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성장동력기술로 달라지는 2030년 미래 서울을 만나다!- 제24회 오픈톡릴레이-챌린지퍼레이드 연계포럼 개최

하이거 2016. 11. 19. 10:08

성장동력기술로 달라지는 2030년 미래 서울을 만나다!- 24회 오픈톡릴레이-챌린지퍼레이드 연계포럼 개최

 

작성일 : 2016. 11. 18. 미래성장전략과

 










성장동력기술로 달라지는 2030년 미래 서울을 만나다!
- 제24회 오픈톡릴레이-챌린지퍼레이드 연계포럼 개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11월 17일(수) 13시부터 명동 포스트타워 국제회의실(서울 명동)에서 ‘제24회 오픈톡릴레이-챌린지퍼레이드 연계포럼(이하 오픈톡릴레이)’을 개최했다.
 ㅇ 오픈톡릴레이는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제고하고, 성장동력분야간 융합·협력을 촉진하는 차원에서 19대분야중 주요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지난해부터 개최하고 있다.
 ㅇ 이번 행사는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와 연계해 ‘2016 미래성장동력 챌린지퍼레이드(이하 챌린지퍼레이드)’ 시연내용을 소개하고 미래 사회의 발전상을 소개하기 위해 개최했다. 
□ 금번 행사는 오는 12월 3일(토) 17:00 코엑스 앞 영동대로 실 도로에서 시연되는 ‘챌린지퍼레이드’ 시연분야 소개 및 참가팀 발표 및 토론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ㅇ 그간의 준비과정을 비롯한 챌린지퍼레이드 전반에 대한 소개에 이어 ‘미래도시 옥외광고/실감형콘텐츠’를 통해 챌린지퍼레이드를 통해서 대형 구조물에 처음 소개되는 폴리넷이 적용된 미래형 미디어파사드 기술이 소개되었다.
 ㅇ 또한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을 지닌 우수한 국내 AR(증강현실) 기술과 5개사의 50여개 캐릭터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AR 시연 소개도 있었다.
 ㅇ 2부에서는 ‘미래도시 이동수단/로봇 및 무인이동체’, ‘우주 화성기지 미션’ 등 챌린지퍼레이드 실도로 시연 분야에 참가하는 산학연의 전문가 발표에 이에 관련 분야 미래성장동력 추진단 주관의 토론으로 시연이 의미하는 바와 향후 미래 변화상이 제시되었다. [참고 1]
□ 이날, 이정준 미래성장동력 실감형콘텐츠 추진단장(IITP CP)는 “지난해에 이어 지능형로봇 및 실감형콘텐츠 등 새로운 주제로 그동안 연구자들만 인지하고 있던 신기술 성과물들이 국민에게 선보인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오늘 오픈톡릴레이를 통해 제고된 관심이 12월 3일 개최될 미래성장동력 챌리지퍼레이드와 이어져 신시장창출이라는 결실로 연결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또한, 미래창조과학부 고경모 창조경제조정관은 “보다 지능화된 4차산업혁명사회의 미래상을 이번 챌린지퍼레이드를 통해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성장동력 분야 간 연계, 기술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의 발굴 및 확산을 희망한다”고 말하였다.
□ 참고로, 제25회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는 행사는 12월 1일(목) 코엑스에서 창조경제박람회 부대행사로 개최될 예정이며, 2016년도 성과 및 2017년도 오픈톡 운영 방안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참고 1

 제23회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 행사 개요


□ 목적 : 미래성장동력오픈톡릴레이(매월 개최)와 다부처공동기획연구사업과 연계를 통해 성과 공유 및 성과창출의 장 마련

□ 일자 : ‘16.11.16(수), 13:00~

□ 장소 : 명동 포스트타워 국제회의실 (21층)

□ 참석 대상 : 미래성장동력 추진단 및 산학연 관계자 등

□ 운영 방식 : 챌린지퍼레이드 시연분야 소개, 참가팀 토론 형식 발표 등

□ 행사 일정


시간
행사 내용
비고
1

13:00~13:05
(5’)
개회사 :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
개회사/
소개/
분야별
추진현황
13:05~13:25
(20’)
챌린지퍼레이드 소개 : 시연 준비 과정 및 추진 현황
(김효용 교수, 한성대/챌린지퍼레이드 총감독)
13:25~14:00
(35’)
분야별 발표 I (미래도시 옥외광고/실감형콘텐츠 등)
토론주관 : 미래성장동력 실감형콘텐츠 추진단(이정준 IITP CP)
(김효용 교수(한성대), 전재웅 대표(ANIPEN), 임효상 감독(알마로꼬))
※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AR증강현실게임 시연 소개
14:00~14:05
(5’)
질의응답
14:05~14:15
(10’)
Coffee Break

2부
14:10~14:45
(35’)
분야별 발표 II (미래도시 이동수단/로봇 및 무인이동체)
토론주관 : 미래성장동력 지능형로봇 추진단(서진호 로봇융합연구원 부원장)
(허정우 박사(레인보우), 박범영 연구원(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정지원 연구원(KAIST EurecarBot팀))
※ 로봇, 무인이동체 등의 시연 소개
분야별
추진현황
14:45~14:50
(5’)
질의응답
14:50~15:20
(30’)
분야별 발표 III (우주 화성기지 미션)
토론주관 : 미래성장동력 스마트자동차 추진단장(손주찬 ETRI 단장)
(장성훈 연구소장(로하우), 서민열 연구원(동양물산기업),
박찬범 부장(DY 동양기전))
※ 무인조종 굴삭기, 트랙터, 초소형전기차량 등의 시연 소개
15:20~15:25
(5’)
질의응답
3부
15:25~16:00
(30’)
향후 챌린지퍼레이드 운영 최종 계획 토론 및 폐회
(김효용 교수, 한성대/챌린지퍼레이드 총감독)



참고 2

 행사장 약도


주소 : (04535) 서울시 중구 소공로 70 서울중앙우체국(포스트타워) 국제회의실 21층
    * 구 주소 : 서울시 중구 충무로1가 21-1, 서울중앙우체국(포스트타워) 국제회의실 21층


참고 3

 2016 하반기 오픈톡릴레이 주제․일정․장소(안)

발표 주제 및 장소일정 변경가능


구분
내용



합 발표
<17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무인항공기 신산업
②참여분야: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소재, 착용형 기기, 사물인터넷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2.24(수) 14:00~
④장소: 항공우주연구원(대전)
<18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스마트카 신산업
②참여분야: 실감 콘텐츠, 지능형반도체, 빅데이터, 5G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3.25(금) 13:00~
④장소: 한양대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서울)
<19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지능형로봇 신산업
②참여분야: 직류송배전, 지능형 반도체, 빅데이터, 착용형 기기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4.27(수) 13:00~
④장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서울)
<20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착용형 스마트기기 신산업
②참여분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훈련, 실감형미디어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5.17(화) 13:00~ 
④장소: 동대문디지털플라자(서울)
<21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실감형콘텐츠 신산업
②참여분야: 가상훈련시스템, 재난안전, 빅데이터, 착용형 기기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6.29(수) 13:00~ 
④장소: SKT 중앙기술연구원

<7월, 8월 미 개최>

미래성장동력 韓-OECD 워크숍(7.7(목) ~ 8(금)/ 서울)으로 대체

<22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5G 신산업
②참여분야: 무인항공기, 스마트자동차, 지능형로봇, 맞춤형 웰니스케어 등 4개분야
③일시: 9.28(수) 13:00~ , ETRI(대전)
<23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맞춤형 웰니스케어 신산업
②참여분야: 융복합소재, 첨단소재가공,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3개분야
③일시: 10.25(화) 13:00~, 분당서울대병원헬스케어혁신센터




<24회 오픈톡릴레이_미래성장동력 챌린지퍼레이드>
①일시: 11.16(수), 장소: 명동 포스트타워 국제회의실
②주제: 미래성장동력 연구 성과 발굴 및 시연       
③내용: 2016년도 챌린지퍼레이드 성과 시연 방향 및 추진현황, 기술 소개 등
④참여분야: 실감 콘텐츠, 착용형기기, 무인항공, 지능형로봇, 스마트자동차 등 5개 분야




2016년도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 성과발표회(창조경제박람회 연계)
・일자: 12.1(목), 장소: COEX 컨퍼런스룸
・내용: 2016년도 오픈톡릴레이 성과발표 및 2017년도 추진계획 소개

참고 4

『미래성장동력 19대 분야』주요내용


□ 주력산업

①5G 이동통신
▪4G 대비 1천배 빠른 미래 이동통신 기술·서비스
②스마트자동차
▪자동차와 운전자, 주변 환경 및 교통인프라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자율·군집주행 등 다양한 이동서비스 제공
③심해저 해양플랜트
▪수심 500m 이상인 심해에 매장되어 있는 석유 또는 가스를 채굴, 분리, 이송, 전처리 및 저장․하역하는 해상․해저 플랜트
④수직이착륙무인기
▪고도 자율비행, 통합모듈형 항전장비(임베디드SW 포함)를 탑재한 틸트로터 무인항공기 시스템 개발


□ 미래신산업

⑤지능형로봇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
⑥ 착용형 스마트기기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컴퓨팅행위가 가능한 기기 및 어플리케이션
⑦실감형 콘텐츠
▪가상현실, 홀로그램, 4D 기술 등을 적용, 몰입감과 현장감을 극대한 차세대 콘텐츠
⑧ 스마트바이오생산시스템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바이오제품의 생산공정을 BT-IT-NT 융합을 통하여 효율화하는 시스템
⑨ 가상훈련시스템
▪고위험・고비용이 요구되는 현장 훈련 대신, 실제와 유사한 가상환경에서 안전하고 체험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시스템


□ 공공복지산업

⑩ 웰니스 케어
▪IT/BT를 융합하여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개인 맞춤형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⑪ 재난안전관리스마트 시스템
▪공공·민간 영역에서 실시간으로 재난 안전 관련 예측·감지·대응이 가능하도록 정보통신기술, 로봇기술, 항공우주기술 등을 융합한 시스템
⑫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둘 이상의 발전시스템과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결합한 전력공급·관리 시스템
⑬ 직류송배전
▪발전원에서 발생한 전기를 기존의 교류 전력 계통 대신, 직류 전력계통을 활용하는 송전 원천기술 및 배전 시스템
⑭ 초임계CO2발전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기존 전력생산 기술에 비해 획기적인 발전 효율 향상과 소형화 가능


□ 기반산업

⑮ 지능형 반도체
▪스마트 자동차, IoT, 착용형 스마트 기기 등 IT융합 제품의 지능형서비스 구현을 위한 SW·SoC 융합기술
⑯ 융복합소재
▪새로운 물리·화학적 결합을 통해 초경량, 고성능, 다기능성을 극대화한 소재
⑰ 지능형 사물인터넷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수집·공유·활용되는 초연결 인터넷 환경
⑱ 빅데이터
▪스마트폰‧SNS‧사물인터넷에 따라 폭증하는 대량의 데이터의 분석・활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혁신을 주도하는 플랫폼
⑲ 첨단소재가공시스템
▪항공/우주·자동차 산업의 핵심부품에 사용되는 첨단소재를 가공하기 위한 핵심기술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