 각각 수집된 인체시료에서 다이옥신류 분석값은 과거 노출로부터 계속 축적된 체내 총 노출량으로 고려됨.
- 2010년∼2012년에 비해 2017년∼2018년에는 비슷하거나 감소 경향 보이나, 정책적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함.
Q 13. 통합위해성평가 결과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 다이옥신류 및 중금속 등은 부처별로 관리되고 있으나 인체중심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함.
- 2018년부터 통합위해성평가부처협의회를 구성하여 평가방법의 기술조화 및 노출원의 통합적 안전관리를 위해 협력 중임.
- 각 부처별 안전관리 우선순위, 주요 노출원 및 관리 대상 등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여 국민의 체내 유해물질 노출을 저감하는 정책적 효과가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