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에너지정책포럼 개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정책 전망 및 대응방안 논의”
담당부서에너지자원정책과 연락처044-203-5124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정책 전망 및 대응방안 논의”
- 제7차 에너지정책포럼 개최 -
□ 산업부는 미국 대통령선거 직후 미국 신정부의 통상정책 방향을 중점
점검*한데 이어 금번에는 제7차 에너지정책 포럼을 개최하여 새롭게
출범하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을 긴급 점검하였음
* 제7차 통상정책포럼(11.10일), 민관합동 대미통상실무작업반 1차회의(11.14일) 등
ㅇ 금번 포럼에는 석유.가스 시장, 자원개발, 전력시장, 기후변화,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신산업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공약을 분석하고 국내외 에너지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심층 논의하였음
< 제7차 에너지정책포럼 개요 >
▷ 일시 및 장소: ‘16.11.17일 (목) 07:30-09:00,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서울)
▷ 참석자: 산업통상자원부 우태희 2차관(주재),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주현 원장,
김희집 서울대 교수, 박희준 에너지이노베이션파트너스 사장,
이기호 가스공사 경영연구소 소장, 이영환 GS칼텍스 부사장,
차문환 한화큐셀 코리아 대표이사, 송경열 맥킨지 부파트너 등
▷ 안건: “미국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방향 전망”(발제자 : 유학식 에경연 박사)
□ 포럼을 주재한 우태희 차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미국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은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방향과 여러 분야에서 대비
되어 국내외 에너지시장에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하며 그로 인해
에너지정책 환경의 불확실성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함
ㅇ 특히, 기후변화체제와 셰일가스 등 자원 개발 부문에서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인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지적함
- 2 -
ㅇ 우차관은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써 첫째,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 확대
등에 발맞추어 우리 민간 기업들이 미국에서 자원개발사업 진출
기회를 적극 모색해야 하며,
ㅇ 둘째, 정책변화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등 클린 에너지시장의 성장세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태양광, 스마트그리드 등 클린에너지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하며,
ㅇ 마지막으로 가스공사의 미국 셰일가스 장기 도입(17~37년, 연280만톤)*을
계기로 미국과의 석유.가스 분야의 포괄적인 협력 확대 필요성을 제시함
* Sabine Pass 프로젝트 : 가스공사가 미국 Cheniere사로부터 20년('17~'37년, 연
280만톤)간 장기도입 구매계약을 체결
ㅇ 한편, 우차관은 섣부른 대응도 경계하면서 현 시점에서 예단하기 보다는
실제 정책으로 구현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신중
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함
□ 안건을 발제한 유학식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에너지정책 공약은 미국내 석유.가스 등 생산 확대와 각종 에너지.
환경 규제의 철폐를 통해 에너지독립과 고용확대 등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에너지정책“이 핵심이라고 설명함
ㅇ 참석한 전문가들은 석유.가스시장에 가장 직접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 부문은 현 시점에서 심리적인
위축 우려가 있을 수 있으나 세계적인 트렌드의 변화 속에서 보면 지나치게
비관할 필요가 없다는 데 공감함
□ 우차관은 미국의 정치체제상 대부분의 정책이 주정부 차원에서 시행
되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책방향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세세한 정책에 집착하기 보다는 큰 정책 방향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ㅇ 관련 전문가, 업계 등과 수시로 만나 미국의 정책방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힘.
- 3 -
참고 제7차 에너지정책 포럼 개최 계획(안)
* 인사말까지 공개
□ 추진목적
ㅇ 새롭게 출범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을 전망하고 국내외
에너지산업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 논의
□ 일시.장소 : 11.17일(목), 07:30~09:00, 서울 여의도 메리어트호텔 2층
□ 참석자 : 15명 내외
구분 참석자
산업부(3) 2차관, 자원정책관, 자원정책과장
총괄(2) 박주헌 에너지경영연구원 원장, 송경열 맥킨지 파트너
자원개발(1) 박희준 에너지이노베이션파트너스 사장
석유.가스시장
(3)
문영석 에경연 석유가스 본부장
이영환 GS칼텍스 부사장
이기호 가스공사 경영연구소 소장
전력시장(1) 차문환 한화큐셀 코리아 대표이사
기후변화(1) 임재규 에경연 기후변화본부장
에너지신산업(1) 김희집 서울대 교수
□ 세부일정(안)
시간 내용 비고
07:30∼07:35 5‘ 인사말 (공개) 2차관
07:35∼07:55 20‘ 주제발표
- 미국 신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 전망
유학식
에경연
박사
07:55∼08:57 62‘ 참석자 토의 참석자
08:57∼09:00 3‘ 맺음말 2차관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부 장관, 니카라과 오르테가 대통령 예방 ,미국 테슬라사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면담 (0) | 2016.11.17 |
---|---|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혁신기술을 한자리에!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및 「기술대상 시상식」 개최 (0) | 2016.11.17 |
한-중미 자유무역협정(FTA)“실질 타결”- 아시아國으로서 최초 타결 및 미주 진출 교두보 확보 (0) | 2016.11.17 |
융‧복합 가구디자인의 A to Z‥도, 2016년 융·복합 가구디자인 지원성과 보고회 18일 개최 (0) | 2016.11.17 |
道, 독일 아헨공대와 함께“지능형 전자 섬유”개발- 한독 공동연구소 16일(현지시간) 개소, 지능형 전자섬유(스마트 텍스트로닉스)융합기술 공동 개 (0) | 2016.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