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혁신센터 우수 보육기업,신설 KSM(KRX Startup Market) 진출
작성일 : 2016. 11. 11. 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
창조경제혁신센터 우수 보육기업,
신설 KSM(KRX Startup Market) 진출
- 2016. 11. 14일(월)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KSM(KRX Startup Market)』시장에 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8개 등록 예정
- KSM 등록을 통해 우수 스타트업의 회수시장 진출 기대
□ 한국거래소(이사장 정찬우)는 2016. 11월 14일(월) KRX 스타트업 마켓(KSM)을 신규 개설 예정이며, 창조경제혁신센터 추천기업, 크라우드펀딩(증권형) 성공기업, 미래 성장가능성 인정기업(기보, 신보 등 기관 추천) 등 37개 기업을 등록할 예정이다.
ㅇ KSM은 스타트업 전용 장외 유통시장으로, 코넥스․코스닥 등 정규 주식시장 상장을 위한 인큐베이팅(Incubating) 역할을 수행한다.
□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보육기업 중 우수기업을 추천하여, 총 8개 기업이 KSM에 등록 예정이다.
□ KSM 시장에 등록하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주요기업은 베이글랩스(경기), 마린테크노(전남), 해찬(충북) 등이다.
o 베이글랩스(대표 박수홍, 스마트 줄자)는 도전 K-스타트업 2016년 창업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대상, 미국 킥스타터 크라우드펀딩에서 138만달러(한화 약 15억3천만원) 펀딩에 성공하였고 해외 50여개국에 2만여개를 예약판매 실적 보유
o 마린테크노(대표 황재호, 콜라겐 화장품)는 국내 크라우드펀딩 1호 성공기업이며, 미국, 멕시코 등에 총 56만불 상당 구매계약 체결
o 해찬(대표 오승철, 유기발광다이오드)은 LG화학과 공동으로 신제품 개발하여 가구업체 일룸과 3년간 300억원 규모 계약 체결
□ 금번 스타트업기업 전용 회수시장 KSM 개설을 계기로 18개 혁신센터 보육기업(10월말 현재, 약 1,400개) 및 전국 스타트기업의 KSM→코넥스→코스닥으로 이어지는 자본시장 진출 지원 로드맵이 완성되어 창업활성화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참 고 : 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KSM 등록 리스트 >
센터명
기업명
대표자
사업 내용
경기
베이글랩스
박수홍
스마트 줄자
서울
YB Soft
유영배
낙상사고를 차단하는 안전 휠체어
인천
미로
오용주
미로 클린팟 (세척가능 가정용 가습기)
전남
마린테크노
황재호
마린콜라겐 추출 스킨케어 제품
충북
고은빛
주윤우
친환경 초코렛 크레용
충북
해찬
오승철
LED조명기구 제조 등
충남
안드로메다
민재명
통신비 할인 리워드앱 애드링(ADRING)
광주
엘앤제이
이성민
코르크 소재 제품 개발
참 고 자 료
※ KSM(KRX Startup Market) 개요
□ (개설 배경) 사모시장 참여자가 협소하고 일반투자자가 창업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장외거래 플랫폼도 부족한 상황
ㅇ 장외거래 플랫폼으로 K-OTC(상대매매), K-OTCBB(호가게시판) 및 일부 사설 증권거래사이트가 운영중이나,
- 거래가 활발하지 못하고, 경쟁을 통한 서비스 효율화도 미흡
- 또한 K-OTC 및 K-OTCBB의 경우, 창업기업보다는 비상장 대기업, 중견기업 위주로 운영
□ (주요 개념) 크라우드펀딩 성공기업 등 창업기업 주식을 투자자가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전용 장외시장(KRX Startup Market) 개설
ㅇ (거래대상) 기술집약형 스타트업 기업에 특화
- ⅰ) 크라우드펀딩 성공 기업, ⅱ)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정책금융기관(기보, 신보, 산은, 기은, 한국성장금융 등) 추천기업 등
ㅇ (거래방식) 투자자간 주식매매가 가능한 모바일 기반의 거래시스템
ㅇ (해외사례) 미국 NASDAQ의 Nasdaq Private Market('14.3월 출범), 캐나다 TMX의 TSX Private Market('14.11월 출범) 등
□ (코넥스 상장특례) 벤처‧창업 자금생태계 구축 지원을 위해 KSM 기업 중 크라우드펀딩 성공기업의 코넥스 시장 상장특례* 도입
* KSM 등록기업(6개월 이상)은 완화된 요건(1.5억원 이상, 20인 이상 참여)으로 코넥스시장 특례상장 허용(일반기업은 3억원 이상, 50인 이상 참여)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산업, 인도 제조업 부흥의 핵심으로 떠오르다[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및 기타 해외동향 (0) | 2016.11.11 |
---|---|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새판짜기 시동-「국가연구개발 신(新) 투자모델 토론회」개최 (0) | 2016.11.11 |
獨 함부르크,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에 주목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및 기타 해외동향 (0) | 2016.11.11 |
유료방송 발전방안 제2차 공개토론회 개최 (0) | 2016.11.11 |
우주전파재난 모의훈련 개최 (0) | 2016.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