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기 치매극복기술 개발을 위한 '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단' 출범
바이오기반팀 작성일 2020.08.02.
전주기 치매극복기술 개발을 위한『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단』출범
- 9년간(’20 ~ ’28) 치매 예방・진단・치료 분야에 총 1,987억원 본격 지원 시작-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18.11)에 따라 치매 예방·진단·치료 등에 걸친 종합적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 위하여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단장 서울대 묵인희 교수)?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상반기 사업단(장) 공모과정과 서면 및 구두 평가, 현장실사 등을 거쳐 최종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사업단장을 선정하였다.
□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은 치매 질환 극복기술 개발을 위하여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1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9년간(‘20~’28) 총사업비 1,987억원(국비 1,694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 사업단은 ① 치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② 치매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③ 치매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등 3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치매극복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❶ 치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국비 451억원)
○ 치매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과 발병기전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병원인 및 기전 규명, 치매오믹스 분석 등 4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의 연구를 지원한다.
❷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국비 508억원)
○ 치매가 진행되어 회복이 어려운 신경세포 손상이 일어나기 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치매를 발병 전에 예측하거나 발병 초기에 진단하기 위해 혈액․체액기반 조기진단기술,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등 8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❸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국비 609억원)
○ 새로운 치매 발병 가설에 기반한 신규 치료제 개발이나, 치매 위험인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예방기술 개발 등 치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치료제 개발, 뇌내 약물전달 기술 개발 등 3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는 사업단이 예비타당성 조사 시 기획된 연구계획을 기본으로 현재 글로벌 동향 등을 반영하여 세부기획안을 마련한 뒤 8~9월 중 국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여 선정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치매발병을 5년 지연하고 연간 치매환자 증가속도를 50% 감소시킴으로써 치매로 인한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과기정통부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치매는 증상이 일정 수준 진행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치료기술 확보가 핵심”이라며, 기초원천연구를 담당하는 과기정통부와 임상을 지원하는 복지부가 공동 운영하는 전주기 사업단을 통해 국민 치매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개요
□ 사업 개요
○ 사업기간 : ‘20∼’28년(9년)
○ 사업규모 : 총사업비 1,987억원(국고(복지부·과기부) 1,694억원 + 민간 293억)
* ‘20년 예산 59억원 (복지부 29.5억원, 과기부 29.5억원)
○ 사업내용
(목적) 치매의 원인규명, 조기예측‧진단, 예방‧치료기술 개발을 통해 치매질환 극복, 치매로 인한 국민들의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
(대상) 경도인지장애, 알츠하이머·혈관성·루이소체 치매 등 모든 치매
○ 사업 추진체계
(운영위원회) 사업운영에 관한 주요사항* 심의·의결
* 중장기 투자방향, 시행계획, 사업 운영 및 추진에 관한 주요 사항 등 심의‧의결
(사업단) 주관연구기관(학‧연‧병 등) 소속으로 사업단을 구성‧운영
* (사무국) 사업단의 예산관리, 세부과제 평가, 성과관리 등 사업단 운영 및 제도개선 사항 발굴 등 행정업무 담당
(전문기관) 총괄협약 및 사업단 예산, 세부과제 선정평가, 사업단 중간·최종평가 등 관리 총괄
붙임 2
사업단 지원규모 및 내용
○ (지원규모) 총 1,694억원(국고) 이내, 9년(3+3+3년, 3단계) 이내 지원
○ (지원내용) 3개 중점분야, 15개 중점기술개발
중점분야
(억원)
중점기술개발
(억원)
지원예정 과제수
지원내용
1. 원인 규명 및 발병 기전 연구
(451억 이내)
1-1. 치매 발병원인 및 발병기전 규명 (330억 이내)
36
다양한 치매유형 분석, 치매의 발병기전에 대한 규명 및 고도화 연구
1-2. 치매오믹스 분석 연구 (72억 이내)
1
유전체 분석 활용한 치매 고위험요인 발굴
1-3. 치매 위험요인 탐색 및 기전규명 (24억 이내)
4
치매 고위험군의 특성(연령, 성별, 보유질환 등) 분석을 통한 인과관계 규명
1-4. 신경보호인자 탐색 및 인지예비능 규명 (25억 이내)
4
인지예비능과 환경의 영향 분석, 치매 보호인자 탐색 연구
2.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508억 이내)
2-1. 혈액, 체액기반 치매조기진단기술 (156억 이내)
10
침습성이 낮은 혈액·체액을 활용, 간편하고 저렴하며 정확도가 높은 치매 진단기술 개발
2-2. 치매 특이적 영상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개발 (58억 이내)
4
민감도와 특이도가 향상된 영상진단기술 개발
2-3.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58억 이내)
4
뇌영상 검사기술을 개발·검증하여 치매유형, 진행상태별 진단기술 고도화
2-4. 생체신호, 감각기능 기반 치매진단기술 (18억 이내)
2
다중 생체신호(뇌파, 맥파, 체온, 심전도 등) 분석기반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2-5. 한국형 선별검사도구 표준화 (13.5억 이내)
2
한국형 치매 선별검사 표준 지침서의 개발 및 고도화
2-6. 뇌척수액 검사 기술표준화(19.5억 이내)
2
뇌척수액 채취 용이성 향상기술 개발 및 뇌척수액 내 치매 진단지표 발굴 연구
2-7. 기초·임상연구 레지스트리 (TRR) 구축 (162억 이내)
1
치매 연구성과의 빠른 검증, 실용화를 위한 임상연구플랫폼 구축
2-8. 치매연구정보 통합·연계시스템 (DPK) 구축 (23억 이내)
1
치매 연구자 친화적이고 개방적인 연구 인프라 구축
3.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609억 이내)
3-1. 치매치료제 개발 (510억 이내)
28
다양한 타겟 활용 및 신약 재창출을 통한 근원적 치매치료제 개발
3-2. 뇌 내 약물전달기술 개발 (87억 이내)
4
치매치료제의 뇌투과율 향상을 위한 약물전달기술 및 의료기기 개발
3-3. 한국형 치매예방법 표준화 및 고도화 (12억 이내)
2
한국형 치매 예방·관리 프로그램 개발·확산 및 이와 접목 가능한 신기술을 개발하여 예방·관리 프로그램 고도화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 연계 ESS, 안전한 전력수급 자원으로 활용-8.4~9.12일 태양광 연계 ESS의 전력수급 활용 시범운영 시행 (0) | 2020.08.03 |
---|---|
2020년 7월 수출입 동향- 7월 수출 428.3억달러(△7.0%), 수입 385.6억달러(△11.9%) (0) | 2020.08.03 |
출연(연) 국내 출장여비 실비정산 제도 폐지 및 출장 증빙 간소화 (0) | 2020.08.03 |
인공지능 의료 소프트웨어 ‘닥터앤서’ 의료기기 인허가 속도낸다-디지털 뉴딜 성공을 위한‘닥터앤서’인허가 협력 간담회 개최 (0) | 2020.08.03 |
드론비행, 더 편리하고 더 안전해진다-8월 3일부터 “드론 원스탑” 민원서비스 공식 운영 개시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