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혁신기술을 한자리에!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및 「기술대상 시상식」 개최

하이거 2016. 11. 17. 12:01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혁신기술을 한자리에!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기술대상 시상식개최

 

담당부서산업기술개발과 등록일2016-11-17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혁신기술을 한자리에!
-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및 「기술대상 시상식」 개최 -
◇ 역대 최대 규모 국내 313개 기관 참여, 총 472개 R&D 우수제품 전시
◇ 산.학.연 기술교류, 채용박람회, 임베디드SW 경진대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 마련
◇ 금탑산업훈장 최창호 하나마이크론(주) 대표이사 등 47명 유공 포상
<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로봇.인공지능(AI).가상현실(VR) 등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혁신기술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을 11.17(목) ~ 19(토)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COEX) 1층 B홀에서 개최했다.
ㅇ 올해로 22회째를 맞이하는 금번 R&D대전은, “함께 맞이하는
변화의 물결”이라는 주제로,
- 산업부가 지원한 R&D 우수성과를 체험.시연토록 하여 국민
들과 함께 공유하고, 산.학.연간 기술교류, 채용박람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개최될 예정이다. [붙임자료 참조]
<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개요 >
◈ 일시·장소 : ‘16.11.17(목)∼19일(토) 【3일간】, 서울 코엑스(COEX) 1층 B홀
◈ 주 최 : 산업통상자원부
◈ 주 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주 제 : 함께 맞이하는 변화의 물결(부제 : 기술의 가치, 국민과 같이)
◈ 규 모 : 국내 산.학.연 313개 기관 / 472개 기술 전시
◈ 부대행사 : 채용박람회, 임베디드SW 경진대회 등 10개 부대행사 마련
- 2 -
<인공지능.IoT 기반물류로봇> <무인기용 하이브리드 엔진> <중장비 가상훈련시스템>
<산업용 양팔로봇> <차세대생명정보기술분석SW> <자동차용 증강현실 시스템>
<인공지능과 알까기 대결> <자이로드롭.에어쇼 VR> <자율주행과 수동조작 경주>
□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로 국내 313개 산.학.연 등이 참여하여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비하기 위한 ICT 융합.
바이오헬스 등 신산업 분야 위주 총 472개 제품을 선보였다.
ㅇ 대표적인 전시품으로는 인간을 대체하여 병원에서 각종 물품배송
업무를 수행할 ‘자율주행.사물인터넷(IoT) 기반 물류로봇’, 가솔린
엔진과 전기 배터리를 융합하여 체공시간을 2배 이상(4→8시간) 향상시킨
‘수직 이착륙 무인기용 하이브리드 엔진’, 실제처럼 중장비 조작
훈련이 가능한 ‘다기종 건설기계 중장비 가상훈련 시스템’이 있으며,
- 생산공정에서 포장.조립 작업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산업용
양팔로봇’, 일반 연구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생명
정보기술 빅데이터 분석 SW’, 운전자 전방 주시 집중도 향상을
위한 ‘자동차 앞 유리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ㅇ 또한, 캐나다 기업과 3,500억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부작용이 없는 ‘급성 백혈병 치료 신약 후보물질’, 초음파로 수술
없이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초음파 종양 치료기기’ 등 세계.
국내 최초 기술도 전시되었다.
□ 한편, 인공지능과 알까기 대결, 자이로드롭.에어쇼 가상현실(VR)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흥미로운 요소와 결합하여 체험
하고, 개념을 학습하는 특별관을 운영하여 초등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관람객의 큰 눈길을 끌었다.


- 3 -
< 2016 대한민국 기술대상 시상식 >
□ 아울러, 산업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하고 산업
기술인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우리나라 산업기술 진흥에 공헌한
유공자에 대한 포상도 있었다.
* 정부포상(27점): 산업훈장 3, 산업포장 2, 대통령표창 6, 국무총리표창 4, 장관표창 12
ㅇ 최고 영예인 금탑산업훈장에는 세계 최초 플렉서블 반도체 패키징
상용화, 해외공장 설립 등을 통한 수출 확대와 신흥시장 개척으로
2,028억원의 수출 달성 등 반도체 기술 선도와 전자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하나마이크론㈜의 최창호 대표이사
ㅇ 은탑산업훈장은 세계 최초로 고로용 이중 풍구를 개발하여 독일,
미국 등에 특허등록, 해외제철소 수출 등 제철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서울엔지니어링 이해양 본부장
ㅇ 동탑산업훈장은 첨단 뿌리기술과 융합부품소재 육성, 중소.중견
기업의 애로기술지원 등을 통해 지역산업기술 진흥에 이바지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정우창 수석연구원이 수상했다.
□ 2015년 이후 개발을 완료해 상용화에 성공한 기술.제품 가운데
기술적 우수성이 뛰어나고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기술.
제품에 대한 시상도 있었다.
* 정부시상(20점): 대통령상 2, 국무총리상 4, 장관상 14
ㅇ 대통령상은 투과율 극대화(16%↑), 소비전력 최소화(30%↓)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스플레이 기술인 엘지디스플레이㈜의 ‘65인치
QUHD(8K) LCD TV 패널’과 고성능화되는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한 전원관리시스템인 ㈜실리콘마이터스의
‘스마트 모바일기기용 다기능 파워매니지먼트 IC 개발’ 기술을
선정 시상했다.
□ 정만기 차관은 축사를 통해 “정부도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규제
개혁, R&D 등을 집중 지원할 계획임을 밝히고, 산업기술인들이 4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서 향후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하였다.
- 4 -
※ 참고 : 2016 산업기술혁신주간 주요행사 및 R&D대전 부대행사
붙임 : 1.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2. 2016 대한민국 기술대상 정부포상(시상)
3. 2016 산업기술혁신 주간 주요행사


- 5 -
참고 2016 산업기술혁신 주간 주요행사 및 R&D대전 부대행사
<< 산업기술혁신 주간 주요행사 >>
□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과 대한민국 기술대상 시상식을 시작
으로 11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코엑스를 중심으로 「산업
기술혁신 주간」행사를 개최한다.
ㅇ 기술과 산학연 개방형 혁신의 중요성을 알리고, 산업기술 유공자
들을 격려하기 위한 행사로 산업 융합, 산학연 기술협력, 미래
성장동력 성과 등의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 산업기술혁신 주간 주요 행사 >
일자 행사명 주요내용 장소
11.17.
(목)
대한민국 기술대상
시상식
산업기술 유공자 및 기술대상 포상
코엑스 B홀
산업기술 R&D대전
개막식(17~19)
산업부 지원 R&D 성과 홍보
국내외 산학연간 산업기술 정보 교류
11.18.
(금)
산학연 네트워크
포럼 연차대회
산업기술정책 관련 정책아젠다 발표
및 토론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서울다이아몬드홀
산업융합 컨퍼런스
산업융합 컨퍼런스, 유공자 표창 및
선도기업 지정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오키드룸
창의산업융합특성화
인재양성 성과발표회
참여대학 성과발표, 전시 및 상담회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오키드룸
<<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부대행사 : P12 참고 >>
< 1: 산.학.연간 기술교류 행사 >
□ 전시회와 함께 산업부와 주요 대기업의 기술개발 동향을 소개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신산업 창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ㅇ `17년도 바이오, 자동차 분야 등 산업부가 기획한 R&D 과제에
대한 정책 고객들의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하는 ‘기획과제 공청회’와
삼성전자.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의 최신 기술개발 투자방향과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중소 중견기업에게 소개하는 ‘R&D 동반
성장 포럼’이 진행된다.
- 6 -
ㅇ 또한, 국내 산.학.연 전문가들이 모여 민.관 협동으로 추진중인
미래성장동력 정책의 추진현황과 성과를 점검하고, 새로운 트렌
드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미래 산업엔진 포럼’이 열린다.
< 2 : 중소기업 지원 및 일반인 참여 프로그램 >
□ 아울러,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과
전 국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부대행사도 선보인다.
ㅇ 정부가 지원한 연구개발 성과가 실제 기업의 사업화로 연계될 수
있도록 기술보증기금 등 10개 기관이 참가하여 R&D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마케팅 분석.진단, 금융 컨설팅,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투.융자 상담회’가 개최되며,
ㅇ 청년 구직자들에게 연구개발 관련 일자리를 제공하는 ‘R&D 강소
기업 채용박람회’, 대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 발굴과 역량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임베디드SW 경진대회’가 열린다.
ㅇ 또한, 스타트업 기업을 중심으로 R&D를 통해 개발한 소비재
제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R&D 토요장터', 가족단위로
참여 하여 산업기술 용어나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풀어보는
‘R&D 퀴즈쇼’등이 준비되었다.
< 3 : 경쟁형 R&D과제 공개 평가 >
□ 한편, 정부 3.0 취지에 따라 동일한 과제 목표에 복수의 수행
기관을 선정하여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는 경쟁형 R&D과제*를
공개방식으로 평가하는 ‘대국민 R&D 콘테스트’가 개최된다.
* 스마트 공장 등 제조현장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될 로봇 조작 학습(딥러닝) 과제
ㅇ 각 수행기관이 발표한 기술개발 과정과 중간 성과물의 시연 결과에
대해 일반 참관객들도 전문 평가위원처럼 의견 개진을 할 수 있
도록 하여 R&D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예정이다.


- 7 -
붙임1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1. 행사 개요
□ 목적 : 산업부가 지원한 R&D 성과물을 국민에게 홍보하고,
국내외 산.학.연간의 기술이전 및 소통의 場마련(`92~, 22회)
□ 일시/장소 : 11.17(목)~19(토) 3일간 / COEX 1층 B홀(7,290m2)
□ 주최/주관 : 산업부 / R&D 3대 전담기관(산기평, 에기평, 진흥원)
2. 개막식
□ 개막식 개요
ㅇ 일시/장소 : 11.17(목), 10:30~11:40, COEX B홀 1층 개막식 무대
* 2016 대한민국기술대상 시상식(`02~) 과 합동 개최
ㅇ 참석자 : 산업부 1차관, 3대 R&D전담기관원장, 전략기획단장,
숭실대학교 총장, 산.학.연 관계자 등 500여명
□ 세부일정(안)
구분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오프닝
(12‘)
10:30~10:33(3') 국민의례 및 내빈 소개
10:33~10:36(3') 축 사 차관
10:36~10:38(2') 개회사 정재훈 KIAT 원장
10:38~10:40(2') 환영사 성시헌 KEIT 원장
10:40~10:42(2') 주제영상(대한민국혁신의주역, 산업기술인)
시상식
(26‘)
10:42~10:54(12') 유공자 포상 시상, 기념촬영 금탑산업훈장 등
10:54~10:58(4') 유공자 인터뷰 수상자 가족 인터뷰
10:58~11:03(5') 기술대상 시상, 기념촬영 대통령상 등
11:03~11:08(5') 수상자 전체 기념촬영 수상자 전원
R&D
대전
(32‘)
11:08~11:13(5') 개막식 Ceremony 전원
11:13~11:15(2') 폐회
11:15~11:40(25') 전시장 관람
- 8 -
전시관명
(부스 수)
전시 내용 주요 전시기관




ICT
융합관
폭발물 처리로봇, 하이브리드 수직이착륙 무인기,
실감형 개인탑승용 VR시뮬레이터, 지게차 교육
훈련용 시뮬레이터, 스마트폰 제어 64채널 디지털
보청기, 고속 대면적 3차원 반도체 검사장비 등
한울로보틱스,
한국카본, 한국
항공우주산업
신소재
부품관
친환경 자동차내장재, 초미세 멀티 패터닝시스템,
초고속 디지털 섬유인쇄기 등
보원케미칼,
에이치피케이,
평안
고급
소비재

다용도 아크릴 미술재료, 독성제로 초콜릿 크레
파스, 침상재활보조기
알파색채, 고은
빚, 리디자인
바이오
헬스관
급성백혈병치료제, 웨어러블 체성분 분석기,
혈액친화형치과용 임플란트
크리스탈지노믹스,
인바디,
오스템임플란트
에너지
신산업

카본소재 풍력발전기, IoT기반 에너지 절약
스마트홈 솔루션, 전력설비전자파체험캠프
두산중공업,
이젝스,
한전전력연구원
4차
산업혁명
기술체험관
물류 이송로봇, 대형 휴머노이드, 초소형비행로봇,
안내로봇, 알까기로봇 등
유진로봇,
바이로봇,
광운대학교
기술대상
수상작관
65인치 QUHD TV,
스마트모바일기용 다기능 파워매니지먼트 IC 등
LG디스플레이,
실리콘마이터스
3. 전시관 구성
□ 전시 규모 : 산업부가 지원한 ICT 융합.바이오헬스 등 신산업분야
R&D 우수성과물 472개 제품 전시(국내 313개 기관 참가)
구분
주제별 전시관
ICT 총계
융합
신소재
부품
고급
소비재
바이오
헬스
에너지
신산업
4차 산업혁명
체험관
기술
대상
제품 161 87 40 65 48 51 20 472
□ 전시관 세부구성


- 9 -
기관명 이미지 주요 성과
유진로봇
ㅇ (기술소개) 층 간 이동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사물인터넷(IoT)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연동기술 등을 적용하여 병원의 넓은 환경
에서 다양한 물류 배송이 가능한 로봇
ㅇ (주요성과) 병원, 레스토랑, 쇼핑센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
실리콘
마이터스
ㅇ (기술소개) 고성능화 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사용기간을 늘리기 위한 전원 매니
지먼트 시스템 개발
ㅇ (주요성과) 세계 시장 점유율 2위(34%)로,
삼성전자 스마트폰 전체의 1/3 적용
(매출 1,861억원, 수출 1,699억원, 고용 47명)
세코닉스
ㅇ (기술소개) 차량 이동 정보를 통합 표시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HUD*(Head Up Display) 시스템
* 전방사물과만들어진가상정보를한곳에겹쳐놓는기술
ㅇ (주요성과) 국내 최초 기존대비 디스플레이
상의 초점거리를 3배 이상(2.3m→7.5m) 확장
(국내 매출 62.5억원, 수출 20.5억원, 고용 28명)
한국카본
ㅇ (기술소개) 가솔린 엔진과 전기 배터리를
융합한 수직이착륙 무인기용 하이브리드 엔진
ㅇ (주요성과) 국내 최초 기술로 기존 대비 체공
시간을 약 2배 이상 향상(4시간 → 8 시간)
크리스탈
지노믹스
ㅇ (기술소개) 부작용이 없는 다기능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신약 후보물질 개발
ㅇ (주요성과) 캐나다 앱토즈바이오사이언스社에
약 3,500억원 규모 기술수출 계약
비나텍
ㅇ (기술소개) 단위 체적당 세계최대 충전 및
방전 용량을 가진 에너지 저장 소자
ㅇ (주요성과) 미국 모바히 사막 태양열 발전소에
적용(매출 76억원, 수출 76억원)
□ 대표 전시품
- 10 -
알피니언
메디컬
ㅇ (기술소개) 자궁근종에 대한 인체임상시험
에서 유효성을 검증한 초음파 종양 치료기기
ㅇ (주요성과) 기존 100% 수입에 의존하던 자궁
근종 시장을 국산화하여 국내 6개 병원에서
설치 및 치료진행(매출액 85억원, 신규고용 45명)
유컴
테크놀로지
ㅇ (기술소개) IT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골퍼의
스윙패턴 및 템포 분석이 가능하며, 홀까
지의 거리정보, 자동 스코어링 기능 구현이
가능한 손목시계형 스마트 골프 단말기
ㅇ (주요성과) 손목에 부담 없는 소형화.경량화,
저전력 설계를 통한 최소 용량 배터리로 최대
사용시간 확보(매출액 189억원, 수출 98억원)
이노
시뮬레이션
ㅇ (기술소개) 가상현실과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산업 현장과 유사한 가상환경을 만들어
실제처럼 중장비 조작 훈련이 가능한 시스템
ㅇ (주요성과) 굴착기, 지게차, 크레인 등 다양한
종류의 건설기계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체험
가능하며, 일본 항만 회사에 수출(매출액 48억원)
한국과학
기술연구원
ㅇ (기술소개) 특별한 입체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3D 영상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평명 디스플레이 제품과 차별화
ㅇ (주요성과) 세계 최초 추적 방식*을 적용한 3D
디스플레이로 국내 기업에 기술이전
* TV를 시청하는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여 디스
플레이 빛을 조절
천랩
ㅇ (과제내용) 일반 연구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생명정보기술 빅데이터(유전체, 군집)
분석 SW 시스템 개발
ㅇ (주요성과) 사업화를 진행한 국내 생물정보
분석 유일한 기술로, 해외 21개국에서 분석
의뢰를 받아 수행중
* 매출액6억원, 수출액3.8억원, 고용65명, 한달평균18,000뷰
고은빛
ㅇ (과제내용) 세계 최초 식품소재에 문구의
기능을 첨가한 안전한 초콜릿 크레파스
* 색을 내는 안료를 결합하는 응고제를 초콜릿
원료인 카카오버터 활용
ㅇ (주요성과) 기존 크레파스 보다 5배 비싸지만
지난해 12월 제품 출시이후 1만개 판매


- 11 -
인텔리안
테크놀로지
ㅇ (과제내용) 해상에서 일렁이는 파도 위에서
위성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할 수 있고, 진동 및
염분의 부식에도 강한 위성통신 안테나 시스템
ㅇ (주요성과) 위성 데이터 세계 안테나시장
에서 점유율 36%로 1위(매출 595억원)
기계연구원
ㅇ (과제내용) IT 제품의 셀 생산공정에서 포장
및 조립작업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양팔로봇
ㅇ (주요성과) 기존 산업용 로봇보다 소형화.
정밀도가 향상되어 단순 반복 업무가 아닌
다양한 공정에 적용 가능
신정개발
특장차
ㅇ (과제내용) 좁은 도로, 험로 등 승용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곳에서 활용 가능한 민군
겸용 산악용 UTV 개발
ㅇ (주요성과)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산악용
오토바이크 국산화, 세계 최초 고성능엔진과
자동변속기 탑재(군 수출 협의)
인바디
ㅇ (과제내용) 새로운 임피던스 측정기술을
활용하여 정밀도 향상 및 측정시간(2~3분
→1분 이내)이 단축된 체성분 분석기
ㅇ (주요성과)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세계1
위로 세계70개국에서 수출 309억원 기록
* 회사이름이 체지방측정기기의 대명사로 자리매김
제노레이
ㅇ (과제내용) 치과진료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구강검사 시스템
ㅇ (주요성과) 국내 최초 3D 구강검사 시스템으로
임플란트 모의시술, 3차원 치아 및 구강
모델링 가능(매출액 464억원, 수출285억원)
LG
디스플레이
ㅇ (과제내용) 세계 최초 차량에 적용된 55인치
대면적 투명디스플레이
ㅇ (주요성과) 네비게이션, 화상회의, 엔터테인먼트
등이 가능한 미래형 자율주행차 기능 구현
두산중공업
ㅇ (과제내용) 카본소재를 블레이드에 적용하여
저풍속에서의 에너지 생산량 극대화
* 우리나라 기상조건에 적합하고, 산악지역 운송의
용이성을 위해 모듈화.경량화 설계 제작
ㅇ (주요성과) 차세대 일류 상품으로 선정,
서남해해상풍력사업 공급계약 완료
- 12 -
구분 세부내용 일시/장소 주관기관
우수 R&D 기업
채용박람회
청년 구직자 대상 ATC 기업 중심
연구개발 관련 채용박람회 개최
* 39개 기관 참여, 120여명 모집
11.17(목)~
18(금)
COEX B홀
KEIT.
ATC협회
투.융자
상담회
사업성 분석 및 진단, 특허 코디네
이터 상담, 금융 컨설팅, 해외 판로
개척 등 중소기업 상담
* 기술보증기금, 한국조달연구원등10개기관
11.17(목)
~19(토),
COEX B홀
생기원
기획과제
공청회
바이오, 자동차 등 차년도 산업부
PD기획 후보과제 설명회
* 총 12개 기술분야 228개 과제 발표
11.18(금),
COEX 3층
KEIT
R&D 동반성장
포럼
삼성전자, 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 의
차년도 R&D 투자방향 소개 및
중소기업과 1:1 상담회 개최
11.18(금),
14:00~17:00
COEX B홀
KEIT
미래 산업엔진
포럼
산업엔진 프로젝트, 국가전략프로
젝트 등 미래성장동력 성과 점검
및 의견 수렴
11.18(금),
10:00~12:00
그랜드인터컨H
전략
기획단
산.학 협력
유공자 시상식
(마이스터고
일류화 시상식)
지역의 마이스터고.기업간 협력을
통해 우수 인력 채용에 기여한 지역
사회공헌 유공자 시상
11.18(금),
10:00~12:00
COEX B홀
ATC
협회
임베디드
SW경진대회
대학생들의 SW 관련 아이디어
발굴과 역량있는 인재 양성을 위
한 경진대회(자율주행, 로봇 등)
* 삼성전자, LG전자, 인텔코리아등미션수행
11.17(목)~
18(금)
COEX B홀
임베
디드
SW협회
경쟁과제
공개발표회
산업현장핵심수시개발사업의 경쟁형
과제(대상물 파지 로봇 딥러닝 기술)
공개 발표회(한양대 VS 전품연)
11.18(금),
14:00~15:00
COEX B홀
KEIT
R&D 토요장터
참가업체서 개발한 다양한 소비재
제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행사
* 트렉스타, 서동메디칼, 로봇코리아등32개업체
11.19(토),
COEX B홀
KEIT.
TP
에너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제3회 에너지 기술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작 시상
11.18(금),
15:30~16:35
COEX B홀
KETEP
4. 부대 행사

- 13 -
붙임2 2016 대한민국 기술대상 정부포상(시상)
□ 산업기술진흥 유공자(총 27명)
* 훈격별 성명 가나다 순
훈격 성명 소속 직위
산업
훈장
(3)
금탑 최창호 하나마이크론㈜ 대표이사
은탑 이해양 ㈜서울엔지니어링 본부장
동탑 정우창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산업포장
(2)
강구봉 ㈜케이피엘경영기술원 원장
김선기 조인셋(주) 대표이사
대통령표창
(4)
강경선 주식회사 강스템바이오텍 대표이사
임한복 ㈜삼명테크 대표이사
최진경 주식회사 라컴텍 사장
황성관 미래파인켐 주식회사 대표이사
대통령표창(단체)
(2)
- (사)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 ㈜매일경제신문사 -
국무총리표창
(4)
안승수 한국야금㈜ 선임연구원
우순옥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사
주문노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하종필 현대중공업㈜ 부장
장관표창
(12)
김두수 (주)쓰리디시스템즈코리아 수석연구원
김두식 현대중공업㈜ 부장
김윤원 ㈜이뮨메드 이사
김종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주환 한국지식재산전략원 팀장
설경식 ㈜실리콘마이터스 수석연구원
송도원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부장
송승훈 ㈜보명이앤씨 대표이사
이범주 ㈜다윈프릭션 전무
이원찬 블루토스 주식회사 소장
이정우 ㈜두원 연구소장
황덕열 ㈜위세아이텍 전무
- 14 -
< 참고 > 2016년 산업기술진흥 주요 유공자(금탑수상자)
□ 금탑산업훈장 수상자
금탑산업훈장 최창호, 하나마이크론㈜ 대표이사(65세)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술경영학 박사
· ’01~現하나마이크론(주) 대표이사
· ’12~`14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장
· ’98~’99 삼성전자㈜ 구미공장장
· 은탑산업훈장(’04)
공 적 개 요
구 분 내 역
공적의 정도
ㆍ30여 년간 일생을 바쳐 반도체 산업에 종사하였으며, 반도체
패키징 국산화에 전념해 온 우리나라 대표적인 반도체 업계
CEO
공적의 내용
ㆍ끊임없는 기술개발과 투자로 2,862억 원(`15년)의 매출 달성
- 5년간 매출액 12,774억 원(연평균 2,260억 원)
ㆍ국내 반도체 기술개발을 통해 수출 2,028억 원(`15년)
- `14년 세계 최초 플렉서블 반도체 패키징 상용화 성공
- 5년간 수출액 11,300억 원(연평균 2,260억 원)
ㆍ브라질 첫 반도체 공장 신설로 한.중남미 경제발전에 기여
- 내수시장 제품공급 및 글로벌 IT기업 수출확대 및 신흥시
장 개척 등
ㆍ플랙서블 메디컬디바이스 탑재용 핵심모듈 양산(`15년~)
ㆍ일.학습 병행제, 지역대학 학과 개설 등 산학협력을 통한
126명 전문인력 양성
ㆍ`12~`14년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회장 역임으로
새로운 반도체 기술 선도 및 전자산업 발전에 힘씀
사회적 영향
및 수범효과
ㆍ반도체산업 분야의 발전 및 선도를 주도하는 기업인으로서,
-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장(`12~`14년), World
Class 300 기업협회 부회장(`15~현재) 등을 통해 업계 신망이
두텁고 동 분야에서 추앙받는 인사
ㆍ취약계층 장애인들의 직업능력 개발 및 고용(`15년, 45명)
- 중증장애인 포함 고용율 4.7%(`15년), 교육용 반도체 설비기
증 및 강사 파견
ㆍ사회적 약자지원 및 인재양성 등을 위한 정기적 후원


- 15 -
은탑산업훈장 이해양, ㈜서울엔지니어링 본부장(52세)
· 세계 최초로 고로용 2중 풍구 개발 등 제철산업의 경쟁력 향상
- 풍구 등 고로용 순동 주조품 기술개발 및 생산으로 세계 점유율
1위 글로벌 강소 기업으로 성장
* 비용절감 : 1개 고로당 연간 8억 6,000만 원
* 기술료 : 연간 20만 유로(독일THYSSEN 제철소)
- 20여개 국가에 국제 특허 출원(독.중.미.일 특허등록)
동탑산업훈장 정우창,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54세)
· 첨단 뿌리기술과 융합부품소재, 애로기술지원 등을 통해 지역산업
기술 진흥
- 첨단표면처리, 디지털 주조, 초정밀 가공 등 첨단뿌리기술상용화,
첨단하이브리드 생산기술 가공화 및 실용화 연구개발로 매출 증대
131억 원, 고용창출 122명
- 중소.중견기업 대상 및 맞춤형 기업지원을 통해 매출 증대 568억 원,
고용창출 250명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
산업포장 강구봉, ㈜케이피엘경영기술원 원장(62세)
· 기술인력 양성 및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제고
- 현장용 기술서적 6권 출간 및 국가직무능력 표준(NCS)개발에 참여
- `03년부터 중소기업 경영기술 지도를 통해 연간 생산성 향상
5~7%, 품질개선 및 원가절감 2~3천만원
산업포장 김선기, 조인셋주식회사 대표이사(56세)
· 세계 최초 표면실장용 필름 전기접촉 단자 개발
-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의 주요 부품으로 시장 점유율 1위(세계
30%, 국내 55%)
* 최근 5년간 평균 20%이상 매출 증가(`11년 291억 원 → `15년 679억 원)
* `15년 매출 679억 원 중 수출 530억 원)
-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특허경영(국내외 특허등록 150건, 디자인
등록 50건)
대통령표창 강경선, 주식회사 강스템바이오텍 대표이사(53세)
· 제대혈 줄기세포 원천기술개발(분리배양 및 대량배양방법), 세계
최초 아토피 피부염 줄기세포치료제 개발(First in class) 등 바이오
산업 발전에 기여
- 제대혈에서 줄기세포 분리기술개발 및 분리한 줄기세포를 상용화
가능 수준으로 대량 배양기술 개발
- 세계 최초 아토피 피부염 줄기세포치료제(퓨어스템 에이디주)
1/2a상 결과 “Stem Cell” 게재
- 16 -
대통령표창 임한복, ㈜삼명테크 대표이사(55세)
· 미국(MI CABLE사 독점) 기술에 의존하던 도로결빙 온돌 개발 및
국내 전기온돌업계 최초 IP69(방수방진) 인증 획득 등 국산화에
기여
- 시즈히터 타입 전기온돌 개발로 업계 최초 러시아 MOU 수출 체결
- 전기온돌 신기술개발로 신기술 관련 특허 및 실용신안 8건 등
- 전기온돌 제품 세계시장 점유율 2.7%, 국내시장 점유율 15%
- ’15년 R&D : 투자 1.2억 원(4.1%), 인력 6명(30%)
대통령표창 최진경, 주식회사 라컴텍 사장(47세)
· 첼로 케이스에 복합재료 적용으로 세계 최고 초경량 고강성 케이스
개발제조 등 신소재 복합재료 성형 및 제조부문 기술개발과 상용
화에 기여
- 초경량, 고강성 5,6,7,8 및 10.5 세대 LCD/OLED 글라스 이송용
탄소섬유 복합재료 로봇핸드 개발 및 양산
- 국내외 특허출원 및 등록 22건, 해외논문 19건, 국내논문 13건
대통령표창 황성관, 미래파인켐 주식회사 대표이사(51세)
· 고지혈증 치료제의 핵심중간체(TBFA) 생산기술개발, 신약 당뇨병
치료제의 핵심중간체(PPCA) 생산제법개발 등 기술개발을 통한
수출에 기여
- 고지혈증 치료제 : Pitavastatin Hemi-Ca의 핵심중간체인 TBFA,
Rosuvastatin Ca의 핵심중간체 MPV-1
- 신약당뇨병치료제 : Anagliptin 핵심 중간체 PPCA
- 핵심 중간체 원료의 수입대체 효과 연 100억원
대통령표창 (사)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산업계 기술개발 성과시상(IR52 장영실상) 및 신기술(NET) 인증
제도 운영 등 과학기술인 사기 진작 및 산업기술혁신 풍토 조성
등에 기여
대통령표창 (주)매일경제신문사
· 기술강국 기반 조성, 산업기술고도화 등 산업계 기술개발 우수성
과 시상(IR52 장영실상)으로 대한민국 산업기술 발전과 경제성장
견인에 기여


- 17 -
국무총리표창 안승수, 한국야금㈜ 선임연구원(38세)
· 국내 최초 절삭공구용 유니버설 재종시리즈, 내열합금강 가공용
전용 재종, 내산화성이 우수한 강 밀링가공 전용재종 개발 등 가공
기술 혁신에 기여
- 한국 최초 절삭공구용 유니버설 재종 시리즈 및 내열합금강 가공용
전용 재종 등 개발
- 세계 최초 4layered Nanomultilayer 박막 설계기술 및 회전공구용
박막후처리 기술 개발
국무총리표창 우순옥,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연구사(48세)
· 양봉산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창출(섭취가 편리한 꿀맛나는 수
용성 프로폴리스 개발 등)로 양봉산업 활성화 및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
- 섭취가 편리한 꿀맛나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개발(특허출원 2건,
기술이전 6건)
-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채소 선도유지 및 저장성 향상 기술개발(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 양봉산물을 이용한 고부가 소재 개발(4건)
국무총리표창 주문노,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48세)
· 765kV 송전선로 친환경설계 핵심기술 개발 및 상용화, 전자파 인체
안전성 연구, 낙뢰보호 기술지원 등 에너지 공급시설의 안전관리
강화에 기여
- 756kV 송전선로 친환경설계 핵심기술 개발
* 초고압 선로주변 민원 등의 사회환경비용 연간 200억 원 절감
- 전자파 인체 안전성 연구(WHO 및 IEEE EMC 논문수록, 2007)
국무총리표창 하종필, 현대중공업㈜ 부장(62세)
· 고객 맞춤형 FSRU선 사양 및 기술구현으로 수주확대 및 기술발전,
선도 기술 접목으로 VLGC 시장 주도 및 신수요 창출 등 시장
수요 창출에 기여
- 고객 맞춤 FSRU(부유식 가스 저장)선 사양 및 기술 구현
* 세계 최초 선박전용 DRY Docking 기술 등 7개 기술 구현, FSRU 7척 수주(4척
인도, 3척 건조 중)
- 파나마운하 통행에 최적화된 초대형 가스 운반선 개발
* `13~`15년 동안 77척의 LPG선 수주
- 18 -
□ 대한민국 기술대상(총 20개)
* 상격별 기업명 가나다 순
상격 기업명 구분 기술명 분야
대통령상
(2)
㈜실리콘마이터스 중소기업 스마트 모바일기기용 다기능 파워매니지먼트 IC개발 전기전자
엘지디스플레이(주) 대기업 세계최초 65인치 QUHD(8K) LCD TV 패널 전기전자
국무총리

(4)
㈜아스타 중소기업 미생물동정용 MALDI-TOF 시스템 바이오의료
알피니언메디칼
시스템㈜
중소기업 초음파 영상 유도 HIFU 치료 시스템 개발 바이오의료
㈜케이피티 중소기업
에멀젼펄기술(Emulsion Pearls Technology) 개발 및 제
조 방법
화학
한국철도기술연
구원
기타 차세대 동력분산형 고속열차(HEMU-430X) 기계소재
산업통상
자원부
장관상
(14)
㈜그리드위즈 중소기업 OpenADR 기반 에너지 수요 관리 시스템 기술 에너지자원
두산엔진㈜ 대기업
선박 저속엔진의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터보차저
후단용 선택적 촉매환원(SCR) 기술 개발
기계소재
대원제약㈜ 중소기업 부작용이 경감된 소염진통제 국산 신약 바이오의료
㈜디지파츠 중소기업 카셰어링 차량용 통합 솔루션 정보통신
머커㈜ 중소기업 끓여서 살균이 가능하고 세척이 쉬운 초음파 가습기 전기전자
알에스오토메이
션㈜
중소기업 EtherCAT 기반 고성능 네트워크 모션 제어 솔루션 기계소재
유버㈜ 중소기업 UV LED 편심 선형경화기술 전기전자
㈜에스원 대기업 시큐리티용 융합보안기술 정보통신
㈜이카플러그 중소기업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완속 충전기 전기전자
전자부품연구원 기타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정보통신
㈜프로테옴텍 중소기업 알러지 원인물질 진단을 위한 고밀도 혈액분석기술 바이오의료
㈜티맥스데이터 중소기업 티베로 6(Tibero 6) 정보통신
한국항공우주산
업㈜
중소기업
T-50 가상현실 전투훈련 수출기(T-50 Embedded
Training System)
기계소재
현대자동차(주)
남양연구소
대기업
친환경 전용 전기동력구동시스템 및 차량기술(아이오
닉하이브리드/아이오닉일렉트릭)
기계소재


- 19 -
< 참고 > 대한민국 기술대상 수상 기술 소개
대통령상 기관명 ㈜실리콘마이터스 신청기술
스마트 모바일기기용 다기능
파워매니지먼트 IC개발
.고성능화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한 전원 매니
지먼트 시스템으로 배터리를 장착한 모든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원천
기술(세계최초 3건, 세계최고 1건)
.세계 시장 점유율 약 34% 수준으로 미국 Maxim社에 이어 2위, 삼성전
자 스마트폰 전체의 1/3 적용(매출액 978억원)
.2015년 삼성전자 스마트폰 약 3.17억대 중에서 1.08억대에 기술을 적용
하여 상용화하는 등 수입대체 효과 유발
대통령상 기관명 엘지디스플레이㈜ 신청기술
세계최초 65인치 QUHD(8K)
LCD TV 패널
.세계최초 대화면·초고해상도 구동기술, PANEL IC 기술, 투과율 극대화
기술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디스플레이 기술(투과율 극대화(16%↑), 소비
전력 최소화(30%↓), 세계 최고 QUHD Narrow Bezel 등
.2018년 평창 올림픽을 목표로 진행중인 QUHD 방송/통신에 대한 전방
위적 Infra. 형성을 촉발할 것으로 기대되며, 신규 부품 및 제품 개발로
신규 고용 유발 예상
.현재 24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3건 국외 기술인증을 획득
국무총리상 기관명 ㈜아스타 신청기술
미생물동정용
MALDI-TOF 시스템
.샘플 플레이트를 소모품화($1,000/plate→$10/plate)하고, 효소분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10시간→10분)한 MALDI-TOF 시스템 기술
* MALDI-TOF 시스템 : 노벨상이 수여된 질량분석 기반 다목적 진단 기술
.생명과학분야의 중요한 고가의 연구장비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저가화, 경량화, 소형화, 사용편리성을 고려하여 외산제품 대비 차별성 확보
.향후, 암, 치매 등 질병진단용 응용개발이 가능하며, 선진기술을 보유하
고 있는 독일, 일본 제품과 경쟁할 것으로 기대됨
.현재 26건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2건의 국내 기술인증 획득
국무총리상 기관명
알피니언메디칼
시스템㈜
신청기술
초음파 영상 유도
HIFU 치료 시스템 개발
.기존 고가의 의료 영상장비 대비 가성비가 높고, 자궁근종에 대하여 인체
임상 시험에서 유용성을 검증한 국내최초의 초음파 종양치료 시스템 기술
.종양치료 뿐만 아니라 표적약물전달, 내출혈치료, 통증완화에도 적용 가
능한 기술로 향후 잠재력 또한 우수
.40억원 이상의 비용절감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내수 시장에 51억원의 매
출을 달성하였고 29건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
- 20 -
국무총리상 기관명 ㈜케이피티 신청기술
에멀젼펄기술(Emulsion Pearls
Technology) 개발 및 제조방법
.세계 최초로 O/W 에멀젼이 그대로 담지된 새로운 비드제형 기술로 기
존의 화장품 원료를 이용한 제형 기술을 한 단계 up-grade한 혁신적인
기술 (국내외 특허 6건 보유)
.2014년도에 미국 Cosmetics & Toiletries, Best New Ingredients R&D
Awards(Finalist)와 독일 Beiersdorf Innovation Pitch 2014 (Winner)를 수
상하면서 국제적으로 기술의 혁신성 및 우수성 인정
.아모레퍼시픽, 엘지생활건강, 더페이스샵 외 중소업체에서 본 기술을 이
용하여 제형하고 있으며, 독일, 프랑스, 태국,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 사
업화 중(제품 기준 약 1,000억원 이상의 매출 효과 기대)
국무총리상 기관명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신청기술
차세대 동력분산형
고속열차(HEMU-430X)
.핵심장치의 경량화/소형화 기술, 공기역학적 유선형 설계 기술 등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된 국내 최초의 동력분산형 고속열차 기술
.운영최고속도 370km/h, 성능최고속도 400km/h(최고시험속도 421.4km/h
달성: 세계4위), 전체 차량 부품수 대비 97%/금액 대비 83.7% 국산화 달
성, 시운전시험(누적주행 121,123km)을 통한 안정화 및 신뢰성 확보
.세계최고 수준의 속도, 정숙성, 경제성, 편의성을 달성하였으며, 2016년
기준 매출실적이 3,800억원으로 시장 파급력과 잠재력이 매우 높음
.현재 141건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24건의 프로그램 등록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그리드위즈 신청기술
OpenADR 기반 에너지
수요 관리 시스템 기술
.실시간 전력량 감시(스마트 그리드 기반 데이터 적시 수집률 99.9% 이
상) 및 수요 패턴 분석, 감축 지시 및 평가를 주요 기능으로 가지고 있
는 개방형 수요관리사업자 시스템 기술
.국내 최초 OpenADR 2.0(개방형 자동수요반응) 인증 및 시장에 적용하
여, 누적 전력 감축량 75GWh 달성(피크 부하율 3%이상 감소, 수요관리
수용가의 전기요금 8% 절감)
.현재 4건의 특허 보유 및 1건의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있으며, 미국 민간
인증 1건, 국내 정부 인증 1건 확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두산엔진㈜ 신청기술
선박 저속엔진의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터보차저 후단용
선택적 촉매환원(SCR) 기술개발
.국제해사기구(IMO)가 연안 200해리 이내에서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배
출규제를 만족하기 위해 개발한 선박용 저온(220℃) 촉매 기술
.세계 최초로 독일 GL선급의 Tier III 적합성 인증, IMO Tier III
Certificate 취득 및 세계 최초로 개발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
.부품수 대비 88.6%, 가격 대비 98% 수준의 부품 국산화율을 달성하였으
며, 국내(삼성, 대우, SPP, 성동조선소 등) 및 해외 조선소(DSIC 등) 9개
조선소 28개 선종의 표준선형에 적용
.현재 36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8건의 실용신안을 등록함


- 21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대원제약㈜ 신청기술
부작용이 경감된
소염진통제 국산 신약
.위장영역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위장영역에서는 약물의 방출
을 감소시키고 소장영역에서 연장된 시간동안 방출을 촉진시키는 비스테
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기술(약물 흡수부위를 조절하는 기술 적용)
.약효를 지속시키기 위한 일일 투여 횟수(1일 3회~5회)를 1일 2회로 줄임
으로써 위장영역 부작용과 투여의 번거로움을 동시에 경감시키는 효과
.2015년 개량신약 제품인 펠루비서방정 발매 중(국내 최초 NSAIDs 신약
인 펠루비정과 더불어 ‘16년 100억, ’17년 200억 매출 목표로 육성 중)
.현재 10건의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약개발상 기술상 포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디지파츠 신청기술 카셰어링 차량용 통합 솔루션
.운전자의 운전패턴 분석 및 수집과 이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을 예
약하면 이용자를 인증하고 스마트폰을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술
.현재 대부분의 카셰어링 서비스에 채택되어 운영 중(국내 시장 98% 이
상을 점유하고 있는 사업자인 쏘카, 그린카에서 100% 본 제품 사용)
.차량정보 분석/해독 기술, 3D/LTE모뎀의 저전력 동작을 위한 SW기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머커(주) 신청기술
끓여서 살균이 가능하고
세척이 쉬운 초음파 가습기
.가습기 살균을 위해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수조 뚜껑을 덮고 가열하
여 끓이는 방법으로 세척만으로 제거되지 않는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를
99.9% 사멸시키는 기술
.독일 신기술전시회 동상, 국제 아이디어 전시회(발명진흥회) 은상 수상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VC)에서 SEED단계 투자유치(3억원) 완료하였으며,
2016년 제품 출시(매출 약 5억원) 및 국내 가전대기업인 쿠쿠전자와 제휴 계약 중
.3건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3개국(일본,EU,중국) 특허 출원 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알에스오토메이션㈜ 신청기술
EtherCAT 기반 고성능
네트워크 모션 제어 솔루션
.EtherCAT 네트워크 기반의 게인 무튜닝 기능과 온라인 시스템 진동 억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유버㈜ 신청기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에스원 신청기술 시큐리티용 융합보안기술
.세계 최초로 3D/2D 영상분석 기술을 산업의 안전환경 분야에 적용하여
작업자의 위험 행동이나 보호구 미착용과 같은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영상
인식하는 기술(평균96%이상의 감지성능 및 0.2%이하의 오보율)
.시큐리티 업계 최초로 군사용 레이더 기술을 침입 감시로 상용화한 외곽
감시용 펜스형 레이더 센서 개발
.현재 영상분야 국내외 특허 64건, 센서분야 국내외 특허 43건 보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이카플러그 신청기술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완속 충전기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차충전기로 기존 상용 충전기의 UI,
통신기능, 과금 및 결제 부분을 제거하고 스마트폰으로 구현
.충전 고유기능을 제외한 필요한 모든 기능을 스마트폰을 이용함에 따라
획기적인 원가절감 실현(제품가격 50%절감, 부품 국산화율 80%이상)
.중국 CCTV, 국내신문 및 다양한 매체에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전
기차 충전기로 소개
.국내외 3건의 특허를 확보하였으며, 국가공인 성능인증(전기안전, 전자파
적합 등) 4건 획득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전자부품연구원 신청기술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다른 표준 및 비표준 플랫폼과의 상호호환 및 연동성 우수한 oneM2M*
기반 오픈소스 IoT 플랫폼 기술(선도국 대비 100% 기술 수준)
* oneM2M : 세계 주요국의 표준기구가 중심이 되어 구축된 표준
.세계 최초로 oneM2M 표준 기반 플랫폼 간 연동 성공(‘14.12월), 상용화
(’15.6월, SK텔레콤), 413개 기관 및 기업 등이 활용 중(해외 27개, ‘16.7월 기준)
.국제특허 11건 출원, 국내특허 27건 출원, 표준화 19건 채택, 국제 논문
16건(SCI급 논문 6건 게재 포험) 및 국내 논문 22건 발표


- 23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프로테옴텍 신청기술
알러지 원인물질 진단을
위한 고밀도 혈액분석기술
.고밀도 혈액 분석 기술인 병렬식 라인형 다중진단기술을 이용하여 수십
종의 알러지 원인물질을 동시에 측정하는 MAST(다중알러젠시험법) 기술
.기존 제품에 비해 1회 검사에 필요한 패널수를 1/2로 감소시킴으로써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검체의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개선
.한 번 검사에 세계 최다종류(60종 이상)의 알러지 검사가 가능하여 제품
의 국제 경쟁력 확보(기존 제품 1~30종)
.우리나라 의료기기 허가 획득 및 국내외 특허 7건을 확보하고 있음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티맥스데이터 신청기술 티베로 6(Tibero 6)
.기업 데이터를 안전하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관리하는 디
스크 기반 관계형 DBMS 기술
.국내최초, 세계 두 번째로 공유디스크 DB 클러스터링 기술 상용화
.정부통합전산센터 40여개 업무에 오라클 대체 도입(2016년)
.러시아 금융기관 Tibero 도입 프로젝트, 2015 최고 국책 프로젝트 선정
.DBMS 선도기업(Oracle, IBM, Microsoft)와 동등한 수준의 기술 수준 평가(가트너)
.외산 제품에서 Tibero로 전환 비율 78% 증가 (2015년 기준)
.현재 36건의 국내외 특허를 확보하고 있음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한국항공우주산업㈜ 신청기술
T-50 가상현실
전투훈련 수출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기관명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신청기술
친환경 전용 전기동력
구동시스템 및 차량기술
.세계 최초 3종(하이브리드,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친환경차 전용
플랫폼 기반 친환경 독자 기술 개발
.핵심부품 독자 개발 및 국산화로 국내 업체 기술 동반 상승 선도
붙임3 「2016 산업기술혁신 주간」 주요행사
1. 2016 산학연 네트워크 포럼 연차대회
□ 목적
ㅇ 산학연 간 정책 소통 협업의 장인 「산학연 네트워크 포럼」운영을
통해 도출된 산업기술 정책 제안
ㅇ 글로벌 저성장을 극복할 국가경쟁력 강화의 핵심으로 디지털 경
제가 부상함에 따라 이에 따른 대응전략 모색
* 초연결, 초지능, 플랫폼, 기반기술을 키워드로 도출한 정책아젠다 제안
□ 행사 개요
ㅇ (주제) 기술혁신 너머, 디지털 경제로
ㅇ (일시/장소) ’16.11.18(금), 15:00~18:00,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다이아몬드홀
ㅇ (참석자) 포럼 참여기관 임원, 기업 CTO, 대학교수 등 200여명
* 고려대 염재호 총장(포럼 대표), 전자부품연구원 박청원 원장, GSTEP 곽재원 원장,
계원예대 이남식 총장, 한국경제신문 안현실 논설위원 등 포럼 참가
* 국회의원(산자위 위원) 초청 예정
< 세부일정(안) >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14:30∼15:00(30‘) 등록 및 사전리셉션
1부
15:00∼15:10(10‘) Opening Performance
15:10∼15:15(5‘) 개회사 정재훈 KIAT 원장
15:15∼15:20(5‘) 환영사 염재호 고려대 총장
15:20∼15:30(10‘) 축사 차관
15:30∼16:00(30‘) (.강연) 경계의 종말, 새로운 지평 김경준 딜로이트
안진경영연구원장
16:00∼16:30(30‘) (.강연) 블록체인 3.0 : 금융혁신을
넘어서 인호 고려대 교수


- 25 -
2. 산업융합 컨퍼런스
□ 목적
ㅇ 産.學.硏등이 참여하여 산업융합 이해도 고취 및 산업융합 활
성화 기반 조성을 위한 소통의 場마련(`09년~, 6회)
* (추진경과) 산업융합 개념 및 활성화 방안 모색(`09~`11)→산업융합 필요성 및
정부 육성책(`12~`13)→산업융합우수사례소개등(`14)→산업융합확산및실증사례(`15)
ㅇ 금번 컨퍼런스는 4차 산업혁명 대두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계가
융합되는 시점에 맞춰 제조서비스융합 활성화 방안 모색
* VR 등을 이용한 공정 시뮬레이션, 헬스케어 자동차(운행+생체신호 센싱), 자율차를
통해 ‘새로운 보험상품, 무인대중교통 서비스, 차량내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
□ 행사 개요
ㅇ (행사명) 2016 산업융합 컨퍼런스
ㅇ (일시/장소) ‘16.11.18(금) 14:00~,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 오키드룸
ㅇ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ㅇ (참석대상) 정부, 유관기관, 학계 및 기업체 등 400여명
< 세부일정(안) >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14:00~14:00(30’) 개회 및
시상식
개회사 생기원 원장
축 사
산업융합유공자시상(장관상8명) 차관님
선도기업 지정서 수여(30社)
14:30~15:00(30’)
(.강연) 4차 산업혁명 선점을 위한
제조서비스 융합
; 제조서비스융합의개념, 동향과주요사례소개등
딜로이트 컨설팅
알렉스 조 대표
15:00~15:30(30’)
(.강연) 제조서비스 융합 실현을 위한
플랫폼의 역할
; 제조서비스융합주요플랫폼소개, 비즈니스사례등
다음카카오
홍은택 부사장
* 메이커스위드카카오개발
15:30~16:30(60’)
(.패널토론) 국내 제조서비스 융합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관의 역할
; 헬스케어, 드론 등 제조서비스융합 비즈니스
모델소개, 활성화를위한주체별역할등을논의
송위진(STEPI ) ,
백롱민(서울대 의대)
김석준(KT) 등
16:30~ 폐 회
- 26 -
3. 창의산업융합특성화 인재양성사업 성과발표회
□ 목적
ㅇ 창의산업융합 특성화 인재양성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의 성과
발표회를 개최하여, 異種학문 및 인적 교류의 場을 마련(`15년~)
* (목적) 융합트렌드에 걸맞는 多학제적(인문+공학 등) 융합화 소양을 갖추고
산업현장의 융합화를 주도해 나갈 Leader급 융합 인재 양성
** (현황) `13년부터 사업시작하여 `17년까지 10개大융합인재 360여명 양성
을 목표로 운용 중(국정과제7-5, 고용률 70%로드맵)
*** (선정대학) (`13년) 성균관대, 조선대, 호서대 / (`14년) 건국대, 단국대,
한양대 / (`15년) 서울과기대, 신라대 / (`16년) 숭실대, 인제대
- 금번 행사는 성과발표에 그치지 않고 프로젝트 성과물(시제품)을
전시 및 상담 등을 통해 직무역량 배양 및 현장중심 교육 강화
□ 행사 개요
ㅇ (행사명) 창의산업융합 특성화 인재양성사업 성과발표회
ㅇ (일시/장소) ‘16. 11. 18(금) 09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 오키드룸
* 성과 전시부스 : 11/17∼11/18(9시∼17시), 코엑스 1층 B홀
ㅇ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창의엔지니어링센터
ㅇ (참석자) 참여 학생, 교수, 관련분야 산학연 전문가 등 총 280명 내외
< 세부일정(안) >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09:30~10:00(30’) 개회 및 축사.포상(장관상 2점 등) 국장, 생기원원장
10:00~10:30(30’) (강연)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인재상(안) 류선종(N15공동대표)
10:40~12:00(80’) 프로젝트 성과 발표(8개 대학) 대학별 15분
12:00~12:20(20’) 우수학생연구성과및교육과정수학소감발표 2명(학생별 10분)
12:20~17:00 성과전시부스및융합아이디어상담회운영 코엑스 1F Hall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