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살아있는 실험실(리빙랩) 기반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 본격 추진-과기정통부, 사회문제해결형 주요 연구개발사업 ’21년도 추진계획 확정

하이거 2021. 1. 26. 15:18

살아있는 실험실(리빙랩) 기반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 본격 추진-과기정통부, 사회문제해결형 주요 연구개발사업 ’21년도 추진계획 확정

 

작성일 2021-01-26 부서 공공기술기반팀 2021-01-26

 

 


공공조달 연계 혁신제품 개발 등 살아있는 실험실(리빙랩) 기반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에 2021년 300억 원 지원

- 과기정통부, 사회문제해결형 주요 연구개발사업 ’21년도 추진계획 확정 -


◇ 공공수요를 기반으로 기술개발부터 공공조달까지 연계하여 혁신제품을 개발하는 「공공수요 기반 혁신제품 개발·실증」 신규 추진(’21년 50억원)

◇ 지역 주민과 연구자가 함께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학기술 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사업」 추진(’21년 57억원)


□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공공성이 높은 혁신제품 개발을 위해 공공기관과 연구자가 함께 기술개발부터 공공조달까지 연계하는 리빙랩* 기반 사회문제해결 기술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 수요자와 연구자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과학기술적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개방형 추진체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공공조달 연계형 혁신제품 개발, 지역 주민 참여형 사회문제해결 등에 300억 원을 지원하는 2021년도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과기정통부는 이번 추진계획 수립을 계기로 실질적인 성과창출 및 확산에 초점을 맞추어 추진할 계획으로, 주요 사업별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공공수요 기반 혁신제품 개발·실증」(’21년 50억원)

□ 공공서비스 개선 등 국민편익 증진을 위해 필요하지만 시장에 제품이 없는 경우, 공공수요를 기반으로 기술개발부터 공공조달까지 연계하는 혁신제품 개발에 50억 원을 지원한다.

ㅇ 1월 29일까지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조달청 혁신장터 누리집을 통해 접수받은 수요 중 개발이 필요한 수요에 대하여 연구자와 수요기관이 함께 기술개발과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올해 7월 중 5개 과제를 선정해 본격적으로 기술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ㅇ 기술개발 이후에는 조달청과 협업을 통하여 시범구매와도 연계해 개발된 기술·제품이 공공조달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참고 : 「공공수요 기반 혁신제품 개발·실증」 주요 추진절차(안) >

사전기획(’21)

기술개발·실증(’21~’24)

공공조달(’24~)

 

 

1월

2~6월

’21.7~’24.6

’24.下

 

 

 

 

공공수요발굴

사전기획 (10개) 및 과제 선정(5개)

혁신제품 개발
및 실증

시범구매 연계

공공
조달


2. 「국민공감·국민참여 R&SD 선도사업」(’21년 57억원)

□ 지역 주민, 지자체와 연구자가 함께 참여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연구개발에 57억 원을 지원하고, 신규과제로 37억 원을 지원한다.

ㅇ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문제 수요조사를 6월에 실시한 후, 문제를 해결할 연구자를 매칭하여 지역 주민과 함께 지역문제 해결방안을 기획하고 내년부터 연구개발을 착수할 예정이며,

* 「과학기술 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21년 30억 원, 10개 과제)

ㅇ 도시재생과 연계된 사회문제해결을 위해서도 2월부터 지자체와 연구자가 함께 해결방안을 기획하고 올해 하반기 신규과제를 착수할 예정이다.

* 「도시재생 연계 리빙랩」(’21년 7억 원, 2개 과제)
3.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21년 38억원)

□ 다양한 재난관리에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거나 재난상황에 맞게 응용하기 위한 기술‧서비스 개발을 위한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사업에는 40억 원을 투입하고, 신규과제에 5억 원을 지원한다.

ㅇ 그간 ▴재난감지·예측을 위한 재난정보 공유플랫폼 개발, ▴재난 대응을 위한 재난정보 전달 및 건축물 화재관리 플랫폼 등 연구개발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ㅇ 올해는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의 수요를 받아 4월 중 사업을 공고하고 7월 중 착수할 예정이다.

4.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21년 70억원)

□ 코로나19와 같이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재난안전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연구개발 지원을 위해 올해 70억 원이 지원된다.

ㅇ ’20년에는 ▴코로나19, ▴도로살얼음, ▴수돗물 유충 등 현안을 선정해 치료제 재창출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긴급대응 절차를 간소화해 대응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5. 「공공기반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21년 50억원)

□ 재활치료가 필요한 장애인·노인을 대상으로 정밀 재활치료 및 치료연계 생활체육 등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 개발에 신규로 50억원을 지원한다.

ㅇ 현장 적용이 가능한 성과 도출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와의 협업을 통하여 개인의 재활과 관련된 건강 데이터를 확보하고, 2분기 중 기술개발을 착수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 이창윤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추진하는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 성과도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ㅇ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이후 적용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최종 수요자의 참여를 강화하는 동시에, 수행 중인 과제들도 실질적인 문제해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 1. 사회문제해결R&D 주요사업 개요2. 「공공수요 기반 혁신제품 개발·실증」 사업 설명자료

붙임 1

사회문제해결형 R&D 주요 사업 개요


□ 「국민공감·국민참여 R&SD 선도사업」

ㅇ (사업 목적) 지자체, 지역 주민, 연구자가 기술개발부터 적용까지 연구개발 전 단계에 함께 참여하여 지역 수요 맞춤형 문제해결 추진

ㅇ (추진 현황) 플라즈마 건조방식 활용 부패 감귤 처리·자원화(제주), 합류식 하수관거 악취저감기술 개발(부산) 등 13개 과제 추진 중

* 과제별 지원 기간·규모 : 1∼2년, 年 3∼6억원 내외

□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ㅇ (사업 목적) 예기치 못한 다양한 재난·안전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구 개발(실증 포함) 및 적용 지원을 통한 문제해결 및 예방

ㅇ (추진 현황) 코로나19 치료제 재창출,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지원시스템, 아프리카 돼지열병 원격감시 등 19개 과제 추진 중

* 과제별 지원 기간·규모 : 1∼2년, 年 2∼3억원

□ 「공공기반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

ㅇ (사업 목적) 장애인·노인을 대상으로 재활 치료·건강 빅데이터를 연계해, 재활(생애) 전주기로 지원이 가능한 정밀 재활치료 및 치료연계 생활체육을 위한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 개발

ㅇ (추진 현황) 2분기 중 신규과제 1개 착수 예정

* 과제별 지원 기간·규모 : 2∼3년, 年 3∼30억원 내외

□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ㅇ (사업 목적) 각종 재난안전 분야 기술개발에 공통적으로 필요하거나 재난상황에 맞게 쉽게 응용 가능한 플랫폼 기술 및 서비스 개발

ㅇ (추진 현황) 재난정보공유·전달, 건축물화재 예방·대응 등 4개 과제 추진 중

* 과제별 지원 기간·규모 : 3∼4년, 年 10∼30억원 내외

붙임 2

「공공수요 기반 혁신제품 개발·실증」 사업 설명자료


□ 사업 개요

ㅇ (사업 목적) 업무 효율화, 국민편익 증진 등을 위해 공공수요를 기반으로 기획부터 공공 조달까지 전주기 연계*를 통한 혁신제품 개발

* 수요 발굴 → 기술개발 기획 → 기술개발 및 실증 → 공공조달 全주기 연계

ㅇ (기간/규모) ’21년 ~ ’24년(4년) / 총 300억원 내외(과제당 60억원)

□ 추진 절차 및 내용

사전기획(’21년)

기술개발·실증(’21~’24년)

공공조달(’24년~)

 

 

1월

2~6월

’21.7~’24.6

’24.下

 

 

 

 

공공수요발굴

사전기획 (10개) 및 과제 선정(5개)

혁신제품 개발
및 실증

시범구매 연계

공공
조달


① (사전 기획) 공공기관 및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요를 발굴*하고, 연구자와 수요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공동 기획 실시(10개 내외)

- 수요기관에서 제시한 수요의 구체적인 목표, 기능을 정의하고, 기술개발부터 적용방안(시범구매, 공공조달 연계 등)까지 함께 도출

* ‘오픈플랫폼’ 형태로 논의 과정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자,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사전기획을 운영하여 본 연구를 수행할 연구단(안)을 구성

② (기술개발·실증) 기획한 내용을 토대로 수요 부처와 연구단이 함께 참여해 혁신제품의 최적화 및 실증연구*, 시범적용 등 수행

* 출연연·대학 등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수행하되, 기업의 참여를 의무화

③ (공공조달 연계) 혁신시제품 시범구매사업 등과 연계하여 개발된 혁신제품의 보급·확산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