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물류운송분야에 AI, IOT 등 결합돼 자동화 바람 분다-물류운송분야 특허출원 지난 10년간 연평균 6% 증가세

하이거 2021. 3. 23. 10:01

물류운송분야에 AI, IOT 등 결합돼 자동화 바람 분다-물류운송분야 특허출원 지난 10년간 연평균 6% 증가세

 

담당부서 제어기계심사과작성일2021-03-23

 

 

"물류운송분야에 AI, IOT 등 결합돼 자동화 바람 분다.
- 물류운송분야 특허출원 지난 10년간 연평균 6% 증가세 -
- 물류 자동화 기술이 물류운송분야 특허출원 주도 -"
온라인 쇼핑이 일반화되면서, 배송을 위한 물류 센터, 분류 작업, 물류 입출고 또는 하역을 자동화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기술과 결합된 스마트 물류창고, 스마트 분류 및 피킹 시스템, 배송트럭 내 자동 하역장치 관련 출원도 등장하고 있다.
"□ 인터넷 쇼핑 등 비대면 상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최근 10년간 물류운송 기술분야의 특허 출원이 연평균 6%증가했다. 지난 10년전(‘10→’19년) 대비는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1]
* 물류운송기술은 제품의 하역, 분류, 이송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
"□ 특허청(청장 김용래)에 따르면 택배 등 물류 운송 분야의 특허 출원은
물류산업*이 성장하면서 ‘10년 78건에서 ’19년 131건으로 꾸준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붙임1]
*같은 기간 택배물량은 12억 상자(‘10년) ⇒ 28억 상자(’19년) (한국통합물류협회)"
"□ 물류운송분야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특허출원을 주도
하고 있다. [붙임1]
ㅇ 최근 10년간 특허출원된 물류 운송 분야의 특허 925건 중에서 물류
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특허는 총 339건으로 약 37%를 차지하고 있다."
"- 차지하는 비율로도 ‘10년 28%에서 ‘19년 53%까지 증가해 물류 공정을 자동화하는 특허 출원이 전체 물류운송분야 출원을 주도하고 있다.
ㅇ 또한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기술이 물류공정에 결합돼 기 술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 지난 ‘15년(2건)부터 AI, IOT 기술이 접목된 물류 공정을 자동화하는 특허가 출 원되기 시작됐고 ’19년(13건)까지 지난 5년간 총 32건이 출원됐다. [붙임1]
- 물류과정은 보관, 분류, 피킹, 포장, 상하차, 배달 등 순으로 이어진다. 초기 자동화 기술은 설비시설 자동화에 집중됐지만, 이제는 물류 전 과 정에서 자동화 기술이 결합되고 있다. AI, IOT 등 기술접목이 가속화되고,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트렌드가 자리 잡으며 자동화 기술개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글로벌 물류기술 동향 】

"❑ 미국은 코로나 사태로 AI산업이 성장하며 비대면 물류기술 개발 기업에 대한 신규자본과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벤처캐피털 등은 투자자들은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배달로봇 등 20여개 기업에 60억 달러를 집중 투자했다.
❑ 스위스 기술기업 ABB사가 포장로봇 IRB 390 플렉스패커 개발 및 도입에 나섰다. 포장로봇은 물류창고 ‘픽 앤 플레이스’ 작업을 자동화하면서 전체 라인 효율 극대화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 한국교통연구원 물류기술개발지원센터 글로벌 물류기술 동향(20.9)"
"□ 세부 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컨베이어 등을 포함하는 이송장치 관련 출 원이 41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하역·입출고 장치와 관련된 출원이 1
53건, 물품의 분류·피킹1)·포장과 관련된 장치가 107건 등 순이다. [붙임2]"
"□ 출원인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이 488건으로 물류 운송 분야 출원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 외국인 128건, 대학·연구기관 97건이며, 대기업에 의한 특허출원은 91건이다. [붙임3]
ㅇ 물류 운송장치를 직접 제작 및 설치하는 업체가 대부분 중소기업
으로 중소기업의 출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1) 피킹: 분류된 물품, 또는 분류하면서 물품을 집어서 목적한 위치로 옮기는 작업

"□ 특허청 제어기계심사과 김명찬 심사관은 “앞으로는 물류 작업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물류 공정에 AI,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을 접목하는 출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물류 자동화와 관련 된 연구개발과 더불어 이를 보호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 붙임 : 전체 물류 운송장치 관련 출원현황 및 자동화 관련 사례 등"
붙임1
전체 물류 운송장치 관련 출원현황 (‘10~19년)2)

□ 물류 운송장치 관련기술 특허출원 현황
구분/연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계
"물류운송 장치 특허출원
(건수)" 총출원 78 65 75 94 79 110 83 96 114 131 925
자동화 22 12 16 19 35 36 30 47 52 70 339
(비율%) (28%) (18%) (21%) (20%) (44%) (33%) (36%) (49%) (46%) (53%) (37%)
□ 자동화 물류 운송장치 관련기술 특허출원 현황
구분/연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계
자동화(건) 22 12 16 19 35 36 30 47 52 70 339
분류·피킹(건) 2 0 1 1 4 8 8 8 12 12 56
□ AI, 사물인터넷 기술 적용 자동화 물류 운송장치 특허출원 현황
구분/연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계
AI, IoT(건) 0 0 0 0 0 2 2 10 5 13 32
"□ 물류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특허 출원 현황
"
"2) 특허청의 특허검색시스템을 이용하여 국제특허분류(IPC)를 기준으로 운반 또는 저장 장치 관련 기술 분야(B65G)에 속하고,
“물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출원을 1차 추출하고, 이를 전수 조사하여 2차로 선별하여 집계한 것이다."
붙임2
물류 운송장치 관련 세부 기술별 현황 (‘10~19년)

□ 세부 기술분야별 출원현황


붙임3
물류 운송장치 관련 출원인 현황 (‘10~19년)

□ 출원인 유형별 현황
□ 물류 운송장치 다 출원인

순 위 출원인
물류 운송장치 전체 자동화 물류 운송장치
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80건, 중소) 현대무벡스 주식회사(22건, 중소)
2 씨제이대한통운 (주)(31건, 대기업) 씨제이대한통운 (주)(20건, 대기업)
3 현대무벡스 주식회사(24건, 중소)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15건, 연구)
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연구)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중소)
5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연구) 주식회사 가치소프트(중소)
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외국)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연구)
7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외국) 주식회사 신흥기계(중소)
8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연구) 주식회사 티에스피지(중소)
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대기업) 권영종, 이종석, 심승원(개인)
물류 운송장치 자동화 관련 기술 예시
붙임4


"세부분야
(건수)" 분류설명 예시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시스템 (등록 제10-2070327호)
화물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관리·제어 (53건) 물류센터 시스템 전체, 또는 관리, 제어 장치 "인식하고 사물인터넷을 이용해 화물의 입·출고, 화물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물류센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인공지능 운송 로봇 등과 통신하여, 본사에서
물류 센터 운영 상황을"
확인하고 이동 장치를 제어하여
화물을 이송시키는 기술
물류 센터의 피킹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킹 자동화 방법
(등록 제10-2043898호)
분류·피킹 (56건) 물품의 분류, 피킹, 포장 등을 수행하는 장치 "학습부는 인공 신경망(인공지능) 을 이용하여, 물체 영역 검출, 물체 접촉점 정보 및 물체 분류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영상 입력부는 피킹 대상이
되는 물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자동으로 피킹하는 기술
입출고 (64건) 물품의 입출고(또는 하역) 장치 하역 장치 (등록 제10-2197776호)
"하역장치 전방 객체에 대한 영상, 스캔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초한 화물 인식모델을 적용하여 트럭 컨테이너 내부의 대상화물을 자동으로 인식 및
하역하는 기술"
작업자 모션 반응형 물류 이동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등록 제10-1733341호)
이송장치 (140건) "핵심기술이 이송부이거 나, 주목적이
이송인 장치" "작업자를 촬영한 이미지와 사물인터넷을 통한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작업자의 모션, 제스처 정보와 거리를
결정하고 적재부의 슬라이딩"
높이 및 적재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술
물류 자동화 사례
붙임5


사례 내용
① 1. 검수/포장영역 자동화 (출처: LG CNS 홈페이지)

② 2. 물류 관련 참고 사진

IRB 플렉스패커 390(포장 로봇) 출처: 글로벌 물류 기술동향 (‘20.9) 포장 관련 그래픽이미지 출처: 클립아트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