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ICT 동계올림픽 추진 세미나」개최 -평창동계올림픽, K-ICT 대도약(Quantum Jump) 계기로 만든다
작성일 : 2016. 11. 18. 평창ICT올림픽추진팀
다가오는 2018년, 미리 만나는 평창 ICT 올림픽
-「평창 ICT 동계올림픽 추진 세미나」개최 -
-평창동계올림픽, K-ICT 대도약(Quantum Jump) 계기로 만든다-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평창조직위와 강원도, 케이티(KT), 서울방송(SBS) 등과 함께 11.16(수), 14:00 서울 엘타워에서 산·학·연 관계자 및 주한 외국대사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다가오는 2018, 미리 만나는 평창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올림픽’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o 우리나라는 지난해 ‘세계 ICT 발전지수 1위 국가’로도 선정된 ICT 강국인 만큼, 평창올림픽을 ‘세계를 선도하는 첨단 K-ICT 올림픽’으로 치룰 계획이다.
※ 세계최초 5세대 이동통신(5G) 올림픽, 편리한 사물인터넷(IoT) 올림픽, 감동의 초고화질(UHD) 올림픽, 똑똑한 지능정보(AI) 올림픽, 즐기는 가상현실(VR) 올림픽
o 이를 위해 미래부는 산‧학‧연‧관이 함께하는「평창ICT동계올림픽 추진 TF회의」등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K-ICT 평창동계올림픽 실현전략(‘16.5.)」을 마련하여 이를 적극 추진해 나가고 있다.
□ 이번 세미나에서는 평창올림픽을 ‘빠르고‧편하고‧스마트하게 즐기는 K-ICT 올림픽’으로 치루고 ICT 수출과 관련산업 발전의 발판으로 삼기위한 그간의 준비상황을 공유하였으며, 남은 1년여간 챙겨야 할 부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o 우선, 세미나에 앞서 진행된 전시‧시연을 통해 참석자들은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 사물인터넷(이하 IoT), 초고화질 방송(이하 UHD), 인공지능(이하 AI), 가상현실(이하 VR) 등 평창올림픽에서 구현될 5대 분야 K-ICT 서비스*를 미리 체험해 볼 수 있었다.
* 5G 홀로그램라이브, IoT 기반 참여형 올림픽 관람‧안내, 지상파 UHD방송, AI 자동통번역, VR 스키점프 시뮬레이터 등
<평창올림픽에서 구현될 대표적 ICT 서비스 모습(안)>
‣현재보다 20배이상 빠른 5G 통신 환경 및 연계서비스(홀로그램 등)를 경험하게 되며, 입출국‧교통‧숙박 등 IoT와 결합한 개인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될 것임
‣지금보다 4배이상 선명한 UHD 지상파 방송을 통해 올림픽의 감동이 배가되고, 한국의 관광지 및 동계스포츠 종목 등을 VR을 통해 실감 있게 경험하게 될 것임
‣아울러, AI에 기반한 한국어와 8개 외국어간 자동통번역 서비스를 통해 언어장벽 없이 하나 되는 올림픽이 실현될 것임
o 이어진 세미나에서는 미래부장관, 강원도지사, 서울방송사장, 평창조직위 사무총장 등의 축사에 이어, 미래부에서 평창ICT동계올림픽 추진현황 전반에 대한 발표와 함께,
- 주요 기관별 ICT 올림픽 준비상황 발표*와 성공적 평창 ICT 올림픽 추진 및 사후활용 방안 등에 대한 패널 토의가 진행되었다.
* 세계최초 5G 올림픽 준비현황(케이티), 편리한 IoT 올림픽 준비현황(정보화진흥원), UHD 올림픽 준비현황(서울방송), ICT 올림픽 레거시 연계 활용방안(강원도)
□ 최양희 미래부장관은 “평창동계올림픽이 우리의 우수한 ICT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고, 우리 ICT 서비스‧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이 대폭 확대되는 최적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o “평창올림픽에서 제공될 ICT 서비스‧제품들은 서로 융합되어 구현될 때 시너지 효과가 큰 만큼, 1년여 앞으로 다가온 올림픽 준비 과정에 있어 정부부처 및 올림픽 관련 유관기관들이 긴밀한 협력과 협업에 힘써줄 것”을 당부하였다.
붙임
「평창 ICT 동계올림픽 추진 세미나」개최 계획
□ 추진 배경
ㅇ 평창 테스트이벤트(’16.11.~’17.4.) 및 평창올림픽을 1년여 앞둔 시점에서, 평창ICT올림픽의 차질없는 준비와 붐 조성을 위한 소통과 협업의 장 마련
□ 행사 개요
ㅇ 행사명 : ‘다가오는 2018년, 미리 만나는 평창 ICT 올림픽’
ㅇ 일시·장소: ’16.11.16(수) 14:00~16:15, 양재 엘타워(6층 그레이스홀)
ㅇ 주최·주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 후원 : 평창조직위, 강원도, ETRI, 한국전파진흥협회, SBS, KT, 한컴인터프리
ㅇ 참석: 미래부 장관, 강원도지사, 평창조직위사무총장, 국회 미방위 수석전문위원, 주한대사(’26동계올림픽 유치희망 캐나다, 우크라이나), 유관기관(ETRI원장, NIA부원장), 업계(SBS사장, KT부사장, RAPA부회장), 산‧학‧연 관계자 등 200여명
ㅇ 내용 : K-ICT 서비스 전시, 평창ICT올림픽 추진현황 발표 및 토론
시 간
내 용
비 고
◈ 전시 관람 및 세미나 개회
13:45~13:50 (05’)
▪5G 버스 시연
(엘타워 주차장)
13:50~14:00 (10’)
▪내빈 환담
(6층 귀빈 대기실)
14:00~14:15 (15’)
▪미리보는 평창K-ICT체험관(5G, IoT, UHD, AI, VR)
(6층 로비)
14:15~14:18 (03’)
▪세미나 개회 및 내빈 소개
14:18~14:20 (02’)
▪평창ICT동계올림픽 홍보동영상 상영
14:20~14:40 (20’)
▪축사
최양희 미래부 장관
최문순 강원지사
김진원 SBS사장
여형구 평창조직위사무총장
14:40~14:55 (15’)
▪발표: 평창ICT올림픽 추진현황 및 계획
평창ICT올림픽추진팀장
14:55~15:00 (05’)
▪기념 촬영
◈ 발표
15:00~15:30 (30’)
▪5G 분야 세부 추진현황 (KT)
KT 평창동계올림픽추진단장
▪IoT 분야 세부 추진현황 (NIA)
NIA ICT융합본부장
▪UHD 분야 세부 추진현황 (SBS)
SBS UHD추진팀장
▪ICT 올림픽지역 연계방안 추진현황 (강원도)
강원도 정보산업과장
◈ 패널 토론
15:30~16:15 (45’)
▪성공적 평창ICT올림픽 추진방안
▪올림픽이후 사후활용 및 해외진출 방안
미래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조직위 정보통신국장
강원도 정보산업과장
NIA ICT융합본부장
KT 평창추진단장
SBS UHD추진팀장
성균관대 이윤덕 교수
□ “미리보는 평창 K-ICT 체험관” 전시‧시연 내용
분야
전시 내용 (총 14종)
5G
(3종)
‣ 5G 버스
차량 내에 설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5G 네트워크 기반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화상회의 등을 체험
‣ 홀로그램 라이브
평창올림픽 마스코트와 관련 영상을 홀로그램으로 구현
4개의 면에서 동시에 체험자가 홀로그램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음
‣ 인터렉티브 타임 슬라이스
쇼트트랙, 피겨스케이팅 동계올림픽 종목의 경기장면을 다양한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하여 순간적인 동작 시연
관람객이 직접 원하는 타이밍과 각도를 화면 터치를 통해 선택하여 볼 수 있음
VR
(2종)
‣ VR 스키점프 시뮬레이터
평창의 스키점프대에서 촬영한 영상을 VR 고글과 스키 시뮬레이터로 체험
‣ VR 360°
동계올림픽 관련 영상을 VR 고글을 통해 360° 영상으로 구현
쉽게 접하기 힘든 아이스하키, 피겨 스케이트, 쇼트트랙 등의 동계올림픽 종목을 체험해 볼 수 있음
IoT
(5종)
‣ 참여형 올림픽 관람·안내 서비스
(디지털 사이니지)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경기, 시설 정보안내 및 참여형 응원* 서비스 제공
* 사이니지에 접근하면, 체험자의 사용 언어, 주변날씨 등 AI에 기반한 환경
분석을 통해 평창올림픽 마스코트의
환영인사와 함께 응원 영상메시지를
업로드 할 수 있음
‣ 루지 IoT 이미지 트레이닝
평창 슬라이딩 센터의 3D 공간정보를 360도 VR 영상으로 구현하여 선수들의 실전 경기 이미지 트레이닝에 활용
선수들의 상상에 의존하는 이미지 트레이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시연
‣ one-Pass 밴드(결재)
교통, 숙박, 관광지 등에서 사용가능한 손목형 one-Pass 밴드 체험
‣ 스마트 안전관리 서비스
실시간 입장 계수 단말을 현장에 설치, IoT기반의 스마트안전관리 서비스 시연
‣ 스마트 쇼핑
동작을 인식하는 Gyro 비콘이 부착된 스마트 행거를 들면 멀티스크린을 통해 해당 상품의 정보를 노출
스마트 행거와 함께, 피팅미러에 접근하면 해당 상품을 착용한 360도의 모습을 볼 수 있음
분야
전시 내용 (총 14종)
UHD
(3종)
‣ 지상파 UHD방송 콘텐츠 시연
‘17.2월 본방송 예정인 지상파 UHD
방송 콘텐츠 시연
‣ 개인·소셜방송서비스 시스템 시연
개인의 모바일디바이스로 올림픽경험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체험자는 세미나 현장과 참석자 인터뷰 영상을 실시간 시청할 수 있으며,
세미나 직전 제작된 동계올림픽 준비현황 영상을 VOD 서비스로 제공받음
‣ UWV(Ultra Wide Vision)
일반TV 화면에 비해 고화질(HD대비 8배), 압도적 크기(15m×3.8m)의 곡면형 스크린을 통해 현장감 극대화(대화면 실감영상 체험)
AI
(1종)
‣ 자동 통번역
인터넷 연결없이 언제 어디서나 각자의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하여 음성인식 통역, 문자입력 번역, 이미지내 문자 번역 등 자동통번역서비스 체험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실감미디어산업지원센터 열어 (0) | 2016.11.19 |
---|---|
한국, 선진국과 함께 파리협정 이행 위한 개도국 지원 적극 동참- 9개국(EU 포함) 공동 CTCN 재정기여 참여. 최초의 비부속서 I 국가 공여, 최초의 신 (0) | 2016.11.19 |
성장동력기술로 달라지는 2030년 미래 서울을 만나다!- 제24회 오픈톡릴레이-챌린지퍼레이드 연계포럼 개최 (0) | 2016.11.19 |
전기로 물의 움직임과 흐름을 제어하는 기술 개발- 방습 및 제습, 해수담수화 기술 등에 적용 기대 (0) | 2016.11.19 |
웹 접근성 품질인증제도 정책만족도 조사 결과 (0) | 2016.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