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17~18년 경제전망-경제전망보고서(2017.10월)
날짜2017.10.19 자료제공부서 조사국
첨부파일 |
---|
(붙 임)
2017~18년 경제전망
2017. 10.
조 사 국
차 례
< 요 약 >
Ⅰ.현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1
Ⅱ.국내외 경제여건 전망 4
Ⅲ.거시경제 전망 10
1. 경제성장 11
2. 고 용 11
3. 물 가 12
4. 경상수지 12
Ⅳ.종합평가 13
요 약
□최근 국내외 여건변화 등을 고려하여, 경제성장률은 2017년중 3.0%, 2018년에는 2.9%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ㅇ금년중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상품수출 및 설비투자의 호조가 지속되고 민간소비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개선흐름을 이어갈 전망
ㅇ2018년에는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민간소비의 증가세도 확대됨에 따라 2.9%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정부의 소비 및 경제활성화 정책 등에 힘입어 금년보다 증가율이 높아질 전망
▪설비투자는 금년중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율이 큰 폭으로 낮아지겠으나 IT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건설투자는 건물 착공면적 감소, SOC 예산 축소 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크게 낮아질 전망
▪상품수출은 세계교역 회복 등에 힘입어 회복세를 이어가겠으며, 서비스수출은 금년중 큰 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로 전환될 전망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7년중 2.0%, 2018년에는 1.8%를 나타낼 전망
ㅇ내년중 오름세가 소폭 낮아지는 것은 수요측 물가압력 증대에도 불구하고 석유류가격의 기저효과 축소, 농축수산물가격의 오름세 둔화 전망 등 공급측 요인에 주로 기인
ㅇ수요측 물가압력을 나타내는 근원인플레이션(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은 금년중 1.6%에서 내년중 1.9%로 높아질 전망
Ⅰ. 현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1. 해외경제
□(세계경제)성장세가 확대되는 모습
ㅇ선진국이 미국, 유로지역, 일본 등 대부분 지역에서 개선흐름을 이어가고, 신흥국은 중국 및 아세안이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브라질 등 자원수출국도 부진이 완화
ㅇ세계교역은 회복세가 뚜렷해지는 움직임
▪1~7월중 세계교역량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4.2%로 최근 5년 평균(2.3%)을 크게 상회
글로벌 PMI 및 OECD 선행지수1)
세계교역량1)
주: 1) OECD국가 및 BRICS 등을 포함
자료: Bloomberg, OECD
주: 1) 상품, 물량기준
자료: CPB
□(국제유가)원유수요 증가, 주요 산유국의 감산합의 이행률 제고 등으로 공급과잉 우려가 완화되면서 배럴당 50달러대 중반 수준으로 상승
국제유가
세계 원유수요 추이
자료: Bloomberg
자료: EIA
2. 국내경제
□ (내수)소비가 완만한 회복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설비투자는 호조세가 이어지는 모습
ㅇ민간소비는 3/4분기중 소매판매가 미약하나마 증가세를 이어간 가운데 거주자의 국외소비도 늘면서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
ㅇ설비투자는 상반기중 크게 증가한 이후 소폭으로 조정받고 있으며, 건설투자는 전분기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소폭 반등
소매판매1) 및 서비스업생산1)
설비투자지수 및 건설기성액
주: 1) 점선은 17.7~8월 평균
자료: 한국은행, 통계청
주: 1) 점선은 17.7~8월 평균
자료: 통계청
□(수출입)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지속
ㅇ수출은 반도체의 큰 폭 호조, 높은 수준의 단가 상승세 지속, 고가의 해양플랜트 인도 등에 힘입어 증가세가 확대
ㅇ수입은 IT부문의 설비투자 확대로 자본재가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재도 견조한 증가세 유지
수출 금액․물량․단가1)2)
수입 금액․물량․단가1)2)
주: 1) 수출금액지수를 물량지수로 나누어 산출
2) 17.9월 물량․단가지수는 추정치
자료: 관세청, 한국은행
주: 1)수입금액지수를 물량지수로 나누어 산출
2) 17.9월 물량․단가지수는 추정치
자료: 관세청, 한국은행
□(고용) 취업자수는 외국인 관광객 감소,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개선세가 주춤
ㅇ제조업 취업자수는 수출호조 등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서비스업은 외국인 관광객 감소 등으로, 건설업은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증가폭 축소
ㅇ임시․일용직 근로자가 감소하였으나 상용근로자는 꾸준한 증가세
총 취업자수
산업별 취업자수
자료:통계청
자료: 통계청
□(부동산가격) 아파트 매매가격은 8·2대책 이후의 안정세를 지속
ㅇ아파트 전세가격은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안정세
□(물가) 소비자물가는 3/4분기중 2.3% 상승하여 오름세가 크게 확대(2/4분기 1.9% → 3/4분기 2.3%)
ㅇ근원인플레이션(식료품ㆍ에너지 제외지수)은 1%대 중반 수준을 유지(2/4분기 1.5% → 3/4분기 1.4%)
아파트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소비자물가 상승률 및 근원인플레이션
자료: 한국감정원
자료: 통계청
Ⅱ. 국내외 경제여건 전망
1. 국외 여건
① 세계경제
□선진국이 안정적 성장세를 지속하고 아세안, 인도 등 신흥국의 성장모멘텀이 강화되면서 개선흐름을 이어갈 전망
ㅇ(미국)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고용여건 호조로 민간소비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투자심리 개선으로 기업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다만 세제개편, 통화정책 정상화 등 주요 정책 추진과 관련한 높은 불확실성이 상존
ㅇ(유로지역)양호한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
▪고용상황, 기업심리 등의 개선으로 소비 및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브렉시트 협상 애로, 카탈루냐 독립 요구 등 정치적 불확실성은 향후 성장세를 제약할 소지
미국 ISM지수 및 자본재수주
유로지역 산업생산, 소매판매 및 경기체감지수
자료: 구매관리자협회, Census
자료: Eurostat, EU집행위
ㅇ(일본)수출, 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주요국 경기회복 등에 힘입어 수출이 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올림픽 대비 인프라 확충 및 민간기업의 투자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
▪민간소비는 미약한 임금 상승세 등으로 개선이 지연될 가능성
ㅇ(중국)소비 및 수출을 중심으로 안정적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소비심리 및 수출선행지수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
▪정부의 구조개혁 강화, 부동산 경기 둔화 등은 성장의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
일본 산업생산, 수출 및 민간기계수주
중국 소비자신뢰지수 및 신규수출주문
자료: 일본은행, 경제산업성, 내각부
자료: CEIC
ㅇ(기타 신흥국)인도 및 아세안 5개국은 수출 및 투자 증가에 힘입어 성장세가 확대될 전망
-인도의 경우 화폐개혁 및 신규 세제 도입 등으로 인한 금년 상반기의 부진에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
▪브라질 및 러시아 경제도 자원 수출 증가 등으로 회복세를 지속할 전망
신흥국 경제성장률 전망
(%)
전망
시점
인도1)
브라질
러시아
아세안 5개국2)
16
17e)
18e)
16
17e)
18e)
16
17e)
18e)
16
17e)
18e)
IMF
17.10월
7.1
6.7
7.4
-3.6
0.7
1.5
-0.2
1.8
1.6
4.9
5.2
5.2
OECD
17.9월
6.7
7.2
0.6
1.6
2.0
2.1
-
-
World Bank3)
17.6월
7.2
7.5
0.3
1.8
1.3
1.4
5.1
5.2
Global Insight
17.9월
6.8
7.5
1.0
2.2
1.7
2.1
5.0
5.0
5개 IB 평균
17.10월
6.7
7.6
0.8
2.2
1.9
2.0
5.2
5.2
주: 1) 회계년도 기준 2)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3) 아세안 5개국은 10월 전망
② 세계교역
□세계교역은 양호한 회복세를 지속할 전망
ㅇ선진국의 내수 확대, 신흥국의 경기회복 등에 힘입어 세계수입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
ㅇ보호무역기조 강화, 중국의 경제안정화 정책에 따른 수입수요 둔화 등은 불안요인으로 잠재
권역별 세계교역량1)
세계교역신장률 전망
(%)
전망시점
2016
2017e)
2018e)
IMF1)
17.10월
2.4
4.2
4.0
OECD1)
17.6월
2.4
4.6
3.8
WorldBank1)
17.6월
2.5
4.0
3.8
WTO2)
17.9월
1.3
3.2~
3.9
1.4~
4.4
주: 1) 수입량 기준, 3개월 이동평균
자료: CPB
주: 1) 상품+서비스 기준
2) 상품 기준
자료: 각 기관
③ 글로벌 상품시장
□국제유가는 세계경기 개선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겠으나 셰일오일 증산이 유가 상승폭을 제약하면서 당분간 50달러대에서 등락할 전망
ㅇ일부 산유국의 정정불안 향방, 주요 산유국의 감산합의 이행여부 등에 따라 큰 폭의 변동을 보일 가능성
미국의 셰일오일 및 시추기수1)
주요 기관의 국제유가 전망1)
(달러/배럴)
2016
2017e)
2018e)
4/4
연간
CERA
(9.15일)
44.1
[41.4]
50.3
[48.9]
51.0
[50.1]
48.4
[47.2]
OEF
(9.28일)
52.0
51.6
50.3
EIA
(10.11일)
54.5
52.5
54.1
주: 1) 2017.9~10월 셰일오일 생산량은 전망치
자료: EIA, Baker Hughes
주: 1) Brent유 기준, ( )내는 전망일자
[ ]내는 Dubai유 기준
자료: CERA, OEF, EIA
2. 국내 여건
① 민간소비
□민간소비는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
ㅇ북한 리스크 확대 등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소비 및 경제활성화 정책이 민간소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10월초 장기연휴, 동계올림픽 개최 등도 소비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
ㅇ이자지급부담 증가, 실질구매력 개선 미흡 등은 민간소비의 빠른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
소비심리 및 취업기회전망
가계대출금리 및 고정금리비중1)
자료: 한국은행
주: 1) 예금은행 기준
자료: 한국은행
② 설비투자
□설비투자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
ㅇIT부문은 금년중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율이 크게 낮아지겠으나 글로벌 업황 호조에 힘입어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
ㅇ비IT부문의 경우 철강 및 조선은 부진이 지속되겠으나 화학, 자동차, 통신 등은 신기술을 중심으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
글로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매출 전망
신재생에너지 저장 필요량 전망1)
자료: WSTS, JP Morgan, IHS, Morgan Stanley
주: 1)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적용시
자료: JP Morgan
③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완만히 증가할 전망
ㅇR&D투자는 주요 IT기업의 실적 개선, 글로벌 IT경기 호조 등이 증가세를 뒷받침
ㅇ소프트웨어 투자는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과 관련한 기업의 SW 수요가 확대되면서 증가세 지속 전망
명목 R&D투자 및 제조업 매출액1)
국내 SW투자 지출 전망
주: 1) 17.3/4~18.4/4분기는 컨센서스 수치
자료: 한국은행, FnGuide
주: 1) 패키지 소프트웨어 및 IT서비스 합계
2) 응용 소프트웨어만 포함
자료: Gartner(2017.9)
④ 건설투자
□건설투자는 증가율이 크게 낮아질 전망
ㅇ주거용 건물은 지난해 이후 착공면적, 수주 등 선행지표 부진이 영향을 미치면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ㅇ비주거용 건물도 2016년 이후의 착공면적 감소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
ㅇ토목은 일부 대규모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는 데다 SOC 예산 축소 등으로 부진 예상
주택 착공면적 및 수주1)
중앙정부 SOC 예산1)2)
주: 1) 금액 기준
자료: 국토교통부, 통계청
주: 1) 추경 포함
2) 2017년 예산 집행액은 추정치
자료: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Ⅲ. 거시경제 전망
◇2017년중 세계경제 성장률은 3.5%로 전제(2018년 3.6%)
ㅇ 세계교역 신장률은 4.0%로 전제(2018년 3.7%)
◇원유도입단가(기간 평균)는 배럴당 53달러로 전제(2018년 54달러)
전망 전제치
2016
2017e)
2018e)
상반
하반
연간
▪세계경제성장률(%)1)
3.2
3.5
3.5
3.5
3.6
미 국
1.5
2.1
2.0
2.1
2.3
유 로
1.8
2.1
2.0
2.1
1.8
일 본
1.0
1.5
1.6
1.5
1.1
중 국
6.7
6.9
6.6
6.7
6.4
▪세계교역신장률(%)1)
2.4
4.1
3.9
4.0
3.7
▪원유도입단가(달러/배럴)2)
41
53
53
53
54
▪기타원자재가격 상승률(%)1)
-1.8
-
-
7.0
0.7
주:1) 전년동기대비 기준
2) 원유도입비중 : 중동산 80%, 여타 20%, 기간 평균, CIF 기준
1. 경제성장
□2017년중 GDP 성장률은 3.0%(상반 2.8% → 하반 3.2%)를 나타낼 전망
ㅇ2018년중 성장률은 2.9%를 보일 전망
경제성장 전망
(전년동기대비, %)
2016
2017
2018e)
연간
상반
하반e)
연간e)
상반
하반
연간
GDP
2.8
2.8
3.2
3.0
2.9
3.0
2.9
민간소비
2.5
2.1
2.5
2.3
2.7
2.6
2.6
설비투자
-2.3
15.9
12.1
14.0
2.3
3.4
2.8
지식재산생산물투자
2.3
2.6
3.1
2.9
3.2
2.9
3.0
건설투자
10.7
9.4
4.9
6.9
0.3
0.1
0.2
상품수출
2.2
4.2
3.3
3.7
2.4
4.6
3.5
상품수입
3.6
9.3
5.0
7.1
2.1
4.8
3.4
2. 고 용
□취업자수는 2017년중 35만명 내외, 2018년에는 34만명 내외 증가할 전망
ㅇ실업률은 금년 및 내년중 각각 3.8%로 전망
고용 전망
(만명, %)
2016
2017
2018e)
연간
상반
하반e)
연간e)
상반
하반
연간
취업자수 증감1)
30
36
33
35
34
33
34
실업률
3.7
4.1
3.6
3.8
4.0
3.5
3.8
(S.A.)
-
3.8
3.8
-
3.7
3.8
-
고용률2)
60.4
60.3
61.2
60.7
60.7
61.6
61.1
[66.1]
[66.3]
[67.0]
[66.6]
[66.6]
[67.2]
[66.9]
주: 1) 전년동기대비 증감
2) 15세 이상, [ ]내는 15~64세(OECD기준)
3. 물 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7년중 2.0%, 2018년중 1.8%를 나타낼 전망
ㅇ근원인플레이션(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은 금년 및 내년중 각각 1.6%, 1.9%를 기록할 전망
▪농산물ㆍ석유류 제외지수는 금년중 1.5%, 내년에는 1.9% 상승할 전망
물가 전망
(전년동기대비, %)
2016
2017
2018e)
연간
상반
하반e)
연간e)
상반
하반
연간
소비자물가
1.0
2.0
2.0
2.0
1.7
1.9
1.8
식료품·에너지 제외
1.9
1.6
1.6
1.6
1.8
1.9
1.9
농산물·석유류 제외
1.6
1.4
1.6
1.5
1.8
1.9
1.9
4.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2017년 및 2018년중 각각 780억달러, 750억달러를 기록할 전망
경상수지 전망
(억달러)
2016
2017
2018e)
연간
상반
하반e)
연간e)
상반
하반
연간
경상수지
987
363
418
780
360
390
750
상품수지
1,204
583
597
1,180
590
565
1,155
서비스수지
-176
-157
-163
-320
-160
-170
-330
Ⅳ. 종합평가
1. 경제성장
□경제성장률(전년동기대비)은 금년중 3.0%, 내년중 2.9% 수준을 나타낼 전망
ㅇ금년중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상품수출 및 설비투자의 호조가 이어지고 민간소비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개선흐름을 지속
ㅇ2018년에도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정책 등의 영향으로 민간소비의 증가세가 확대됨에 따라 2.9%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
□성장에 대한 지출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내년에는 수출 기여도가 높아지고 내수 기여도는 낮아질 전망*
* 금년중 감소했던 서비스수출이 증가로 전환되는 반면 설비 및 건설투자의 증가세는 크게 둔화되는 데 기인
▪순성장 기여도 : 2017년중 내수(2.6%p), 수출(0.4%p)
2018년중 내수(1.8%p), 수출(1.1%p)
GDP 전망경로
GDP 성장률 및 수출·내수의 순성장 기여도1)
주:1)I/O표를 이용하여 세부 지출항목별로 수입유발효과를 차감하여 시산
□향후 성장경로 상에는 상‧하방 리스크가 혼재
▪(상방 리스크) ① 세계경제 회복세 확대에 따른 수출 및 설비투자 개선세 강화, ② 사드갈등 완화에 따른 대중 교역여건 개선, ③ 정부의 가계소득증대 정책에 따른 소비 회복세 확대 등
▪(하방 리스크) ① 미국 등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악화, ②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③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
2. 물 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금년중 2.0%, 내년중 1.8%를 나타낼 전망
ㅇ내년중 오름세가 소폭 낮아지는 것은 수요측 물가압력 증대에도 불구하고 석유류가격의 기저효과 축소, 농축수산물가격의 오름세 둔화 전망 등 공급측 요인에 주로 기인
ㅇ수요측 물가압력을 나타내는 근원인플레이션(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은 금년중 1.6%에서 내년중 1.9%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
□향후 물가경로 상에는 상‧하방 리스크가 혼재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중립적인 것으로 평가
▪(상방리스크) ① 글로벌 경기개선 등으로 국내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될 가능성, ②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 ③ 고용여건 개선 등으로 임금상승폭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 등
▪(하방리스크) ① 미국의 셰일오일 증산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 가능성, ②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가능성 등
3. 경상수지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2016년 7%에서 2017년 5%대 초반, 2018년 4%대 후반으로 하락할 전망
향후 물가경로
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
'판교핫뉴스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부,‘FTA 전문가들 모여 FTA이행 및 활용 애로’점검- 제8차 「FTA 이행 및 활용협의회」 개최 (0) | 2017.10.20 |
---|---|
정부.업계, 美 국제무역위원회(ITC) 세탁기 세이프가드 구제조치 판정에 적극 대응 - 10.19(목) 美 ITC 세탁기 세이프가드 공청회 참석 (0) | 2017.10.20 |
2018년 태양광정책 방향과 발전사업 활성화 방안 세미나-성공적 에너지전환을 위한 태양광발전 증대전략을 중심으로 (0) | 2017.10.20 |
2018년 에너지전환 시대의 전력시장ㆍ전력계통 변화와 발전사업 전략 세미나 (0) | 2017.10.20 |
2018년 수소차,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핵심부품/시스템 기술개발과 기업전략 세미나 (0) | 2017.10.20 |