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코트라, 5대 부품대상 글로벌기업 80개사와 국내기업 151개사간 매치메이킹 추진-글로벌파트너링사업(Global Partnering, GP사업)’ 추진계획
담당부서소재부품정책과 등록일2016-11-14
소재⋅부품기업, 글로벌기업 공급 성공사례 계속 늘어나
- 산업부·코트라, 5대 부품(자동차·조선기자재·항공·휴대폰·건설․공작기계) 대상
글로벌기업 80개사와 국내기업 151개사간 매치메이킹 추진 -
-‘17년 성약 프로젝트 230건, 수출 3억불(16년 전망 대비 50%↑) 달성 목표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와 코트라(사장 김재홍)는 국내 소재·부품기업들이 글로벌기업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이하 GVC)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글로벌파트너링사업(Global Partnering, 이하 GP사업)’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지원을 확대하기로 함
ㅇ 그 간, 우리 소재·부품산업은 중국의 급속한 성장, 국내 완제품업체의 해외진출 확대 등으로 범용부품 중심의 급속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최근 세계경기 둔화, 중국의 자급도 제고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크게 둔화
* 소재·부품 실적(‘01년 대비 ’15년) : 수출 4.3배, 무역수지 39배 증가,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0위 → 5위
* 소재·부품 연평균 수출증가율(%) : (‘01~’05) 18.9→ (‘06~’10) 11.4→ (‘10~’15) 0.9
ㅇ 소재·부품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핵심 기술개발을 통한 GVC 진입이 매우 중요
* 국내 소재부품기업의 90%가 국내 대기업 가치사슬 의존적으로, 고부가가치 전환을 통한 글로벌 가치사슬(GVC) 진입역량 부족
□ 이에 따라, 산업부와 코트라는 국내 소재·부품기업들의 GVC 진입지원을 통한 수출 확대를 위해 ‘10년부터 GP사업을 추진해옴
ㅇ 동 사업은 코트라 무역관을 통해 글로벌기업의 수요를 발굴하여 이에 적합한 우리 소재·부품기업과 상담을 주선하고, 상담회 이후 글로벌기업의 요구수준 대비 부족한 국내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기술개발, 품질관리 등을 지원하는 사업임 (GP사업 추진체계 및 절차 : 참고 1)
ㅇ 글로벌기업 수요발굴부터 최종 납품까지는 글로벌기업의 국내 부품기업 공장실사, 벤더등록 등이 필요하여 통상 3∼4년이 소요됨에 따라, 최근 동 사업의 지원을 받은 중소·중견기업들이 글로벌기업에 납품을 성공하는 사례가 계속 늘어나고 있음
* 수출성약 : (‘14) 0.3억불, 20건 → (‘15) 1억불, 129건 → (’16 전망) 2억불, 190건
< GP사업 성공사례 >
ㅇ (사례 1) 자동차부품기업인 (주)한도는 ‘10년 GP상담회에 참여하여 글로벌기업 T사의 수요를 발굴한 후, T사가 요구하는 기술수준 충족을 위해 정부 R&D 자금을 지원받고 부품정밀도를 30% 개선하여 ’13년 5천만불 계약에 성공
ㅇ (사례 2) 자동차부품기업인 (주)센트랄은 ‘13년 GP상담회에 참여하여 글로벌기업 B사 등의 수요를 발굴한 후, 품질향상 교육 등을 통해 수요기업의 안정성 기준 등을 충족하여 금년 4월 1억불 계약에 성공
□ 산업부와 코트라는 수출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우리의 주력산업인 ①자동차부품, ②휴대폰부품, ③건설·공작기계부품과 미래 유망산업인 ④항공부품, 조선산업 지원대책의 일환으로 ⑤조선기자재를 핵심 지원대상 품목으로 선정하고,
ㅇ 코트라 무역관 40개소와 업종별 단체를 통해 글로벌기업 80개사의 수요와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국내기업 151개사를 발굴하여 업종별 구체적인 매치메이킹 추진계획을 마련함(10.5~10.31)
* 글로벌기업(80개사) : 자동차 20, 조선·항공·휴대폰·기계 각 15
* 국내기업(151개사) : 자동차 42, 조선 40, 항공 28, 휴대폰 21, 기계 20
ㅇ 수요조사 분석결과, 대부분의 업종에서 범용부품 분야는 수요-공급간 일치율이 높았으나, 경량화·전장부품 등 첨단분야에서 글로벌기업의 수요는 확대되고 있는 반면,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부품기업은 미미
* 글로벌기업은 공급다변화 차원에서 IT기술수준이 높은 우리기업에 대한 문의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기업은 상용화 기술개발단계에 있어 해외진출은 미미
ㅇ 수요-공급이 일치한 품목은 금년 11월부터 상담회를 즉시 추진하고, 불일치 분야는 연말까지 글로벌기업 수요와 국내 부품기업을 추가 발굴 후 ‘17년 초부터 본격 추진할 계획 (GP상담회 추진계획 : 참고 2)
□ 업종별 추진계획은 아래와 같음
① (자동차부품) 엔진부품, 변속기 등 범용부품 분야는 수요-공급간 일치율이 높아 금년 4분기부터 상담회 즉시 추진
- 전장화·경량화 등 첨단부품 분야는 국내부품기업 발굴이 부족하여 업종단체, 정부R&D 수행기업 조사 등을 통해 국내업체를 발굴, 국내 수요기업 납품과 해외진출을 동시에 추진토록 유도
< 수요-공급간 매칭 현황 >
품목
글로벌기업
국내부품기업
주요 추진사업
매칭
엔진부품, 변속기 등
T사, M사 등 15개사
오스템, 코다코 등 38개사
⋅‘16 : 인도
⋅‘17.上: 중국, 멕시코
⋅‘17.下: 이란, 인도
非매칭
첨단
경량화부품, 전장부품 등
B사, T사 등 9개사
대성엘텍, 대성전기공업
⋅‘17.上: GM, Volvo 등
⋅‘17.下: Ford, BMW 등
범용
A/S 및 액세서리류
-
제이앤드씨, 리한 등 3개사
해외수요 추가발굴
② (조선기자재) 수요-공급이 일치하고 시장수요가 높은 선박평형수처리장치*, A/S부품 중심으로 중국, 싱가폴 시장**을 타켓화
* IMO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17.9월부터 선박평형수처리장치 장착이 의무화
** 세계 선박수리시장은 중국, 싱가폴이 50% 이상 점유
- GP사업을 신규 적용하는 분야로 거점무역관 확충*과 업종단체(조선기자재공업협동조합 등) 협업을 통해 추가수요 발굴 강화
* 거점무역관 : (‘16) 2개(달라스, 쿠알라룸푸르) → (’17) 5개(광저우, 오사카, 싱가폴)
- 이를 기반으로 신규 상담회 및 전문전시회와 연계한 상담회 개최
< 수요-공급간 매칭 현황 >
품목
글로벌기업
국내부품기업
주요 추진사업
매칭
평형수처리장치, A/S 부품 등
D사, S사 등 12개사
테크로스 등 31개사
⋅‘17.上: 부산, 중국, 일본
⋅‘17.下: 싱가폴, 중국
非매칭
첨단
컴퓨터모듈
M사 등 2개사
-
국내기업 추가발굴
범용
열교환기, 전기설비 등
-
대원열판 등 11개사
해외수요 추가발굴
③ (항공부품) 국내기업이 경쟁력을 보유한 기체구조물, 엔진부품을 중심으로 미국·유럽(기존 확대), 중국·일본(신규 진출) 시장을 타겟화
- 신소재·항공전자 등 첨단분야는 국내기업 추가 발굴 및 글로벌기업과 국내기업간 수출·기술상담회 개최
-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항공 등 국내 주요기업과 중소기업간 협의체 구성을 통한 공동마케팅, 수주활동 등 협업강화로 동반진출 추진
< 수요-공급간 매칭 현황 >
품목
글로벌기업
국내부품기업
주요 추진사업
매칭
범용
기체구조물, 엔진부품 등
B사, M사 등 9개사
대화항공 등 19개사
⋅‘17.上: 미국, 프랑스
⋅‘17.下: 국내, 독일
첨단
항전,
복합재부품
T사, M사 등 9개사
에어로매스터 등 8개사
非매칭
(첨단)
신소재,
통신·보안 등
A사, B사 등 4개사
-
⋅국내업체 추가발굴
⋅기술상담회(‘17.上 보잉, ‘17.下 에어버스)
④ (휴대폰부품) 카메라모듈, 보안솔루션 등 전반적으로 수요-공급간 일치율이 높아 금년 4분기부터 즉시 추진
* GP코리아 행사(‘16.11.15∼16)시 화웨이, TCL, Coolpad Group, Gionee Com, Konka Tel 등 중국 휴대폰 기업 5개사와 국내 부품기업 30여개사간 1:1 상담 예정
< 수요-공급간 매칭 현황 >
품목
글로벌기업
국내부품기업
주요 추진사업
매칭
카메라모듈, 보안솔루션
G사, H사 등 13개사
자화전자 등 13개사
⋅‘17.上: 중국, 인도
⋅‘17.下: 중국, 베트남
非매칭
(첨단)
사물인터넷, 이차전지
A사, Z사 등 6개사
-
국내기업 추가발굴
⑤ (건설·공작기계부품) 유압부품, 자동화기기 등 수요-공급이 일치한 분야 중심으로 상담회를 개최하되, 불일치 분야는 추가 발굴
- GP종합상담회와 함께, 기계부품에 특화된 상담회를 전문전시회와 연계하여 개최
< 수요-공급간 매칭 현황 >
품목
글로벌기업
국내부품기업
주요 추진사업
매칭
유압부품, 자동화기기
C사, J사 등 9개사
하이젠모터 등 12개사
⋅‘17.上: 일본, 국내
⋅‘17.下: 미국, 스위스
非매칭
첨단
경량화소재 등
A사, Z사
-
국내기업 추가발굴
범용
브레이크, 드릴 등
-
필엔지니어링 등 8개사
해외수요 추가발굴
□ 산업부 도경환 산업기반실장은 “우리 소재부품기업들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기업의 공급망 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하며,
ㅇ “GP사업을 확대·내실화하여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이 세계적인 강소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밀알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ㅇ 이를 위해, ‘17년 성약 프로젝트 230건, 수출 3억불 달성을 목표로, 글로벌기업 수요발굴부터 납품까지 필요한 전 과정에 대해 지원을 확대할 계획
< GP사업 확대계획 >
◇ GP사업 예산을 ‘16년 30억원에서 ’17년 55억원(정부안 기준)으로 확대
◇ 글로벌기업과 국내 부품기업간 GP상담회를 대폭 확대하고, 코트라 거점무역관을 확대하여 글로벌기업의 수요발굴 강화
* 상담회 (‘16) 21회 → (’17) 40회 / 거점무역관 : (‘16) 40개소 → (’17) 45개소
◇ 글로벌기업 퇴직기술자와 국내기업 퇴직전문가 고용을 확대하여 기술지도, 조달프로세스 교육, 마케팅 전략 등 멘토링 제공 강화
* 해외퇴직자 : (‘16) 4명 → (’17) 8명 / 국내퇴직자(신규) : (’17) 10명 내외
□ 한편, 내일부터 개최되는 GP Korea(11.15~16, 더케이호텔서울)에는 피에스에이(PSA Peugeot Citroen, 프랑스), 화웨이(Hauwaei, 중국) 등 글로벌기업 및 연구소 62개사와 국내 소재부품기업 340여개사가 참여하여 수출상담과 함께 공동기술개발 상담도 개최될 예정됨
ㅇ 특히, 국내 자동차부품기업인 (주)두현분말야금는 금년 GP사업을 통해 꾸준히 만나온 캐나다 S사와 500만불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기업과 국내 부품기업간 4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 예정
참고 1
GP사업 추진체계 및 절차
참고 2
‘16년 4/4분기 및 ’17년 GP상담회 추진 계획
□ ’16년 4/4분기(잠정)
분야
사업명
시기
장소
주요 내용
종합
GP KOREA
11.15-16
서울
바이어 69개사, 국내기업 340개사
GP Zurich
12.7
취리히
바이어 15개사, 국내기업 15개사
한일 비즈니스상담회
12.19
도쿄
바이어 15개사, 국내기업 15개사
자동차
부품
KAP India
11.16
뭄바이
바이어 40개사, 국내기업 28개사
KAP Magna Steyer
11.20
빈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휴대폰
GP China
11.29
텐진
바이어 10개사, 국내기업 20개사
□ ’17년 주요 사업계획(잠정)
분야
사업명
시기
장소
주요 내용
종합
APO 수출상담회
1분기
서울
바이어 50개사, 국내기업 250개사
GP Europe
2분기
프랑크
푸르트
바이어 40개사, 국내기업 30개사
GP Japan
2분기
도쿄
바이어 100개사, 국내기업 50개사
GP China
2분기
베이징
바이어 30개사, 국내기업 20개사
GP USA
3분기
시카고
바이어 15개사, 국내기업 15개사
GP KOREA
4분기
서울
바이어 70개사, 국내기업 350개사
자동차
부품
KAP GM
1분기
디트로이트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KAP Volvo
1분기
스톡홀름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KAP Nissan
1분기
도쿄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KAP Daimler
2분기
프랑크
푸르트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KAP BMW
2분기
멕시코시티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KAP FCA
2분기
디트로이트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KAP Ford
2분기
디트로이트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15개사
KAP Iran
3분기
테헤란
바이어 40개사, 국내기업 28개사
KAP India
4분기
뉴델리
바이어 50개사, 국내기업 15개사
분야
사업명
시기
장소
주요 내용
항공
Korus Aeropartnering
1분기
달라스
바이어 2개사, 국내기업 10개사
보잉 워크샵/상담회
2분기
서울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20개사
Paris Air Show
2분기
프랑스
바이어 20개사, 국내기업 10개사
에어버스 워크샵/상담회
3분기
서울
바이어 1개사, 국내기업 20개사
항공부품 상담회
4분기
사천
바이어 25개사, 국내기업 60개사
조선
조선기자재 상담회
1분기
광저우
바이어 5개사, 국내기업 20개사
조선기자재 상담회
2분기
오사카
바이어 5개사, 국내기업 20개사
해외전시회 연계 수출상담회
2분기
노르웨이
바이어 15개사, 국내기업 15개사
조선기자재 상담회
3분기
싱가폴
바이어 5개사, 국내기업 15개사
해외전시회 연계 수출 상담회
3분기
중국
바이어 15개사, 국내기업 15개사
휴대폰
GP Shenzhen
1분기
선전
바이어 10개사, 국내기업 20개사
인도시장개척단
2분기
뉴델리
바이어 10개사, 국내기업 10개사
GP 하노이
3분기
하노이
바이어 10개사, 국내기업 20개사
GP 텐진
4분기
텐진
바이어 10개사, 국내기업 20개사
건설
공작
기계
Machinery Industry
Fair in Nagoya
2분기
나고야
바이어 30개사, 국내기업 20개사
한국국제건설기계전 연계수출상담회
2분기
서울
바이어 20개사, 국내기업 0개사
참고 3
GP Korea 개최계획
□ 추진 배경
ㅇ 글로벌기업들의 협력수요를 대거 발굴하여 국내 소재부품 기업의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을 확대
- 2016 소재부품-뿌리주간(11.15∼16) 행사와 연계, 국내 소재부품 기업과 글로벌기업 간 1:1 구매상담회 및 기술상담회 추진
□ 기간 및 장소 : ’16.11.15(화)∼16(수), 더케이 호텔 양재 그랜드 볼륨
□ 규모 : 글로벌기업 62개사, 국내기업 340개사 내외
□ 주요 사업내용
사업
주요 내용
비고
1:1 맟춤형 상담회
- 해외 글로벌기업의 협력(조달) 수요에 기반한 국내기업과의 1:1 상담회
* 글로벌기업 53개사, 국내기업 300개사 내외
15-16일
국제공동R&D상담회
- 오스트리아 기업과의 공동연구 수요와 관련한 1:1 상담회
* 오스트리아 기업 및 연구소 9개사, 국내기업 약 40개사
15-16일
GP 협약 기관
컨설팅관
- 글로벌기업과 상담하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현장에서 GP 협약기관의 현장지원을 받을 수 있는 ‘컨설팅관’운영
* 운영기관 : 무보, KIAT, COMPA, KEITI, KITIA, KTR
15-16일
MOU 체결식
- 글로벌기업-국내기업 간 구매계약 및 MOU 체결
15일
국제공동R&D
세미나
- 오스트리아의 국제공동 R&D 수요 소개 및 국내기업과의 파트너링 전략 모색
15일
(부대행사)
핀포인트 공장방문 상담
- GP Korea 사업참가 글로벌기업의 국내기업 공장방문 상담지원
17-18일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충전시설 대규모 구축, 알프스 프로젝트 앞당긴다- 경기도, 14일 9개 전기차 충전사업자와 ‘전기차 충전시설 확대 및 빅데이터 구축 협약’체 (0) | 2016.11.14 |
---|---|
트럼프 당선, 주요국 희비 교차- KOTRA 트럼프 당선 후 주요국 반응조사 (0) | 2016.11.14 |
2016년도 제7차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재공고 (0) | 2016.11.14 |
약물 흡수량과 치료효과 대폭 높인 녹내장 치료 비타민 콘택트렌즈 개발 - 녹내장 약물 투입량 20% 감소, 치료용 콘택트렌즈 상용화 앞당겨 (0) | 2016.11.14 |
민관합동 대미(對美) 통상협의회 및 실무작업반 운영키로-산업부, 부내 점검회의 갖고 대미(對美) 통상 대응체계 대폭 강화키로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