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지도 등 공간정보 ‘무상으로 일반에 제공’- 국토지리정보원, 약 26만 도엽의 공간정보 온라인 무상 제공,
부서:국토조사과등록일:2016-02-28 11:00
수치지도 등 공간정보‘무상으로 일반에 제공’
- 국토지리정보원, 약 26만 도엽의 공간정보 온라인 무상 제공,
오프라인 약 97% 인하... 공간정보산업 활성화 기대 -
□ 앞으로는 유상으로 구매하던 수치지도* 등 약 26만 도엽(약 8테라)의 공간정보를 일반 국민이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 공간정보를 기호나 문자, 속성 등으로 표시하여 컴퓨터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지도로, 각종 설계, 교통(내비게이션 등), 현황조사 등에 활용
ㅇ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최병남)은 공공정보를 민간에 개방하는「정부3.0」정책에 따라 오는 3. 2부터 온라인은 무료*, 오프라인**은 대폭 인하(약 97%)된 가격**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 (온라인) 1도엽: 12~1만 7천 원 → 0원(전국 : 2억 7천만 원→ 0원)
** (오프라인) 1도엽: 12~1만 7천 원 → 500원(전국 : 2억 7천만 원→180만 원)
ㅇ 다만, 이번 무상제공 대상에서 지자체와 매칭 펀드로 제작된 수치지도(1/1000) 및 법령 개정이 필요한 항공사진 등은 제외되었으며,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상반기 중 무상전환(가격인하)을 추진할 계획이다.
□ 최근 공간정보는 교통, 환경, 도시계획 등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면서, 정보화 기술 등과 결합하여 부가가치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원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ㅇ 그동안 지리원은 공간정보 제작 및 갱신 비용 등을 일부 회수하는 가격 정책을 유지하여 왔으나, 현행의 가격정책(유상)으로는 공간정보 융․복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가 있으며,
- 융․복합 산업의 기본정보로, 사회간접자본과 같은 공공재적 성격이 있는 공간정보의 특성 등을 고려할 때 가격인하, 무상공급 확대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어왔다.
* 1/5000 전국 수치지도 구매 시 약 2억 7천만 원의 비용발생
ㅇ 이에, 지리원은 산업계 의견 등을 전폭 수용하여 공간정보를 유상으로 공급(판매)하던 방식에서 무상으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가격체계를 전면 개편하게 되었다.
□ 이번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공간정보는 민간에서의 상업적 활용이 많은 수치지도 등 15종으로, 약 26만 도엽(약 8테라)의 정보를 지리원 홈페이지 내 국토정보플랫폼*을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 지리원의 모든 공간정보를 일괄 검색, 조회, 구매 할 수 있도록 기존 각각의 구매 사이트를 하나로 통합한 곳으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
ㅇ 오프라인의 경우, 업체 등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수료가 최대 180만 원을 넘지 못하도록 하는 상한선을 두었으며, 불요불급한 민원증가 방지 등을 위해 기본료인 하한선(2만 원)을 설정하였다.
* 전국지도 구매시(도엽당 500원 기준) : 900만 원 → 180만 원(20%)
ㅇ 이와는 별도로, 지리원은 광복이전지형도, 해방이후 항공사진, 수치표고모델, 통계지도 등 다양한 종류의 공간정보(약 44종)를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다.
<공간정보 가격 개편 내역>
종류
현행(도엽당)
개편
비고
온라인
오프라인
수치지도 등 15종
12~1만 7천 원
(전국 2억 7천만 원)
무료
500원
(전국 180만 원)
전체 공간정보 판매량의 약85%
항공사진, 구지형도
0.2~2만 원
2~5천원
(예정)
2~5천원
(예정)
‘16년 중 인하 (법령개정)
종이지도(9종)
3~4천 원
-
현행동일
원가이하로 공급 중
* 세부적인 금액은 붙임 참조
□ 최근 공간정보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시기에 이번 지리원의 무상제공 전환 등 가격정책 개편이 공간정보산업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ㅇ 특히, 자본력이 취약한 벤처기업, 중소기업 등의 공간정보 활용 증가로, 각종 정보화 기술 등과 융합한 신산업 창출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 무상제공 전환이 공간정보 산업에 미치는 효과 추정 :
- 매출액 증가 4조3,108억원, 종사자 수 증가 : 53,885명, 국가세수 증가 : 4,409억원
참고 1
공간정보 가격체계 개선 주요내용 요약
□ 현황 및 문제점
ㅇ 국토지리정보원이 생산하고 있는 공간정보를 민간에는 유상, 공공기관은 무상으로 공급 중
* 최근 3년간 공급현황 : 공공(약172만 도엽/360억원), 민간(약38만 도엽/33억원)
ㅇ 영세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산업체에서는 공간정보 구매에 따른 비용 증가로 공간정보 가공 등을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
* 수치지도(1/5000기준) : 도엽당15,000원, 전국 약2.7억원
□ 개선 필요성
ㅇ 공간정보는 ‘위치정보’ 중심의 길찾기, 여행 등 생활정보에서 IT기술과 접목하여 교통, 환경,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범위 확대
ㅇ 정부 3.0 정책에 따라 공공정보의 민간개방 분위기가 확산 중이며, 기술 선진국도 산업활성화를 위해 공간정보 개방 확대정책 채택
* 국내 : 행자부, 환경부, 산림청, 기상청 등/ 국외 : 미국, 영국, 캐나다 등
ㅇ 이에, 무상확대에 대한 산업계 요구를 수용하고, 창조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간정보 가격정책 개선 필요
□ 개선방안 ⇒ 온라인(무상), 오프라인(수수료 인하, 상․하한선 적용)
ㅇ (온라인) 그 동안 정부 등 행정기관 대상의 무상제공을 일반국민으로 확대하여 창조산업 활성화(1/5000 전국지도 구매시 : 약2.7억원→무상)
- 단, 지자체와의 매칭 펀드로 생산된 공간정보(1/1,000 수치지도)는 현행가격을 유지(유상)하고, 향후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무상 전환 검토
ㅇ (오프라인) 가격체계에서 수수료 체계로 전환하면서 기존가격 대비 수수료를 약 97% 인하하고, 사용량에 따라 상․하한선 적용
구 분
단 위
기존(원)
변경(원)
해당 공간정보
도엽정보
도엽
15,000
500
수치지도(Ver 1.0, 2.0) 정사영상, 토지특성도, 토지이용현황도 등
연속정보
Mb
5,120
100
연속수치지도, 기본공간정보 등
- 단, 영세업체 등의 부담완화를 위해 오프라인 제공에 소요되는 수수료는 최대 180만원을 넘지 못하도록 상한선을 설정
- 대폭 낮아진 수수료로 오프라인에 신청이 집중될 우려가 있어 민원 증가 등에 대비하여 기본료인 하한선(2만원)은 설정
* 전국 : 2.7억원→180만원/ 40도엽 : 60만원→2만원
ㅇ (예외)「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제106조에 의한 수수료(항공사진, 구지도 등) 및 종이지도는 현행 판매가격 유지
□ 기대효과
ㅇ 공공정보 개방 등에 대한 정부3.0 정책에 따라 공간정보를 무상 개방함으로써 공간정보 활용을 통한 융․복합산업 활성화
ㅇ 중소기업, 소상공인 및 스타트업 기업 등의 부담완화로 신산업 창출과 기존 공간정보 산업분야 고용환경 개선
? 무상제공 전환에 따른 추정효과(‘14년도 공간정보 유통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결과)
ㅇ 공간정보산업 매출액 증가 : 4조 3,108억원
ㅇ 공간정보산업 종사자 수 증가 : 53,885명
ㅇ 국가 세수 증가 : 4,409억원
* 법인세 4,311억원, 법인세 98억원
참고 2
공간정보 제공 수수료 조정안 주요 내용
구분
명칭
축척
단위
현행
가격
(원)
변경(원)
증감액
(원)
증감율
(%)
온라인
오프라인
수수료
수수료
상․하산선
수치
지도
수치지도
V1.0
1/1,000
도엽
12,000
12,000
12,000
비적용
-
-
1/2,500
도엽
17,000
무료
500
적용
△16,500
△97.1
1/5,000
도엽
15,000
무료
500
적용
△14,500
△96.7
1/25,000
도엽
17,500
무료
500
적용
△17,000
△97.1
1/250,000
도엽
15,500
무료
500
적용
△15,000
△96.8
1/1,000
도엽
13,500
13,500
13,500
비적용
-
-
수치지도
V2.0
1/2,500
도엽
17,000
무료
500
적용
△16,500
△97.1
1/5,000
도엽
17,000
무료
500
적용
△16,500
△97.1
연속
수치지도
1/5,000
NGI
Mbyte
5,120
(5원/kb)
무료
100
적용
△ 5,020
△98
SHP
Mbyte
6,144
(6원/kb)
무료
100
적용
△ 6,044
△98.4
토지
특성도
1/1,000
도엽
10,500
무료
500
적용
△10,000
△95.2
1/5,000
도엽
12,000
무료
500
적용
△11,500
△95.8
토지이용
현황도
1/25,000
도엽
17,500
무료
500
적용
△17,000
△97.1
연안해역
기본도
1/25,000
도엽
17,500
무료
500
적용
△17,000
△97.1
기본공간정보
1/5,000
Mbyte
3,072
(3원/kb)
무료
100
적용
△2,972
△96.7
북한수치지도
1/25,000
도엽
17.500
무료
500
적용
△17,000
△97.1
영상지도
정사영상
1/5,000
도엽
1,600
(0.02원/kb)
무료
500
적용
△1,100
△68.9
※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수수료는 단위당 수수료(도엽단위 500원, Mbyte단위 100원)를 기준으로 하되, 사용량에 따라 하한선(기본료 2만원) 및 상한선(최대 180만원) 적용
사용량
수수료
산정기준
도엽단위
Mbyte 단위
1~40
1~ 200
20,000원
하한선 적용
41~3,600
201~18,000
500원×도엽수,
100원×Mbyte용량
단위당 수수료에
사용량을 곱하여 산정
3,601~
18,001~
1,800,000원
상한선 적용
※ 저장매체, 배송비용 등이 발생하는 경우 신청자가 부담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제106조에 의한 수수료는 같은 법 시행규칙 제115조 제1항 관련 [별표12]에 따름
참고 3
지리원 주요 공간정보의 종류
? 금회 무상으로 전환되는 공간정보(15종)
ㅇ 수치지형도, 정사영상, 연속수치지도, 북한수치지도, 토지특성도 등
? 무상으로 제공 중인 공간정보(31종)
ㅇ 기준점(3종) : 삼각점, 수준점, 통합기준점
ㅇ 국토영상정보(2종) : 수치표고모델, ‘65년 이전 항공사전
ㅇ 온맵(9종) : 1/5000, 1/25,000 음영기복도, 정사영상 등
ㅇ 국토통계지도(5종) : 개별주택, 건축물, 공시지가, 도로명, 인구정보
ㅇ 기타(12종) : 서양고지도, 근현대지도, 일본고지도, 우리나라 고지도 등
? 무상전환(가격인하) 추진 예정인 공간지도(3종)
ㅇ 항공사진, 1/1000 수치지도(ver1.0, ver 2.0)
? 구지도(10종) : 광복이전지형도, 구기본도 등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교테크노밸리]2016년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공고 (2차) (0) | 2016.02.28 |
---|---|
[판교테크노밸리]2016년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 공고 (0) | 2016.02.28 |
[판교테크노밸리]국토부·해수부, 물류-화주기업 지원 발 벗고 나선다- 기업 해외진출 등 통합수행할 「민관합동 물류지원센터」 운영기관 공모 (0) | 2016.02.28 |
[판교테크노밸리]창업 1년 된 경기중기센터 보육기업 ㈜리벤, 크라우드펀딩 성공해 (0) | 2016.02.28 |
[판교테크노밸리]경기도, 경력단절여성 대상 전문직업인 양성교육 실시-3월부터 고학력․고숙련 심화교육 취업지원 사업 추진 (0) | 201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