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거

판교핫뉴스1

[판교테크노밸리]「에너지플러스 2015」 10월20일 코엑스에서 개막

하이거 2015. 10. 20. 10:22

에너지플러스 20151020일 코엑스에서 개막

[담당부서 전자전기과 등록일 2015-10-20 ]

 

에너지플러스 20151020일 코엑스에서 개막

- 대두유() 변압기, 전기차용 전지, 밴드형, 폴딩형 배터리 등 대거 전시 -

- 34개국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운영...수출상담액 80억불 예상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10.20()~22.()까지 코엑스(서울 삼성동)에서 전기기기, 배터리, 지능형 전력망(이하 스마트그리드)의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종합적으로 관람할 수 있는 에너지플러스(Energy +)’ 행사를 연다.

 

< 에너지플러스 행사 개요 >

 

일시장소 : ‘15.10.20()~22() 10:00~17:00, 서울 삼성동 소재 코엑스 A, C

* 산업발전 유공자 시상식(102010:00, 그랜드볼룸), 개막식(‘11:10, A1, 2실 입구)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 한국전지산업협회, 한국전기산업진흥회,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전시분야 : 자동차용 및 ESS용 배터리, 차세대전지 발전기, 변압기, 개폐기, DC기기 스마트그리드

 

 

에너지플러스는 인터배터리(InterBattery), 한국전기산업대전, 코리아스마트 그리드 엑스포(Korea Smart Grid Expo)를 통합 개최해 전기기기(전기생산공급)+배터리(전기저장)+ 스마트그리드(전기관리)의 제품 및 기술이 융복합되는 청사진이 제공되며, 국내330개 기업이 참가하고, 880개 부스가 마련(전시면적 2)되었으며, 에너지분야 전시회 중 아시아 2번째로 큰 규모로서 세계 최고의 제품 및 기술들을 선보였다.

 

* 인터배터리(InterBattery) : 세계 3대 규모의 국제 전지 전시회

* 한국전기산업대전 : 세계에서 다섯 번째,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

* 코리아스마트 그리드 엑스포(Korea Smart Grid Expo) : 세계 최대 전문전시회

또한, 국제 컨퍼런스를 통해 이차전지, 전기기기, 스마트그리드산업분야의 세계유수 전문가를 각각 초대하여 현재를 조명하고 미래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견해를 밝힐 계획이다.

 

분 야

연 사

발표주제

이차전지

Eric Darcy

(미국, NASA)

우주선에 사용되는 열손상 없는 차세대 전지

전기기기

Ram Adapa

(미국, 전기연구원)

고압직류송전(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스마트그리드

Paddy Turnbull

(, 세계SG협회)

SG분야 글로벌 주요 시장정책 이슈 및 사업화 방향

 

 

10. 20.() 오전 1110분에는 이번 행사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기 위한 개막행사가 진행한다.

 

개막식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문재도 제2차관을 비롯하여 조남성 한국전지산업회장, 장세창 한국전기산업진흥회장, 구자균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장 등 관련업계 인사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한다.

 

이에 앞서 10시경에는 전지산업 및 전기기기산업 발전 유공자 44인에게 산업포장(1), 대통령표창(2), 국무총리표창(3), 산업부 장관상(18), 중기청장상(7), 한전사장상(3), 협단체장상(10)을 수여한다.

 

산업포장 엘에스(LS산전) 황하연 상무(전기기기), 대통령표창 LG화학 김수령 전무(전지), 베스텍 박태식 연구소장(전기기기), 국무총리표창 에코프로 박석준 상무(전지), 한국남동발전 강창원팀장(전기기기), 비츠로씨엔씨 윤병주 대표(전기기기)

 

산업부 문재도 차관은 행사 축사를 통해 대외 여건변화와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하며, 지금이 기술과 제품가격의 차별화를 위한 강도 높은 기술혁신 및 투자가 필요한 때임을 강조했다.

 

1020일부터 3일간 개최하는 에너지 플러스 2015“에는 27개국 70개의 해외 업체와 34개국 160여명의 해외 진성바이어가 참가하여 수출 판로를 상담할 수 있도록 수출상담회등을 진행한다.

 

특히, 전기분야는 125개의 수출상담 부수를 마련하여 10. 20. “해외 바이어 초청(145) 수출상담회를 진행하며, 업계는 수출상담액이 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14년 수출상담액 50억 달러)

 

이차전지분야도 10. 20. ~ 10. 22.(3일 간) 8개국 20여명의 진성바이어를 초청해 계약 및 구매 상담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참여국 :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남아공, 모잠비크, 루마니아, 폴란드,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에콰도르, 칠레,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 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집트, 쿠웨이트 등

 

이차전지, 전기기기, 스마트그리드 관련기업이 세계시장 선도 제품 등을 선보임으로서 산업 흐름과 기술동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고, 미래 인류의 삶을 편리하게 바꾸는 제품을 선보여 눈길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 인터배터리 2015 > 세계 3대 전지산업 전문 국제전시회로서 세계 최고 전지업체는 물론 해외 소재 및 장비, 재료 기업들이 대거 참여

 

삼성 에스디아이(SDI)와 엘지(LG)화학이 미래형 이차전지(전기자동차(EV), 에저지저장장치(ESS)) 전시를 통해 시장 선도를 위한 전략을 밝힐 계획이며, flexible 배터리, 접는 배터리 등 효율성과 저장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전지를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

그 밖에 중국관이 운영되고, 이차전지 4()소재 생산업체, 전지 제조관련 장비업체, 전기차용 배터리 및 충·방전 시스템 업체, 에너지저장(ESS) 및 기타 전지관련 업체의 최신 제품이 전시한다.

 

< 한국전기산업대전 > 1994년 처음 열린 이후 올해 20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실질적인 해외 수출판로 개척으로 이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에 중점을 두어 진행한다.

 

국내 중전기기 대표기업인 현대중공업, 효성, 일진전기가 대규모 부스로 참가하며, 비츠로그룹(비츠로테크, 비츠로씨앤씨, 비츠로머티리얼), 보국전기, 선도전기, 인텍전기전자, 중원전기, 동우전기 등 국내 유망 기업이 참가해 발전설비, 송배전설비, 수전설비 등 전기기기의 제품을 종합적으로 선보인다.

특히, 해외 구매자(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진행한 다음 날인 1021일에는 발전 6개사*의 구매담당자 174명이 75개 구매상담 부스가 마련된 곳에서 발전기자재 생산기업과 구매상담회를 진행하여 중소기업에게 국내 판로지원을 추진(60여개 기업이 상담예약 완료)한다.

 

* 발전 6개사: 한국남동발전(주관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 2010년 첫 개최이후 스마트그리드 분야 대표 전시회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위기와 동시에 기회를 맞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업계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됨

 

ㅇ ▲스마트전력계량기(AMI), 에너지저장장치(ESS), 정기자동차(EV) 충전인프라의 분야별 전문관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 기업관 엑스-에너지관리시스템(X-EMS) 기업관 전력 정보기술(IT) 및 정보통신 정보기술(IT) 기업관 DR전문기업관 등이 전시될 예정임

 

 

참고자료 : 1. 에너지플러스(Energy +) 개요

2. 통합 개막식 및 포상식 개요

3. 주요 컨퍼런스 구성

4. 주요 참여기업 소개

 

3(전지+전기+스마트그리드) 전시회 통합배경

 

전기공급(발전기+전력망+수전설비), 전기저장(배터리), 전기관리(스마트그리드)간의 기술이 융복합되는 변화에 대응

* 전기저장 : 배터리(ESS, 전기차용 등)+4대소재(양극, 음극, 분라막, 전해질)+BMS

* 전기공급 : 발전(생산)+전선 및 케이블+송배전설비+제어기+HVDC

* 수전설비 : 변압기+차단기+개폐기+제어기+직류기기(DC)

* 전기관리 : 전력망+ESS+EMS+신재생+분산전원+수요관리+UPS

 

 

<< 해외 통합 개최 사례 >>

일본(World Smartt Energy Week) : 이차전지, 스마트그리드, 태양광, 풍력 등 8개 에너지 유관 전시회 통합개최

싱가폴(Sinapore International Energy Week) : 가스산업, 신재생에너지전 등 유관 전시회 및 컨퍼런스 통합개최

미국(The Battery Show) : 이차전지, 전기차, 전력 분야 전시회 통합개최

 

 

 

3분야 협·단체간 전시회 통합개최 MOU체결(‘15.2)

 

* 전지산업협회, 전기산업진흥회, 지능형전력망협회, 코엑스

 

행사개요

 

행사명칭 : 에너지플러스(Energy Plus 2015)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 한국전지산업협회, 한국전기산업진흥회,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코엑스

기간장소 : 2015.10.20()22(), 코엑스 A, C(1,3)

행사내용

 

구 분

일 정

행사내용

포상식

10.20 10:00

정부포상 44(전지+전기분야)

전시회

10,20~22

개막식(테이프 커팅) : 차관님, 기관 및 주요기업 대표 등 15

전시품 : 3분야 880개 부스 운영, 330개 업체 참여

부대행사

10.20~22

컨퍼런스 : 전지·전기·스마트그리드 관련 국제 컨퍼런스

수출상담 : 수출상담회 및 해외바어 초청(34개국 165)

기술 세미나 : 신제품 및 신기술 세미나 등

 

전시회 내용

 

전시회 규모 : 330업체, 880부스(20,716), 2만여명 참가 예상

 

전시회 내용

 

 

에너지플러스(Energy+)

인터배터리

 

한국전기산업대전

 

코리아스마트그리드엑스포

이차전지 소재·장비, R&D

발전 및 송배전기기기 등

지능형전력망 기술 제품 등

 

 

70업체, 250부스

230업체, 480부스

30업체, 150부스

A

 

C

 

A

전지협회, 코엑스

전기산업진흥회, 한전

스마트그리드협회, 코엑스

 

 

ESS 특별관 동시개최

한국발전산업전 동시개최

EV 특별관 동시개최

 

3분야별 특징

 

구 분

분 야

분야별 특징

InterBattery

에너지

저장

세계 3대 규모의 국제 전지 전시회로서 글로벌 전지기업 대거 참여

‘14년 대비 해외 참가업체 : (‘14) 22개사 (’15) 31개사

한국전기

산업대전

전력 기자재

세계에서 다섯 번째,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의 전력기자재 전문 전시회로 올해 20회를 맞이

Korea Smart

Grid Expo

에너지

솔루션

스마트그리드 단일 규모로 세계 최대 전문전시회로 매년 미래 국내외 스마트그리드산업의 청사진을 제시

 

 

해외 참가업체 현황

 

구 분

국가수

기업수

비고

InterBattery

8

31

지멘스, 솔베이 등

한국전기산업대전

15

34

Shan Tech Corp,

Dalian Insulator

Korea Smart Grid Expo

4

5

Parker, 요꼬가와전기 등

27

70

 

 

 

부대행사 내용

 

구분

전지

전기

스마트그리드

수출상담회

유럽 바이어 초청

상담회(8개국 20여명)

해외바이어초청 상담회(34개국 120개사 145)

-

컨퍼런스

The Battery Confernce 2015

HVDC 컨퍼런스

발전산업 컨퍼런스

International Smart Grid Conference

테마관 운영

ESS 특별관

발전기자재 특별관

EV 특별관

 

 

첨부2

포상식 및 전시회 개막식 개요

 

 

포상식(전지산업+전기산업 유공자)

일시 : 2015. 10. 20() 10:00~10:55

장소 : 코엑스(1, 그랜드 볼룸)

세부일정

 

시 간

시간

내 용

비 고

10:00 ~ 10:05

5

개회 및 내빈소개

사회자

10:05 ~ 10:10

5

환영사

한국전지산업 조남성 협회장

10:10 ~ 10:15

5

한국전기진흥회 장세창 회장

10:15 ~ 10:20

5

축사

산업부 제2차관

10:20 ~ 10:25

5

격려사

한국전력공사 사장

10:25 ~ 10:55

30

유공자 시상식

산업부 제2차관 등

 

 

전시회 개막식 개요

일시 : 2015. 10. 20() 11:00 ~ 11:50

장소 : 코엑스(1, A홀 입구)

* 개막식 후 : A(1) C(3) 전시장 관람

 

개막식 행사장 구성

 

 

코엑스 A홀 입구

 

 

참가업체(5)

한국전력

전기산업

진흥회

산업부

차 관

SG협회

전지산업

협회

코엑스

참가업체(4)

 

PHOTO LINE

 

 

세부일정

 

시 간

시간

내 용

비 고

11:00~11:20

20

개막식 진행

귀빈소개, 개막선언, 기념촬영 및 테이프커팅

11:20~11:40

20

전시장 관람

A(6개사)

11:40~11:50

10

전시장 관람

C(5개사)

 

첨부3

분야별 국제 컨퍼런스 발표 주제 및 연사

 

 

? [전지협회] The Battery Conference

 

구분

시 간

내 용

발표자

 

10.21()

 

1일차

특별발표 및 기조연설

10:00~10:30

신기후변화체계하에서 전기차보급 활성화추진전략

황상규 본부장

한국교통연구원

10:30~11:00

에너지 신산업의 화두인 ESS분야의

정책 및 R&D 기획추진 방향

최윤석 PD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11:20~12:0

미래를 여는 새로운 가치, 배터리

조남성 대표이사

삼성SDI

12:00~14:00

Lunch

ESS 및 전지 섹션

14:00~14:40

지멘스가 보는 현재 ESS시장

Thorsten Buchta

SIEMENS

미래 리튬이차전지 소재시장의 향방은?

Sachiya Inagaki

야노경제연구소

14:40~15:20

전력계통 보조서비스용 ESS의 기술 및 우리에게 주는 이점은 무엇인가?

Giin Sia

NEC

우주선에 활용되는 열손상

없는 차세대 전지란?

Eric Darcy

NASA

15:20~15:30

Q&A

15:30~15:50

Coffee Break / Networking

15:50~16:30

ESS 시장의 현황과 미래 그리고

분석을 통한 향후 대책은?

Anissa Dehamna

Navigant Research

실리콘 양극 개발의 현 주소는

어디까지 왔나?

Dee Strand

Wildcat Discovery

16:30~17:10

2015ESS시장은 폭풍의 전야시대

Sam Jaffe

Cairn Energy Research Advisors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소재공정

Takayasu Okuyama

Buhler

17:10~17:50

한국 ESS 수요확대 과연

가능할까?

백남길 부장

한국전력공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저가

세라믹 소재의 중요성

Roland Weidl

Fraunhofer

17:50~18:00

Q&A

 

 

구분

시 간

내 용

발표자

 

10.22()

 

2일차

 

EV 및 전지 섹션

10:30~11:10

유럽 EV 트렌드 변화가 전지

개발에 미치는 영향이란?

Severine Jouanneau

CEA/LITEN

리튬이온전지의 표준화,

왜 필요한가?

Takefumi Inoue

일본전지공업협회

11:10~11:50

폭발적인 수요가 예상되는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의 현 주소를 알아보자

Lu Shigang

세계 이차전지 환경규제 현황과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

Claude Chanson

유럽전지산업협회

11:50~12:00

Q&A

12:00~14:00

Lunch

15:50~16:30

미국 자동차용 LIB시장 및 포드의 R&D 현황

권오중 박사

포드자동차

어떻게 낮은 가격으로 높은 성능의

분리막을 만들 수 있을까?

Brian Morin

Dreamweaver

16:30~17:10

우리가 꿈꾸는 미래형 EV

배터리를 위한 전과정평가-LCA

Ina Hahndorf

Green Energy Consultant

흑연의 사용이 전지 성능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까?

Tatsuya Nishida

히타치화성공업

17:10~17:50

전기차 배터리 과연 2020

반값으로 하락할까?

Uwe Wiedemann

AVL List

전지를 열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

Jasbir Singh

HEL Group

11:50~12:00

Q&A

 

? [전기산업진흥회] 전기산업대전및 발전산업전 컨퍼런스

 

일자

시간

행사명

주관 및 발표자

 

10.20()

 

1일차

10:00-17:00

HVDC Technology

(Past, Present, Future) 등 다수발표

Dr.Ram Apada (EPRI)

HVDC 사무국

13:30-16:30

중남미 전력산업 포럼

-과테말라, 콜롬비아 전기산업 동향

Mr. Luis Pedro Lopez

KOTRA

14:00-17:00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

전력부문의 대응

박종배 교수(건국대)

한국발전민간협의회

 

10.21()

 

2일차

발전산업 동반성장 컨퍼런스

09:00-10:30

에너지 산업의 미래

이종수 교수

서울대학교

13:30-15:30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전략

-태양광발전산업

-RPS제도와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제언

-RPS정책

-풍력발전

-연료전지

한국서부발전

신재생에너지협회 민영재 팀장

한국동서발전 이창열 팀장 한국전기연구원 조기선 센터장

유니슨 한성원 전무

두산 홍병선 부사장

14:00-16:00

중동지역 발전분야 수요와 향후전망

이라크의 전기산업 동향 등

이라크연합산업회 회장

Mr.ALI SABEEH

KOTRA

10:00-17:00

발전6사 통합 구매상담회

한국남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10:00-17:00

Trends in the HVDC System Evolution and Application

HVDC 기술 및 응용기술 동향

등 다수 발표

Dr.Reza Iravani

HVDC 사무국

토론토대학 교수

 

10.22()

 

3일차

에너지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Solution

10:30-11:00

배전반사고진단기술

함길호 전무

선도전기

11:10-11:40

지중부하개폐기 전원공급용 PT

이수형 부장

영화산업전기

13:30-14:10

VLF를 이용한 케이블 Tandelta,

Partial discharge 진단

김태현 차장

플루토테크놀로지

14:20-14:50

안전성을 확보한 전력선 및 접지선 분기슬리브

박승현 이사

서진전기금속

15:00-15:40

바나듐 레독스플로우 배터리 ESS

한 신 대표이사

에이치투

16:00-16:50

QSK95(디젤비상용발전기)시리즈와 병렬시스템

데런 리 파트장 커민스파워제네레이션

10:30-11:00

부하별 전력 및 전력 품질 모니터링

안영호 대표이사

레티그리드

11:00-11:40

전력품질분석기와 요금등급용 미터링시스템

장왕삼 대표이사

제이앤디전자

13:30-14:00

ArcFlash사고검출 및 보호시스템

정영우 연구원

LS산전

 

? [지능형전력망협회] International Smart Grid Conference

 

구분

시 간

내 용

비 고

10.20()

 

1일차

 

-미 표준협력 전략 워크숍

13:30~13:35

환 영 사

협회장

13:35~13:40

축 사

IEEE

13:40~14:00

MoU 체결

KSGA/IEEE

14:00~14:40

IEEE 1547 표준 추진현황

IEEE

14:40~15:20

한국 분산자원 표준 추진현황

국표원

15:20~16:40

Coffee Break / Networking

 

16:40~17:20

IEEE 표준적용 사례분석

(IEEE P2030)

IEEE

17:20~18:00

한국 표준적용 사례분석 (SG 상호운용성 센터)

SG사업단

 

10.21()

 

2일차

Opening Ceremony

10:00~10:10

개 회 사

협회장

10:10~10:20

축 사

산업부

10:20~10:40

유공자 포상

산업부

한국의 스마트그리드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0:40~11:00

스마트그리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계획

산업부

11:00~12:00

한국의 SG, 한단계 도약을 위한 과제와 개선방향

-발제 및 패널토의

SG사업단

김대경 전문위원

12:00~13:30

Lunch

 

스마트그리드 해외시장 진출전략

13:30~14:10

한국 스마트그리드 산업의 해외진출 추진 전략

황우현

KEPCO 처장

14:10~14:50

글로벌 주요 시장/정책 이슈 및 사업화 방향

Paddy Turnbull

(GSGF Chairman)

14:50~15:00

Coffee Break / Networking

-

15:00~15:30

[Best Practice]일본의 세계시장 진출사례 및 전략

Sayaka Shishido

(일본 NEDO

Chief Officer)

15:30~16:00

[Market Opportunity ]유럽의 추진현황과 시장기회

Heiko Staubitz

(독일무역투자청

Head ofT/FSG)

16:00~16:30

[Market Opportunity ]중남미 스마트그리드 시장 현황과 케이스

IDB

16:30~17:00

[Technical Issue]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상호운용성인증 대응 전략

Ravi Subramaniam

(IEEE Technical Director)

 

 

구분

시 간

내 용

비 고

10.22()

 

3일차

 

10:00~10:10

개도국 Micro Grid 시장진출 전략 컨퍼런스 안내

-

10:10~10:30

국내 Micro Grid 사업 추진 경과 및 향후 전망

산업부

10:30~11:00

미국 Micro Grid 사업 추진 경과 및 향후 전망

Dan Ton (미국 DOE, Smart Grid R&D Program Manager)

11:00~12:00

Micro Grid 시장전망 및 경제성 확보 요건

Micro Grid의 시장전망 및 각국 정부정책

Mike Wilks (Ernst& Young, Director)

ESS in Micro Grid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12:00~13:00

Lunch

 

13:00~14:40

Energy for All 관점의 Micro Grid 사업기회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의 전력공급 현황 및 미전화 지역에 대한 전략

-

한국수출입은행 등 개도국에 대한 전력공급 사업 현황 및 사례

이우열(ADB, Energy Specialist)

14:40~15:10

미국 Micro Grid 구축 사례 및 기술적 이슈

-CaliforniaMicro Grid 구축사례 및 추진계획

-Micro Grid용 배터리 운전사례 및 기술적 이슈

Ryan Wartena

(Geli, CEO)

15:10~15:40

하와이 Micro Grid 구축 사례

Sun Edition

15:40~15:50

Coffee Break / Networking

 

15:50~16:10

국내 Micro Grid 구축 사례 및 기술적 이슈

윤준일

(효성, 부장)

16:10~17:00

개도국 마이크로그리드 시장 진출 전략 결과발표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칠레 등 4개국)

LS산전, 효성,

KT, 피앤씨, EY한영

 

 

 

 

 

 

 

첨부4

주요 참여기업 전시 제품 소개

 

 

 

InterBattery

 

 

 

업체명

제 품(기술) 설 명

사진

삼성SDI

()

우리의 삶에 어떻게 작용하지는 4가지 테마로 구성된 "BoT(Battery of Things) Active Town" Scene로 구성

1. City life(친환경 자동차, 무정전 비상전원장치)

2. Home(로봇청소기, 전동공구, 정원공구가정용 ESS, E-bike, 골프카트)

3. Outdoor(신재생 연계, F/R용 등 MWESS Solution)

4. Next Generation Battery(자유롭게 휘어도 작동하는 차세대 플렉서블 배터리)

 

LG화학

()

오늘을 보고, 내일을 느껴라라는 4가지 컨셉으로 미래 인류의 삶을 편리하게 바꾸는 미래형 배터리를 선보임

1. ‘코어테크’ : 스택앤폴딩(Stack & Folding, 쌓고 접기)

2. 모바일 : 스마트워치용 육각형태 헥사곤’, 계단형태인 스텝(Step) 배터리, 전선형태인 와이어(Wire) 배터리 등 무선 기기용 배터리 신제품도 전시

3. 자동차 : 전기차용 배터리셀, 모듈

4. ESS : 가정용 및 전력망용 ESS

 

코캄

코캄의 특화된 기술로 개발한 리튬이온 폴리머전지는 순간 전류 출력이 높은 적층(Z-folding packing) 방식의 기술로 특화되어 있어 낮은 저항 및 발열량으로 그 안전성을 인정받고 있음

 

테스타

MY WAY 플러스의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은 고효율의 회생전원 P CUBE와 데이터 로거 및 조작이 간편한 SW가 결합된, 배터리 평가에 필요한 요소가 모두 구비함

 

프로테크

코리아

이차전지 개발에 있어 입도/기공률/비표면적/밀도는 필수적으로 측정해야하는 물성으로 이러한 분석을 위한 장비

 

 

 

한국전기산업대전

 

 

 

업체명

제 품(기술) 설 명

사진

현대중공업

()

HG-Series 차단기/개폐기를 자체기술로 개발한 새로운 프리미엄 브랜드로 출시

 

국내 최대 차단용량과 선택 차단성능이 가능한 최적의 계통보호기능을 갖춘 배선용 차단기

 

일진전기

()

전력용 변압기에서 사용하는 절연물질인 광유(Mineral Oil) 대신 환경에 친화적인 식물성 절연유(콩기름)를 사용하여 개발된 친환경 전력용 변압기

 

비츠로테크

정전 시 비상전원 발전기로 순간 전환시키는 기능의 제품으로 각각의 부품을 밀폐하여 차단능력 및 아크발생을 줄여 반영구적 사용가능한 자동절체개폐기(ATS)

 

자동절체개폐기(ATS)는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데 성공, 각종 안정인증과 규격 취득을 통해 저압기기 분야의 신뢰성을 인정

 

에너토크

발전소 냉각수 순환의 흐름을 용이하게 취급하는 기기로 각종 밸브를 어느 방향에서나 편리하게 부착 사용 가능한 엑추에이터 임.

 

인텍전기전자()

기존의 SF6가스를 친환경 Embedded 고체 절연으로 대체한 개폐기술로 폭발 위험을 방지하고 화재로 부터 안전하게 차단하는 친환경 고압개폐기 임.

 

전력

품질기술

최적의 전력품질을 유지하여 계통의 신뢰도 확보 및 에너지를 절약하고 전력을 실시간 보상함으로써 전압의 안정화를 시키는 지능형 능동 필터

 

 

 

Korea Smart Grid Expo

 

 

업체명

제 품(기술) 설 명

사진

LG전자

빌딩/발전용 ESS PCS

계통 입출력: 500kW ~ 1MW

주용도: 피크부하 관리, 신재생 전력 품질 안정화

3-level topology를 적용한 높은 전력 변환 효율(>98%)

Compact Size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

 

유피씨

코리아

평면 변압기(Planar Transformer)는 최근 많은 산업 분야에서 기존의 권선 변압기의 대체품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신기술 제품

 

고정밀 전기적 특성과 최적의 절연 효과를 요하는 분야 즉, 전기 자동차, 태양광 인버터, 풍력, 항공, 의료 산업 분야 등에 점차 널리 사용될 선두기술 제품임

 

이온

세계 최초의 하이브리드형 무정전 전원장치 [MARCHE]UPSESS의 장점을 결합시킨 세계 최초 ESS 겸용 Hybrid UPS.

 

정류부 및 인버터부에 TNPC 3레벨 전력변환 방식을 채택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고효율(최대 96%)을 달성하였음

 

중앙제어

전기자동차 충전 솔루션은 충전장치와 운영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며 Green HomeHEMS, Green Building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와 연계 구성이 가능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

 

한빛EDS

1kW//5kW~10kW ESS 저장 장치

- 이동형 에너지 저장 장치//제어기 비상 전원

- PV와 연계하여 부하에 전력 공급//유사 UPS 운전

 

파카코리아

파카의 배터리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BESS)는 주파수 조정, 전송율 조절, 최대부하 조절, 신재생 출력 안정화, 무전원 계통복구, 수요추종, 역률제어, 송배전계통 투자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며, 효율성 및 컴팩트 솔루션을 위한 시장에 대한 냉매냉각방식의 에너지저장 PCS만을 제공함

 

 

 

첨부5

산업발전 유공자 수상자 명단

 

 

 

구분

훈격

소 속

직 위

성 명

비고

전지

대통령표창(1)

엘지화학

전무

김수령

전기차 배터리

국무총리표창(1)

에코프로

상무이사

박석준

양극 소재

장관표창(9)

더블유 스코프 코리아

중국법인장

오진석

분리막 소재

엘엔에프

수석부장

최협우

양극 소재

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진창수

소재

SK이노베이션

상무

이형복

폴리머 전지

지에스에너지

상무

최영민

양극 소재

현대모비스

책임연구원

홍창욱

전기차 배터리

한국전지연구조합

차장

강석기

정책 지원

세방전지

부장

홍진욱

납축 전지

우진산전

수석연구원

이상구

리튬이차전지

협회장표창(7)

유진에너팜

대표이사

양원돈

BMS

미섬시스텍

부장

장대경

리튬이차전지

포스코켐텍

차장

이헌영

음극소재

엘지화학

과장

남대호

전지 표준인증

성일하이텍

대리

박권호

양극스크랩 파쇄

인셀

팀장

노정윤

리튬이차전지

포스코에너지

연구원

김우성

나트륨 전지

전기

산업포장(1)

LS산전

상무이사

황하연

전력기자재종합

대통령표창(1)

베스텍

연구소장

박태식

수배전반

국무총리표창(2)

비츠로씨앤씨

대표이사

윤병주

변압기

한국남동발전

팀장

강창원

중소기업지원

장관표창(9)

대산전업

사장

최애숙

전기공사

R&D전략기획단

전문위원

이상균

정부R&D 기획

서울전원시스템

전무이사

함형원

UPS, 충전기

신성이엔티

대표이사

허훤

변압기

한국전기연구원

팀장

강대욱

연구 및 시험

한국전력공사

팀장

심은보

중소기업지원

한국전력공사

차장

최성대

중소기업지원

포미트

대표이사

강기수

발전플랜트 S/W

토탈엔지니어링

이사

김수준

발전설비용 밸브

중기청장표창(7)

네오피스

대표이사

이한우

보호계전기

선두전자

사장

윤명섭

계측기기

성신전기공업

책임연구원

이원일

UPS

영화산업전기

부장

이수형

변성기

제니스텍

대표이사

윤석열

변전소 콘트롤러

천호산업

대표이사

이강섭

Link Box

한창전기

대표이사

정우원

전기공사

한전사장표창(3)

에스얜에스

전무이사

양승석

개폐기

화성이엔지

대표이사

김택환

전기공사

화인폴리머

연구소장

조용석

접속재, 절연재료

회장표창(3)

성진종합전기

팀장

김경훈

변압기

에스엠텍

팀장

김현태

부싱, 부스바

중원

부장

박재진

개폐기, 차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